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3832B1 -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 Google Patents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832B1
KR100713832B1 KR1020060012173A KR20060012173A KR100713832B1 KR 100713832 B1 KR100713832 B1 KR 100713832B1 KR 1020060012173 A KR1020060012173 A KR 1020060012173A KR 20060012173 A KR20060012173 A KR 20060012173A KR 100713832 B1 KR100713832 B1 KR 10071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lining
wearer
width
t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박
Original Assignee
김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박 filed Critical 김박
Priority to KR102006001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832B1/ko
Priority to KR2020060003686U priority patent/KR200415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름다운 인체 곡선이 표현될 수 있도록 안감의 패턴을 부위별로 겉감과 다르게 형성하여, 이 안감이 착용자의 하복부와 허벅지 상부를 압박하여 하복부의 돌출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엉덩이를 밀어올려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의 구성은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부 정면 중앙에 지퍼 또는 단추 등으로 개폐되는 개폐부를 갖는 바지 본체;
신축성 있는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지 본체 착용자의 하복부에서부터 허벅지까지의 신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바지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그 상단부 둘레 및 양외측 길이방향은 바지 본체에 일체로 봉제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여 하복부가 나오는 것을 억제하고 엉덩이 하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여 엉덩이를 밀어 올림으로써 처지는 것을 억제하는 안감;을 포함한다.
바지, 안감, 기능성, 체형보정

Description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Ttousers having functional li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반쪽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감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내부를 보인 정면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내부를 보인 측면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내부를 보인 배면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에 망사부가 형성됨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지 2 : 바지 본체
3 : 안감 3a : 복부 압박부재
3b :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 3c : 후방 외측 압박부재
3d : 후방 내측 압박부재 4 : 보조 압박부재
5 : 망사부
본 발명은 아름다운 인체 곡선이 표현될 수 있도록 안감의 패턴을 부위별로 겉감과 다르게 형성하여, 이 안감이 착용자의 하복부와 허벅지 상부를 압박하여 하복부의 돌출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엉덩이를 밀어올려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서구화와 운동 부족 등으로 우리 나라 성인들의 체형은 갈수록 비만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아랫배가 나오고 엉덩이가 처지는 등 외형이 점차 비정상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체형은 여성의 경우 몸에 꼭 끼인 옷을 자주 착용할 경우에도 발생되는데, 예컨대, 청바지와 같이 몸에 꼭 끼인 옷을 자주 입게 되면 이 청바지가 집중적으로 누르는 부분, 즉 엉덩이 부분은 압박을 받아 압박이 없는 부위로 지방이 이동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아래로 처지게 된다.
따라서, 젊은 여성들을 비롯하여 외모에 많은 신경을 쓰는 사람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발생된 비정상적인 체형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체형 보정용 속옷, 즉 하복부를 압박하여 아랫배가 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속옷, 엉덩이 부분을 압박하여 처짐을 방지 하는 속옷, 또는 아랫배의 돌출과 엉덩이 처짐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속옷 등 체형을 보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속옷이 많이 양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체형을 보정하는 의류는 겉옷과 별도로 속옷으로 한정되게 제작되기 때문에 겉옷과 별도로 착용 및 보관해야 하므로 착용 및 취급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바지의 경우 체형 보정을 위한 기능성 안감을 내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바지를 착용할 때 안감에 의해 체형이 보정되도록 하는 기능성 바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래에 출원된 바지(20-2005-4041호)는 단순히 신축성 있는 거들을 반바지 형태로 만들어 바지 내부에 수납하였기 때문에 엉덩이 부분의 곡선미를 살리기 위한 체형보정효과가 기대 이하였으며, 특히 실제품을 구입하여 확인한 결과 거들의 치수가 바지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여 체형보정효과가 거의 없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종래의 바지는 거들의 상단부가 바지에 봉제되므로 하부는 자유롭게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과 같이 땀을 많이 흘리거나 심한 운동을 할 때 거들 하부가 밀려 올라오게 되고, 이때마다 밀려 올라온 부분을 원위치로 복원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능성 의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바지 내부에 일체로 봉제되어 착용자의 하복부와 엉덩이 등을 압박하여 하복부의 돌출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엉덩이를 밀어올려 처짐을 방지하고, 또한 착용시 하부가 밀려 올라오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의 구성은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부 정면 중앙에 지퍼 또는 단추 등으로 개폐되는 개폐부를 갖는 바지 본체;
신축성 있는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지 본체 착용자의 하복부에서부터 허벅지까지의 신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바지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그 상단부 둘레 및 양외측 길이방향은 바지 본체에 일체로 봉제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여 하복부가 나오는 것을 억제하고 엉덩이 하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여 엉덩이를 밀어 올림으로써 처지는 것을 억제하는 안감;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반쪽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내부를 보인 정면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내부를 보인 측면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내부를 보인 배면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의 내부를 보인 배면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1)는 크게 바지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부에 일체로 봉제되어 착용자의 하복부 및 허벅지 상부를 압박하여 하복부가 나오는 것을 억제시키고 또한 엉덩이를 밀어 올려 처짐을 방지하여 힙업기능을 할 수 있는 기능성 안감(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지 본체(2)는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부(2a)가 형성되고,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부 정면 중앙에 지퍼 또는 단추 등으로 개폐되는 개폐부(2b)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지 본체(2)는 누구나 착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공지된 의류, 예컨대, 양복바지, 청바지, 등산용 바지, 운동용 바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누구나 착용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안감(3)은 상기 바지 본체(2) 내부에 일체로 봉제되어 착용자의 체형을 보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 안감(3)은 하복부는 물론이고 허벅지 상부와 엉덩이 경계부분을 집중적으로 압박해야 하므로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안감(3)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으면서 의류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만족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면, 폴리우레탄, 나일론이 혼합된 천을 사용하였다.
면은 땀 흡수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위생적이면서 내구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폴리우레탄 및 나일론은 신축성이 좋아 신체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안감(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복부 압박부재(3a), 상기 복부 압박부재(3a) 하부에 연결되어 전방 허벅지를 감싸는 한 쌍의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 그 일측단부가 상기 복부 압박부재(3a) 및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 단부와 봉제되어 착용자의 후방 엉덩이 및 허벅지 외측부분을 감싸는 후방 외측 압박부재(3c), 그 일측단부가 상기 복부 압박부재(3a) 및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와 봉제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후방 외측 압박부재(3c)와 봉제되어 착용자의 후방 엉덩이 및 허벅지 내측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후방 내측 압박부재(3d)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감은 복부 압박부재(3a),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 후방 외측 압박부재(3c), 및 후방 내측 압박부재(3d)가 봉제되어 구성되는데, 그 상단부 둘레와 그 양외측단부 길이방향이 바지에 일체로 봉제되므로 착용시 하부가 밀려 올라가지 않게 되어 종래 바지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안감(3)은 여성 착용자의 양측 대퇴부에 위치한 대전자뼈 부분을 압박할 수 있도록 보조 압박부재(4)가 덧대어진다.
상기 복부 압박부재(3a)는 착용자의 하복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복부 압박부재(3a)의 하단부는 착용자가 앉을 때 형성되는 고관절 경계부, 즉 앉았을 때 상반신과 하반신을 구분하는 경계부와 대응되게 제1곡선부(3a-1)가 처리되며, 그 내측면 하부에는 착용자의 사타구니까지 연장되는 연장부(3a-2)를 갖는다.
상기 복부 압박부재(3a)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지 본체(2)의 개폐부(2b) 양측에 대칭되게 봉제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게 되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부는 바지 본체(2)의 허리부(2c)에, 내측단부는 개폐부(2b)에, 외측단부는 옆봉제부(2d)에 박음질 되어 바지 본체(2)와 일체로 봉제된다. 복부 압박부재(3a)의 하부, 즉 제1곡선부(3a-1)에는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가 연결되어야 하므로 바지 본체(2)에 일체로 봉제되지 않는다.
상기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는 상기 복부 압박부재(3a)의 제1곡선부(3a-1)에 연결되어 엉덩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상기 복부 압박부재(3a)의 제1곡선부(3a-1) 및 연장부(3a-2)에 대응되게 제2곡선부(3b-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곡선부(3b-1)가 제1곡선 부(3a-1)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전방 허벅지를 감싸 허벅지 상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는 그 길이방향 양외측단부가 바지 본체(2)의 옆봉제부(2d)에 박음질 되어 바지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부는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후방 외측 압박부재(3c)는 엉덩이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고, 그 상부 일측단부에는 엉덩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제3곡선부(3c-1)가 형성되고 상기 제3곡선부(3c-1) 하부는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며, 착용자의 후방 엉덩이 및 허벅지 외측부분을 감싸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 외측 압박부재(3c)는 제3곡선부(3c-1) 하부가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는데, 이 부분과 대응되는 인체의 허벅지는 상부로 갈수록 두껍다. 따라서 안감(3)은 허벅지 상부, 즉 엉덩이 하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게 되므로 엉덩이 하부를 밀어 올리는 힙업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후방 외측 압박부재(3c)는 그 일측단부가 복부 압박부재(3a) 및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의 단부에 봉제되는데, 이 봉제부분은 바지 본체(2)에 박음질되어 고정된다.
상기 후방 내측 압박부재(3d)는 후방 외측 압박부재(3c)와 협력하여 착용자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데,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고 하부의 폭을 거의 동일한 폭으로 구성된다. 상부 일측단부에는 엉덩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제3곡선부(3c-1)와 대응되게 볼록한 형상으로 제4곡선부(3d-1)가 형성되고, 상기 제4곡선부(3d-1)와 대향되는 타측단부는 상기 제4곡선부(3d-1)보다 더 완만하고 동일방향으로 제5곡선부(3d-2)가 처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후방 내측 압박부재(3d)는 제5곡선부(3d-2)를 갖는 일측단부 서로가 봉제되고, 각각의 제4곡선부(3d-1)가 형성되는 타측단부는 제3곡선부(3c-1)를 갖는 후방 외측 압박부재(3c)의 단부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후방 엉덩이 및 허벅지 내측부분을 감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안감의 볼륨과 대응하기 위해 바지 본체의 볼륨을 살릴 수 있도록 도 7과 같이 바지 본체의 뒷주머니가 달리는 부분 상부에 다트(dart.D)를 형성하여, 안감과 일체로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에 유행되고 있는 골반 바지는 엉덩이를 수용하는 부분과 허리를 수용하는 부분이 가깝고, 이들의 둘레 치수는 엉덩이를 수용하는 부분이 더 크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아래로 잡아당기면 착용된 상태에서 벗겨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허리를 수용하는 부분의 안감의 둘레를 그가 봉제되는 바지 본체의 부분보다 더 작게 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도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안감(3)은 면적이 넓은 후방 외측 압박부재(3c)의 제3곡선부(3c-1)에 의해 엉덩이 부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3곡선부(3c-1) 하부는 착용자의 허벅지를 수용하게 되는데, 이 부분은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므로 허벅지 상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여 엉덩이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안감(3) 내부는 엉덩이를 감싸는 부분의 폭은 넓게 형성되고 허벅지를 감싸는 하측 부분은 동일한 폭을 갖게 되는데, 허벅지는 상부로 갈수록 두껍기 때문에 상기 하측 부분에 의해 상부가 집중적으로 압박을 받게 된다.
따라서, 엉덩이는 전체적인 부분을 압박을 받지 않고 그 하부만 집중적으로 압박을 받게 되므로 도 2와 같이 자연스럽게 밀어 올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감은 볼륨이 필요한 부분(엉덩이 전체적인 부분)은 압박을 최소로 하여 볼륨을 살리고, 볼륨이 필요 없는 부분(엉덩이 하부)은 압박을 크게 하여 엉덩이가 밀어 올려지게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감(3)의 상부는 바지 본체(2) 상단부에, 그 길이방향 양측은 바지 본체(2)의 옆봉제부(2d)에 박음질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가압하고 엉덩이를 밀어올리는 기능을 할 때 하부가 밀려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안감(3)은 상기와 같은 체형 보정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복부 압박부재(3a),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 및 후방 내,외측 압박부재(3d)(3c)가 협력하여 형성하는 그 내부 공간이 이 공간과 대응되는 바지 본체(2)의 공간보다 더 좁아야 함은 당연하고, 그 비율은 바지 본체(2)의 공간에 비해 안감(3)의 공간이 약 75∼95%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85∼90%가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안감(3)은 여성 착용자의 양측 대퇴부 외측면, 즉 대전자뼈 부분을 압박할 수 있도록 보조 압박부재(4)가 더 덧대어지는데, 그 위치는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와 후방 외측 압박부재(3c)가 봉제되는 곳이 좋다.
남성과는 달리 여성은 허리 아래의 가장 돌출된 양측 부분, 즉 대퇴부의 양외측 부분이 많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보조 압박부재(4)를 더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안감(3)은 착용자의 사타구니에 해당하는 부분에 통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망사부(5)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망사부(5)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3b)의 상단 모서리부분과 후방 내측 압박부재(3d)의 중간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감(3)에 망사부(5)가 형성되면 통기성이 양호하게 되는데, 이 망사부(5)가 땀이 많이 차 쉽게 습하기 쉬운 사타구니에 위치하게 되므로 위생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복부 압박부재 및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 및 후방 내,외측 압박부재로 구성된 안감이 바지 본체 내부에 유동하지 않도록 봉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안감이 바지 착용자의 하복부를 가압하고, 엉덩이를 밀어올려 체형을 보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착용시 심한 운동을 할 경우에도 안감의 측면 길이방향이 바지 본체에 봉제되어 있기 때문에 밀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타구니의 대응되는 부분에 망사부가 있어 통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바지 본체 착용시 동시에 착용되므로 착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빨래할 때나 보관시 분리되지 않아 취급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착용자의 다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부 정면 중앙에 지퍼 또는 단추로 개폐되는 개폐부를 갖는 바지 본체;
    신축성 있는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지 본체 착용자의 하복부에서부터 허벅지까지의 신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바지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그 상단부 둘레 및 양외측 길이방향은 바지 본체에 일체로 봉제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여 하복부가 나오는 것을 억제하고 엉덩이 하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하여 엉덩이를 밀어 올림으로써 처지는 것을 억제하는 안감;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안감은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바지 본체의 개폐부를 경계로 그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어 그 상단부 및 양측단부가 바지 본체에 봉제되고, 하단부는 착용자가 앉을 때 발생하는 고관절 경계부와 대응되게 제1곡선부가 처리되며 내측면 하부에는 착용자의 사타구니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한 쌍의 복부 압박부재;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상기 복부 압박부재의 제1곡선부 및 연장부에 대응되게 제2곡선부가 형성되며, 이 제2곡선부가 제1곡선부에 봉제되어 착용자의 전방 허벅지를 감싸 허벅지 상부를 집중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고 상부 일측단부에는 엉덩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제3곡선부가 형성되고 이 제3곡선부 하부는 동일한 폭으로연장되며, 착용자의 후방 엉덩이 및 허벅지 외측부분을 감싸는 후방 외측 압박부재;
    하부의 폭이 상부의 폭보다 넓고 상부 일측단부에는 엉덩이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제3곡선부와 대응되게 볼록한 형상으로 제4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곡선부와 대향되는 타측단부는 상기 제4곡선부보다 더 완만하고 동일방향으로 제5곡선부가 처리되어, 상기 후방 외측 압박부재와 협력하여 착용자의 후방 엉덩이 및 허벅지 내측부분을 감싸는 한 쌍의 후방 내측 압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은 여성 착용자의 양측 대퇴부에 위치한 대전자뼈 부분을 압박할 수 있도록 보조 압박부재가 덧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은 복부 압박부재, 전방 허벅지 압박부재, 및 후방 내,외측 압박부재가 협력하여 형성하는 그 내부 공간이 이 공간과 대응되는 바지 본체의 공간에 비해 85∼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내,외측 압박부재는 하부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은 착용자의 사타구니에 해당하는 부분에 통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망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6. 제 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를 수용하는 부분의 안감의 둘레를 그가 봉제되는 바지 본체의 허리 수용부의 둘레 치수보다 더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KR1020060012173A 2006-02-08 2006-02-08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KR10071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173A KR100713832B1 (ko) 2006-02-08 2006-02-08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KR2020060003686U KR200415959Y1 (ko) 2006-02-08 2006-02-09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173A KR100713832B1 (ko) 2006-02-08 2006-02-08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86U Division KR200415959Y1 (ko) 2006-02-08 2006-02-09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832B1 true KR100713832B1 (ko) 2007-05-04

Family

ID=382694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173A KR100713832B1 (ko) 2006-02-08 2006-02-08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KR2020060003686U KR200415959Y1 (ko) 2006-02-08 2006-02-09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86U KR200415959Y1 (ko) 2006-02-08 2006-02-09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13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2328A1 (en) * 2022-08-26 2024-02-29 Samawi Rana Body-shaping garment, method of formation thereof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52Y1 (ko) * 2008-01-16 2009-11-25 조은효 바지
KR200486779Y1 (ko) 2017-02-21 2018-06-28 김용걸 체형보정용 바지
KR20180002277U (ko) 2018-06-01 2018-07-25 김인철 노팬티로 입을 수 있는 여성바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188A (ja) * 2003-01-22 2004-08-12 Aoyama Denki:Kk 下着
KR200361971Y1 (ko) * 2004-06-16 2004-09-13 최용희 기능성 바지
KR200371203Y1 (ko) * 2004-06-07 2004-12-29 신현덕 거들 기능의 바지
KR200384092Y1 (ko) * 2005-02-15 2005-05-11 제일모직주식회사 바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188A (ja) * 2003-01-22 2004-08-12 Aoyama Denki:Kk 下着
KR200371203Y1 (ko) * 2004-06-07 2004-12-29 신현덕 거들 기능의 바지
KR200361971Y1 (ko) * 2004-06-16 2004-09-13 최용희 기능성 바지
KR200384092Y1 (ko) * 2005-02-15 2005-05-11 제일모직주식회사 바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2328A1 (en) * 2022-08-26 2024-02-29 Samawi Rana Body-shaping garment, method of formation thereof and method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959Y1 (ko) 200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0212B2 (ja) 体型補正機能を持つズボン
KR100759946B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US20150257454A1 (en) Form Contouring Lingerie
KR100713832B1 (ko) 기능성 안감이 내장된 바지
US11324623B2 (en) Body trunk supporter and wear provided with same
JP4613292B2 (ja) 男性用パンツ兼用ガードル
KR100923504B1 (ko) 올인원
KR200422138Y1 (ko) 가슴 보강 패드가 구비된 남성용 상의
KR101825403B1 (ko) 기능성 보정속옷
KR100488167B1 (ko) 복무 압박감이 없는 건강증진용 속옷 및 속옷 제작방법
KR101250465B1 (ko) 올인원
KR200476293Y1 (ko) 레깅스
CN213785393U (zh) 一种高弹无束缚女士内裤
KR102034847B1 (ko) 기능성 바디 슈트
TWI439235B (zh) 束褲
KR102686561B1 (ko) 측면 밴드프리 레깅스
KR102678407B1 (ko) 레깅스 올인원
KR20120040558A (ko) 올인원
JP3235294U (ja) 下肢用衣料
KR102096670B1 (ko) 기능성 신체 보정 치마레깅스
CN218737283U (zh) 一种中腰塑型裤
KR200430652Y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KR102459435B1 (ko) 환자용 어깨 안정화 의복
JP4355329B2 (ja) 外鼠径ヘルニア抑止用パンツ
CN208318259U (zh) 一种保健、塑身小内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