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2323B1 -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323B1
KR100712323B1 KR20030068954A KR20030068954A KR100712323B1 KR 100712323 B1 KR100712323 B1 KR 100712323B1 KR 20030068954 A KR20030068954 A KR 20030068954A KR 20030068954 A KR20030068954 A KR 20030068954A KR 100712323 B1 KR100712323 B1 KR 10071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information
indication information
curren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3006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954A (ko
Inventor
곽용준
이주호
최성호
권환준
김영범
허윤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2003006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323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0012832.1A priority patent/EP2309687B1/en
Priority to ES10012832T priority patent/ES2769537T3/es
Priority to JP2004290419A priority patent/JP4185035B2/ja
Priority to US10/956,926 priority patent/US7899009B2/en
Priority to EP20040023417 priority patent/EP1521408B1/en
Priority to CNB2004100757319A priority patent/CN100418310C/zh
Publication of KR2005003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323B1/ko
Priority to US13/036,797 priority patent/US8149779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전송율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빠른 전송율 변화를 수반한 전송율 스케쥴링의 수행과 전송율 할당 정보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역방향 채널의 허용 가능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과 역방향 채널에서 사용된 이전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 이상이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 이하이면, 상기 현재 전송율의 상기 이전 전송율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경우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가 있을 시마다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대신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나타내는 전송율에 따라 역방향 채널의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조정함으로써 역방향 채널의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빠른 역방향 전송율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스케쥴링의 탄력성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WCDMA, UPLINK ENHANCEMENTS, FAST RAMPING, DRX CYCLE

Description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TUS FOR UPLINK RATE TRANSMISSION SCHEDULING ADAPTED TO FAST RATE RAMPING IN PACKET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UMTS 시스템의 무선접속 네트워크(UTRAN)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단말기와 무선망 제어기(RNC)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계층도.
도 3은 전형적인 무선링크에서 E-DCH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5는 전송율 스케쥴링을 위한 역방향/순방향의 제어 정보 전달과, 전송율 스케쥴링에 의해 제어되는 역방향 전송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 하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송율 할당 정보를 기지국이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 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라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라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비동기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한다.)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역방향 트래픽 전송율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빠른 전송율 변화를 수반한 전송율 스케쥴링 수행과 전송율 할당 정보의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을 사용하는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이동 전화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 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UMTS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과 같은 패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킷교환 방식의 접속이란 가상접속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내의 다른 어떠한 종단에라도 항상 접속이 가능하다.
도 1은 UMTS 시스템의 무선접속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이라 칭함)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UTRAN(12)은 무선망 제어기들(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16a,16b)과 노드 B들(노드 B's)(18a,18b,18c,18d)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함)(20)을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10)로 연결한다. 노드 B들(18a,18b,18c,18d)의 하위에는 복수의 셀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RNC(16a,16b)는 해당하는 하위의 노드 B들(18a,18b,18c,18d)을 제어하고, 각각의 노드 B(18a,18b,18c,18d)는 해당하는 하위의 셀들을 제어한다. 하나의 RNC와 상기 RNC에 의해서 제어를 받는 노드 B들과 셀들을 무선망 서브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 이하 RNS라 칭함)(14a,14b)이라고 한다.
RNC들(16a, 16b)는 자신이 제어하는 노드 B들(18a 내지 18b)의 무선자원을 할당하거나 관리하며. 노드 B들(18a 내지 18d)은 실제 무선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자원은 셀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드 B들(18a 내지 18d)은 제공하는 무선자원은 자신이 관리하는 셀들의 무선 자원들을 의미한다. 단말(20)은 특정 노드 B의 특정 셀이 제공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해서 무선 채널을 구성하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0)의 입장에서는 노드 B와 셀간의 구별은 무의미하며, 오직 셀별로 구성되는 물리계층만을 인식하므로, 이하 노드 B와 셀은 동일한 의미로서 언급될 것이다.
단말기(20)와 RNC들(16a, 16b)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라 불리며, 도 2에 그 자세한 계층적 구조를 도시하였다. Uu 인터페이스는 단말기와 RNC 사이에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평면 시그널링(3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32), RLC(Radio Link Control) 계층(40),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42)과 물리(Physical: 이하 PHY라 칭함) 계층(44)을 거쳐 처리되고, 사용자 평면 데이터(32)는 PDCP(Packet Data Control Protocol) 계층(36), BMC(Broadcast/Multicast Control) 계층(38), RLC 계층(40), MAC 계층(42), 물리계층(44)을 거쳐 처리된다. 여기에 도시한 계층들 중 물리계층(44)은 각 셀들에 위치하게 되며 MAC 계층(42)부터 RRC 계층(34)까지는 RNC에 위치한다.
물리계층(44)은 무선 전송(Radio Transfer)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이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의 제1 계층(Layer 1:L1)에 해당한다. 물리 계층(44)과 MAC 계층(42) 사이는 전송 채널들(Transport Channels)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 채널들은 특정 데이터들이 물리계층에서 처리되는 방식에 의해서 정의된다.
제2 계층(Layer 2: L2)에 해당하는 MAC 계층(42)과 RLC 계층(40)은 논리 채널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MAC 계층(42)은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40)이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전송 채널을 통해 물리계층(44)에 전달하고, 물리계층(44)이 전송 채널을 통해 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MAC 계층(42)논리 채널이나 전송 채널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들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부가정보를 해석해서 적절한 동작을 취하고, 랜덤 액세스 동작을 제어한다. 구분하여 도시하지는 않을 것이나, MAC 계층(42)에서 사용자 평면에 관련된 부분은 MAC-d라 칭해지며, 제어 평면에 관련된 부분은 MAC-c라 칭해진다.
RLC 계층(40)은 논리 채널들의 설정 및 해제를 담당한다. RLC 계층(40)은 AM(Acknowledged Mode), UM (Unacknowledged Mode), TM (Transparent Mode)라는 3가지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LC 계층(40)은 상위계층으로부터 내려온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이하 SDU라 칭함)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거나 조립하는 기능 및 오류 정정 기능 등을 담당한다.
PDCP 계층(36)은 사용자 평면에서 RLC 계층(40)의 상위에 위치하며, IP 패킷 형태로 전송된 데이터의 헤더를 압축하고 복원하는 기능과, 이동성으로 특정 단말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RNC가 변경되는 상황하에서 데이터의 무손실 전달 기능 등을 담당한다.
물리계층(44)과 상위 계층들간을 연결하는 전송채널의 특성은 길쌈채널 부호화(convolutional channel encoding), 인터리빙(Interleaving) 및 서비스 고유 전송률 정합(service-specific rate matching)과 같은 물리계층 처리과정을 규정하고 있는 전송형식(Transport Format: TF)에 의해 정해진다.
UMTS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기지국(Base Station: BS)으로의 역방향(Uplink: UL) 통신에 있어서 패킷 전송의 성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Enc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이하 EUDCH or E-DCH라 칭함)을 사용한다. E-DCH는 보다 안정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응적 변조/부호화(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와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및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 등의 기술 등을 지원한다.
도 3은 무선링크에서 E-DCH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0은 E-DCH를 지원하는 노드 B를 나타내며 참조번호 101, 102, 103, 104는 E-DCH를 수신하는 단말들을 나타낸다. 노드 B(110)는 E-DCH를 사용하는 단말들(101 내지 104)의 채널 상황을 파악하여 각 단말들의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스케쥴링한다. 스케쥴링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노드 B(110)의 측정 잡음 증가(Noise Rise) 값이 목표 잡음 증가 값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노드 B(110)에서 멀리 있는 단말(104)에게는 낮은 데이터 전송율를 할당하고, 가까이 있는 단말(101)에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도 4는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과정(202)에서 노드 B와 단말은 E-DCH를 설정한다. 상기 설정 과정(202)은 전용 전송 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통한 메시지들의 전달 과정을 포함한다. E-DCH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과정(204)와 같이 단말은 노드 B에게 스케쥴링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스케쥴링 정보로는 역방향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단말 송신 전력 정보, 단말이 송신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 정보, 단말의 버퍼에 쌓여 있는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들의 양 등이 될 수 있다.
노드 B는 과정(206)에서 스케쥴링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단말에게 역방향 패킷 전송을 허용할 것으로 결정하면, 과정(208)에서 노드 B는 단말에게 스케쥴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줄링 할당 정보에는 허용된 데이터 전송율과 허용 타이밍 등의 전송율 할당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은 과정(210)에서 상기 전송율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전송할 E-DCH의 전송 형식(Transport format: TF)을 결정하고, 과정(214)에서 E-DCH를 통해 역방향(UL)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시에 과정(212)에서 상기 TF 정보를 노드 B로 전송한다. 도시하지 않을 것이지만 노드 B는 상기 TF 정보와 상기 패킷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한다. 노드 B는, 상기 판단 결과 어느 하나에라도 오류가 나타난 경우 부정응답(Non-Acknowledge: NACK)을, 모두 오류가 없을 경우는 긍정응답(Acknowledge: ACK)을 ACK/NACK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어 단말은 새로운 데이터를 보내지만, N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같은 내용의 패킷 데이터를 다시 전송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역방향 스케쥴링 방법의 하나인 전송율 스케쥴링(Rate Scheduling)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전송율 스케쥴링을 위한 역방향/순방향의 제어 정보 전달과, 전송율 스케쥴링에 의해 제어되는 역방향 전송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UE)(304)은 전송율 요청 정보(Rate Request)(308)와 E-DCH 역방향 패킷(310)을 기지국(302)으로 전송하며, 기지국(302)은 역방향 스케쥴링을 통하여 상기 단말에게 허용된 전송율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율 그랜트 정보(Rate Grant)(306)를 전송한다. 상기 단말(304)와 상기 기지국(302)는 미리 약속된 전송율 테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전송율 테이블은 사용 가능한 복수의 전송율들을 복수의 단계들에 매핑시켜 저장하고 있다.
단말(304)은 역방향으로 보내야 할 데이터가 버퍼에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단말(304)이 할당할 수 있는 전력 여분치를 확인하여 전송율 요청 정보(308)를 통하여 역방향 E-DCH 전송율의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전송율 요청 정보(308)를 수신한 기지국(302)은 상기 단말(304)과 상기 기지국(302)이 관장하고 있는 다른 단말들의 전송율 요청 정보들을 종합하여 상기 단말(304)의 전송율을 증가시킬 것인지, 감소시킬 것인지, 또는 유지시켜줄 것인지를 정하여 전송율 그랜트 정보(306)를 이용하여 알려주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간(Interval)(312)에서 단말(304)은 전송율 요청정보(314)를 이용하여 전송율 증가를 요청한다. 상기 전송율 요청 정보(314)를 수신한 기지국(302)은 스케쥴일을 수행한 후 구간 316에서 전송율 그랜트 정보(318)를 이용하여 단말(304)에게 전송율을 증가시키라고 명령한다. 이에 단말(304)은 구간(320)에서 사용하던 전송율 10에 비해 한단계 증가된 전송율 11로 구간(322)에서 역방향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따라서 전송율 스케쥴링은 가능한 모든 단계의 전송율들 중 한 단계씩의 변화만을 가능하게 한다. 즉, 단말이 이전에 사용하고자 하는 전송율이 매우 낮은 경우라고 해도, 기지국이 역방향 전송율을 여러 단계만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스케쥴링 명령을 통해 사용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 의한 전송율 스케쥴링 기술은, 전송율 변화에 있어서 탄력성(Flexibility)이 없고 그만큼 단말에서 원하는 전송율을 얻기 위한 시간 지연이 매우 크게 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비동기 WCDMA 통신 시스템의 E-DCH를 통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역방향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동기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패킷의 전송율 스케쥴링의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동기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위한 역방향 패킷 전송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역방향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을 위해 역방향 채널의 허용 가능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현재 구간에서 상기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이전 전송율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전송율과 역방향 채널에서 사용된상기 이전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 보다 크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차이가 한단계 이상이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지 않거나, 상기 차이가 한단계 이하이면, 상기 현재 전송율의 상기 이전 전송율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구간에서 현재 구간의 역방향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나타내는 전송율에 따라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채널의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조정하거나 유지함으로써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기지국 송신장치에 있어서,
현재 구간에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을 위해 결정된 역방향 채널의 허용 가능한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송신 제어기와,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율 지시 정보 생성기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제1 송신기와,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의 상기 이전 전송율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생성기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제2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수신장치에 있어서,
현재 구간에서 현재 구간의 역방향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수신 제어기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기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나타내는 전송율에 따라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채널의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전송율 지시 정보 분석기와,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기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조정하거나 유지함으로써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 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전송율 스케쥴링에 있어서 발생하는 전송율 할당의 탄력성 부재와, 전송율 증가 시간 지연과 같은 단점을 보안하고, 리소스의 관리를 보다 효율화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408)은 역방향 패킷(412)을 E-DCH를 통하여 기지국(402)으로 전송하고 있으며 상기 기지국(402)은 상기 단말(408)의 역방향 패킷의 스케쥴링을 담당하고 있다. 스케쥴링을 위한 순방향 정보들로는 전송율 지시 정보(Rate Indication)(404)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Rate Up/Down)(406)가 있으며, 역방향 정보로는 상기 단말(408)의 스케쥴링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상태 정보(UE status report)(410)가 있다.
단말(408)이 E-DCH를 이용하여 역방향 패킷을 송신하고자 하면, 우선 단말 상태 정보(410)를 기지국(402)에게 전송한다. 이때, 구간(438)로부터 단말(408)은 기지국(402)과 정보의 교환 없이 임의의 문턱치 값 이내의 전송율, 즉 전송율 1을 이용하여 E-DCH의 역방향 패킷을 우선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402)은 여러 단말들의 단말 상태 정보들을 취합하여 스케쥴링을 통해 각 단말에게 할당할 전송율을 정하고, 전송율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408)에게 송신하게 된다. 이때 전송율 할당 정보로는 전송율 지시 정보(404)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406)가 포함된다. 이전 전송율에 비해 전송율의 변화가 두단계 이상인 경우, 기지국(402)은 전송율 지시 정보(404)를 이용하여 단말(408)에게 할당된 전송율을 직접 알려준다. 반면 이전 전송율에 비해 전송율의 변화가 한단계 이하로 작은 경우, 기지국(402)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406)를 이용하여 단말(408)에게 할당된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에 비해 한단계 증가(up), 한단계 감소(down), 또는 유지(keep) 됨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단말(408)이 전송하게 되는 단말 상태 정보(410)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단말 버퍼에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할 때마다 전송된다. 여기서 단말 버퍼에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할 때마다 단말 상태 정보(410)를 전송하는 것과 같이 어떤 임의 사건(event)의 발생 유무에 따라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이벤트 반응(Event triggered) 전송이라 칭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408)이 구간(414)에서 단말 상태 정보(416)를 기지국(402)으로 전달하게 되면, 구간(418)에서 기지국(402)은 상기 단말(408)에게 할당할 전송율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할당할 전송율이 전송율 10으로서 이전 구간(438)에 단말(408)이 E-DCH를 이용하여 송신했던 전송율 1에 비해 차이가 한단계 이상이 된다고 하면, 기지국(402)은 전송율 지시 정보(420)를 이용하여 단말(408)에게 할당된 전송율이 전송율 10임을 알려주게 된다. 구간(422)에서 단말(408)은 기지국(402)이 전송해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420)에 따라 다음 역방향 패킷을 전송율 10을 이용하여 E-DCH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 구간(424)에서 기지국(402)은 다시 단말(408)에게 할당할 전송율을 결정하는데 이때 만일 이전구간(418)의 전송율과 동일한 전송율 10을 할당한다면, 기지국(402)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426)를 이용하여 단말(408)에게 전송율의 변화가 없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426)를 수신한 단말은 구간(428)에서 이전 전송율 10을 그대로 사용하여 E-DCH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단말(408)은 기지국(402)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406)에 따라 전송율을 한단계씩 조절하거나 유지하면서 E-DCH를 통해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삭제
구간(430)에서 단말(408)의 버퍼에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온 경우 단말(408)은 단말 상태 정보를 기지국(402)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구간(432)에서 기지국(402)은 단말(408)에게 좀 더 큰 전송율을 할당하기 위하여, 새로 할당된 전송율 14를 직접 지시하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이로써 구간(436)에서 단말(408)은 이전 구간의 전송율 11에 비하여 한단계보다 더 높아진 전송율 14로 역방향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빠른 전송율 변화를 수반한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에 있어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송수신하는 절차와 장치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송율 할당 정보를 기지국이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기지국은 전송율 지시정보를 사용할 것인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경과에 따른 전송율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송율을 할당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과정(502)에서 기지국은 E-DCH에서 이전 구간에 사용된 전송율을 판별한다. 과정(504)에서 기지국은 스케쥴링을 통해 단말에게 할당할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과정(506)에서 상기 현재 전송율은 상기 이전 전송율과 비교된다. 상기 두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보다 크게 되면 기지국은 과정(518)에서 미리 저장하고 있는 전송율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현재 전송율을 전송율 지시정보로 매핑하고, 과정(520)에서 단말에게 상기 전송율 지시정보를 전송한다.
반면, 상기 두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보다 작거나 같게 되면 기지국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과정(508)에서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을 비교한다.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높으면 과정(510)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낮으면 과정(514)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면 과정(512)을 수행하다.
상기 과정들(510, 512, 514)에서는 단말에게 전송할 전송율을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로 매핑시킨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는, 과정(510)에서는 증가를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1'에 매핑되고, 과정(512)에서는 유지를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0'에 매핑되고, 과정(514)에서는 감소를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1'에 매핑된다. 상기 정해진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는 과정(516)에서 단말에게 전송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제어기(622)는 매 전송구간마다 전송율 지시 정보가 전송될지 또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전송될지의 여부를 앞서 언급한 도 7의 동작에 따라 결정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 생성기(602)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생성기(614)로 제공한다. 전송율 지시 정보 생성기(602)는 도 6에 나타낸 시간구간들(418,432)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를 위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는 다중화기(MUX)(606)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UE ID) 메모리(604)로부터 읽어낸 단말 식별자와 함께 다중화된다. 상기 다중화된 정보에는 CRC(Cyclic Redundancy Codes) 첨가기(608)에 의해 CRC가 첨가되고, 테일비트(Tail Bits) 첨가기(610)에 의해 소정 테일 비트가 첨가된 후 길쌈 부호화기(612)를 통하여 부호화된다. 한편,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시간구간들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생성기(614)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는 반복 부호화기(Repetition Encoder)(616)에 의해 부호화된다. 다중화기(618)는 상기 길쌈 부호화기(612)의 출력과 상기 반복 부호화기(616)의 출력을 다중화한다. 상기 다중화기(618)의 출력은 변조기(620)에서 무선 신호로 변조된 후 무선상으로 송신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과정(702)에서 단말은 전송율 지시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과정(704)에서 단말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로부터 단말 식별자인 UE ID를 획득하여 자신의 식별자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자신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만일 일치하는 경우 단말은 과정(718)으로 진행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전송율 테이블에 따라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해당하는 전송율을 현재 구간에서 사용할 E-DCH의 전송율로 지정한 후 과정(716)에서 상기 지정한 전송율에 따라 E-DCH의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반면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정(706)에서 단말은 전송율 지시 채널을 통해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한다. 다른 경우 전송율 지시 채널에 전송율 지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한다. 과정(708)에서 단말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증가, 유지, 감소 중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판별한다. 만일 증가를 의미하면 과정(710)으로 진행하여 현재 전송율은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증가되고, 유지를 의미하면 과정(712)으로 진행하여 현재 전송율은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감소를 의미하면 과정(714)으로 진행하여 현재 전송율은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감소된다. 과정(716)에서 단말은 상기 과정들(710, 712, 714)을 통해 조절된 전송율을 이용하여 E-DCH의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전송율 지시 채널의 수신 신호는 복조기(802)에 의해 복조되어 역다중화기(804)에 입력된다. 역다중화기(804)는 상기 복조기(802)의 출력을 전송율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또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로 역다중화한다.
먼저 비터비 복호화기(806)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복호하여 출력하면, CRC 확인부(808)는 상기 비터비 복호화기(806)의 출력 데이터에서 CRC를 검출하여 에러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에러가 없는 경우 CRC를 제외한 데이터를 역다중화기(810)로 전달한다. 역다중화기(810)는 상기 CRC 확인부(808)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와 단말 식별자 추출한 후 각각 전송율 지시 정보 분석기(812)와 단말 식별자 메모리(814)로 전달한다. 수신 제어기(820)는 매 구간마다 상기 추출된 단말 식별자를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비교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가 수신될지 또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수신될지의 여부를 앞서 언급한 도 9의 동작에 따라 결정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 분석기(812)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생성기(818)로 제공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CRC 확인부(808)에 의해 추출된 CRC는 단말 식별자에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RC 확인에 의해 단말 식별자의 확인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역다중화기(810) 없이 CRC 확인부(808)가 바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추출된 단말 식별자가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일치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 분석기(812)는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상기 추출된 단말 식별자가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다중화기(804)로부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반복 복호화기(816)로 전달된다. 상기 복호화기(816)는 상기 역다중화기(8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복호화를 통해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분석기(818)로 출력한다.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분석기(818)는 상기 전소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이전 전송율을 조정하여 현재 구간의 전송율을 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단말은 매 시간구간마다 전송율 지시 정보의 확인을 위해 단말 식별자를 우선 확인하고, 단말 식별자가 일치하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읽고, 일치하지 않으면 전송율 지시 정보대신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읽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송율 지시 정보는 전송율의 변화가 큰 경우에서만 전송되므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비해 덜 빈번하게 전송된다. 특히 많은 수의 단말들이 하나의 기지국으로 역방향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을 경우,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사용할 만큼 한 단말에게 할당하는 전송율의 변화가 큰 상황은 많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화에서 매번 전송율 지시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말 식별자를 확인하는 것은 단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기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단말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최대한 부담을 적게 하면서, 스케쥴링의 탄력성은 높이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전송율 할당 정보의 송수신 타이밍을 상황에 맞게 변화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단말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서 기지국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를 일정한 시간구간으로 제한한다. 즉, 기지국은 미리 정해지는 특정 구간에서만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은 상기 미리 정해지는 구간에서만 단말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읽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읽는다. 반면, 다른 구간에서 단말은 단말 식별자를 확인할 필요없이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을 확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902)은 스케쥴링을 통해 단말(908)에게 E-DCH에서 사용할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게 되는데, 상기 할당된 역방향 전송율을 단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904) 또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906)를 사용한다. 단말(908)은 상기 기지국(902)에게 스케쥴링을 위한 단말 상태 정보(910)를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반응시에 전송하고, 또한 기지국(902)이 할당한 전송율을 이용하여 E-DCH를 통해 역방향 패킷 데이터(912)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902)은 단말(908)로 부터 단말 상태 정보(910)를 최초로 수신하는 구간(916)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단말(908)에게 전송하게 되고, 이후로는 일정주기(922, 924)를 가지고서 구간들(918, 920)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달하며, 다른 구간들(예를 들어 926)에서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을 보낸다.
이때 상기 구간들(916, 918, 920)에서도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으로 전송율 할당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즉 할당된 전송율의 변화가 한단계 이하일 경우라면, 기지국(902)은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일정 주기는 시스템에서 고정된 값을 사용하거나 또는,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설정 과정을 통하여 상위 계층에서 제어 신호를 통해 설정된 값을 사용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1202)에서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은 현재 구간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인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2실시예의 경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은 통신이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지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
만일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구간이라면, 기지국은 과정(1204)으로 진행하여 현재 구간에서 단말에게 할당할 전송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전송율을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미리 판별한 이전 전송율과 한단계 이하의 차이를 가지도록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과정(1204)에서 기지국은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높으면 과정(1208)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1로 매핑하고,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면 과정(1210)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0'으로 매핑하고,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면 과정(1212)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1'로 매핑하게 된다.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는 과정(1214)에서 전송된다.
반면 상기 과정(1202)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이라면, 기지국은 과정(1216)으로 진행하여 이전 전송율을 판별한 후 과정(1218)에서 단말에게 할당할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과정(1220)에서는 상기 두 전송율들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한단계보다 크게 되면 과정(122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과정(1206)으로 진행한다. 과정(1206)으로 진행한 경우에 대한 동작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과정(1222)으로 진행한 경우, 기지국은 상기 현재 전송율을 전송율 지시 정보로 매핑한다.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는 과정(1224)에서 단말에게 전송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과정(1302)에서 단말은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은 현재 구간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인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은 통신이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지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 만일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이 아니라면 단말은 과정(1304)으로 진행하여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한다.
과정(1306)에서 단말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결과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증가를 의미하는 경우, 과정(1308)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0인 경우 과정(1308)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며, -1인 경우 과정(1312)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은 과정(1314)에서 이전 전송율을 판별하고 과정(1316)에서 상기 과정들(1308, 1310, 1312)의 판단 결과와 상기 이전 전송율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게 된다.
반면 과정(1302)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이라면, 단말은 과정(1318)으로 진행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 과정(1320)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함께 전송된 단말의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정(1304)으로 가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전 전송율에 따라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반면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 경우, 과정(1322)으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전송율 지시자 정보에 따라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제3 실시예는 단말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서, 단말의 상태 정보가 역방향으로 전달된 경우에만 기지국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즉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만, 전송율 지시 정보를 읽어내력도 시도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을 읽는다. 반면, 단말이 기지국에게 단말 상태 정보를 전달하지 않은 경우에 단말은 전송율 지시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을 읽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1002)은 스케쥴링을 통해 단말(1008)에게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게 되는데, 상기 할당된 전송율을 단말(1008)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1004) 또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1006)를 이용한다. 단말(1008)은 상기 기지국(1002)에게 스케쥴링을 위한 단말 상태 정보(1010)를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반응의 원칙에 따라 전송하고, 기지국(1002)이 할당한 전송율을 이용하여 E-DCH를 통해 역방향 패킷 데이터(1012)를 전송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1002)은 단말(1008)이 단말 상태 정보(1010)를 전송하는 구간들(1014, 1018, 1022)에 대응하는 순방향 구간들(1016, 1020, 1024)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1004)를 단말(1008)에게 전송하게 된다.
다른 구간들에서는 기지국(1002)은 전송율 지시 정보(1004) 대신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1006)를을 보낸다. 이때 단말(1008)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1010)를 수신한 구간들(1016, 1020, 1024)에도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으로 전송율의 할당이 가능하다면, 즉 상기 구간들(1016, 1020, 1024)에서 할당된 전송율의 변화가 한단계 이하일 경우, 기지국(1002)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1006)를 전송한다.
이하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1202)에서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은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3실시예의 경우, 만일 이전 소정 구간 이내에 단말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인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구간이라면, 기지국은 과정(1204)으로 진행하여 현재 구간에서 단말에게 할당할 전송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전송율을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미리 판별한 이전 전송율과 한단계 이하의 차이를 가지도록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과정(1204)에서 기지국은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높으면 과정(1208)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1로 매핑하고,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면 과정(1210)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0'으로 매핑하고,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면 과정(1212)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1'로 매핑하게 된다.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는 과정(1214)에서 전송된다.
반면 상기 과정(1202)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이라면, 기지국은 과정(1216)으로 진행하여 이전 전송율을 판별한 후 과정(1218)에서 단말에게 할당할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과정(1220)에서는 상기 두 전송율들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한단계보다 크게 되면 과정(122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과정(1206)으로 진행한다. 과정(1206)으로 진행한 경우에 대한 동작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과정(1222)으로 진행한 경우, 기지국은 상기 현재 전송율을 전송율 지시 정보로 매핑한다.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는 과정(1224)에서 단말에게 전송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과정(1302)에서 단말은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은 기지국으로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일 이전 소정 구간 이내에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하였으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인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이 아니라면 단말은 과정(1304)으로 진행하여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한다.
과정(1306)에서 단말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결과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증가를 의미하는 경우, 과정(1308)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0인 경우 과정(1308)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며, -1인 경우 과정(1312)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은 과정(1314)에서 이전 전송율을 판별하고 과정(1316)에서 상기 과정들(1308, 1310, 1312)의 판단 결과와 상기 이전 전송율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게 된다.
반면 과정(1302)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이라면, 단말은 과정(1318)으로 진행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 과정(1320)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함께 전송된 단말의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정(1304)으로 가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전 전송율에 따라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반면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 경우, 과정(1322)으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전송율 지시자 정보에 따라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단말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서 단말의 상태 정보가 역방향으로 전달된 경우 및 일정한 주기에 맞는 경우에만 기지국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즉,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또는 미리 정해지는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해당하는 구간에서만 전송율 지시 정보를 읽으려고 시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을 읽는다.
단말이 기지국에게 단말 상태 정보를 전달하지 않았고 미리 정해지는 주기에 따른 구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전송율 지시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읽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스케쥴링에 의해 결정된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1102)은 스케쥴링을 통해 단말(1108)에게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할당된 전송율을 단말(1108)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1302) 또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1106)를 이용한다. 단말(1108)은 상기 기지국(1102)에게 스케쥴링을 위한 단말 상태 정보(1110)를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반응의 원칙에 따라 전송하고, 또한 기지국(1102)이 할당한 전송율을 이용하여 E-DCH를 통해 역방향 패킷 데이터(1112)를 전송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1102)은 단말상태 정보(1110)를 수신한 경우 또는 소정의 일정한 주기에 해당하는 구간들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1104)를 단말(1108)에게 보낸다. 즉, 단말(1108)이 초기에 역방향 패킷의 전송을 시작하기 위하여 구간(1114)에서 첫번째 단말 상태 정보를 기지국(1102)으로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1102)은 상기 첫번째 단말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구간(1116)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단말(1108)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후 기지국(1102)은 상기 구간(1116)을 기준으로 소정의 주기(1126) 마다 전송율 지시 정보를 반복 전송한다. 즉 상기 주기(1126)에 해당하는 구간들(1118, 1124)에서 기지국(1102)은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패킷 통신을 시작한 이후, 구간(1120)에서 단말(1108)이 단말 상태 정보를 기지국(1102)으로 전송하면, 기지국(1120)은 상기 구간(1120)에 대응하는 구간(1122)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대신 전송율 지시 정보를 단말(1108)에게 전송한다. 즉, 기지국(1102)은 단말(1108)로부터 단말상태 정보(1110)를 수신한 경우와 또는 소정의 일정 주기(1126)에 해당하는 경우에, 전송율 지시 정보(1104)를 단말(1108)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구간에서 기지국(1102)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을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구간들(1116, 1118, 1122, 1124)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만으로 전송율 할당이 가능하다면, 즉 할당된 전송율의 변화가 이전 전송율에 비해 한단계 이하일 경우는, 기지국(1102)은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할 수가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일정 주기는 시스템에서 고정된 값이 사용되거나 또는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설정 과정을 통하여 상위 계층에서 제어 신호를 통해 설정된 값이 사용된다.
이하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역방향 전송율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1202)에서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 4실시예의 경우 상기의 판단은 현재 구간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인지 또는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은 통신이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지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 또한 이전 소정 구간 이내에 단말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인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구간이라면, 기지국은 과정(1204)으로 진행하여 현재 구간에서 단말에게 할당할 전송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전송율을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미리 판별한 이전 전송율과 한단계 이하의 차이를 가지도록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과정(1204)에서 기지국은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높으면 과정(1208)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1로 매핑하고,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면 과정(1210)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0'으로 매핑하고,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면 과정(1212)에서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1'로 매핑하게 된다.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는 과정(1214)에서 전송된다.
반면 상기 과정(1202)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이라면, 기지국은 과정(1216)으로 진행하여 이전 전송율을 판별한 후 과정(1218)에서 단말에게 할당할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과정(1220)에서는 상기 두 전송율들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한단계보다 크게 되면 과정(122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과정(1206)으로 진행한다. 과정(1206)으로 진행한 경우에 대한 동작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과정(1222)으로 진행한 경우, 기지국은 상기 현재 전송율을 전송율 지시 정보로 매핑한다.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는 과정(1224)에서 단말에게 전송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과정(1302)에서 단말은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은 현재 구간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인지 또는 기지국으로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구간은 통신이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지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 또한 이전 소정 구간 이내에 단말 상태 정보를 전송하였으면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인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이 아니라면 단말은 과정(1304)으로 진행하여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한다.
과정(1306)에서 단말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결과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증가를 의미하는 경우, 과정(1308)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0인 경우 과정(1308)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며, -1인 경우 과정(1312)에서 현재 전송율이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말은 과정(1314)에서 이전 전송율을 판별하고 과정(1316)에서 상기 과정들(1308, 1310, 1312)의 판단 결과와 상기 이전 전송율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게 된다.
반면 과정(1302)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이라면, 단말은 과정(1318)으로 진행하여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 과정(1320)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함께 전송된 단말의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정(1304)으로 가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전 전송율에 따라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반면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는 경우, 과정(1322)으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전송율 지시자 정보에 따라 현재 전송율을 결정한다.
상기한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경우, 기지국 송신장치와 단말 송신장치의 구조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다. 단지 기지국 송신장치의 송신 제어기(622)는 각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정해지는 주기, 상태정보의 수신 여부 및 현재 전송율과 이전 전송율의 차이에 따라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단말 수신장치의 수신 제어기(820)는 각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식별자의 일치 여부, 미리 정해지는 주기, 상태정보의 전송 여부에 따라 현재 구간에서 전송율 지시 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은 어느 정도 구체적일 수 있으나 상기 기술에 한정적이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방법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 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E-DCH를 사용하는 비동기 WCDMA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율 스케쥴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가능하게 하여 스케쥴링의 탄력성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전송율 할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전송율 지시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단말의 수신 부담을 감소시킨다.

Claims (48)

  1.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을 위해 역방향 채널의 허용 가능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현재 전송율을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보다 크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 이하이면, 상기 현재 전송율의 상기 이전 전송율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역방향 전송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 가능한 복수 단계의 전송율들을 저장하는 전송율 테이블에서 상기 현재 전송율에 해당하는 단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에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대한 에러정정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정정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에 테일 비트를 부가하여 길쌈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길쌈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율 지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높으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증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과 동일한 단계이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유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낮으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감소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반복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율 지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나타내는 전송율에 따라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채널의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포함된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조정하거나 유지함으로써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역방향 전송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 가능한 복수 단계의 전송율들을 저장하는 전송율 테이블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해당하는 단계의 전송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은,
    전송율 지시 채널의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단계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비터비 복호하는 단계와,
    상기 비터비 복호된 데이터에 대해 오류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검사 결과 획득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증가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증가시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유지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게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감소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감소시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을 위해 역방향 채널의 허용 가능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현재 구간에서 상기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이전 전송율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 보다 크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지 않거나, 상기 차이가 한단계 이하이면, 상기 현재 전송율의 상기 이전 전송율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거나,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역방향 전송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 가능한 복수 단계의 전송율들을 저장하는 전송율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단계의 전송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다중화하는 단계와,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에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대한 에러정정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정정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에 테일 비트를 부가하여 길쌈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길쌈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율 지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높으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증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과 동일한 단계이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유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낮으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감소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반복 부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전송율 지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구간에서 현재 구간의 역방향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나타내는 전송율에 따라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채널의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조정하거나 유지함으로써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상태 정보를 송신하였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거나,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를 송신하였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역방향 전송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 가능한 복수 단계의 전송율들을 저장하는 전송율 테이블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해당하는 단계의 전송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은,
    전송율 지시 채널의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단계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비터비 복호하는 단계와,
    상기 비터비 복호된 데이터에 대해 오류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검사 결과 획득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7. 삭제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증가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증가시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유지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게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감소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감소시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전송율 지시 채널의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단계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반복 복호하여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전송율 지시 채널의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단계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반복 복호하여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1.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기지국 송신장치에 있어서,
    현재 구간에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을 위해 결정된 역방향 채널의 허용 가능한 현재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송신 제어기와,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율 지시 정보 생성기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제1 송신기와,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현재 전송율을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과 비교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의 상기 이전 전송율에 대한 변화를 나타내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생성기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제2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기는,
    상기 현재 전송율과 상기 이전 전송율의 차이가 한단계보다 크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기는,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기는,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기는,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거나,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로부터 단말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송율은,
    상기 역방향 전송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 가능한 복수 단계의 전송율들을 저장하는 전송율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단계의 전송율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기는,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에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대한 에러정정 정보를 부가하는 에러정정 정보 부가기와,
    상기 에러정정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에 테일 비트를 부가하는 테일 비트 부가기와,
    상기 테일 비트 부가기의 출력 데이터를 길쌈 부호화하는 길쌈 부호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생성기는,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높으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증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과 동일한 단계이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유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전송율이 상기 이전 전송율보다 한단계만큼 낮으면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감소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기는,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반복 부호화하는 반복 부호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0.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에 의해 역방향 전송율을 할당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율의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수신장치에 있어서,
    현재 구간에서 현재 구간의 역방향 전송율을 나타내는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수신 제어기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기와,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가 나타내는 전송율에 따라 역방향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역방향 채널의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전송율 지시 정보 분석기와,
    상기 현재 구간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지 않거나 상기 단말 식별자가 자신의 것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기와,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에 따라 상기 역방향 채널의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조정하거나 유지함으로써 상기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기는,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단말 식별자가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일치하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기는,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기는,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상태 정보를 송신하였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기는,
    상기 현재 구간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지는 주기적인 시간구간이거나, 미리 정해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기지국으로 단말 상태 정보를 송신하였으면,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 분석기는,
    상기 역방향 전송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 가능한 복수 단계의 전송율들을 저장하는 전송율 테이블에서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에 해당하는 단계의 전송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6.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기는,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소율 지시 채널의 수신신호를 비터비 복호하는 비터비 복호기와,
    상기 비터비 복호된 데이터에 대해 오류 검사를 수행하는 오류정정 정보 확인부와,
    상기 오류 검사 결과 획득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전송율 지시 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는 역다중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7.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 분석기는,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증가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증가시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유지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과 동일하게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가 감소를 나타내면 상기 이전 전송율을 한단계만큼 감소시켜 현재 전송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8.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기는,
    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율 지시 채널의 수신신호를 반복 복호하여 상기 전송율 증가/감소 정보를 추출하는 반복 복호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KR20030068954A 2003-10-02 2003-10-02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1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8954A KR100712323B1 (ko) 2003-10-02 2003-10-02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ES10012832T ES2769537T3 (es) 2003-10-02 2004-10-01 Procedimiento y aparato de programación de velocidades de enlace ascendente de forma adaptativa a una rampa de velocidad rápida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por paquetes
JP2004290419A JP4185035B2 (ja) 2003-10-02 2004-10-01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で速い転送レート変化を支援する逆方向転送レート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装置
US10/956,926 US7899009B2 (en) 2003-10-02 2004-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rates adaptively to fast rate ramping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EP10012832.1A EP2309687B1 (en) 2003-10-02 2004-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rates adaptively to fast rate ramping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EP20040023417 EP1521408B1 (en) 2003-10-02 2004-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rates adaptively to fast rate ramping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CNB2004100757319A CN100418310C (zh) 2003-10-02 2004-10-08 用于在分组通信系统中调度上行链路速率的方法及设备
US13/036,797 US8149779B2 (en) 2003-10-02 2011-02-28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rates adaptively to fast rate ramping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8954A KR100712323B1 (ko) 2003-10-02 2003-10-02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954A KR20050032954A (ko) 2005-04-08
KR100712323B1 true KR100712323B1 (ko) 2007-05-02

Family

ID=3430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89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2323B1 (ko) 2003-10-02 2003-10-02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899009B2 (ko)
EP (2) EP1521408B1 (ko)
JP (1) JP4185035B2 (ko)
KR (1) KR100712323B1 (ko)
CN (1) CN100418310C (ko)
ES (1) ES2769537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695A (ko) * 2020-07-09 2022-01-1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채널 적응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2102C (en) * 2001-03-26 2010-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00884B1 (ko) * 2001-03-29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송신 제어 방법
CN102014443B (zh) * 2003-05-10 2012-05-23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控制反向话务速率的装置和方法
KR100703487B1 (ko) * 2004-04-2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Umts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운용방법
JP4413966B2 (ja) * 2005-04-20 2010-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品質判定方法、移動局、基地局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735271B1 (ko) * 2005-04-25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와 그의 전송률 제어 방법
KR100800794B1 (ko) 2005-07-01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망을 통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의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650561B1 (en) * 2005-07-12 2010-01-19 Seagate Technology Llc Method of switching from parallel to serial MAP detector
JP2007028637A (ja) * 2005-07-19 2007-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リンク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AP2557A (en) 2005-08-05 2013-01-18 Nokia Corp Coordinating uplink control channel gating with channel quality indicator reporting
EP1962537B1 (en) * 2005-12-14 2011-05-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EP1982478B1 (en) * 2006-02-06 2019-03-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erformance optimization for an uplink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624327B2 (en) * 2006-04-03 2009-11-24 Sigma Designs, Inc. Fast decoder and method for front end of convolutionally encoded information stream
US7746961B2 (en) 2006-04-11 2010-06-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fficient detection of predetermined sequences
ES2414630T3 (es) * 2006-05-17 2013-07-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signación de tasa de transmisión repetida en una red de telecomunicaciones radio
JP4504410B2 (ja) 2006-10-20 2010-07-14 イノヴァティヴ ソニック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アップリンク伝送チャネル構成を設定する方法及び装置
JP4937155B2 (ja) * 2008-02-08 2012-05-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KR100939722B1 (ko) 2008-08-11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EP2596670B1 (en) * 2010-07-21 2020-02-26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sition of a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resource
CN102143052B (zh) * 2010-11-08 2013-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损带宽调整方法、设备及系统
WO2014131018A1 (en) * 2013-02-25 2014-08-28 Zte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of downstream forward error correction on-off control in xg-pon1 and ng-pon2 twdm-pon systems
WO2014157857A1 (en) * 2013-03-25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forward error correction
CN105406949B (zh) * 2015-11-27 2019-04-16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KR102685285B1 (ko) * 2016-07-14 2024-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19487B2 (en) * 2017-12-11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high efficiency 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SE545267C2 (en) 2018-01-26 2023-06-13 Livestreaming Sweden Ab Adaptive bitrate adjustments of media streams for live over the top distribution
CN116686334A (zh) * 2021-01-09 2023-09-01 高通股份有限公司 针对上行链路数据停滞的检测和缓解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96A (ko) * 1997-06-28 1999-01-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통화채널 프레임 레이트 결정방법
US6141353A (en) 1994-09-15 2000-10-31 Oki Telecom, Inc. Subsequent frame variable data rate indication method for various variable data rate systems
KR20020076652A (ko) * 2001-03-29 2002-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송신 제어 방법
KR20020093328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시디엠에이 방식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 채널스케줄링 방법
WO2003015310A1 (en) 2001-08-07 2003-0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ethod for supporting variable data rates in a cdma system
KR20030068954A (ko) * 2002-02-19 2003-08-25 정성훈 밸브의 유량표시기
KR20040064864A (ko) * 2003-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장치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0133A (en) * 1996-11-05 1999-09-0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daptive communication network
US6335922B1 (en) * 1997-02-11 2002-0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rate scheduling
DE69904107D1 (de) * 1998-04-30 2003-01-09 Roke Manor Research Leistungsregelung und Übertragungsrate-Verfahren für ein Mobilfunkübertragungssystem
GB9818378D0 (en) * 1998-08-21 1998-10-21 Nokia Mobile Phones Ltd Receiver
DE69915854T2 (de) * 1998-10-27 2005-03-17 Siemens Ag Verfahren und apparat zur verbesserten signalrückgewinnung in cdma-systemen
CN1284395C (zh) * 1998-11-09 2006-11-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移动通信系统的备用多址控制设备和方法
JP3344373B2 (ja) * 1999-07-09 2002-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DE69938546T2 (de) * 1999-07-12 2009-08-20 Lucent Technologies Inc. Universales Mobiltelefonsystem Netzwerk (UMTS) mit verbessertem Verfahren für Ratenanpassung
KR100383572B1 (ko) * 2000-06-28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6819660B2 (en) * 2000-11-30 2004-11-16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ptimum data rate on the reverse supplementa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230978B2 (en) * 2000-12-29 2007-06-12 Infineon Technologies Ag Channel CODEC processor configurable for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s standards
US6741862B2 (en) 2001-02-07 2004-05-25 Airvana, Inc. Enhanced reverse-link rate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020159434A1 (en) * 2001-02-12 2002-10-31 Eleven Engineering Inc. Multipoint short range radio frequency system
ES2287195T3 (es) * 2001-02-12 2007-12-16 Lg Electronics Inc. Control de la tasa de transmision de datos en el enlace inverso en cada estacion movil de manera dedicada.
EP1244240B1 (en) * 2001-03-21 2010-11-10 LG Electronics, Inc. Retransmission of data through a reverse link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utomatic repeat request
US6915473B2 (en) * 2001-05-14 2005-07-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icit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US7158504B2 (en) * 2001-05-21 2007-01-02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mode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forward and/or reverse 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US7283482B2 (en) * 2001-08-14 2007-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vers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031254B2 (en) * 2002-01-25 2006-04-18 Lucent Technologies Inc. R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link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150683C (zh) * 2002-04-28 2004-05-19 武汉汉网高技术有限公司 码分多址通信系统中上行分组传输速率控制方法
US7680216B2 (en) * 2002-07-01 2010-03-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thresholds for high speed downlink shared control channel (HS-SCCH) (part I) detection schemes
US7505534B1 (en) * 2002-11-04 2009-03-1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discontinuous transmission, frame erasure, and rate
KR20050110617A (ko) * 2003-01-10 2005-11-2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레이트 제어
US20040219919A1 (en) * 2003-04-30 2004-11-04 Nicholas Whinnett Management of uplink scheduling m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014443B (zh) * 2003-05-10 2012-05-23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控制反向话务速率的装置和方法
KR101009861B1 (ko) 2003-08-19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전송률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050043052A1 (en) * 2003-08-20 2005-02-24 Whinnett Nicholas W. Method of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353A (en) 1994-09-15 2000-10-31 Oki Telecom, Inc. Subsequent frame variable data rate indication method for various variable data rate systems
KR19990004496A (ko) * 1997-06-28 1999-01-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통화채널 프레임 레이트 결정방법
KR20020076652A (ko) * 2001-03-29 2002-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송신 제어 방법
KR20020093328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시디엠에이 방식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 채널스케줄링 방법
WO2003015310A1 (en) 2001-08-07 2003-0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ethod for supporting variable data rates in a cdma system
KR20030068954A (ko) * 2002-02-19 2003-08-25 정성훈 밸브의 유량표시기
KR20040064864A (ko) * 2003-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속도 제어 장치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76652
1020030068954 - 72220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695A (ko) * 2020-07-09 2022-01-1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채널 적응 전송 방법
KR102371444B1 (ko) 2020-07-09 2022-03-0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채널 적응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1408A2 (en) 2005-04-06
EP1521408A3 (en) 2006-01-11
JP4185035B2 (ja) 2008-11-19
US7899009B2 (en) 2011-03-01
US20050117519A1 (en) 2005-06-02
US8149779B2 (en) 2012-04-03
CN1652479A (zh) 2005-08-10
EP2309687A1 (en) 2011-04-13
EP2309687B1 (en) 2019-12-04
US20110149916A1 (en) 2011-06-23
EP1521408B1 (en) 2013-03-20
KR20050032954A (ko) 2005-04-08
CN100418310C (zh) 2008-09-10
ES2769537T3 (es) 2020-06-26
JP2005117654A (ja)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323B1 (ko)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빠른 전송율 변화를 지원하는 역방향 전송율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1006634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상태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US12107690B2 (en) Autonomous transmission for extended coverage
KR100651548B1 (ko)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장치
RU2384962C2 (ru) Передача информ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CN1860808B (zh) 传输数据的方法
JP4834174B2 (ja) スティッキーな割り当て(stickyassignment)の間にギャップ表示を与える方法
AU20052296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data transmission for mobile station in soft handover reg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7819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용 물리 채널들의 이득인자 설정방법 및 장치
KR2005008156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역방향 전용채널을 통한스케쥴링 정보의 전송방법 및 장치
CA26221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KR2007007623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 방법 및 장치
CN102124679A (zh) 用于在网络中通信的方法,次站及其系统
KR1011749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스케쥴링 그랜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U230537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 обратной линии связи, использующей идентификатор оборудова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поддерживающей службу пакет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 обратной линии связи
KR10092907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단말을 위한 역방향 데이터 전송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060061199A (ko) 패킷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뢰도높은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6009155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비 스케쥴링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60087244A (ko) 패킷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뢰도높은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60054658A (ko)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단말의 제어 정보 시그널링 방법및 장치
CN116803036A (zh) 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和方法
KR20060024310A (ko)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전송 시간의 차이에 따른순방향, 역방향 복합 재전송 프로세스의 연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5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0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