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490B1 - Fixing device for fixed flash of moving part of mov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fixed flash of moving part of mov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1490B1 KR100711490B1 KR1020010017603A KR20010017603A KR100711490B1 KR 100711490 B1 KR100711490 B1 KR 100711490B1 KR 1020010017603 A KR1020010017603 A KR 1020010017603A KR 20010017603 A KR20010017603 A KR 20010017603A KR 100711490 B1 KR100711490 B1 KR 100711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ushing
- fixed
- running
- frame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8/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he permanent way of railways; 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ramway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커와 같은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part of the flashlight removal device of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tacker.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설비의 스토퍼 프레임(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주행레일(30) 근처의 고착광(40)들을 파쇄 제거하는 파쇄날(68)을 갖춘 파쇄수단(50) 및, 상기 파쇄수단(50)의 후방으로 파쇄된 낙광(40)들을 주행레일(30)의 외곽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되는 호형 크리너(70)를 구비하는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rushing means 5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frame 20 of the mobile installation having a crushing blade 68 for crushing and removing the fixed light 40 near the running rail 30, Provided with a fixed portion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having an arc-shaped cleaner 70 is installed to push the fall light 40 crushed to the rear of the crushing means 50 to the outside of the running rail (30).
따라서, 스테커와 같은 이동설비가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됨으로서, 이동설비에 의한 원료의 야드 적치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obile equipment such as the stacker is more stably running along the running rai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yard loading operation of the raw material by the mobile equipment is made more smoothly.
이동설비, 스테커, 크리너, 고착광, 주행부, 주행레일, 고착광 제거장치Moving equipment, Stacker, Cleaner, Fixing light, Running part, Running rail, Fixing light removing devic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설비인 스테커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cker which is a general mobile equipment
도 2는 종래 스테커의 주행부에서 고착광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ed light is removed from the travel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stack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light removal device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mobil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light removal device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moving equipment
도 5는 본 발명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unning portion fixed light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ors moving equip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고착광 제거장치 10.... 스테커1 .... High Gloss Eliminator 10 .... Stacker
20.... 스토퍼 프레임 30.... 주행레일20 ....
40.... 고착광 50.... 파쇄수단40 .... Highly luminous 50 .... Shredding means
56.... 메인스프로켓 60.... 회전축56 ..
62.... 구동휠 64.... 체인62 .... drive wheel 64 .... chain
68.... 파쇄날 69.... 파쇄휠 68 .... Shredding Blade 69 .... Shredding Wheel
70.... 호형 크리너 80.... 보조 파쇄수단70 .... Arc cleaner 80 .... Auxiliary shredding means
82.... 지지축
82 .... support shaft
본 발명은 원료의 야드 적치용 스테커(STACKER)와 같은 이동설비의 주행레일에 쌓인 고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고착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벨트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야드에 적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테커의 주행레일에 고착된 낙광을 스테커의 이동중에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스테커의 설비파손을 방지하면서 이동설비의 원활한 주행을 수행토록 하는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flashing light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fixed flashing light accumulated on the running rail of the mobile equipment such as stacker for loading the yards of the raw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the belt conveyor The fixed light removal device of the moving part of the moving equipment to smoothly run the moving equipment while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stacker by effectively removing the falling lights stuck to the running rail of the stack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acker.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벨트 콘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원료를 야드에 적치할때, 원료의 조건, 예를 들어 원료의 수분함량 또는 원료의 성질 등과 같은 조건과 설비상태 예를 들어, 벨트 콘베이어 사행 및 절손 등의 조건이 원료의 운송후 야드 적치시 낙광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In general, when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the belt conveyor is applied to the yard, the conditions of the raw material, for exampl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aw material or the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and the conditions of the installation, for example, the belt conveyor meandering and loss After transportation of the raw material, the yards are the main cause of the falling light.
한편, 도 1에서는 벨트 콘베이어로서 이송된 원료를 공장의 야드에 적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테커(STACKER)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스테커(100)는 벨트 콘베이어(110)로 부터 이송된 원료를 야드에 적치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 shows a stacker (STACKER) used for placing the raw material transferred as a belt conveyor in the yard of the factory, such a
그런데, 통상적으로 이송된 원료의 적치 작업시 벨트 콘베이어(1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료는 시간당 6,000 T/H 내외의 상당히 많은 량이고, 이와 같은 많은 양의 원료를 스테커(100)의 경사부를 지나서 야드 적치할 때에는 다량의 원료가 스테커(100)의 외곽으로 떨어지면서 스테커(100)의 주행부 즉, 주행휠(102)과 주행레일(104) 근처에 떨어지고 시간이 지나면 떨어진 원료 즉, 낙광들이 주행부에 고착된다.By the way, the raw material conveyed through the
따라서, 이와 같이 스테커(100)의 주행부(102)(104)에 고착된 고착광(120)은 스테커(100)와 같은 이동설비의 주행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없게 하고, 심한 경우 스테커(100)의 주행휠(102)이 주행레일(104)에서 이탈되는 심각한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고,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고착광(120)에 따른 스테커(100) 주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크리너장치를 도시하고 있다.Therefore, the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 스테커(100)와 같은 이동설비의 주행부에 떨어진 고착광(120)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이동설비인 스테커(100)의 주행휠 (102)이 설치된 스토퍼 프레임(106)의 하측으로 크리너(130)를 설치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remove the
따라서, 스테커(100)가 주행하면 주행레일(104) 근처의 고착광(120)은 스테커(100)와 일체로 전진 이동하는 크리너(130)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설비에 장착된 크리너(130)에 있어서는, 주행레일(2)의 상측으로 단순히 판으로 된 크리너(130)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주행레일 근처의 고착광(120)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고착되어 딱딱하게 된 고착광(120)을 거의 제거되지 않는 것이다.
However, in the
즉, 크리너(130) 자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낙광량이 많으면 제대로 고착광(낙광)을 제거할 수 없고, 원료중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죽광이 이송 적치되면서 주행부근체에 떨어지면 굳어지면서 상당히 딱딱하게 되어, 오히려 크리너(130)가 손쉽게 파손되거나, 주행부 즉, 스테커(100)의 주행휠(102)부분이 충돌하면서 설비손상 또는 심한경우 주행휠(102)이 주행레일(104)에서 이탈되는 심각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확실하게 방지시킬 수 없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size of the
따라서, 스테커(100)와 같은 이동설비의 주행부에 떨어진 낙광중 딱딱하게 된 고착광을 파쇄시키면서 제거하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Therefore,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remove the hardened solidified light during the fall of falling on the running part of the mobile equipment such as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테커와 같은 이동설비의 주행부에 떨어진 낙광 또는 떨어진후 수분함량에 따라 고착된 고착광을 파쇄시키면서 제거하여 이동설비의 주행을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various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move while removing the falling light falling on the running part of the mobile equipment such as a stacker or fixed fixed light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after fall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ed light removal device for a running part of a mobile device, which enables to smoothly and smoothly run a facil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광석등과 같은 원료를 야드에 적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테커와 같은 이동설비에 있어서, 상기 스테커의 스토퍼 프레임 선단부 하측으로 설치되고, 이동설비가 이동 하는 주행레일 근처의 고착광들을 파쇄 제거하는 파쇄날을 갖춘 파쇄수단 및, 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bile equipment such as a stacker used to deposit raw materials such as ore in the yard, is provided below the stopper frame tip of the stacker, Shredding means having a shredding blade for shredding the fixed light near the running rail to which the mobile equipment moves,
상기 파쇄수단의 후방으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어 파쇄 제거된 낙광들을 주행레일의 외곽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되는 호형 크리너를 포함하는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By providing a fixed light removal device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mobile installation including an arc-shaped cleaner that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to the rear of the crushing means to remove the falling crushed fall out of the running rail.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portion of the running light removal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ed portion of the moving light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1)는 크게 파쇄수단(50) 및 호형 크리너(70)로서 이루어 지는데, 이들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and 4, the moving part fixed
먼저, 상기 파쇄수단(50)은 상기 스테커(10)의 주행휠(12)이 설치되는 스토퍼 프레임(20)의 선단부 하측으로 설치되는데, 실질적으로 상기 주행휠(12)이 이동하는 주행레일(30) 근처의 고착광(40)을 고착광(40)들을 파쇄 제거하는 파쇄날(68)을 파쇄수단(50)은 구비한다.First, the crushing means 50 is installed below the tip of the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의 선단부 상측에 설치된 구동모터(52)와 체인(54) 연결되는 메인스프로켓(56)이 중앙에 장착되는 회전축(60)은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장착된 좌우 양측의 베어링블록(63a)(638b)사이에 회전토록 장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회전축(60)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구동휠(62)의 일측면에는 일체로 체인기어(6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휠(62)의 체인기어(62a)와 체결되는 체인(64)이 연결되는 체인기어(69a)는 파쇄휠(68)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파쇄휠(69)은 상기 프레임(20)에 연결된 고정대(66a)의 하부에 수평 고정된 지지축(66)의 양단부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어링 및 스톱링등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토록 고정되어야 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주행레일(30) 근처에 떨어진 낙광 또는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딱딱하게 굳은 고착광(40)을 파쇄 제거토록 하는 상기 파쇄날(68)은 상기 파쇄휠 (69)의 주연을 따라 복수개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다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호형 크리너(70)는 상기 파쇄수단(40)의 후방으로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파쇄휠(69)의 구동으로 회전하면서 파쇄날(68)에 의하여 파쇄 제거된 고착광(40)들을 상기 주행레일(30)의 외곽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호형 크리너(70)는 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된 수직대(72)의 하부에 한쌍으로 전방이 좁고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호형의 판으로 장착된다.3 and 4, the
또한, 상기 프레임(20)에는 각각의 스프로켓들과 체인에 고착광(40)이 파쇄되면서 발생되는 먼지등이 끼이면서 누적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90)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install a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1)는 종래 단순한 크리너만을 통하여 이동설비 즉, 스테커(10)의 주행부분에 스테커(10)를 통한 광석의 야드 적치시 떨어진 낙광 또는 낙광후 수분이 증발되면서 딱딱하게 굳어지는 낙광(40)을 제거하는 별도의 파쇄수단(50)을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fixed
즉, 스테커(10)가 주행레일(30)을 따라 주행휠(12)이 회전하여 스테커(10)가 전진되는 시점에서, 작업자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주행휠(12)이 설치되는 전방의 스토퍼 프레임(2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52)를 회전시킨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2)의 축에 설치된 모터측에 고정된 스프로켓(52a)은 회전하여 일체로 체인(54)을 구동시키어 회전축(60)에 장착된 메인 스프로켓(56)을 회전시키고, 결국 상기 회전축(60)의 양단부에 고정된 구동휠(62)이 일체로 회전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구동휠(62)은 상기 프레임(20)상에 장착된 베어링블록(63a)(63b)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회전축(6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메인 스프로켓(56)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작동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구동휠(62)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인기어(62a)와 상기 프레임 (20)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파쇄휠(69)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인기어(69a)에는 체인(64)이 체결됨으로서, 상기 구동휠(62)이 구동되면 일체로 체인(64)을 통하여 파쇄휠(69)이 회전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이때, 상기 파쇄휠(69)의 원주를 따라서는 톱니와 같은 파쇄날(68)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테커(10)가 이동하면서 구동모터(52)의 구동으로 파쇄날 (68)들이 회전하여 주행휠(12) 전방에서 고착광(40)들을 미리 파쇄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crushing
다음, 상기 파쇄휠(69)의 후방에는 호형의 크리너(70)가 설치되어 있어 주행휠(12) 보다 먼저 이동하면서 파쇄 제거된 고착광(40)을 주행레일(30)의 외곽으로 밀어내면서 주행휠(12)의 주행을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한다.Next, an arc-shaped
이때, 상기 프레임(20)의 상측에는 커버(90)를 설치하여 파쇄작동에 따른 먼지등의 이물질이 가능한 스프로켓 과 체인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다음,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고착광 제거장치는 상기 파쇄휠(69)의 전방으로 프레임(20)의 하부에 수직 장착된 지지축(82)에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어링 및 스톱링등을 개재하여 단순히 공회전 가능하게 보조 파쇄수단인 상기 파쇄휠(69) 보다는 그 직경이 작지만, 고착광 (40)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한 다른 보조 파쇄휠(80)을 설치한 것이다.Next, 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ed light removing device of the travel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device. The fixed light removing device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파쇄휠(69)은 고착광(40)의 상부를 단순히 공회전하면서 1차적으로 파쇄하고, 그 다음 모터로서 구동되어 보다 강력한 파쇄휠(69)로서 고착광(40)의 전체부분을 파쇄 제거토록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보조 파쇄휠(80)을 갖춤으로서, 고착광(40)의 고착 높이가 높을때 또는 그 고 착상태가 보다 딱딱할 때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파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Thus, as shown in FIG. 5, the auxiliary crushing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1)에 의하면, 스테커와 같은 이동설비가 주행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 주행레일(30)에 쌓인 낙광 또는 고착광(40)들은 먼저 파쇄 제거한후 주행토록 함으로서, 이동설비의 주행이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raveling part fixed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이동설비의 주행부 고착광 제거장치에 의하면, 이동설비인 스테커의 스토퍼 프레임 양측으로 주행레일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구동되는 파쇄날을 갖는 파쇄휠이 설치됨으로서, 이동설비의 주행부 근처에 많은 양의 낙광이 발생되어도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이동설비의 주행을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Thus, according to the fixed light removal device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ing wheel having a crushing blade that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running rail and rotated to both sides of the stopper frame of the mobile device is installed, the running of the mobile equipment Even if a large amount of fall occurs near the site, it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effect to stably run the mobile equipment.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 would like to know that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is can easily know.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7603A KR100711490B1 (en) | 2001-04-03 | 2001-04-03 | Fixing device for fixed flash of moving part of mov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7603A KR100711490B1 (en) | 2001-04-03 | 2001-04-03 | Fixing device for fixed flash of moving part of mov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8487A KR20020078487A (en) | 2002-10-19 |
KR100711490B1 true KR100711490B1 (en) | 2007-04-24 |
Family
ID=2769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7603A KR100711490B1 (en) | 2001-04-03 | 2001-04-03 | Fixing device for fixed flash of moving part of mov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14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9673B1 (en) * | 2010-01-28 | 2012-06-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Barricading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
KR101277542B1 (en) * | 2011-06-29 | 2013-06-2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Device for providing material |
KR101357548B1 (en) * | 2011-10-28 | 2014-02-1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Reclaimer |
KR101298757B1 (en) * | 2012-01-31 | 2013-08-2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Drop ore remov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
KR101396241B1 (en) * | 2012-12-17 | 2014-05-19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removing fallen ore on rail of unloader |
CN114684205B (en) * | 2022-03-25 | 2022-10-18 | 浙江海盐力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Novel fuel cell tunnel tracto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01014A (en) * | 1977-09-09 | 1978-07-18 | Matheson Stuart C | Apparatus for removing ice and sleet from a third rail of an electrified railway vehicle |
US4294046A (en) * | 1980-03-26 | 1981-10-13 | Luigi Damiano | Traveling tool carrier for severing railway spikes |
US4741072A (en) * | 1987-02-17 | 1988-05-03 | Wilkerson Kenneth R | Railroad track cleaner |
US5579553A (en) * | 1995-07-17 | 1996-12-03 | Holley Engineering Company, Inc. | Ballast broom with auger and method |
KR0139017Y1 (en) * | 1996-12-17 | 1999-05-01 | 대우자동차주식회사 | Brush for cleaning side bogie rail |
KR20040051482A (en) * | 2002-12-11 | 2004-06-18 | 가부시키가이샤 쓰리에프기켄 | Apparatus for processing side surfaces of track rail |
-
2001
- 2001-04-03 KR KR1020010017603A patent/KR10071149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01014A (en) * | 1977-09-09 | 1978-07-18 | Matheson Stuart C | Apparatus for removing ice and sleet from a third rail of an electrified railway vehicle |
US4294046A (en) * | 1980-03-26 | 1981-10-13 | Luigi Damiano | Traveling tool carrier for severing railway spikes |
US4741072A (en) * | 1987-02-17 | 1988-05-03 | Wilkerson Kenneth R | Railroad track cleaner |
US5579553A (en) * | 1995-07-17 | 1996-12-03 | Holley Engineering Company, Inc. | Ballast broom with auger and method |
KR0139017Y1 (en) * | 1996-12-17 | 1999-05-01 | 대우자동차주식회사 | Brush for cleaning side bogie rail |
KR20040051482A (en) * | 2002-12-11 | 2004-06-18 | 가부시키가이샤 쓰리에프기켄 | Apparatus for processing side surfaces of track ra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8487A (en) | 2002-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1490B1 (en) | Fixing device for fixed flash of moving part of moving equipment | |
US20040146381A1 (en) | Silo unloader | |
US3306476A (en) | Apparatus for reclaiming particulate material | |
KR200436515Y1 (en) | Selective mixing transfer device of crushed aggregate | |
KR200195222Y1 (en) | crushed waste pole steel scrap selector conveyer system | |
JP6514472B2 (en) | Crusher for old tires | |
KR101222102B1 (en) | Spraying apparatus of snow clearing agent | |
KR102462214B1 (en) | Distributing device for stabilizing fly ash | |
KR101357548B1 (en) | Reclaimer | |
JPH07215433A (en) | Bucket elevator | |
KR200229376Y1 (en) | The protective cover of sprocket in the dust removal machine | |
CN2576677Y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dropped coal at tail part of belt conveyer | |
KR0135754Y1 (en) | Device for removing fallen coal | |
KR20020041063A (en) | Removing device of ice on conveyor belt | |
KR20050048840A (en) | Device for selective filtering annexed to conveyor | |
JPH06239445A (en) | Conveyor container reversing device | |
SU1408008A1 (en) | Crushed stone cleaning machine | |
CN211643695U (en) | Sludge recovery device | |
KR200216723Y1 (en) | Iron ore or coking coal removal device of iron ore | |
KR102224876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from traveling rail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 |
SU124961A1 (en) | Crushed machine | |
KR200227474Y1 (en) | Rotary Impeller Belt Cleaner | |
US4312441A (en) |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a pile | |
KR101266461B1 (en) | Coal conveyor of leveler | |
KR0123908Y1 (en) |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scraper in a belt convey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4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