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4405B1 - Grappling Hand Guards - Google Patents

Grappling Hand Guar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405B1
KR100714405B1 KR1020050044637A KR20050044637A KR100714405B1 KR 100714405 B1 KR100714405 B1 KR 100714405B1 KR 1020050044637 A KR1020050044637 A KR 1020050044637A KR 20050044637 A KR20050044637 A KR 20050044637A KR 100714405 B1 KR100714405 B1 KR 10071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and
wearing
fighting
pa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22295A (en
Inventor
송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지상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지상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지상역
Priority to KR102005004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405B1/en
Priority to PCT/KR2005/004161 priority patent/WO2006068381A1/en
Publication of KR2006012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2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40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투용 손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가락 보호에 효과적인 격투용 손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가락 착용부를 가지는 착용본체와, 상기 착용본체에 형성되고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재, 손가락 착용부를 손바닥 부위 쪽으로 당기어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드로잉부재, 또는 손가락 착용부를 손바닥 부위에 부착시켜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착탈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에 의해 손가락이 손바닥에 밀착되어 손가락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는 킥복싱, 공수도, 쿵푸, 합기도 및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를 연습(훈련)하거나 경기할 때 선수의 손을 보호할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ghting hand gu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ghting hand guard effective for protecting a fing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ghting hand protector including a wearing body having a finger wearing portion and a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formed on the wearing body to hold a finger.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is for rolling a finger, which is a grip member that can be gripped with a finger, a drawing member for pulling a finger wearing part toward a palm portion, or a finger w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a detachable member that attaches a part to a palm part to roll a f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lm by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for rolling the finger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finger to the maximum.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ly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hand of a player when practicing (training) or playing a martial art such as kick boxing, karate, kung fu, aikido and taekwondo.

격투, 손, 보호대, 로프, 벨크로, 태권도 Fighting, Hand, Guard, Rope, Velcro, Taekwondo

Description

격투용 손 보호대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Fighting Hand Guards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2 is a state diagram used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를 구성하는 착용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도 1을 손등 쪽에서 바라본 평면 구성도이다. Figure 6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earing body constituting the hand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of the plan view from the back of the han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그립부재 20 : 드로잉부재10: grip member 20: drawing member

22 : 로프 24 : 고정부재22: rope 24: fixing member

30 : 착탈부재 32 : 제1벨크로 부재30: detachable member 32: first Velcro member

34 : 제2벨크로 부재 40 : 융기부재34: second Velcro member 40: raised member

200 : 착용본체 205 : 통기공200: wearing body 205: ventilator

210 : 개구부 220 : 손가락 착용부210: opening 220: finger wearing

221 : 고리 224 : 부착부재221 ring 224 attachment member

225 : 로프 삽입공 230 : 손바닥 노출부225: rope insertion hole 230: palm exposed portion

235 : 마감부 240 : 조임밴드235: finish portion 240: tightening band

250 : 체결수단 300 : 보호커버250: fastening means 300: protective cover

320 : 손등 보호커버 340 : 손날 보호커버320: hand back protection cover 340: hand protection cover

360 : 손목 보호커버 381 : 검지 보호커버360: wrist protective cover 381: index protective cover

382 : 중지 보호커버 383 : 약지 보호커버382: stop protective cover 383: ring finger protective cover

384 : 새끼 보호커버 385 : 엄지 보호커버384: child protection cover 385: thumb protection cover

S1, S2 : 재봉선S1, S2: seam

본 발명은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를 연습(훈련)하거나 실제 경기를 할 때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가락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격투용 손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ghting hand guard worn to protect the hand when practicing (training) a martial art such as taekwondo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a fighting hand guard for effectively preventing an injury of a finger. .

킥복싱, 공수도, 쿵푸, 유도, 합기도 그리고 태권도 등과 같은 격투기는 손기술과 발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이다. 특히 손기술은 발기술보다 움직임이 자유롭고 빨라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방어하기에 유리하다.Martial arts, such as kick boxing, karate, kung fu, judo, aikido and taekwondo, are intensive exercises of hand and foot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hand technique is more free and faster than the foot technique, it is advantageous to attack or defend the opponent.

위와 같은 태권도를 포함한 격투 운동은, 몸에는 도복이나 보호 장비를 착용 하나, 손과 발에는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고 맨손과 맨발 상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손의 경우에는 손가락 등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인 맨손으로 연습 및 경기에 임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맨손의 경우 손의 움직임은 자유로울 수 있으나, 많은 부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Fighting sports including taekwondo as described above are generally worn in bare hands and bare feet with nothing but hands and feet on the bod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and, it is common to practice and play with bare hands in which the movement of fingers and the like is free. However, in the case of the bare hand, the movement of the hand can be free, there is a problem causing a lot of injuries.

일반적으로, 손은 공격보다는 방어를 주로 많이 하게 되는 데, 특히 상대방의 발차기 공격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손목이나 손가락이 삐거나 타박상을 입는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부상은 선수의 연습량이 많은 큰 대회를 앞두고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정작 실제 대회에서는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거나 아예 출전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In general, the hands are mainly defending rather than attacking, and in particular, injuries such as sprained or bruised wrists or fingers in the process of defending the opponent's kicking attack frequently occur. Most of these injuries occur in front of large competitions where a lot of athletes are trained. Therefore, they do not show enough skills in the actual competitions or give up their participation at all.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8065호(2004년 8월 5일 등록공고)는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손 보호장갑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용신안에서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관통하여 착용되어지되, 손가락의 끝마디와 손바닥은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손등 부위, 정권 부위 및 손날 부위에는 보호부를 덧대어 구성한 손 보호장갑을 제시하였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58065 (registration notification of Aug. 5, 2004) proposed hand protection gloves worn to protect hands. Specifically, in the utility model, five fingers are respectively penetrated and worn separately, so that the tips and palms of the finger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hand protection gloves formed by applying a protective part to the back part of the hand, the regime part and the blade part of the hand. Presented.

상기 실용신안에 제시된 손 보호장갑은 손가락 끝마디와 손바닥이 외부로 노출되고, 다섯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손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맨손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다. The hand protection glove proposed in the utility mode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ngertips and palms, five fingers can be moved individually so that the movement of the hand is free and can feel like bare hands.

그러나 실제 경기 중 선수들은 자신의 손을 의식하지 못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실용신안에 제시된 손 보호장갑은 손가락의 부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owever, the players during the actual game is not aware of their hands, this time pointed out the problem that the hand protection gloves proposed in the utility model can not completely prevent the injury of the finger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태권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대련에 임하는 선수에게는 가능한 한 손가락을 손바닥에 최대한 밀착시켜야 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즉, 주먹을 가볍게 말아 쥔 상태로 경기에 임하는 것이 손가락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자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선수들은 경기 도중 상대방을 어떻게 공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상대방의 움직임에만 모든 주위를 기울일 뿐, 정작 자신의 손을 의식하지 못하고 손가락을 편 상태로 경기에 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을 편 상태로 경기에 임하는 경우 주먹을 쥔 상태보다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상대방의 공격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을 삐거나 타박상을 입는 등의 부상 정도가 심하다. 실제적으로, 태권도를 훈련시키는 과정에서 선수들로 하여금 손가락을 말아 쥐게끔 교육되고 있으나, 선수들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며, 특히 실제 경기에 임하게 되면 전술한 이유로 손가락을 펴게 된다. 손가락의 부상은 다른 어느 부위의 부상보다 선수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준다. Using Taekwondo as an example, a player in Dalian requires a position where the finger should be as close to the palm as possible. In other words, it is a preferable posture to play the game while holding the fist lightly to prevent injury of the finger as much as possible. In practice, however, players are only concerned about how they attack their opponents during the game and only pay attention to their opponent's movements. As such, when the player is in a state where the finger is open, the injury is more severe, such as pinching a finger or getting a bruise in the process of attacking the opponent or defending the opponent's attack, rather than holding the fist. In practice, while training taekwondo, players are trained to roll their fingers, but the players do not respond to this, especially when they are actually playing the game, they will stretch their fingers for the reasons mentioned above. Finger injuries are more lethal to the athlete than any other injur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손의 부상 특히 손가락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격투용 손 보호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fighting hand protector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 hand injury, in particular a finger inju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격투용 손 보호대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 guard for fighting,

손가락 착용부를 가지는 착용본체와, 상기 착용본체에 형성되고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격투용 손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선수들로 하여금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한다. Provides a fighting hand guard comprising a wear body having a finger wearing portion, and a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formed on the wear body to roll a finger.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can allow players to roll their finger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는 손이 끼워지는 착용본체와, 이 착용본체에 형성된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를 갖는다. 이때, 상기 착용본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 착용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도록 다섯 개의 손가락 착용부를 가지면서, 손바닥 부위는 통기성을 갖도록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갖는다. More specifically,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ar body to which the hand is fitted, and a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formed on the wear body. In this case, the wearing body has at least two or more finger wearing parts. Preferably, the five fingers wear portions so that each of the five fingers are individually fitted, while the palm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be breathable.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 착용부를 손바닥 부위 쪽으로 당기어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드로잉(drawing)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드로잉부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그 일측은 손가락 착용부의 말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손목 부위에 결합되는 로프(rope)로 구성되며, 상기 로프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drawing member which pulls the finger wearing portion toward the palm portion to roll the finger. The draw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wear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composed of a rope (rope) is coupled to the wrist portion, the rope preferably has elasticity.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라서,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 착용부를 손바닥 부위에 부착시켜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착탈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착탈부재는 손가락 착용부의 말단부에 부착된 제1벨크로 부재와, 상기 제1벨크로 부재에 자유롭게 탈/부착되며 착용본체의 손바닥 부위에 부착된 제2벨크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is configured as a detachable member for attaching a finger wearing portion to a palm portion to roll a finger. At this time, the detachable memb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rst Velcro member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wearing portion, and a second Velcro member attached to the palm portion of the wearing body freely attached / detached to the first Velcro member.

또한,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다섯 개의 손가락 중 적어도 새끼손가락 과 약지손가락을 말아 쥐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In addition,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may be one capable of rolling at least the litt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of the five finger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가 선수의 손가락을 강제적으로 말아 손바닥 쪽에 밀착시켜 손가락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forcibly rolls the finger of the athlete to closely contact the palm sid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jury of the fing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provid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합'은 구성요소 상호간이 접착제, 열융착, 또는 재봉(sewing)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첨부된 도면에서의 점선은 구성요소 상호간이 재봉(sewing)에 의해 결합된 모습으로서, 이는 재봉선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선수'는 본 발명의 손 보호대를 착용하는 자로서, 연습(훈련)자, 실제 경기에 임하는 자, 그리고 공인된 선수 및 비공인된 선수를 포함한다. The term 'bond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ethod such as adhesive, heat fusion, or sewing. Dotted line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the component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ewing, which represents a sewing line. In addition, the term 'athlete'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person wearing the hand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actice (trainer), the actual player, and a certified athlete and an unapproved athle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를 구성하는 착용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도 1에 도시한 손 보호대를 손등 쪽에서 바라본 평면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In addition, Figure 6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earing body constituting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the hand guard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는 손가락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수 단으로서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서 그립부재(10, 도 1 참조), 드로잉부재(20, 도 1참조) 및 착탈부재(30, 도 4 참조)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as a means for effectively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fing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is to roll a finger, which is a grip member (10, Fig. 1), the drawing member (20, Fig. 1) and the removable member 30, Fig. 4).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는 손이 끼워지는 착용본체(200)와, 이 착용본체(200)에 형성된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body 200 into which a hand is fitted, and a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formed on the wearing body 200.

상기 착용본체(200)는 손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이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적인 장갑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장갑은 벙어리장갑 및 손가락장갑을 포함한다. 이러한, 착용본체(200)는 손가락을 감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손가락 착용부(220)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전체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다섯 개의 손가락 착용부(220)를 갖는 온장갑의 형태가 좋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 착용부(220)에는 인위적으로 천공된 다수의 통기공(205)을 가질 수 있다. The wearing body 2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 hand can be fitted, for example, it may have a conventional glove form. Here, the gloves include mittens and finger gloves. This, the wearing body 200 has a finger wearing part 220 to surround the fingers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1, the shape of the warm gloves having five finger wearing portion 220 to which the thumb,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are individually fit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entire finger is free. . In addition, the finger wearing unit 220 may have a plurality of artificially perforated holes 205.

또한, 상기 착용본체(200)는 손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도록 탄력성을 갖는 것이면 좋다. 예를 들어 탄력성의 직물 또는 부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판덱스(Spandex) 등과 같이 탄력성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여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직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용본체(200)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가공한 부직물에 탄력성을 부여한 것이거나, 일반적인 손가락장갑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본체(200)는 탄력성의 직물 또는 부직물이 한 겹으로 이루어거나, 또는 2겹 이상으로 적층된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착용본체(200)는 땀을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성이 높은 재질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흡수성과 함께 통기성이 높은 재질이 좋다. In addition, the wearing body 200 may have elasticity so as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hand.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resilient 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and may be constructed by weaving to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 using a resilient fiber such as spandex. In addition, the wear main body 200 may be provided with elasticity to the nonwoven fabric processed to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 or a general finger glove may be used. The wear body 200 includes a resilient woven fabric or nonwoven fabric made of on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In addition, the wearing body 200 is preferably a high absorbent material to absorb sweat well, more preferably a high breathable material with absorbency.

상기 착용본체(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성을 갖도록 그 손바닥 부위에는 손바닥이 노출되는 손바닥 노출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바닥 노출부(230)의 테두리가 찢어지거나 풀어지지 않도록 상기 테두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23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부(235)는 신축성의 천 등을 덧대어 결합하거나 오버로크(over-lock)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earing body 20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alm exposed portion 230 through which the palm is exposed in the palm portion so as to have breathabilit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ing portion 235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alm exposed portion 230 so as not to be torn or released. The finish portion 235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stretchable cloth or the like or by over-locking.

또한, 위와 같이 손바닥 노출부(230)가 형성된 경우, 착용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에는 신축성의 조임밴드(24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밴드(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의 폭 방향으로 하여 손바닥 노출부(230)의 테두리, 즉 마감부(235)에 그 양 말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밴드(240)는 착용본체(200)를 손바닥의 폭 방향으로 수축시켜 손과 착용본체(200)를 양호하게 밀착시킨다. 손과 착용본체(200)는 손바닥 노출부(230)로 인하여 그 밀착성이 감소할 수 있는 데, 상기 조임밴드(240)는 이를 보충한다. In addition, when the palm exposed portion 23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tightening band 240 is coupled to the palm portion of the wearing body 200. As shown in FIG. 1, both ends of the tightening band 240 may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palm exposed portion 230, that is, the finish portion 235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lm. The tightening band 240 shrinks the wearing body 2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lm so that the hand and the wearing body 2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hand and the wearing body 200 may decrease the adhesion due to the palm exposed portion 230, the tightening band 240 supplements it.

아울러, 상기 착용본체(200)는 그 손목 부위가 손목에 양호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그 손목 부위에는 별도의 탄성체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 로, 손목 부위의 말단에 신축성의 탄성밴드를 결합하거나, 또는 손목 부위의 말단을 접어서 여기에 형성된 공간에 1개 이상의 고무줄을 삽입한 다음 재봉(sewing)하여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ing body 200 is preferably a separate elastic body is coupled to the wrist portion so that the wrist portion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wrist. Specifically, the elastic elastic band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wrist portion, or one or more rubber bands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folding the end of the wrist portion and then sewing.

또한, 상기 착용본체(200)의 손목 부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착탈(着脫)이 가능한 체결수단(25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목 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 노출부(230)에서부터 연장하여 개봉되어 있는 것이 좋다. 즉, 개구부(210)가 자유롭게 벌어지도록 손목 부위는 개봉부(215)를 갖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이 손목 부위가 손바닥 노출부(230)에서부터 연장된 개봉부(215)를 가지면서 체결수단(250)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개봉부(215)에 의해 손의 출입이 자유로우며, 체결수단(250)의 체결에 의해 손목 부위는 손목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상기 체결수단(250)으로는 재접착 테이프, 또는 후크-루프 시스템(Hook & Loop System, 고리와 고리를 연결시키는 구조)이 적용되거나, 통상적으로 '칙칙이'라고 불리는 벨크로(Velcro)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력도 우수하고 착탈(着脫)이 간편한 벨크로(Velcro)가 좋다. 도면에서는 체결수단(250)으로서 벨크로(Velcro)를 예시하였다. In addition, the wrist portion of the wearing body 20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means 250 that can be freely attached (着 脫)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wrist portion is preferably opened extending from the palm exposed portion 23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rist portion may have an opening portion 215 so that the opening portion 210 may be freely open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astening means 250 is coupled while the wrist part has the opening part 215 extending from the palm exposed part 230, the hand is freely moved by the opening part 215 and the fastening means 250. By fastening the wrist part is firmly adhered to the wrist. The fastening means 250 may be a re-adhesive tape or a hook-and-loop system (structure that connects the loop and the loop), or Velcro,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dummy', may be applied. . Preferably Velcro is also excellent in the bonding force and easy to remove (着 脫). In the figure, Velcro is illustrated as the fastening means 250.

위와 같은 착용본체(200)에는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착용부(220)를 손바닥 부위 쪽으로 당기어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드로잉부재(20)로 구성된다. The wearing body 200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to roll the fing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is configured as a drawing member 20 which pulls the finger wearing part 220 toward the palm portion to roll the finger as shown in FIG. 1.

상기 드로잉부재(20)는, 그 일측은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손목 부위 근방에 결합되는 로프(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로프(22)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부재(20)는 위와 같은 로프(22)와, 이 로프(22)의 말단에 결합되어 손목 부위에 자유롭게 착탈(着脫)이 가능한 고정부재(24)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착용본체(200)의 손목 부위에는 상기 고정부재(24)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고정부재(24)가 자유롭게 착탈(着脫)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부착부재(224, 도 2 참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4)와 부착부재(224)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벨크로(Velcro)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drawing member 20, one side thereof may be composed of a rope 22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wearing portion 22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vicinity of the wrist region, the rope 22 is elastic good.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1, the drawing member 20 is coupled to the rope 22 and the end of the rope 22, the fixing member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rist portion (wearing) ( 24) is preferably composed. At this time, the wrist portion of the wearing body 200, which corresponds to the fixing member 24, the fixing member 24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member (224, see FIG. 2) to be detachably attached (着 脫) is formed do. As the fixing member 24 and the attachment member 224, Velcro as shown may be usefully used.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부재(20)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부를 당기어 이를 손바닥 부위 쪽으로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선수의 손가락은 손바닥 쪽으로 말아져 주먹을 쥔 상태가 되어 손가락의 부상이 최대한 방지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22)는 손목 부위에 1회 이상 감겨질 수 있으며, 그 말단에 결합된 고정부재(24)가 손목 부위에 형성된 부착부재(224)에 부착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본체(200)에는 로프(22)가 끼워지는 로프 삽입공(2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프 삽입공(2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 부위는 물론 손목 부위에도 형성시켜 로프(2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게 한다. Figure 2 shows a state diagram of use of FIG. As shown in FIG. 2, the drawing member 20 pulls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nger wearing part 220 and closes it toward the palm portion. Accordingly, the player's finger is rolled toward the palm of the hand and the fist is in a state where the injury of the finger is prevented to the maximum.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rope 22 may be wound more than once on the wrist portion, the fixing member 24 coupled to the end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member 224 formed on the wrist por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wearing body 20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rope insertion hole 225 to which the rope 22 is fitted. The rope insertion hole 225 is formed in the palm portion as well as the wrist portion as shown to prevent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rope 22, and can be aligned.

또한, 상기 드로잉부재(20)는 다섯 개의 손가락 모두를 손바닥 부위 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엄지를 제외한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을 당기어 이들 네 개의 손가락을 손바닥 부위 쪽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가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손가락 중 적어도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은 손바닥 쪽으로 당겨지도록 적어도 새끼와 약지 두개의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부에는 로프(22)를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엄지, 검지 및 중지손가락은 자유롭게 펴짐이 가능하게 하고,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은 손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선수는 경기 도중 넘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위와 같이 엄지, 검지 및 중지손가락을 펴짐이 가능하게 하는 경우 이들 손가락(엄지, 검지 및 중지)을 편 상태로 바닥을 짚을 수 있어 선수의 안정감 있는 착지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위와 같이 새끼와 약지 두개의 손가락을 당겨지도록 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끼와 약지 두개의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부에 고리(221)를 결합시키고, 상기 고리(221)에 로프(22)를 걸어서 당겨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awing member 20 may be a structur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ll five fingers toward the palm portion, but preferably, by pulling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except the thumb to the palm portion It is good to be able to stick to the side.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rope 22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at least two finger wearing parts 220 of the pinky and the ring finger so that at least the litt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of the five fingers are pulled toward the palm of the hand.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hat is, the thumb, forefinger and middle finger are freely open, and the litt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is preferably a structur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l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player may fall during the game, and if the thumb, index and middle finger are allowed to be unfolded as shown above, the player may lay the floor with their fingers (thumb, index and middle finger) extended. This is because a landing with a sense of stability can be achiev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two fingers are pulled and the ring finger as described above, the ring and the ring 221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and the finger ring 220 two fingers and ring finger, the ring The rope 22 may be hooked on the 221 to be pulled ou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는,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로서 그립(grip)부재(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10)는 손가락으로 감싸 안아 파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착용본체(200)에 결합되어지되, 가능한 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손가락 쪽으로 치우치게 결합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부재(10)는 착용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와 손가락 부위의 경계선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hand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grip member (10) as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The grip member 10 is to be wrapped and held by a finger to be gripped, which is coupled to the wearing body 200, but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finger sid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finger as much as possible. Specifically, the grip member 1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alm portion and the finger portion of the wearing body 200 is coupled.

상기 그립부재(10)는 가능한 한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 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탄력성과 함께 고흡수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그립부재(1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발포체, 섬유체, 천연고무 또는 인조고무로서의 연질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 직물 등의 외피와, 이 외피에의 내부에 내장된 합성수지 발포체, 섬유체 등의 내장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rip member 1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as soft and flexible as possible, preferably having high absorbency with elasticity. The grip member 1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oam, a fiber, a soft body such as natural rubber or artificial rubber.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from the outer shell of cloth, textiles, etc., and the lining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foam and a fiber body which were embedded in the outer shell.

또한, 상기 그립부재(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이에 대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파지가 자유로운 봉 형상이 좋다. 아울러, 상기 그립부재(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바닥 쪽에 근접한 손가락 부위에 위치되어지되, 각 손가락 착용부(220)마다 분할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 착용부(220)에 각각 1개씩 총4개가 결합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착용본체(200)가 2겹으로 구성된 경우, 그 사이에 개재시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grip member 10 is not limited if it is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gripped by hand,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s 1 and 2 having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palm free to grip The rod shape is goo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grip member 10 may be located at a finger portion proximate to the palm side, and may be coupled in a divided structure for each finger wearing part 220. In FIG. 3, the index,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y wearing part 220 each illustrated a total of four combined. And the grip member 10 is preferably a structure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when the wearing body 200 is composed of two layers, it is preferable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intervening therebetween.

위와 같은 그립부재(10)는 선수들로 하여금 손가락을 말아 주먹을 쥐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수들이 본 발명의 손 보호대를 착용하게 되면, 그 손바닥 부위에 그립부재(10)가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간에 손가락으로 그립부재(10)를 감싸 안아 주먹을 쥐게 된다. 이에 따라, 손은 주먹을 가볍게 쥔 상태가 되며 손가락은 손바닥에 최대한 밀착된다. 또한, 위와 같이 손가락을 말아 쥘 때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 는 데, 이때 상기 빈 공간에는 그립부재(10)로 꽉 채워져 있음에 따라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샌드백 등을 타격하는 경우에 손가락의 밀림이 방지되어 손가락의 부상이 방지된다. 또한, 주먹 안에는 그립부재(10)로 꽉 채워져 있음에 따라 연습(훈련) 과정에서 선수의 펀치 파워를 향상시킬 수 있고, 주먹을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선수들은 부상에 대한 염려가 없고 주먹 안이 꽉 채워진 느낌을 받게 되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는다. The grip member 10 as described above induces the players to clench their fingers by rolling a finger. Specifically, when the athletes wear the hand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member 10 is located in the palm of the hand, whether the conscious or unconscious, wrapped the grip member 10 with a finger to hold the fist Will be held. Accordingly, the hand is in a state of lightly holding the fist and the finger is as close to the palm as possible. In addition, an empty space is inevitably formed between the finger and the palm when the finger is rolled as above, in which case the empty space is filled with the grip member 10 so as to attack the opponent or hit the punching bag or the like. Fingers ar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ack to prevent injuries to the fingers. In addition, as the fist is filled with the grip member 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unch power of the athlete during the practice (train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fist correctly. The players feel psychologically stable because they feel no injury and feel full of fists.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 착용부(220)를 손바닥 부위에 부착시켜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착탈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착탈부재(30)는 부착(付着)과 탈리(脫離)가 자유롭게 가능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벨크로(Velcro)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부재(30)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부에 결합된 제1벨크로 부재(32)와, 상기 제1벨크로 부재(32)에 자유롭게 탈/부착되며 착용본체(200)의 손바닥 부위에 결합된 제2벨크로 부재(34)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is configured as a detachable member 30 which attaches the finger wearing portion 220 to the palm portion to roll the finger. The detachable member 30 is freely attachable and detachable, and is preferably made of Velcro. Specifically, the detachable member 30 is the first Velcro member 32 and the first Velcro member 32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wearing portion 220, the first Velcro member 32 is freely attached / detached to the wearing body 200 It consists of a second Velcro member 34 coupled to the palm.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벨크로 부재(32)와 제2벨크로 부재(34)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벨크로 부재(34)의 하부에는 제2벨크로 부재(34)를 상부로 융기시키는 융기부재(4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융기부재(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본체(200)가 2겹으로 구성된 경우, 그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second Velcro member 34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Velcro member 34 to facilitate attachment of the first Velcro member 32 and the second Velcro member 34. It is preferable that the ridge member 40 to be raised upward is coupled. As shown in FIG. 5, the raised member 40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wearing body 200 is composed of two layers.

상기 융기부재(40)는 가능한 한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탄력성과 함께 고흡수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그립부 재(4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발포체, 섬유체, 천연고무 또는 인조고무로서의 연질체, 그리고 천이나 헝겊을 시트 상으로 가공한 것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ridge member 4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as soft and flexible as possible, and preferably has high absorbency with elasticity. The grip member 4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foam, a fiber, a soft body as a natural rubber or an artificial rubber, and a cloth or cloth processed into a sheet.

또한, 상기 착탈부재(30)는 상기 드로잉부재(20)를 설명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손가락 중 적어도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은 손바닥 쪽에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벨크로 부재(32)를 적어도 새끼와 약지 두개의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부에는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achable member 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the litt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of five fingers are attached to the palm side as described with the drawing member 20. That is, the first Velcro member 32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t least a distal end of the two finger wearing parts 220 of the baby and the ring finger.

한편, 상기 착용본체(200)에는 그 표면에 보호커버(3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손등 부위, 손날 부위 및 손목 부위에는 각 부위에 대응하는 손등 보호커버(320), 손날 보호커버(340) 및 손목 보호커버(36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등 보호커버(320)는 손의 접힘이 편하도록 제1 손등 보호커버(321)와 제2 손등 보호커버(322)로 나누어져 분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손가락 부위에도 이에 대응하는 손가락 보호커버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에 대응하는 엄지 보호커버(385)는 별도로 분리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에 대응하는 검지 보호커버(381), 중지 보호커버(382), 약지 보호커버(383) 및 새끼 보호커버(384)는 제1 손등 보호커버(321)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구조로 결합되어지되, 그 사이에는 접힘이 자유롭도록 재봉선(S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아울러, 제2 손등 보호커버(322)는 손목 보호커버(360)와 일체로 연장된 구조로 부착되어지되, 그 사이에는 재봉선(S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검지 보호커버(381), 중지 보호커버(382), 약지 보호커버(383) 및 새끼 보호커버(384)와는 분리된 구조로서 각 손가락의 끝마디를 보호하는 검지 말단보호커버(381-1), 중지 말단보호커버(382-1), 약지 말단보호커버(383-1) 및 새끼 보호커버(384-1)가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earing body 200 is preferably a protective cover 300 is coupled to its surfac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6, at least the back of the hand, the blade portion and the wrist portion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320, the blade protection cover 340 and the wrist protection cover 360 corresponding to each portion is It is good to be combin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back of the hand protection cover 320 is preferably divided into a first hand back protection cover 321 and a second hand back protection cover 322 to be easily folded. In addition, the finger protective cover corresponding to the finger portion is preferably coupl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thumb protective cover 385 corresponding to the thumb is preferably combined in a separate structure, the index protective cover 381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ie, middle finger Protective cover 382, ring finger protective cover 383 and cub protective cover 384 is coupled in a structure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first back of the protective cover 321, between the seam (S1) to be folded freely between It is good that this is 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back of the protective cover 322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wrist protective cover 360, it is preferred that the sewing line (S2) is form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detection end cover 381 which protects the tip of each finger as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detection protective cover 381, the stop protective cover 382, the ring finger protective cover 383 and the baby protective cover 384. ), Stop terminal protective cover (382-1), ring finger end protective cover (383-1) and cub protective cover (384-1) can be combined.

위와 같은 보호커버(300)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이나, 천 그리고 합성수지제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벼우면서도 약간의 쿠션(cushion) 기능을 가지는 합성수지제 시트가 사용된다. 아울러, 보호커버(300)는 가죽, 천 및 합성수지제 시트가 단독 또는 2이상이 혼합 사용되어, 한 겹 또는 2겹 이상으로 된 것을 포함한다. 이때, 보호커버(300)를 착용본체(200)에 부착함에 있어서 보호커버(300)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테두리 부분을 재봉 결합하여 착용본체(200)의 탄력성이 저하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호커버(300)에는 통기성을 갖도록 군데군데 통기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cover 300, such as natural or artificial leather, cloth and synthetic resin sheet may be used, preferably a synthetic resin sheet having a light but slight cushion (cushion) function.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300 includes a leather, cloth, and synthetic resin sheets a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ne or two or more layers. At this time, in attaching the protective cover 300 to the wearing main body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ity of the wearing main body 200 is not deteriorated by sewing the edges except for the central area of the protective cover 300. FIG.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300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vent holes (not shown) to have ventilation.

또한, 위와 같은 보호커버(300)와 착용본체(200)의 사이에는 큰 충격에도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재(도시하지 않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ushioning material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300 and the wearing body 200 as described above so as to protect the hand even in a large impact.

상기 완충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큰 충격에도 강하고 가벼우면서도 충격 흡수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재는 솜, 부드러운 천, 압축 스펀지, 솜을 압축한 시트, 또는 천을 잘게 절단하여 시트 상으로 가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absorb shocks,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trong and light shock absorbing material having a great impact. For example, the cushioning material may be cotton, a soft cloth, a compressed sponge, a sheet compressed cotton, or a finely cut fabric and processed into a sheet.

본 발명에 따른 손 보호대는 킥복싱, 공수도, 쿵푸, 합기도 및 태권도 등의 격투기를 연습(훈련)하거나 경기를 할 때 선수의 손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태권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Hand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athlete's hand when practicing (training) or playing martial arts, such as kick boxing, karate, kung fu, aikido and taekwondo, and especially useful for taekwondo.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선수들이 연습(훈련) 및 경기 도중 주먹을 쥐게끔 한다. 이에 따라, 손가락이 손바닥에 밀착되어 손가락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for rolling the fingers to allow the players to clench the fist during practice (training) and competition. Accordingly,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lm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jury of the finger to the maximum.

아울러, 손가락 착용부(220)를 가지는 착용본체(200)에 의해 손 전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함은 물론 이는 특히 태권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태권도의 경우에는 경기 규칙 상 상대방의 도복을 잡을 수 없도록 되어 있는 데, 착용본체(200)가 손가락 전체를 감싸도록 온장갑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선수들은 상대방의 도복을 잡기가 불편하여 경기 규칙에 부합되는 경기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well as effectively protecting the entire hand by the wearing body 200 having a finger wearing part 220, it can be particularly useful for taekwondo. That is, in the case of Taekwondo, it is not possible to catch the opponent's uniform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game.If the wearing body 20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warm gloves so as to cover the entire finger, the athletes are inconvenient to catch the uniform of the opponent. Play a match that matches the rules.

Claims (9)

격투용 손 보호대에 있어서, In fighting hand guards, 손가락 착용부(220)를 가지는 착용본체(200)와, 상기 착용본체(200)에 형성되고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Fighting hand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aring body 200 having a finger wearing part 220 and a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formed on the wearing body 200 to roll the fing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 착용부(220)를 손바닥 부위 쪽으로 당기어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드로잉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The fighting hand prot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injury preventing member comprises a drawing member 20 which pulls the finger wearing part 220 toward the palm of the hand to roll the fing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부재(20)는 로프(22)와, 이 로프(22)의 말단에 결합된 고정부재(24)로 구성되고, 상기 착용본체(200)의 손목 부위에는 상기 고정부재(24)가 부착되는 부착부재(2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awing member 20 is composed of a rope 22, and a fixing member 24 coupled to the end of the rope 22, the fixing portion to the wrist portion of the wearing body 200 Fighting hand gu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 24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member 224 is form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본체(200)는 손가락으로 감싸 안아 파지할 수 있 는 그립부재(1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2, The wearing body 200 is a hand guard for f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 member 10 is further formed to be wrapped around the finger gr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으로 감싸 안아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재(10)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부재(10)는 각 손가락 착용부(220)마다 분할된 구조로서 검지,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 착용부(220)에 각각 1개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is composed of a grip member 10 that can be wrapped and gripped with a finger, the grip member 10 is divided into each finger wearing portion 220, the index finger, Fighting hand guard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ne of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ie wearing part 2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부상 방지부재는 손가락 착용부(220)를 손바닥 부위에 부착시켜 손가락을 말아 쥐게 하는 착탈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injury prevention member attaches the finger wearing part 220 to the palm portion, the fighting hand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etachable member (30) to roll the fing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30)는 손가락 착용부(220)의 말단부에 결합된 제1벨크로 부재(32)와, 상기 제1벨크로 부재(32)에 자유롭게 탈/부착되며 착용본체(32)의 손바닥 부위에 결합된 제2벨크로 부재(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According to claim 6, The detachable member 30 is the first Velcro member 32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wearing portion 220 and the first Velcro member 32 is freely attached / detached to the wearing body ( 32) A hand guard for f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Velcro member (34) coupled to the palm of the han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벨크로 부재(34)의 하부에는 제2벨크로 부재(34)를 상부로 융기시키는 융기부재(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8. A fighting hand guard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lcro member (34) is coupled to a raised member (40) for raising the second Velcro member (34) upward.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본체(200)는 다섯 개의 손가락이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는 다섯 개의 손가락 착용부(2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용 손 보호대. The hand guard for fight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wearing body has five finger wearing parts 220 to which five fingers are individually inserted.
KR1020050044637A 2004-12-24 2005-05-26 Grappling Hand Guards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637A KR100714405B1 (en) 2005-05-26 2005-05-26 Grappling Hand Guards
PCT/KR2005/004161 WO2006068381A1 (en) 2004-12-24 2005-12-06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637A KR100714405B1 (en) 2005-05-26 2005-05-26 Grappling Hand Guar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95A KR20060122295A (en) 2006-11-30
KR100714405B1 true KR100714405B1 (en) 2007-05-08

Family

ID=3770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6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405B1 (en) 2004-12-24 2005-05-26 Grappling Hand Guar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4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3832A (en) * 2021-12-16 2023-06-21 Boxraw Ltd Boxing Gl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95A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01804A1 (en) Mixed martial arts equipment
US5781928A (en) Multi-purpose hand protector
US5926847A (en) Golf practice glove
US3255462A (en) Golf glove
US5608912A (en) Athletic support glove and strap
US6880269B2 (en) Athletic clothing with sting reduction padding
US5987642A (en) Protective batting glove
US9101170B2 (en) Protective glove liner for use in athletics
US20090113592A1 (en) Shock absorber for sports
US20080104737A1 (en) Protective Article
US7877820B2 (en) Artificial disc
JPS60122584A (en) Protecting apparatus for baseball
US6691315B1 (en) Protective glove for boxers
US5082291A (en) Projectile and target game apparatus
JP2007528233A (en) Martial art foot protection
JP2011518593A (en) Protective equipment
US20010047531A1 (en) Forearm guard
KR20220064800A (en) base running gloves for baseball
US20030106131A1 (en) Hockey glove having an improved inner compartment
US20050268365A1 (en) Baseball catcher's protective sleeve
KR100714405B1 (en) Grappling Hand Guards
KR100495613B1 (en) Hand protection device for fighting games
KR200414510Y1 (en) Grappling Footguards
KR200407674Y1 (en) Grappling Hand Guards
KR100480974B1 (en) Foot protection device for a f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6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