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4959B1 -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959B1
KR100714959B1 KR1020060089126A KR20060089126A KR100714959B1 KR 100714959 B1 KR100714959 B1 KR 100714959B1 KR 1020060089126 A KR1020060089126 A KR 1020060089126A KR 20060089126 A KR20060089126 A KR 20060089126A KR 100714959 B1 KR100714959 B1 KR 10071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g
water
bowl
variable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인
임봉균
Original Assignee
이종인
임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인, 임봉균 filed Critical 이종인
Priority to KR102006008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959B1/ko
Priority to JP2009528182A priority patent/JP2010503783A/ja
Priority to EP07808221A priority patent/EP2066849A1/en
Priority to US12/440,460 priority patent/US8127376B2/en
Priority to CNA2007800341076A priority patent/CN101517172A/zh
Priority to AU2007295231A priority patent/AU2007295231A1/en
Priority to PCT/KR2007/004430 priority patent/WO2008032989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사이폰 관 방식의 양변기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변 사이폰 관의 크기를 기존 대비 절반가량 줄임으로써 이를 승강시켜 주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주머니의 용량을 기존 대비 절반정도로 축소할 수 있으므로 결국 물주머니로 투입되는 세척수의 수량(水量)을 줄이는 대신 보다 많은 세척수를 보울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서 보울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고, 내구성 측면에서 종래 양변기의 가장 취약점이라 볼 수 있는 부분은 지속적으로 관절 운동하는 주름관 부위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구성이 강한 재질을 적용하였으나 특히 하위 주름관은 하강운동 시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상위 주름관에 비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를 제거함으로서 세척수가 증수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보울의 후방측에 급수유로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형의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를 수축시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물주머니와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된 채 물주머니의 신축운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보울 내의 오물을 배출되게 하는 가변식 사이폰 관과, 상기 물주머니와 가변식 사이폰 관을 연결하는 미세관으로 이루어진 가변 사이폰 방식의 오물배출 시스템을 갖춘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오물배출 시스템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를 갖되, 상기 커버 는 동일형상으로 된 제 1 반쪽 커버와 제 2 반쪽 커버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제 1 포트와, 상기 보울과 연결되는 제 2 포트와, 바닥면에 매설된 바닥관과 연결되는 제 3 포트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가변식 사이폰 관의 일단은 보울과 주름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물주머니에 내장되되, 상기 인장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의 배출구에 설치된 상위 걸이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물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브라켓에 구비되는 하위 걸이대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가 증수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이다.
양변기, 변기, 가변사이폰, 물주머니, 커버

Description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moving type soil exhaust system for water closet}
도 1은 종래 가변 사이폰 방식 양변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의 측면도로서, 작동전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의 측면도로서, 작동후 상태도
도 5는 종래 물주머니와 본 발명 물주머니의 내용량 비교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의에 있어서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변식 사이폰관 105 : 걸이부
200 : 커버 210 : 제 1 반쪽커버
220 : 제 2 반쪽커버 240 : 제 1 가스켓
242 : 제 2 가스켓 244 : 제 1 클램프
246 : 제 2 클램프 250 : 제 3 가스켓
252 : 제 2 가스켓 254 : 제 3 클램프
256 : 제 4 클램프 260 : 제 5 가스켓
262 : 제 5 클램프 300 : 물주머니
본 발명은 가변 사이폰 관 방식의 양변기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변 사이폰 관의 크기를 기존 대비 절반가량 줄임으로써 이를 승강시켜 주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주머니의 용량을 기존 대비 절반정도로 축소할 수 있으므로 결국 물주머니로 투입되는 세척수의 수량(水量)을 줄이는 대신 보다 많은 세척수를 보울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서 보울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고, 내구성 측면에서 종래 양변기의 가장 취약점이라 볼 수 있는 부분은 지속적으로 관절 운동하는 주름관 부위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구성이 강한 재질을 적용하였으나 특히 하위 주름관은 하강운동 시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상위 주름관에 비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를 제거함으로서 세척수가 증수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변기의 분뇨배출 시스템이다.
종래의 가변 사이폰 관 방식의 양변기는 특허등록 제10-479678호에서 제시된 바 있고, 본원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1)의 후방 측에 급수유로(3)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형 물주머니(5)와, 상기 물주머니(5)를 급수유로(3)와 결합 되게 하는 상위 브라켓(7)과, 상기 물주머니(5)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위 브라켓(9)과, 상기 상위 브라켓(7)과 하위 브라켓(9)의 양쪽 단부를 각각 탄력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11)과, 상기 보울(1)의 출수구(1a)에 일측 개구단(13a)이 상위 주름관(15)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 개구단(13b)은 바닥관(19)에 하위 주름관(17)에 의해 연결되며 절곡부(13c)는 상기 하위 브라켓(9)과 결합된 가변 사이폰 관(13)과, 상기 물주머니(5)와 가변 사이폰 관(13)을 연결하는 미세관(2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양변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① 종래의 양변기는 가변 사이폰 관의 길이가 길고(U자형), 바닥관에 하위 주름관에 의해 연결되어있어, 이를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력이 큰 인장 스프링의 설치가 필수적이고, 아울러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이 크기 때문에 가변 사이폰 관을 하강시킬 때 스프링체를 인장시키기 위한 물주머니의 용량도 커야 한다. 따라서, 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의 상당량이 용량이 큰 물주머니로 유입되기 때문에 보울로 투입되어야 할 수량(水量)이 그 만큼 감소할 수 밖에 없으므로, 보울의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② 종래의 양변기는 미관상 가변 사이폰 관의 승강운동을 세라믹제(도자기류)에 의해 보울의 후방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커버링 되는데, 이런 방식의 세라믹 변기제작은 생산성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제품의 원가상승을 유발하게 된다.
③ 종래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보듯이 스프링체가 양쪽에 2곳 설치되는데, 양쪽의 탄성력이 일정해야만 안정적인 가변 사이폰 관의 승강운동이 가능하다. 만약 양쪽 스프링체의 탄성력이 일정치 않거나 또는 세라믹(도자기) 제조과정에서 변기의 수조바닥이 수평이 되지 않는 등, 스프링체의 설치위치에 차이가 있다면 가변 사이폰 관이 불안정적으로 승강운동이 되면서 물주머니와 가변 사이폰 관의 양단에 설치된 상, 하위 주름관의 이상마모의 원인이 된다.
④ 종래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보듯이 가변 사이폰 관의 양쪽으로 스프링체가 외장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물주머니와 2개의 스프링체가 합쳐진 폭이 비교적 크다고 할 수 있는데, 폭이 커지게 되면 그 주위를 커버링 하는 세라믹 커버의 폭도 커지게 되므로 보울 후위를 슬림하게 설계할 수 없어서 소비자의 다양한 디자인 요구에 부응하기 어렵다.
⑤ 내구성 측면에서 종래 양변기의 가장 취약점이라 볼 수 있는 부분은 지속적으로 관절운동되는 주름관 부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구성이 강한 재질을 적용하였으나 특히 하위 주름관은 하강운동 시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상위 주름관에 비해 수명이 단축되어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변 사이폰관의 크기를 기존대비 대폭 줄임으로써 이를 들어올려주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주머니의 용량을 기존대비 절반정도로 축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결국 물주머니로 투입되는 세척수의 수량을 줄이는 대신 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를 보울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서 보울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세척수 가 증수된 가변 사이폰 방식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① 보울의 후방 측에 급수유로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형의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를 수축시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물주머니와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된 채 물주머니의 신축운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보울 내의 오물을 배출되게 하는 가변식 사이폰 관과, 상기 물주머니와 가변식 사이폰 관을 연결하는 미세관으로 이루어진 가변 사이폰 방식의 오물배출 시스템을 갖춘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오물배출 시스템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를 갖되, 상기 커버는 동일형상으로 된 제 1 반쪽 커버와 제 2 반쪽 커버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제 1 포트와, 상기 보울과 연결되는 제 2 포트와, 바닥면에 매설된 바닥관과 연결되는 제 3 포트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가변식 사이폰 관의 일단은 보울과 주름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물주머니에 내장되되, 상기 인장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의 배출구에 설치된 상위 걸이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물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브라켓에 구비되는 하위 걸이대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가 증수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변기의 분뇨배출 시스템이다.
② 상기 물주머니는 상하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이나 자바 라 타입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가 증수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변기의 분뇨배출 시스템이다.
③ 상기 가변식 사이폰 관은 직선형태로 되되, 배출구 측에는 상기 브라켓에 거치할 수 있도록 걸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가 증수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변기의 분뇨배출 시스템이다.
④ 상기 커버는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가 증수되고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변기의 분뇨배출 시스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사이폰 방식 양변기의 측면도로서, 작동전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사이폰 방식 양변기의 측면도로서, 작동 후 상태도이고, 도 5는 종래 물주머니와 본 발명 물주머니의 내용량 비교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사이폰 방식 양변기에 있어서 커버의 분해 사시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전(全)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양변기는 보울(1)의 후방측에 급수유로(3)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형의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를 인장 및 수축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인장 스프링(11)과, 상기 물주머니와 브라켓(9)을 매개로 연결된 채 물주머니의 신축운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보울(1) 내의 오물을 배출되게 하는 가변식 사이폰 관(100)과, 상기 물주머니와 가변식 사이폰 관(100)을 연결하는 미세관(21)으로 이루어진 가변 사이폰 방식의 오물배출시스 템(30)을 갖춘 양변기로 부터 기인된다.
이로 부터, 상기 가변식 사이폰관(100)은 무게 경감을 위해서 기존 대비 길이를 거의 절반 가량 짧게 구성하여 직선관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그 연결구조도 기존과 달라지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그 입구단(101)은 상기 보울(1)의 출수구(1a)에 주름관(15)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출구단(103)이 상하좌우로 가변이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또한, 상기 출구단(103)은 하기 물주머니(300)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브라켓(9)에 거치될 수 있도록 꺽음 형태의 걸이부(105)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출구단(103)은 기존과는 달리 바닥관(19)과 연결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출구단(103)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바닥관(19)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때문에 하기에서 설명될 커버(200)가 오물을 바닥관(19)으로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커버(200)는 도 6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동일형상으로 된 제 1 반쪽 커버(210)와 제 2 반쪽 커버(220)로 구성되어 이들 반쪽 커버를 상호 기밀 및 수밀이 유지되도록 조합하므로써 통체형상을 이루게 되며, 그 내부로 상기 오물배출 시스템(30)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커버(200)에는 상기 급수유로(3)의 출구(3a)와 연결되는 제 1 포트(201)와, 상기 보울(1)의 배출구(1a)와 연결되는 제 2 포트(203)와, 바닥면에 배설된 바닥관(19)의 입구측과 연결되는 제 3 포트(20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200)는 오물배출 시스템(30)의 외부를 감싸게 설치되어 오물배출 시스템을 가려주는 가림막 역할을 하게 되므로써 미관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가변식 사이폰관(100)의 출구단(103)에서 배출되는 오물이 상기 바닥관(19)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200)의 하부는 상기 오물이 바닥관(19)으로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깔대기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200)는 그 내부로 오물이 통과하는 관계로 오물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 및 수밀의 유지가 중요하다. 따라서, 제 1 반쪽 커버(210)와 제 2 반쪽 커버(220)의 대접면에는 이들 커버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플랜지부(221)를 각각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의 사이에는 기밀 및 수밀이 우수한 가스켓(230)을 개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각 포트는 기밀 및 수밀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제 1 포트(201)와 급수유로(3)의 출구(3a)와의 기밀 및 수밀유지를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급수유로(3)의 출구(3a) 외주에 하기에서 설명될 물주머니(300) 상측의 입구(301)를 끼워넣되, 급수유로(3)의 출구(3a)와 물주머니(300)의 입구(301) 사이로 냄새 및 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가스켓(240)을 개입하고, 상기 제 1 포트(201)는 상기 물주머니(300)의 입구(301) 외측으로 끼워지게 하며, 상기 급수유로(3)의 출구(3a) 외주면 상측으로는 제 2 가스켓(242)을 설치하되, 제 2 가스켓(242)의 하측에는 연장부(242a)를 두어서 이 연장부가 상기 제 1 포트(2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후 연장부(242a)의 외부에서 제 1 클램프(244)를 조여주므로써 제 1 가스켓(240)과 제 2 가스켓(242)에 의해 제 1 포트(201) 부분에서의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가스켓(242)의 외주는 제 2 클램프(246)에 의해 조여주므로써 제 1 포트(201) 부위에서는 제 1, 2 가스켓(240,242)과, 제 2 가스켓의 연장부(242a)에 의해 완벽한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포트(203)와 보울(1)의 배출구(1a)와의 기밀 및 수밀유지를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보울(1)의 배출구(1a) 외주의 일부에 제 2 포트(203)를 끼워넣되, 제 2 포트(203)와 배출구(1a) 사이로 냄새 및 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3 가스켓(250)을 개입하며, 상기 보울(1)의 배출구(1a) 다른 일부에 제 4 가스켓(252)을 설치하되, 제 4 가스켓의 일측에는 연장부(252a)를 두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 2 포트(20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 후 연장부(252a)의 외부에서 제 3 클램프(254)를 조여주므로써 제 3 가스켓(250)과 제 4 가스켓(252)에 의해 제 2 포트(203) 부분에서의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4 가스켓(252)의 외주는 제 4 클램프(256)에 의해 조여주므로써 제 2 포트(203) 부위에서는 제 3, 4 가스켓(250,252)과, 제 4 가스켓(252)의 연장부(252a)에 의해 완벽한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 포트(205)와 바닥관(19)과의 기밀 및 수밀유지를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관(19)의 입구측 내주에 상기 제 3 포트(205)를 끼워넣되, 상기 바닥관(19)과 제 3 포트(205)의 사이로 냄새 및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5 가스켓(260)을 개입하고, 상기 제 3 포트(205)의 외주에 제 5 클램 프(262)에 의해 조여주므로써 제 3 포트(205) 부위에서는 제 5 가스켓(260) 및 제 5 클램프(262)에 의해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주머니(30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상하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이나 자바라 타입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텔레스코프 타입은 안테나의 원리와 같이 큰 통체로 부터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작은 통체가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어서 절첩이 가능한 형태에 있으므로, 완전히 접혔을 때는 내용량이 작아지고 펼쳐지게 되면 내용량이 커지는 가변형 내용량 구조이다. 이때, 상기 통과 통 사이로 물이 새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통과 통의 연결부(311)에 링형 가스켓(310)이 개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인장 스프링(11)은 상기 물주머니(300)에 내장되되, 상기 인장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3)의 배출구(3a)에 설치된 상위 걸이대(11a)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물주머니(300)의 바닥면 또는 브라켓(9)에 구비된 하위 걸이대(11b)에 고정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작동 전의 상태로 부터 보울(1)내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수조(2)의 물을 배수시키게 되면 극히 소량의 물은 소용량의 물주머니(300)로 유입됨에 따라 접혀져 있던 물주머니가 유입된 물의 무게 의해 펴지면서 길이가 신장됨과 동시에 인장 스프링(11)도 물주머니(300)의 신장력에 의해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물주머니(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변식 사이폰 관(100)의 출구 단(103)은 도면상 아래방향으로 변위되며, 동시에 상기 수조(2)에서 배출되는 대부분의 물은 급수유로(3)를 따라 보울(1)의 내부로 공급되어 보울(1) 내부에 있던 오물이 배출된다.
상기 물주머니(300)의 신장력에 의해 가변식 사이폰 관(100)의 출구단(103)이 아래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 가변식 사이폰 관의 내부 관로가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므로 보울(1)내의 오물과 보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가변식 사이폰 관(100)의 출구단(103)을 통해 커버(200)의 내부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물주머니(300)에 고인 물은 수조(2)에서 배수가 중단되면 가변식 사이폰 관(100)의 내부용량이 감소하면서 미세관(21)을 통해 가변식 사이폰 관(100)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물주머니(300) 내의 물이 미세관(21)을 통해 가변식 사이폰 관(100)으로 배출됨에 따라 물주머니의 무게는 점차 감소하게 되는데, 물주머니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인장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지배되면서 물주머니가 원래대로 축소됨과 동시에 상기 가변식 사이폰 관(100)의 출구단(103)은 인장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된다. 이때, 상기 물주머니(300)의 용량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기존에 비해 작아졌으므로 기존에 비해 신속하게 상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가변식 사이폰 관(100)의 상승시기도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변식 양변기는 물주머니 내부 물량으로 보울(1)의 잔수(저수물)가 되었으나, 본 발명품은 상기 가변식 사이폰 관(100)이 기존에 비해 신속히 상승함으로서 상기 물주머니(300) 내부 잔수와 미처 배수하지 못한 보울(1) 내부 물이 보울(1)의 잔수(저수 물)로 남아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변 사이폰 관의 크기(내용량)를 기존 대비 대폭 줄임으로써 이를 들어 올려주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을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주머니의 용량을 기존대비 절반정도로 축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결국 물주머니로 투입되는 세척수의 수량을 줄이는 대신 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를 보울로 공급되게 할 수 있어서 보울의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고, 부품원가를 절감하며, 물주머니 크기의 소형화로 변기후면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 스프링이 내장형으로 되고, 한개만 설치됨으로써 인장 스프링의 인장 및 압축 시 가변 사이폰 관의 안정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하며, 부품수의 감소로 비용절감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재질을 플라스틱 소재로 함으로써 도자기에 비해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 스프링이 물주머니에 내장됨으로써 외장형으로 되었을 때와 비교하여 외부 스프링 걸이대가 없어, 폭을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커버의 슬림설계가 가능하고, 변기후면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 측면에서 종래 양변기의 가장 취약점이라 볼 수 있는 부분은 지속적으로 관절운동되는 주름관 부위라고 할 수 있고, 특히 하위 주름관(사이폰 관과 바닥 오물배출구 연결부)은 하강운동 시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상위 주름관(보울과 사이폰 관의 연결부)에 비해 수명이 단축되어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었으나, 하위 주름관을 제거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보울의 후방측에 급수유로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형의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를 수축시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물주머니와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된 채 물주머니의 신축운동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보울 내의 오물을 배출되게 하는 가변식 사이폰관과, 상기 물주머니와 가변식 사이폰관을 연결하는 미세관으로 이루어진 가변 사이폰 방식의 오물배출 시스템을 갖춘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오물배출 시스템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를 갖되, 상기 커버는 동일형상으로 된 제 1 반쪽커버와 제 2 반쪽커버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제 1 포트와, 상기 보울과 연결되는 제 2 포트와, 바닥면에 매설된 바닥관과 연결되는 제 3 포트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가변식 사이폰 관의 일단은 보울과 주름관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됨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물주머니에 내장되되, 상기 인장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의 배출구에 설치된 상위 걸이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물주머니의 바닥면 또는 브라켓에 구비되는 하위 걸이대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머니는 상하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이나 자바라 타입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사이폰 관은 직선형태로 되되, 배출구측에는 상기 브라켓에 거치할 수 있도록 걸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KR1020060089126A 2006-09-14 2006-09-14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26A KR100714959B1 (ko) 2006-09-14 2006-09-14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JP2009528182A JP2010503783A (ja) 2006-09-14 2007-09-13 可変式汚物排出システムを有する洋風便器
EP07808221A EP2066849A1 (en) 2006-09-14 2007-09-13 Water closet comprising variable soil exhaust system
US12/440,460 US8127376B2 (en) 2006-09-14 2007-09-13 Water closet comprising variable soil exhaust system
CNA2007800341076A CN101517172A (zh) 2006-09-14 2007-09-13 具有可变排污系统的抽水马桶
AU2007295231A AU2007295231A1 (en) 2006-09-14 2007-09-13 Water closet comprising variable soil exhaust system
PCT/KR2007/004430 WO2008032989A1 (en) 2006-09-14 2007-09-13 Water closet comprising variable soil exhau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126A KR100714959B1 (ko) 2006-09-14 2006-09-14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959B1 true KR100714959B1 (ko) 2007-05-04

Family

ID=3826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1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959B1 (ko) 2006-09-14 2006-09-14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27376B2 (ko)
EP (1) EP2066849A1 (ko)
JP (1) JP2010503783A (ko)
KR (1) KR100714959B1 (ko)
CN (1) CN101517172A (ko)
AU (1) AU2007295231A1 (ko)
WO (1) WO200803298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1119A (zh) * 2011-04-21 2011-11-30 乔国富 容水密封拉动操作使用容水下流带走式便器
WO2015137574A1 (ko) * 2014-03-13 2015-09-17 (주)여명테크 직수형 절수양변기
CN106168051A (zh) * 2015-10-27 2016-11-30 顾国清 座便器的水压蓄能机构
KR20210009948A (ko) * 2019-07-18 2021-01-27 현돈 하우징이 구비된 양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9968B2 (en) 2008-06-27 2016-11-22 Kohler Co. Kinetic trapway
CN102551573B (zh) * 2012-02-15 2014-03-26 何桂清 微型便携式冲洗器
CN106468073A (zh) * 2015-08-17 2017-03-01 谭贤侃 便器冲洗结构
JP2017054861A (ja) 2015-09-07 2017-03-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5649150B (zh) * 2016-03-28 2017-06-30 金陵科技学院 一种模拟人体胃肠道蠕动的公共管道除臭和疏通装置
US10036152B2 (en) * 2016-08-22 2018-07-31 Etash Kumar Guha Volume controllable toilet flush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5306003B (zh) * 2021-05-08 2025-05-02 深圳市恒致云科技有限公司 冲水机构、排水装置及卫浴设备
CN113898048A (zh) * 2021-10-26 2022-01-07 徐承文 一种家居使用马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ko)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6885A (en) * 1948-08-26 1948-12-21 James F Molloy Toilet
CA1072255A (en) * 1978-11-14 1980-02-26 Arnold Hennessy Water-conserving toilet
JP2642791B2 (ja) * 1991-03-15 1997-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水洗便器
JP3511931B2 (ja) * 1999-02-19 2004-03-29 松下電工株式会社 水洗便器装置
KR200189623Y1 (ko) * 1999-11-11 2000-07-15 이홍석 양변기의 저수 및 배출 구조.
KR100509069B1 (ko) * 2003-06-10 2005-08-18 전영세 가변식 사이폰관을 갖는 양변기
KR100425419B1 (ko) * 2003-11-07 2004-04-08 임옥화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ko)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5002255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1119A (zh) * 2011-04-21 2011-11-30 乔国富 容水密封拉动操作使用容水下流带走式便器
WO2015137574A1 (ko) * 2014-03-13 2015-09-17 (주)여명테크 직수형 절수양변기
CN106168051A (zh) * 2015-10-27 2016-11-30 顾国清 座便器的水压蓄能机构
KR20210009948A (ko) * 2019-07-18 2021-01-27 현돈 하우징이 구비된 양변기
KR102719701B1 (ko) * 2019-07-18 2024-10-18 현경범 하우징이 구비된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95231A1 (en) 2008-03-20
US20100175177A1 (en) 2010-07-15
JP2010503783A (ja) 2010-02-04
EP2066849A1 (en) 2009-06-10
WO2008032989A1 (en) 2008-03-20
CN101517172A (zh) 2009-08-26
US8127376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959B1 (ko)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WO2016124037A1 (zh) 一种洗衣机内桶的排水控制机构及洗衣机
KR100776045B1 (ko) 양변기의 분뇨배출장치
KR101131810B1 (ko)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JP5496705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ユニットバスの排水構造
KR100479678B1 (ko) 양변기의 가변 사이폰관 구동장치
CN205557775U (zh) 开关灵活的地漏用防臭止回内芯组件
KR100923770B1 (ko) 양변기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CN212001512U (zh) 多功能环保型地漏
CN205530607U (zh) 密封效果好的地漏用防臭止回内芯组件
CN205557772U (zh) 排污顺畅的地漏用防臭止回内芯组件
CN101942861B (zh) 直排式双隔气止溢地漏
CN209907514U (zh) 一种自动直冲马桶
CN209066568U (zh) 用于整体式马桶的塑料防水底座
CN207537750U (zh) 一种洗衣机的底座组件
KR200466658Y1 (ko) 화장실용 연결밸브의 구조
CN201567645U (zh) 直排式双隔气止溢地漏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100776046B1 (ko)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CN221054365U (zh) 一种阻逆芯及阻逆装置
CN212715215U (zh) 一种智能真空坐便器
CN218818503U (zh) 一种气动活塞气柱及应用气动活塞气柱的气动冲水阀
KR200388701Y1 (ko) 양변기 배수관 체결용 플랜지
CN101649647B (zh) 一种地漏和地漏橡胶逆止阀
CN208917957U (zh) 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