KR100716197B1 - Forming device - Google Patents
Form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6197B1 KR100716197B1 KR1020050105244A KR20050105244A KR100716197B1 KR 100716197 B1 KR100716197 B1 KR 100716197B1 KR 1020050105244 A KR1020050105244 A KR 1020050105244A KR 20050105244 A KR20050105244 A KR 20050105244A KR 100716197 B1 KR100716197 B1 KR 100716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
- forming
- power
- plat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740 moulding (composite fabr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1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twist-drills; screw-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지지되며 외곽형상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띠 형상의 금속판인 띠판을 상하로 지지하는 상하지지부재에 의해 본체 일측으로 인입시키는 인입장치,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인입장치에 의하여 인입되는 상기 띠판의 하나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성형장치,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천공성형장치에 의해 천공된 상기 띠판의 구멍에 암나사 탭을 형성하는 탭형성장치,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탭형성장치로부터 연속해서 진입하는 상기 띠판을 절곡하여 절단하는 절곡절단장치로 구비하여, 절곡 및 절단 과정 전에 탭을 형성하기 때문에 탭 형성 부분의 형성이 일정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나사를 형성하는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main body supported on the ground and forming an outer shape, a drive mo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trip-shaped metal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n inlet device for introducing the inlet plate to the main body side by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up and down, one or more places in one or a plurality of the strip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introduced by the inlet device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 punch forming apparatus for drilling two holes, a tab forming apparatu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female thread tab in a hole of the band plate punched by the punching molding apparatus by power of the driving motor,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band plate continuously entering from the tab forming apparatus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Since forming the tab prior to bending and cutting process by having a curved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song relates to a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screw that is formed in the tab forming part is constant is excellent in assemblability.
탭핑, 포밍, 절곡 Tapping, Forming, Bend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포밍장치의 천공형성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unch forming device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탭형성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tab forming apparatus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포밍장치의 절곡절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bending cutting device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포밍장치에 의해 생산된 클립에 대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p produced by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포밍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선연결구에 대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connector produced by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절곡틀에 대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to the bending frame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eps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탭동력전달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9 and 10 show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tap power transmission member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포밍장치 2 : 본체1: forming apparatus 2: main body
3 : 구동모터 5 : 띠판3: driving motor 5: band plate
20 : 인입장치 30 : 고정장치20: drawing device 30: holding device
40 : 천공성형장치 41 : 구멍40: punch forming device 41: hole
44 : 절단날 45 : 굴곡날44: cutting blade 45: bending blade
46 : 성형봉46: forming rod
60 : 탭형성장치 61 : 탭60: tap forming device 61: tab
63 : 탭동력전달부재 64 : 외형틀63: tap power transmission member 64: outer frame
65 : 유도홈 66 : 유도판65: guide groove 66: guide plate
69 : 수평이동부재 70 : 탭회전틀69: horizontal moving member 70: tab rotating frame
75 : 고정키75: fixed key
80 : 절곡절단장치 82 : 작동로드80: bending cutting device 82: operating rod
83 : 절단날 84 : 절곡지지부83: cutting edge 84: bending support
110 : 클립 120 : 전선연결구110: clip 120: wire connector
본 발명은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띠 형상의 금속판인 띠판을 천공, 절곡 등과 함께 탭을 형성하여, 탭 형성 부분의 형성이 일정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나사를 형성하는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tab together with perforation, bending, etc. by a power of a driving motor to form a tab together with perforation and bending,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tab forming portion is uniform so that the assemblability is excellent. A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screw.
일반적으로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 등에 의하여, 부재를 본체에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클립은 주로 자동차에 사용하며, 전선연결구는 기타 전기선에 결합되는 전기 재료의 시공 또는 조립에 이용된다.Generally, the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clip or a wire connector. Such clips are mainly used in automobiles and wire connectors a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r assembly of electrical materials that are coupled to other electrical wires.
이에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에 나사를 형성하여 나사조립하면 조립성이 우수여 제품의 성능이 우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에 나사를 형성함에 있어서, 주로 천공, 절곡 및 절단 공정 후에, 드릴링으로 나사 탭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성형 방법이다.Therefore, if screws are formed by screwing clips or wire connectors, the assembly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is excellent. In forming screws in clips or wire connectors, it is common to form thread tabs by drilling, mainly after drilling, bending and cutting processes.
이와 같은 일반적인 클립 및 전선연결구 등의 성형방법에 의하면, 절곡 및 절단 후에 나사 탭을 형성하기 때문에 탭 형성 시 드릴링과정에 의하여, 절곡면이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클립 및 전선연결구의 크기는 작기 때문에 고정 장치에 고정하기 용이하지 아니하며, 설혹 안정적으로 고정장치에 고정시킨다 하여도, 고정장치에 의하여 드릴링을 용이하게 하지 못하며, 이러한 과정을 고가의 자동장비에서 가공하기에는 부품의 단가가 낮아 채산성이 맞지 않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general forming method of the clip and the wire connector, because the thread tab is formed after bending and cutting, the bending surface is bent by the drilling process during tab 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clip and wire connector are small in size, they are not easy to be fixed to the fixing device. Even if the fixing device is stably fixed to the fixing device, drilling is not easy by the fixing device. In the follow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fitability of parts is low due to low unit cost.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 드릴링은 소형 드릴링 머신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기 때문에, 나사산 형성 위치와 나사산 형성 형태 그리고 나사산 형성시 작용하는 힘이 각각의 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생산되는 제품이 일률적이지 못하여 이를 이용한 조립 과정에서 자동 조립이 불가능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For this reason, most drilling is done manually by the operator using a small drilling machine. Therefore, since the thread forming position, the thread forming form, and the force acting on the thread forming are different for each diameter, the products produced are not uniform. There is a problem that automatic assembly is impossibl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특히 클립의 경우에는 상측부와 하측부의 간격이 일정하여야 하나, 드릴링 과정에서 상측부와 하측부의 간격이 변형되므로,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검사하여야 하며, 이에 소요되는 경비 및 시간이 상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lips,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should be constant. However, since the gap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deform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the manual part must be inspected by hand, and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is occur. do.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속되는 판형상의 금속 띠를 천공, 프레스 성형, 절곡 및 절단 과정을 거치면서 클립 및 전선연결구 등을 제작하는 것으로, 특히 절곡 및 절단 과정 전에 탭을 형성하기 때문에 탭 형성 부분의 형성이 일정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생산 후 검사가 필요없는 등 생산 인력 및 생산 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조립 후 불량의 발생이 적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6mm 이상의 대형 크기의 탭을 형성하여 생산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등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manufacture a clip and wire connector, such as through the punching, press molding, bending and cutting of a continuous plate-shaped metal strip, in particular to form a tab before the bending and cutting process Therefore, the formation of the tab forming portion is uniform, and excellent assembly performance,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manpower and production time, such as no need for post-production inspection, and also has the effect of less generation of defects after assembly.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forming a tab of a large size of 6mm or more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지면에 지지되며 외곽형상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띠 형상의 금속판인 띠판을 상하로 지지하는 상하지지부재에 의해 본체 일측으로 인입시키는 인입장치,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인입장치에 의하여 인입되는 상기 띠판의 하나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요홈 또는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성형장치,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천공성형장치에 의해 천공된 상기 띠판의 구멍에 암나사 탭을 형성하는 탭형성장치,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탭형성장치로부터 연속해서 진입하는 상기 띠판을 절곡하고 절단하는 절곡절단장치로 구비되는 나사를 형성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한다.Main body by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which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forms an outer shape, a drive mo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band plate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orts a band plate which is a strip-shaped metal plate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n apparatus for pulling in to one side, a punch forming apparatu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punching one or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in one or several places of the band plate introduced by the apparatus for pulling by the driving motor, the main body A tab forming apparatus provided at one side and forming a female thread tab in the hole of the band plate punched by the punch forming apparatu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the tab forming apparatus be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driven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It is provided with a bending cutting device for bending and cutting the band plate continuously entering from It provides a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the screw.
이때 상기 인입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하 및 전후로 이동하는 상기 상지지부재 및 하지지부재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상기 띠판을 일시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상고정부재를 구비하고, In this case, the drawer further includes a fixing device for temporarily fixing the band plat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the upper support member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which are moved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wherein the fixing device is the drive. It is provided with an upper fixing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by the power of the motor,
상기 천공성형장치는 상기 띠판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저판과 상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으로 구비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절단날과 저면이 둥근원호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굴곡날과 원봉형상의 성형봉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저판에는 상기 띠판에 구멍이 뚤리도록 상기 절단날이 통과되는 절단날 관통구, 상기 굴곡날과 대응되어 둥근원호 또는 타원형으로 오목 홈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띠판의 일측이 하향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굴곡홈 그리고 상기 성형봉과 일정 간극을 두어 통과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띠판에 형성된 홈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성형틀구를 형성하며, The punch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and a top plate formed long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band plate, the top plate is moved up and down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nd one or more cutting blades and bottom surface provided with different diameters of different sizes. One or a plurality of curved blades and round rod-shaped forming rods are formed, each protruding into a circular arc or an ellipse, and the bottom plate has a cutting blad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utting blade passes through the band plate, the curved blade and Corrugated grooves are formed in the shape of concave grooves in a circular arc or an elliptical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strip plate protrudes downward, and a groove formed in the strip plat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pass through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forming rod. Forming a molding sphere t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저판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공, 굴곡홈 또는 성형틀구가 1벌로 하여 구비되는 한벌의 성형저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절단날, 굴곡날 또는 성형봉이 1벌로 하여 구비되는 한벌의 성형상부를 형성하고,The bottom plate forms a pair of molding bottom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bending groove, or a molding die, and the top plate has a pair of one or more cutting blades, a curved blade, or a forming rod.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상기 한벌의 성형저부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공, 굴곡홈 또는 성형틀구 가 상기 띠판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나열되거나 또는 진행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나열되며, 상기 한벌의 성형상부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절단날, 굴곡날 또는 성형봉이 상기 띠판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나열되거나 또는 진행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나열되는 나사를 형성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한다.One o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bent grooves, or molding dies of the pair of molding bottom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plate travels o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and one of the pair of molding tops Or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curved blades, or forming rods forming a screw which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plate travels, or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plate travels.
그리고 상기 절곡절단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직선왕복이동하며, 상기 띠판이 위치되는 절곡지점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작동로드가 형성되어 상기 띠판을 절곡하며, 상기 작동로드에 의해 절곡된 상기 띠판을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하 왕복이동하면서 하측에 절단용 날을 구비하는 절단날을 구비하며, And the bending cutting device is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 plurality of operating rod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nding point where the band plate is located to bend the band plate, bent by the operating rod It is provided with a cutting blade having a cutting blade on the lower side while moving the belt plate up and down reciprocally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상기 인입장치, 상기 천공성형장치, 상기 탭형성장치 그리고 상기 절곡절단장치로의 동력전달은 체인, 기어 또는 체인과 기어의 조합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나사를 형성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하다.Power transmission from the drive motor to the inlet device, the punch forming device, the tab forming device, and the bending cutting device provides a forming device for forming a screw that transmits power by a chain, a gear, or a combination of the chain and the gear. Do.
또한 상기 탭형성장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동되는 탭과, 상기 본체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띠판이, 상면으로 이동되며 일시 정지하는 저면부,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회동되는 탭에 전달하는 탭동력전달부재로 구비되고, 이때 상기 탭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본체 일측에 지지되며 탭동력전달에 이용되는 구성들을 내측에 포함하는 외형틀, 상기 외형틀에 대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동되고,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 형상의 요홈인 유도홈이 형성되는 유도판, 상기 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는 유도봉, 상기 유도봉이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타측면에 기어홈인 랙이 형성되는 수평이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탭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인 랙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탭이 회전되며, In addition, the tab forming apparatus is supported by a tab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the main body is supported on one side, the strip plate is moved to the upper surface and temporarily stopped, and the tab to rotate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It is provided with a tab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wherein the tab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is used for the tab power transmission inside,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gainst the outer frame Rotated, formed into discs, and on one side " Induction plate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groove, the guide rod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the guide rod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movement is formed in the rack groove gear on the other side A member is formed on the tab by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and meshes with a gear of the rack, which is the gear groove, so that the tab is rotated.
상기 탭은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또는 14mm로 구비되고, 상기 유도판은 상기 탭에 따라 2mm용, 3mm용, 4mm용, 5mm용, 6mm용, 8mm용, 10mm용, 12mm용, 또는 14mm용으로 상기 유도봉이 이송되도록 상기 유도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형틀의 저부 일측의 상기 탭이 관통되는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또는 14mm의 상기 탭의 나사 피칭과 일치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탭회전틀을 더 구비하며, 탭회전틀과 일치하는 수나사가 상기 탭에 형성되어 상기 탭의 피칭과 일치하는 속도록 상기 탭이 하강 및 상승하도록 하는 나사를 형성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한다.The tab is provided in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or 14mm, the guide plate is for 2mm, 3mm, 4mm, 5mm, 6mm, 8mm for the tab , The guid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guide rod is transported for 10 mm, 12 mm, or 14 mm, integrally formed in a portion through which the tab of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outer frame passes, 2 mm, 3 mm, 4 mm, 5 mm, And further comprising a tab rotating frame in which a female thread is formed to match the thread pitching of the tab of 6 mm, 8 mm, 10 mm, 12 mm, or 14 mm, and a male thread matching the tab rotating frame is formed on the tab to match the pitching of the tab. Provided is a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screw to allow the tab to descend and rise at a rate.
그리고 상기 탭회전틀과 상기 외형틀의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인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 및 제2홈에 동시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외형틀에 대해 상기 탭회전틀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키가 더 구비되는 나사를 형성하는 포밍장치를 제공한다.And a first groove and a second groove which are recesses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tab rotating frame and the outer frame, respectively, and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so that the tab rotating frame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outer frame. Provided is a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screw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key to be fixed.
또한 본 발명의 포밍장치를 이용하여 하기의 단계에 의하여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를 제조하는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ip or wire connector for producing a clip or wire connector by the following steps using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상기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로 제조되는 상기 띠판이 포밍장치에 인입되는 인입단계,(1) an inlet step in which the strip plate made of the clip or wire connector is introduced into a forming apparatus;
(2) 상기 띠판에 구멍을 천공하고 탭을 형성하기 위한 형태를 형성하는 천공성형단계,(2) a perforation molding step of forming a shape for perforating the band plate and forming a tab;
(3) 상기 띠판에 탭을 형성하는 탭형성단계,(3) a tab forming step of forming a tab on the band plate,
(4) 상이 띠판을 1주기의 크기별로 절곡하고 절단하는 절곡절단단계.(4) Bending cutting step of bending and cutting different bands by the size of one cycl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포밍장치의 천공형성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탭형성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포밍장치의 절곡절단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포밍장치에 의해 생산된 클립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포밍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선연결구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절곡틀에 대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포밍장치의 탭동력전달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unch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pparatus, and FIG. 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tap forming apparatus of th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bending device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produced by the form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wire connector produced by the form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to a bending frame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ep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tabs of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shown.
즉 본 발명 포밍장치(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며 외곽형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일측에 구비되어 본 발명 포밍장치(1)의 구성부재들을 작동시키는 구동모터(3)로 하여 이루어 진다.That is, the form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이에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며, 띠 형상의 금속판인 띠판(5)을 상하로 지지하는 상하지지부재(21)(22)에 의해 본체(2) 일측으로 인입시키는 인입장치(20)를 구비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upper and lower support member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며, 상기 인입장치(20)에 의하여 인입되는 상기 띠판(5)의 하나 또는 다수 곳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구멍(41)을 천공하는 천공성형장치(40)를 구비한다.1 and 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며, 상기 천공성형장치(40)에 의해 천공된 상기 띠판(5)의 구멍(31)에 암나사 탭(61)을 형성하는 탭형성장치(60)를 구비한다.1 and 3, the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하며, 상기 탭형성장치(60)로부터 연속해서 진입하는 상기 띠판(5)을 절곡하여 절단하는 절곡절단장치(80)를 구비한 것이다.1 and 4, the
이와 같이 본 발명 포밍장치(1)는 연속된 금속판형의 금속띠인 띠판(5)을 일정간격 구멍을 천공하고 일정 형태로 형성하며,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띠판(5)을 클립(110) 또는 전선연결구(120)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orm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ates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이때 본 발명 포밍장치(1)의 인입장치(20), 천공성형장치(40), 탭형성장치(60) 그리고 절곡절단장치(80)로 되는 각 부재 장치의 작동의 동력은 구동모터(3)에 의하여, 체인 또는 기어의 결합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각각 알맞은 형태로 전달되어 작동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동력의 전달 부재 및 동력전달 방식은 본 발명의 특허 대상이 아니며 또한 일반적인 구성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구동력의 형성은 본체(2) 일측에 구비되는 단일의 구동모터(3)를 구비하여 전체의 각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각 장치 부재별로 별도의 자체 작동 모터를 구비하여 개별 작동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인입장치(20), 천공성형장치(40), 탭형성장치(60) 및 절곡절단장치(80)는 전체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하여 서로 연관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각 단계별로 구분되어 작동하는 유기적인 작동이 필수적이므로, 단의 구동모터(3)를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장치별로 별도의 작동모터 또는 작동 동력 수단을 구비할 경우에는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각 장치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및 판단 및 지시에 필요한 제어부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센서 및 제어부재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driving force of the operation of each member device is the driving motor (3) of the inlet device (20), punching forming device (40), tab forming device (60) and bending cutting device (80) of the form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ower is transmit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hain or gear to be transmitted to operate in a suitable form, respectively. Such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and a power transmission method are not subject to the pa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e a general configuration. The driving force is formed by a
그리하여 단일의 구동모터(3)를 기준으로 하는 본 발명 포밍장치(1)에 있어서, 인입장치(20), 천공성형장치(40), 탭형성장치(60) 및 절곡절단장치(80)로 되는 각 장치의 각 부재의 작동은 구동모터(3)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작동하며, 이때 대부분 기어 결합에 의하여 각 부재가 작동함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직선 이동시에는 랙과 피니언 결합에 의하게 된다.Thus, in the form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우선 본 발명 포밍장치(1)에 의해 제작되는 클립(110) 또는 전선연결구(120) 등은 연속되는 길이의 판상체인 금속 띠로 되는 띠판(5)을 인입장치(20)에 인입이 용이하도록 준비한다. 이때 인입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하로 전후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레일(23)(24)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하레일(23)(24)의 사이에는 이동판(25)이 구비되며, 이동판(25)의 하측에는 이동판에 고정되는 하지지부재(22)가 구비되며, 이동판(25)의 상측에는 구동모터(3)의 동력을 전달받은 편심축(26)으로 작동하는 인입캡(27)에 의해 일측 끝단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캠봉(28)에 의하여 상지지부재(21)가 상하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지지부재(21)는 이동판(25)에 고정되는 인입몸체(29)를 관동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므로, 인입몸체(29)는 상지지부재(21)의 상하이동이 안정되도록 하게 된다. First, the
이와 같은 상기 인입장치(20)는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하여 상하 및 전후로 이동하는 상기 상지지부재(21) 및 하지지부재(22)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상기 띠판(5)을 일시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장치(30)를 더 구비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장치(30)에 의하면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상고정부재와 하측의 고정판(31)을 구비하되, 상고정부재는 본체(2)에 지지되는 고정몸체(32)와 고정몸체(3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고정봉(33) 그리고 구동모터(3)의 동력을 전달받아 편심 회전하는 고정캠(34)을 구비하여, 고정캠(34)의 회전에 의해 상고정봉(33)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일 순간 띠판(5)을 고정하게 된다. The
그리하여 띠판(5)을 고정장치(30)에 의해 이동을 멈춘 상태에서, 상기 인입장치(20)의 하지지부재(22) 및 상지지부재(21)가 상하레일(23)(24)을 따라 후진하고, 후진된 상태에서 인입캠(27)에 의해 하지지부재(22)와 상지지부재(21)가 밀착된 상태에서 다시 고정장치(30)가 띠판(5)을 놓게 되면, 다시 인입장치(20)가 고정장치(30)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국 띠판(5)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거리는 이동판(25)의 저부에 구비된 지시부(35)가 가리키는 거리표(36)의 이동 눈금으로 하여 이동거리를 알 수 있다. Thus, in the state where the movement of the
이때 일정 눈금 거리 만큼 이동하는 거리를 1주기로 하여 인입장치(20)가 작동하며, 이러한 1주기의 이동 거리 및 이에 해당하는 1주기의 작업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천공성형장치(40), 탭형성장치(60) 및 절곡절단장치(80)의 작동이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1주기의 띠판의 길이는 생샌되는 제품의 길이와도 연관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천공성형장치(40)는 인입장치(20)에 의하여 이동되는 띠판(5)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요홈 또는 구멍을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위치에 형성하도록 하며, 나사탭을 형성하려는 곳을 탭형성에 알맞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즉 띠판(5)에 구멍을 천공하고 형성된 일부 구멍의 형상을 탭형성에 알맞게 성형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천공 및 성형은 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프레스 방 식은 단일의 구동모터(3)를 이용함에 용이하게 작동하게 되는 바람직한 방식이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하되, 우선 천공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띠판(5)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저판(42)과 상판(43)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판(43)에는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으로 구비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절단날(44)을 구비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but first look at the drilling process, the
그리고 다른 곳에 저면이 둥근원호 또는 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굴곡날(45)을 구비하며, 또한 원봉형상의 성형봉(46)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상기 저판(42)에는 상기 띠판(5)에 구멍(41)이 뚤리도록 상기 절단날(44)이 통과되는 관통공(47)이 형성되며, 상기 굴곡날(45)과 대응되어 둥근원호 또는 타원형으로 오목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띠판(5)의 일측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굴곡홈(48)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성형봉(46)의 저부 측면과 일정 간극을 두어 상기 성형봉(46)이 통과되면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띠판(5)에 형성된 홈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성형틀구(49)를 형성하였다. 즉 성형봉(46)과 성형틀구(49) 사이에 굴곡날(45)에 의하여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오목 홈이 원통형 구멍이 형성되도록 원형 천공 및 원통형의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이와 같이 천공성형장치(40)에 의하면, 먼저 저판(42)의 관통공(47)과 맞물리는 상판(43)의 절단날(44)에 의하여 띠판(5)에 구멍(41)이 형성된다. 이때 서로 다른 크기 및 다른 위치에 다수 개의 절단날(44) 및 관통공(47)을 형성하여 각각의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에 알맞는 구멍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 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이와 같이 형성된 구멍은 인입장치(20)에 의해서 전진하는 1주기의 이동 거리에 작업위치에 상판(43) 및 저판(42)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구멍(41)을 고정하거나 다른 형태로 성형하는 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구멍(41)의 형상을 유지하여야 할 위치에는 절단날(44)과 동일한 크기의 봉을 상판(43)에 구비하며 저판(42)에는 관통공(47)보다 큰 크기의 구멍으로 하여 연속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이와 함께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에는 형성된 하향 굴곡홈의 위치의 상판(43)에는 1주기 마다 원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의 저부를 갖는 굴곡날(45)을 구비하며, 이와 대응되는 저판(42)에는 원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의 오목모양의 굴곡홈(48)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다음 1주기의 위치의 상판(43)에는 굴곡날(45)에 의해 형성된 원형 형상을 관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성형봉(46)을 구비하며, 이와 대응되는 저판(42)에는 원통형상의 성형틀구(49)를 구비하였다. 이에 의하여 원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의 띠판(5)의 구멍(41)이 일정 내측 지름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탭을 형성하기 용이하게 된다. 이에 최초의 굴곡날(45)과 굴곡홈(48)의 지름 크기가 크게 형성되도록 하며, 이후의 주기마다 형성되는 굴곡날(45)과 굴곡홈(48)의 지름 크기를 점차 작게하여, 성형봉(47)에 의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홈 주위의 형상이 양호하도록 다수의 단계로 하여 작업되도록 하였다.The hole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 member for fixing one or
특히 이와 같은 상기 천공성형장치(40)는 상기 저판(42)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공(47), 굴곡홈(48) 또는 성형틀구(49) 등으로 1벌로 하여 구비되는 한벌 의 성형저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43)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절단날(44), 굴곡날(45) 또는 성형봉(46) 등으로 1벌로 하여 구비되는 한벌의 성형상부를 형성하도록 하며, 각각 한벌로 하는 성형상부 및 성형저부를 다수의 벌로 하여 연속되게 작업하도록 하였다. 이때 각 단계에 따른 절단날(44), 굴곡날(45), 성형봉(46), 관통공(47), 굴곡홈(48) 그리고 성형틀구(49)의 크기는 서로 진행에 알맞게 크기를 점차 줄이거나 또는 점차 늘리는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punching
또한 상기 한벌의 성형저부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공(47), 굴곡홈(48) 또는 성형틀구(49)가 상기 띠판(5)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나열되거나 또는 진행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나열되며, 또한 상기 한벌의 성형상부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절단날(44), 굴곡날(45) 또는 성형봉(46)이 상기 띠판(5)이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나열되거나 또는 진행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구비하였다.In addition, the one or the plurality of through-
이에 띠판(5)이 전진 진행하는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하면, 이후의 탭 과정, 절곡 및 절단과정이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When the
그리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절곡절단장치(80)는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해 직선왕복이동하며, 상기 띠판(5)이 위치되는 절곡지점(8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작동로드(82)가 형성되어 상기 띠판(5)을 절곡하며, 상기 작동로드에 의해 절곡된 상기 띠판(5)을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해 상하 왕복이동하면서 하측에 절단용 날인 절단날(83)을 구비하였다.1 and 4, the
이에 도 1, 도 4 및 도 7에서는 클립(110)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이에 절곡지점(81)의 중앙에는 절곡되는 띠판(5)을 중앙에서 지지하기 위한 절곡지지부(84)를 형성하되, 절곡지지부(84)의 형상은 절곡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는 도 1 및 도 4는 클립(110)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전진 또는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각각의 전후단에는 원호형상을 하였다. 그리고 절곡지지부(84)를 중심으로 하여 필요한 다수 곳의 방향 및 위치에 절곡용 로드인 작동로드(82)를 구비하되, 절곡지지부(84)와 면접하는 띠판(5)을 타측면에서 절곡지지부(84) 측으로 압착하도록 하여 결국 띠판(5)이 일정 부분 압력을 받아 절곡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절곡지지부(84) 및 작동로드(82)의 구성은 클립 제조에서 뿐만 아니라 전선연결구의 제조에서도 동일하게 구성하나 그 절곡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구체적인 형상 및 작동 위치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적절한 구조로 함이 바람직하다.1, 4, and 7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bending device for forming the
이에 다수의 작동로드(82)는 각각 절곡절단장치(80)의 절곡몸체(85)에 지지되는 로드몸체(86)에 지지되면서 작동된다. 이때 로드몸체(86)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구동모터(3)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로드(82)가 직선왕복이동하게 된다. 우선 저부에 위치되는 저부지지로드(87)가 띠판(5)의 저부를 밀어, 절곡지지부(84)에 띠판(5)의 상부면이 지지되도록 하며, 차후로 시계방향의 작동로드(82)가 각각 차례로 또는 알맞은 위치로 작동하면서 띠판(5)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operating
이와 같은 작동로드(82)의 절곡부분은 원형상, 면형상, 타원형상 등 절곡되 는 부분의 형상에 알맞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형상의 선택에 의하여 클립을 제작하거나 또는 전선연결구를 제작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The bent portion of the
이에 다수의 작동로드(82)가 작동하여 띠판(5)이 절곡되는 중에, 별도로 구비되는 절단날(83)에 의하여 일정 거리인 1주기의 띠판(5)의 임의의 위치를 절단하여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특히 띠판(5) 중 탭이 형성된 구멍(41)의 저부를 절곡지지부(84) 측으로 제일 먼저 밀착되도록 하여, 탭이 형성된 구멍(41) 주위의 띠판(5)이 변형되지 않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변형되지 아니한 탭이 형성된 구멍(41)에 의하여,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클립(110) 또는 전선연결구(120)의 사용시 나사결합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ile the plurality of operating
그리고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탭형성장치(60)는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하여 회동되는 탭(61)과, 상기 본체(2)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띠판(5)이, 상면으로 이동되며 일시 정지하는 저면부(62),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을 회동되는 탭(61)에 전달하는 탭동력전달부재(63)로 구비된다.1 and 3, the
이와 같은 상기 탭동력전달부재(6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일측에 지지되어 구비되며, 탭동력전달에 이용되는 구성들을 내측에 포함하는 외형틀(6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외형틀(64)에 대해 상기 구동모터(3)의 동력에 의해 회동되고,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 형상의 요홈인 유도홈 (65)이 형성되는 유도판(66)이 구비되며, 상기 유도홈(65)을 따라 이동하는 유도봉(67), 상기 유도봉(67)이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타측면에 기어홈인 랙(68)이 형성되는 수평이동부재(69)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이동부재(69)에 의해 상기 탭(6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인 랙(68)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탭(61)이 회전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9, the tab
이와 같은 상기 탭(61)은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14mm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도판(66)은 상기 탭(61)에 따라 2mm용, 3mm용, 4mm용, 5mm용, 6mm용, 8mm용, 10mm용, 12mm용, 14mm용 등으로 상기 유도봉(67)이 이송되도록 상기 유도홈(65)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유도홈(65)의 형성에 의해 좌우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도봉(67)의 이동거리가 다르게 되는 것이다. 즉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에 형성되는 나사의 크기에 따라, 탭의 크기, 유도판의 크기, 유도홈의 형상 및 크기 등이 각각 다양하게 구성하며, 서로 각 크기별로 유기적으로 조화되도록 구비한 것이다.The
또한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외형틀(64)의 저부 일측의 상기 탭(61)이 관통되는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14mm 등의 상기 탭(61)의 나사 피칭과 일치하는 암나사(71)가 형성되는 탭회전틀(70)을 더 구비하며, 탭회전틀(70)과 일치하는 수나사(72)가 상기 탭(61)에 형성되어 상기 탭(61)의 피치와 일치하는 속도로 상기 탭(61)이 하강 및 상승하도록 하였다. 즉 클립 및 전선연결구 등의 크기에 따라 탭회전틀 및 탭에 형성된 수나사의 피치도 알맞게 조절되어야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탭회전틀(70)과 상기 외형틀(64)의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인 제1홈(73) 및 제2홈(74) 등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73) 및 제2홈(74)에 동시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외형틀(64)에 대해 상기 탭회전틀(70)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키(75)가 더 구비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그리하여 구동모터(3)에 의한 강한 구동력에 의하여도, 상기 탭(61)이 상기 외형틀(64)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일정 속도로 하강하도록 하는 탭회전틀(70)이 고정키(75)에 의하여 요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Thus, even with a strong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이와 같은 본 발명 포밍장치(1)에 의하면, 특히 유도판(66)의 유도홈(65)의 형성 그리고 탭회전틀(70)의 나사 형성 및 고정키(75)의 구성에 의하여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14mm 등의 다양한 크기의 탭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2mm, 3mm, 4mm, 5mm 등 작은 크기의 탭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유도판(66) 및 탭회전틀(70)의 형성은 용이하나, 6mm, 8mm, 10mm, 12mm, 14mm 등의 형성에 있어서는 부재의 재질 및 유도홈(65)의 형상 및 전체 이송 거리의 차이에 의하여 정확한 작동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정밀 가공의 정도가 결정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pparatus (1), in particular by the formation of the
특히 클립(110)의 경우에는, 생산되는 대부분이 자동차용 조립공정에서 그 효과가 탁월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기 위하여 부품에 클립을 결합한 후, 자동차 본체에 조립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포밍장치(1)에 의하여 생산된 클립은, 클립에 탭을 형성한 후, 절곡하거나 절단하기 때문에 탭 형성에 따른 클립의 형상이 변하지 아니하며, 특히 절곡 및 절단 시 클립의 내측으로 "절곡지지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절곡 및 절단하기 때문에, 클립의 상하 간격(도 7에서 "a")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조립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클립의 상하 간격기 너무 벌어지면 부품에서 미리 끼워놓았던 클립이 이탈되어 조립불량이 발생되며, 너무 좁게 되면 부품에 클립을 끼우기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클립의 벌어진 간격을 일일이 규격에 맞는지 제품을 검사하기도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일정한 간격(a)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검사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이 별도로 소요되지 아니하며, 또한 조립의 불량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또한 전선연결구의 생산에서와 같이, 30A용과 50A용 전선연결구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에 알맞는 용량의 전선연결구를 제조해야만 한다. 이에 전선연결구의 크기가 흐르는 전류량 또는 연결되는 전선의 굵기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전선연결구에 탭을 형성하기 위한 탭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어 왔다. 즉, 종전에는 전선연결구의 구멍을 형성하고 절곡한 다음에 탭을 형성하기 때문에, 탭의 끝이 전선연결구 내부로 들어가야 하는 깊이에 따라 전선연결구의 크기를 정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절곡 및 절단하기 전에 탭을 먼저 형성하기 때문에, 탭에 의해 전선연결구의 높이(도 6에서 "f")가 전선의 굵기 또는 흐르는 전류에 따라 알맞게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길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료비를 적게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in the production of wire connectors, since the sizes of the wire connectors for 30A and 50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re connectors of a suitable capacity must be manufactured. The size of the wire connector is not determined by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or the thickness of the wire to be connected, but most of the size has bee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ab for forming the tab in the wire connector. In other words, in the past, since the tabs were formed after the holes of the wire connectors were formed and bent, the size of the wire connectors had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pth at which the ends of the tabs had to enter the wire connector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ab is first formed before bending and cutting, the height (“f” in FIG. 6) of the wire connector can be suitably provid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ire or the current flowing by the tab.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such as reducing the material costs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unnecessarily long.
이와 같이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에 형성하는 나사의 크기가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14mm 등의 다양한 크기로 제조함에 따라, 탭(61)의 크기(굵기), 유도판(66)의 크기, 유도홈(65)의 크기, 수평이동부재(69)의 크기 그리고 탭회전틀(70) 및 탭(61)의 수나사의 길이와 나사산 피치 등이 알맞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에 대체적으로 5mm 이하의 경우와 6mm 이상의 경우가 상이하게 대비하여 다르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us, as the size of the screws formed on the clip or wire connector is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such as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14mm, the size (thickness) of the
즉 유도판(66)의 크기는 지름의 크기(c)가 5mm 이하의 경우 170mm 정도로, 6mm 이상의 경우 178mm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유도판(66)의 크기에 따른 힘의 전달에 안정적이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오뚜기 형상인 유도홈(65)의 상하 길이(d)가 5mm 이하의 경우보다 6mm 이상의 경우에 4mm 정도 더 길어지도록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평이동부재(69)의 길이(b)도 5mm 이하일 경우에는 90mm 정도로, 6mm 이상의 경우에는 112mm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판(66)의 편심 축의 축 지름의 크기(e)도 5mm 이하의 경우 20mm 정도로, 6mm 이상의 경우 25mm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외 탭의 크기(g) 및 탭회전틀(70)의 암나사와 탭의 수나사 등의 크기는 각 탭의 크기에 따른 일반적인 크기로 하였다.That is, the size of the
이와 같이 클립 또는 전선연결구에 형성되는 탭의 크기에 따라 알맞은 크기로 각각의 구성부재의 크기를 결정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더욱 규격화된 크기의 클립 및 전선연결구 등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since the size of each component is determined by work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ab formed in the clip or wir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lip and wire connector of a more standard size.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연속되는 판형상의 금속 띠를 천공, 프레스 성형, 절곡 및 절단 과정을 거치면서 클립 및 전선연결구 등을 제작하는 것으로, 특히 절곡 및 절단 과정 전에 탭을 형성하기 때문에 탭 형성 부분의 형성이 일정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생산 후 검사가 필요없는 등 생산 인력 및 생산 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조립 후 불량의 발생이 적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6mm 이상의 대형 크기의 탭을 형성하여 생산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to produce a clip and wire connector, such as through the punching, press molding, bending and cutting process of a continuous plate-shaped metal strip, in particular tabs are formed because the tab is formed before the bending and cutting process Since the formation of the part is uniform, the assembly is excellent,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manpower and production time, such as the need for post-production inspection, and also has the effect of less generation of defects after assembly. In particular, there is an effect such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by forming a tab of a large size of 6mm or mor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244A KR100716197B1 (en) | 2005-11-04 | 2005-11-04 | Form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244A KR100716197B1 (en) | 2005-11-04 | 2005-11-04 | Form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3978A KR20070013978A (en) | 2007-01-31 |
KR100716197B1 true KR100716197B1 (en) | 2007-05-10 |
Family
ID=3801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52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197B1 (en) | 2005-11-04 | 2005-11-04 | Form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619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989B1 (en) | 2009-01-23 | 2010-10-18 |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 Tapping Device for LC Bottom Chassis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03929A (en) | 1981-12-16 | 1983-06-21 | Aisin Warner Ltd | Threaded thin plate and thread forming method of thin plate |
JPS59191536A (en) | 1983-04-13 | 1984-10-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orming method of screw by pressing |
JPH08215775A (en) * | 1995-02-20 | 1996-08-27 | Nec Shizuoka Ltd | Punching dies |
JPH09300043A (en) * | 1996-05-16 | 1997-11-25 | Ochiai:Kk | T-nut manufacturing method |
JP2002273531A (en) | 2001-03-19 | 2002-09-25 | Sankei Giken Kogyo Co Ltd | Piercing device |
KR20030080138A (en) * | 2002-04-04 | 2003-10-11 | 정남식 | The tapping equipment for metal mold press |
JP2004314101A (en) | 2003-04-14 | 2004-11-11 |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Ltd | Press forming method |
KR20040096053A (en) * | 2003-05-07 | 2004-11-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luminum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having unit-nut |
-
2005
- 2005-11-04 KR KR1020050105244A patent/KR1007161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03929A (en) | 1981-12-16 | 1983-06-21 | Aisin Warner Ltd | Threaded thin plate and thread forming method of thin plate |
JPS59191536A (en) | 1983-04-13 | 1984-10-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orming method of screw by pressing |
JPH08215775A (en) * | 1995-02-20 | 1996-08-27 | Nec Shizuoka Ltd | Punching dies |
JPH09300043A (en) * | 1996-05-16 | 1997-11-25 | Ochiai:Kk | T-nut manufacturing method |
JP2002273531A (en) | 2001-03-19 | 2002-09-25 | Sankei Giken Kogyo Co Ltd | Piercing device |
KR20030080138A (en) * | 2002-04-04 | 2003-10-11 | 정남식 | The tapping equipment for metal mold press |
JP2004314101A (en) | 2003-04-14 | 2004-11-11 |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Ltd | Press forming method |
KR20040096053A (en) * | 2003-05-07 | 2004-11-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luminum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having unit-nu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989B1 (en) | 2009-01-23 | 2010-10-18 |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 Tapping Device for LC Bottom Chassi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3978A (en) | 2007-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340222B (en) | Automatic molding equipment of wiper connecting rod | |
KR101779663B1 (en) | Square pipe hole processing apparatus | |
CN100569411C (en) | A stamping and forming machine for double hooks on anti-skid chains | |
CN208743481U (en) | A kind of channel steel punching cutting machine | |
KR100716197B1 (en) | Forming device | |
CN106938298B (en) | Motor positioning base one-time-shaped moul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213856569U (en) | Refrigerator slide rail rolling burr-free cutting die | |
CN208433883U (en) | A kind of new energy electrical-coil molding machine | |
CN214491671U (en) | Full-automatic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machine for plastic handles of metal packaging cans | |
CN216371017U (en) | Single-support automatic forming equipment | |
CN215315322U (en) | Wire forming machine | |
CN109382871A (en) | Cotton bluging formation process equipment and the cotton bluging 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applying it | |
CN111545691B (en) | Semi-open type metal elastic part forming equipment and forming method thereof | |
CN210816933U (en) | Positioning structure of chain plate punching device | |
CN107275224B (en) | Diode rib cutting and shaping mechanism | |
CN113909906A (en) | Single-support automatic forming equipment | |
KR100655456B1 (en) | Link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old | |
CN112873886A (en) | Full-automatic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machine for plastic handles of metal packaging cans | |
JP252123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ead frame for semiconductor device | |
CN207026276U (en) | A punch mold | |
CN215786086U (en) | Anti-deformation punching device | |
CN112845979A (en) | One-step forming processing technology and forming equipment for flat wire product | |
CN216095949U (en) | Stone pipe clamping piece processing and positioning device | |
CN216027489U (en) | Mould capable of producing products with multiple specifications | |
CN209318577U (en) | A kind of high-precision metal plate mol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11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301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