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1313B1 -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313B1
KR100711313B1 KR1020050042607A KR20050042607A KR100711313B1 KR 100711313 B1 KR100711313 B1 KR 100711313B1 KR 1020050042607 A KR1020050042607 A KR 1020050042607A KR 20050042607 A KR20050042607 A KR 20050042607A KR 100711313 B1 KR100711313 B1 KR 10071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packet data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519A (ko
Inventor
우대식
박성수
이상신
이동학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31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 휴대인터넷망에서 발신 호 처리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를 요청할 경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접속망을 해제하고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단말의 접속 시도에 따라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접속 설정 과정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 제어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기지국 제어기에서 기지국 시스템을 접속 설정을 통보하는 단계와, 단말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PPP 설정 절차를 진행한 후 의사 렐름 정보를 구성하여 인증 절차를 시도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획득한 렐름 정보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서 인터넷망의 인증/권한검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형성할 인터 워킹 유닛 정보를 인증/권한검증 서버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인터 워킹 유닛간에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형성한 후 인터 워킹 유닛과 사용자 단말간의 PPP 접속을 진행하는 단계와, 사용자 ID와 휴대인터넷망의 액세스 제어 라우터의 서버 도메인을 이용하여 구성한 렐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 인터 워킹 유닛간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인터 워킹 유닛에서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핸드오프 발생을 통보하는 단계와, 액세스 제어 라우터에서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액세스 제어 라우터, 인터 워킹 유닛 관계로 갱신하는 단계와,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할당되었던 IP 정보를 단말에 할당하여 단말, 기지국 제어 시스템, 기지국 제어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인터 워킹 유닛, 액세스 제어 라우터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손실 및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L2TP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간의 핸드오프시 데이터 손실 및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이동성을 제공하면서 각 네트워크의 개별적 운영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핸드오프, WLAN, CDMA2000, WiBro, L2TP

Description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METHOD FOR OPERATING NETWORK LINK WITH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간의 연결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휴대인터넷망에서의 발신 호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인터넷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이동통신망에서 휴대인터넷망으로의 핸드오프 복귀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발신 호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휴대인터넷망으로의 핸드오프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휴대인터넷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 복귀 처리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망 200 : 휴대인터넷망
300 : DCN 400 : 인터넷
10a, 10b : BTS 12 : BSC/PCF
14 : BSS 20a, 20b : RAS
22 : ACR 32 : HA
34 : AAA 36 : 과금서버
52 : PDSN 54 : IWU
본 발명은 3세대(3G)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랜(WLAN : Wireless LAN) 또는 휴대인터넷 네트워크의 시스템 통합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간의 핸드오프(Hand-Off)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 특히 3세대 이동통신 방식인 CDMA2000 망은 하나의 채널로 한 번에 한 통화밖에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디지털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 형태로서,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 후 여기에 난수를 부가하고 여러 개의 디지털 코드로 변환해 통신을 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자의 채널에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만을 인식하기 때문에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통신비밀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인터넷이라 함은, 사용자가 보행 또는 차량 주행 등의 이동환경에서 고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나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서비스를 의미하며, 최근 사업자 선정과 더불어 관련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휴대인터넷은 2.3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로서, 예컨대 WLAN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이 대표적인 휴대인터넷 방식이다.
한편, 사용자들은 네트워크 형태에 구해 받지 않는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보다 저렴하고 경제성 있는 액세스 및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노력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액세스 기술을 채용한 시스템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특히 상술한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효과적인 망 연동 서비스 제공이 주요 이슈(issue)로 제기되었다. 즉, 서로 다른 액세스 시스템간의 망 연동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가장 먼저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 이동통신망(예컨대, 3세대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망(예컨대, WLAN)간에 대한 연동 서비스 표준 개발이다.
하지만, 이들 두 시스템은 서로 독립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서로 다른 규격 및 표준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각 네트워크의 연동을 위해서는 아키텍처, 프로토콜 구조, 이동성, 서비스 품질, 인증, 보안, 과금 등과 같은 다양한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하며, 각 사항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수반되어야 한다.
3세대-WLAN 연동 방식을 망 관점에서 보면 루스 결합(Loosely Coupled) 방식과 타이트 결합(Tightly Coupled) 방식으로 대별된다.
루스 결합 방식은 3세대 네트워크과 WLAN 사용자에 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인증하고, 과금이나 이동성 지원 관리 정책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끊김없는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통합된 사용자 정보를 가져야 하고, 따라서 상이한 두 네트워크 간의 상호 작용기 필요하다. 이를 위해 MIP 기술의 사용이 필요하지만, 공인 IP 자원의 부족이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한편, 타이트 결합 방식은 3세대 코어 네트워크와 WLAN을 직접 통합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WLAN이 3세대 네트워크 장비(UMTS의 경우에는 GGSN, CDMA2000의 경우에는 PDSN)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서, WLAN은 3G 코어 네트워크에게 하나의 3세대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WLAN 게이트웨이에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함께 모든 3세대 프로토콜이 구현되어야 하며 단말에도 역시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과 함께 3세대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여 두 가지 스택을 모두 동시에 사용하거나 두 네트워크 사이에서 핸드오프를 할 경우에 물리 계층을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다.
WLAN에 있는 단말이 보내는 모든 데이터는 3세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내진다. 이 방식에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인증, 신호의 세기, 전송, 과금 등에 대한 동일한 처리를 하게 된다. WLAN 트래픽이 항상 3세대 코어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PDSN, GGSN과 같은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서 증가된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야 하며, 모든 단말에 대해 WLAN 인터페이스에 3세대 프로토콜 스택을 추가적으로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추가 비용이 요구된다.
결국, 전술한 루스 결합 연동 방식은 핸드오프 과정에서의 데이터 손실 및 지연시간이 크다는 문제점을 지니며, 타이트 결합 연동 방식은 이동통신망의 트래 픽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이 필요하여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액세스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통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2TP(Layer2 Tunneling Protoco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간의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손실 및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2TP 인터페이스로 심플(simple) IP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이동성을 제공하면서 각 네트워크의 개별적 운영이 가능한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인터넷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인터넷망에서 발신 호 처리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를 요청할 경우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접속망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접속 설정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 제어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기지국 시스템을 접속 설정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PPP 설정 절차를 진행한 후 의사 렐름 정보를 구성하여 인증 절차를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렐름 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서 인터넷망 의 인증/권한검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형성할 인터 워킹 유닛 정보를 상기 인증/권한검증 서버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상기 인터 워킹 유닛간에 상기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형성한 후 상기 인터 워킹 유닛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PPP 접속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ID와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액세스 제어 라우터의 서버 도메인을 이용하여 구성한 렐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인터 워킹 유닛간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 워킹 유닛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핸드오프 발생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에서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액세스 제어 라우터, 인터 워킹 유닛 관계로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할당되었던 IP 정보를 상기 단말에 할당하여 상기 단말, 상기 기지국 제어 시스템, 상기 기지국 제어기,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상기 인터 워킹 유닛,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휴대인터넷망으로의 핸드오프 복귀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호 처리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휴대인터넷망으로 핸드오프를 요청할 경우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접속망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기본기능을 협상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과 인터넷망의 인증/권한검증 서버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의 수용 정 보 및 벤더 상세정보를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전송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간의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를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를 통해 인터 워킹 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인터 워킹 유닛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따라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 상기 인터 워킹 유닛 관계로 갱신하는 단계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선택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PPP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단말,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 상기 인터 워킹 유닛,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핵심 기술 요지는, 루스 결합 연동 방식과 타이트 결합 연동 방식의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두 개의 망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L2TP 터널을 이용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 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으로는 CDMA2000망을, 휴대통신망으로는 WiBro를 적용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지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연동 구조 및 호 진행 과정은 이들 망 구조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WiBro나 이와 유사한 휴대인터넷망은 WLAN과 근본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본 발명은 WLAN 또는 WiBro와 같은 시스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무선으로 IP 또는 이더넷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단말(1), 이동통신망(100), 휴대인터넷망(200), DCN(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 Data Communication Network)(300), 인터넷(400), PDSN(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 Packet Data Service Node)(52), IWU(인터 워킹 유닛 ; Inter Working Unit)(54)를 포함한다.
도 1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이동통신망(100), 예를 들어 CDMA2000망에서 휴대인터넷망(200), 예를 들어 WiBro망으로의 버티컬(vertical) 핸드오프시에는 IWU(54)가 PDSN(LNS ; L2TP Network Server)(52)에 대해서 LAC(L2TP Access Concentrator)로 동작하고, WiBro망(200)에서 CDMA2000망(100)으로의 버티컬 핸드오프시에는 IWU(54)가 PDSN(LAC)(52)에 대해서 LNS로 동작하도록 하되, IWU(54)에서 단말(1)을 대신하여 PDSN(52)과의 PPP(점 대 점 프로토콜 ; Point-to Point Protocol) 연결을 종결(termination)시키는 PPP 프락시(proxy)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100), 즉 CDMA2000망은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10a)(10b), BSC(Base Station Controller)/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12)로 이루어지는 BSS(기지국 시스템 ; Base Station System)(14)를 포함한다.
여기서 BTS(10a)(10b)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동국(Mobile Station), 즉 단말(1)과 IS-2000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도면에는 두 개의 BTS(10a)(10b)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제 BSS(14) 내에는 다수의 BTS가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BSC/PCF(12)에서 BSC는 기지국 제어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 생략된 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BTS(10a)(10b) 사이에 위치하여 PDSN(52)을 통해 인터넷(400)으로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음성에 대한 보코딩(Vocoding) 기능을 수행한다. PCF는 비경쟁 프레임 전송 방식을 따른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망(100)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인 PDSN(52)에 연결된다. PDSN(52)은 이동통신망(100)에서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 핵심 장비인 동기식 CDMA 패킷 데이터 교환 시스템으로서, CDMA2000-1x, 1xEV-DO 및 그 이상의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비이다.
휴대인터넷망(200)은 RAS(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 Radio Access Station)(20a)(20b), ACR(액세스 제어 라우터 ; Access Controller Router)(22)을 포함한다.
여기서 RAS(20a)(20b)는 유선 네트워크 종단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1)과 송수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RAS(20a)(20b) 역시 상술한 BTS(10a)(10b)와 마찬가지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ACR(22)은 단말(1)과 RAS(20a)(20b)를 제어하고 IP 패킷을 라우팅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때, ACR(22)은 본 실시예에 따라 버티컬 핸드오프시 IWU(54)로 패킷을 전달한다.
IWU(54)는 상술한 ACR(22)과 PDSN(52)을 상호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IWU(54)는 서로 다른 이 기종망간의 연동(이동통신망(100)과 휴대인터넷망(200)간의 연동)을 위해 각자의 망에서 사용되는 서로 다른 규격의 장비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연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IWU(54)는 본 실시예에 따라 버티컬 핸드오프 요청 및 버티컬 핸드오프 후 복귀 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PPP를 사용하는 CDMA망을 위해 단말(1) 대신 PPP 종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L2TP 터널 설정을 위한 LNS 및 LAC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IWU(54)의 동작에 의해 PCF 및 PDSN의 수정 없이 WiBro망(200)과 CDMA망(100)의 연동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IWU(54)와 PDSN(52)에서 LNS 및 LAC 기능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단말(1)은 CDMA2000망에서 패킷 망에 접속한 사용자 ID 정보와 망 정보를 휴대인터넷망(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IWU(54)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PDSN(52)과 L2TP을 설정한 후, 단말(1) 대신 PDSN(52)과 PPP 설정을 하여 PPP 프락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DCN(300)/인터넷(400)은 이동통신망(100) 및 휴대인터넷망(200)과 연결되며, HA(홈 에이전트 ; Home Agent)(32), AAA(인증/권한검증/과금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34), 과금 서버(36)를 포함한다.
HA(32)는 홈 에이전트로서, 홈 네트워크에서 단말(1)의 IP 이동성을 지원하는 망 구성 요소이다.
AAA(34)는 적법한 사용자에 한해 휴대인터넷망(200)에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및 단말(1)에 대한 인증, 권한검증 및 과금을 수행하는 망 구성 요소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단말(1)이 CDMA망(100)에서 최초 접속시에는 BTS(10a)→BSC(12)→PCF→PDSN(52)→DCN(300)/인터넷(400)의 경로로 패킷이 전송되며, 단말(1)이 WiBro망(200)에서 최초 접속시에는 RAS(20a)→ACR(22)→DCN(300)/인터넷(400)의 경로로 패킷이 전송된다.
이와 같은 경로로 서비스 받던 단말(1)이 WiBro망(200)으로 이동하면, 우선 단말(1)은 WiBro망(200)과 접속을 시도한다. 단, 단말(1)은 WiBro와 접속을 시도할 때 자신이 CDMA망(100)에서 넘어왔으며, 연동에 필요한 MIN 정보와 PPP 정보 등을 함께 WiBro망(200)에 알려준다.
해당 정보를 수신한 WiBro망(200)의 ACR(22)은 IWU(54)와의 인터페이스를 통 해 IWU(54)로 PDSN(52)과 L2TP 터널 셋업을 시작하도록 요청한다. 해당 요청을 받은 IWU(54)는 LAC로서 LNS 역할을 수행하는 PDNS(52)에게 L2TP 터널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종료되면 단말(1)은 CDMA망(100)에서 WiBro망(200)으로 이동하였더라도 DCN(300)/인터넷(400)→PDSN(52)→IWU(54)→ACR(22)→RAS(20a)의 경로로 패킷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로로 서비스 받던 단말(1)이 CDMA망(100)으로 이동하면 우선 단말(1)은 CDMA 접속 절차를 시작한다. 단, WiBro망(200)과 CDMA망(100)과의 연동을 위해 단말(1)은 WiBro망(200)에서 획득했던 WiBro망(200) 정보를 NAI의 렐름(Realm)으로 구성하여 PDSN(52)과의 PPP 인증과정시 전송한다. PDSN(52)은 단말(1)이 전송한 렐름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1)이 이전에 접속했었던 WiBro망(200)의 ACR(22)과 IWU(54)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PDSN(52)은 LAC로서 LNS의 역할을 수행하는 IWU로 L2TP 터널을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이 종료되면 IWU(54)는 ACR(22)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ACR(22)에게 패킷 전송 경로를 RAS(20a)가 아닌 IWU(54)로 바꾸도록 요청하고, 이 과정이 끝나면 단말(1)이 WiBro망(200)에서 CDMA망(100)으로 이동하였더라도 DCN(300)/인터넷(400)→ACR(22)→IWU(54)→PDSN(52)→PCF(12)→BSC→BTS(10a)의 경로로 서비스의 중단 없이 패킷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망 연동 과정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7의 흐름도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휴대인터넷망(200), 예를 들어 WiBro망에서의 발신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200)에서 단말(1)은 동기 및 하향링크 파라미터 획득, 상향링크 파라미터 획득, 레인징 및 상향링크 파라미터 조정 등의 무선 링크 초기접속 절차를 진행한다.
이후 단계(S202)에서는 IP 버전, 인증정책, 물리계층에서 단말(1)의 지원 능력 등 기본기능을 협상한다.
단계(S204)에서 RAS(20a)는 AAA(34)와 연동하여 단말(1)과 보안 협약(security association), 인증키 교환, 보안키 교환, EAP TLS 절차 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S206)에서 단말(1)은 ARQ(Automatic Repeat reQuest), IP관리모드, IP버전정보, 벤더(vender) ID정보 등을 포함하는 등록요구에 대해 RAS(20a)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1)의 수용(capability) 정보 및 벤더 상세 정보를 ACR(22)로 전송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S208)에서는 IP 할당방법에 따라 단말(1)에서 사용할 IP를 할당받는다.
이후 단계(S210)에서는 단말(1)과 RAS(20a)간의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진행한다.
따라서 단계(S212)에서와 같이, 단말(1) - RAS(20a) - ACR(22)간에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도 3은 휴대인터넷망(200)에서 이동통신망(100), 예를 들어 CDMA2000망으로의 버티컬 핸드오프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300)에서 단말(1)은 휴대인터넷망(200)의 무선 접속망을 해제하고 이동통신망(100)으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이러한 단말(1)의 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면 BSS(14)는 단계(S302)에서와 같이 A8 접속 설정을 위해 PCF(12)로 A9_Setup_A8을 송신한다.
이후 단계(S304)에서 PCF(12)는 PDSN(52)과 R-P 접속을 설정한다.
PDSN(52)과의 R-P 접속이 설정되면 PCF(12)는 단계(S306)에서와 같이 BSS(14)에 A8 접속이 설정되었음을 통보한다.
단계(S308)에서 단말(1)은 PDSN(52)과 PPP 설정절차를 진행하고, 인증 과정에서 단말(1)은 휴대인터넷망(200)에서 ACR(22)과의 DHCP 설정 중 ACR(22)로부터 수신한 서버 도메인 및 사용자 ID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 렐름(pseudo realm) 정보를 구성한 뒤 이를 이용하여 인증을 시도한다.
단계(S310)에서 PDSN(52)은 AAA(34)에 인증요청시 단말(1)로부터 수신한 렐름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AAA(34)에는 상기 렐름 정보에 포함된 서버 도메인이 L2TP가 가능한 서버 도메인으로 등록되어 있고, 그 도메인에 대해서 L2TP 터널을 형성할 IWU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단계(S312)에서 AAA(34)는 L2TP 터널을 형성할 IWU(54)의 정보를 PDSN(52)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PDSN(52)은 단계(S314)에서와 같이 IWU(54)와 L2TP 터널을 형성하고 단말(1)과 협상한 LCP 정보를 IWU(54)로 전송한다. 이후 IWU(LNS)(54)에서 단말(1)과 PPP 접속을 진행한다.
단계(S316)에서 단말(1)은 IWU(54)와 인증 단계부터 다시 진행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 ID 및 ACR(22)의 서버 도메인을 이용하여 구성한 렐름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이후, 단계(S318)에서 IWU(54)는 각 ACR(22)의 서버 도메인과 IP 정보를 가지고 있고, 단말(1)로부터 수신한 렐름 정보에 포함된 서버 도메인에 해당하는 ACR을 룩업(look-up)하고 해당 ACR에 P-P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휴대인터넷망(200)으로부터의 핸드오프가 발생하였음을 ACR(22)로 통보한다.
그러면 ACR(22)은 단계(S320)에서와 같이, 휴대인터넷망(200)에서 할당했던 단말 정보를 P-P 등록 응답을 통해 송신하고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ACR(22) - RAS(20a) 관계에서 ACR(22) - IWU(54) 관계로 갱신한다.
따라서 IWU(54)는 단계(S322)에서와 같이, 휴대인터넷망(200)에서 단말(1)에 할당했던 IP 정보를 ACR(22)로부터 수신하여 IPCP 과정 중 같은 IP를 단말(1)에 할당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단계(S324)에서는 단말(1) - BSS(14) - PCF(12) - PDSN(52) - IWU(54) - ACR(22)간에 트래픽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IWU(54)는 단말(1)로부터 수신한 PPP 패킷을 ACR(22)이 처리 가능한 패킷으로 변환하여 ACR(22)로 송신하고, ACR(22)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PPP 형태로 변환하여 단말(1)로 전송한다.
도 4는 이동통신망(100)에서 휴대인터넷망(200)으로의 버티컬 핸드오프 복귀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은 단계(S400)에서 단말(1)은 동기 및 하향링크 파라미터 획득, 상향링크 파라미터 획득, 레인징 및 상향링크 파라미터 조정 등의 무선 링크 초기접속 절차를 진행한다.
이후 단계(S402)에서는 IP 버전, 인증정책, 물리계층에서 단말(1)의 지원 능력 등 기본기능을 협상한다.
단계(S404)에서 RAS(20a)는 AAA(34)와 연동하여 단말(1)과 보안 협약(security association), 인증키 교환, 보안키 교환, EAP TLS 절차 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S406)에서 단말(1)은 ARQ(Automatic Repeat reQuest), IP관리모드, IP버전정보, 벤더 ID정보 등을 포함하는 등록요구에 대해 RAS(20a)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1)의 수용 정보 및 벤더 상세정보를 ACR(22)로 전송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단말(1)은 벤더 상세정보 필드에 핸드오프 식별자, MIN값 등을 포함하여 이동통신망(100)으로부터 핸드오프되었음을 ACR(22)로 통보한다.
단계(S408)에서 단말(1)은 IP를 새로 할당받지 않고 기존 IP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후 단계(S410)에서는 단말(1)과 RAS(20a)간의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진행한다.
단계(S412)에서 ACR(22)은 IWU(54)로 P-P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이동 통신망(100)으로부터 핸드오프되었음을 알린다.
이러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IWU(54)는 단계(S414)에서와 같이 휴대인터넷망(200)으로의 복귀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여 P-P 등록 응답 메시지를 ACR(22)로 송신한다. P-P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ACR(22)은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ACR(22) - IWU(54) 관계에서 ACR(22) - RAS(20a) 관계로 갱신한다.
이후 단계(S416)에서 IWU(54)는 단말(1)의 MIN값을 키로 하여 PDSN(52)과 기존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기존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 버티컬 핸드오프 복귀로 판단하여 PDSN(52)과의 L2TP 터널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단계(S418)에서와 같이, 단말(1) - RAS(20a) - ACR(22)간에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도 5는 이동통신망(1)에서의 발신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500)에서 단말(1)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BSS(14)로 접속을 시도하고, BSS(14)와 트래픽 설정 과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BSS(14)와의 트래픽 설정 과정이 이루어지면 BSS(14)는 단계(S502)에서와 같이 A8 접속 설정을 위해 PCF(12)로 A9_Setup_A8을 송신한다.
이후 단계(S504)에서 PCF(12)는 PDSN(52)과 R-P 접속을 설정한다.
PDSN(52)과의 R-P 접속이 설정되면 PCF(12)는 단계(S506)에서와 같이 BSS(14)에 A8 접속이 설정되었음을 통보한다.
단계(S508)에서 단말(1)은 PDSN(52)과 PPP 설정 절차를 진행한다.
그러면 PDSN(52)은 단계(S510)에서와 같이 AAA 서버(34)와 단말(1)에 대한 인증절차를 진행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단계(S512)에서는 단말(1) - BSS(14) - PCF(12) - PDSN(52)간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도 6은 휴대인터넷망(200)에서 이동통신망(100)으로의 버티컬 핸드오프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은 단계(S600)에서 단말(1)은 동기 및 하향링크 파라미터 획득, 상향링크 파라미터 획득, 레인징 및 상향링크 파라미터 조정 등의 무선 링크 초기접속 절차를 진행한다.
이후 단계(S602)에서는 IP 버전, 인증정책, 물리계층에서 단말(1)의 지원 능력 등 기본기능을 협상한다.
단계(S604)에서 RAS(20a)는 AAA(34)와 연동하여 단말(1)과 보안 협약, 인증키 교환, 보안키 교환, EAP TLS 절차 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단계(S606)에서 단말(1)은 ARQ, IP관리모드, IP버전정보, 벤더 ID정보 등을 포함하는 등록요구에 대해 RAS(20a)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1)의 수용 정보 및 벤더 상세정보를 ACR(22)로 전송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단말(1)은 이동통신망(100)으로부터 핸드오프 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와 이동통신망(100)에서 할당받은 IP, 사용자 ID,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휴대인터넷망(200)에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단계(S608)에서 단말(1)은 IP를 새로 할당받지 않고 기존 IP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후 단계(S610)에서는 단말(1)과 RAS(20a)간의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진행한다.
단계(S612)에서 ACR(22)은 단말(1)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이동통신망(100)에서 할당받은 IP, 사용자 ID, 패스워드, 이동통신망(100)으로부터의 핸드오프)를 P-P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IWU(54)로 송신한다.
이러한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IWU(54)는 단계(S614)에서와 같이 P-P 등록 응답 메시지를 ACR(22)로 송신한다. P-P 등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ACR(22)은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RAS(20a) - ACR(22) - 인터넷(400) 관계에서 RAS(20a) - ACR(22) - IWU(54) 관계로 갱신한다.
이후 단계(S616)에서 IWU(54)는 공중 PCF와 같은 PDSN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호가 이동통신망(100)으로부터의 핸드오프 호이고 휴대인터넷망(200)으로의 복귀 호가 아닐 경우, PDAN 선택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PDSN과 L2TP 터널을 설정한다.
단계(S618)에서는, 단말(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ID 등을 이용하여 PDSN(52)과 PPP 연결을 설정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단계(S620)에서는 단말(1) - RAS(20a) - ACR(22)- IWU(54) - PDSN(52)간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ACR(22)은 단말(1)로부터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IWU(54)로 송신하고 IWU(54)는 PPP 패킷 형태로 PDSN(52)에 전송한다. 또한, IWU(54)는 PDSN(52)으로부터 수신한 PPP 패킷을 ACR(22)이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ACR(22)로 송신한다.
도 7은 이동통신망(100)에서 휴대인터넷망(200)으로의 버티컬 핸드오프 복귀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700)에서 단말(1)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BSS(14)로 접속을 시도하고, BSS(14)와 트래픽 설정 과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BSS(14)와의 트래픽 설정 과정이 이루어지면 BSS(14)는 단계(S702)에서와 같이 A8 접속 설정을 위해 PCF(12)로 A9_Setup_A8을 송신한다.
이후 단계(S704)에서 PCF(12)는 PDSN(52)과 R-P 접속을 설정한다.
단계(S706)에서 PDSN(52)은 IWU(54)와의 L2TP 터널을 해제한다.
그러면 PCF(12)는 단계(S708)에서와 같이 BSS(14)로 A8 접속이 설정되었음을 통보한다.
이때, 단계(S710)에서와 같이, 단말(1)과 PDSN(52)은 PPP가 이미 설정되어 있으므로 재설정은 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단계(S712)에서는 단말(1) - BSS(14) - PCF(12) - PDSN(52)간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2TP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간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이 L2TP 인터페이스로 심플 IP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이동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손실 및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L2TP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간의 핸드오프시 데이터 손실 및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이동성을 제공하면서 각 네트워크의 개별적 운영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휴대인터넷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인터넷망에서 발신 호 처리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를 요청할 경우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접속망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접속 설정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 제어기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기지국 시스템을 접속 설정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PPP 설정 절차를 진행한 후 의사 렐름 정보를 구성하여 인증 절차를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획득한 렐름 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서 인터넷망의 인증/권한검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형성할 인터 워킹 유닛 정보를 상기 인증/권한검증 서버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상기 인터 워킹 유닛간에 상기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형성한 후 상기 인터 워킹 유닛과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PPP 접속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ID와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액세스 제어 라우터의 서버 도메인을 이용하여 구성한 렐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인터 워킹 유닛간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 워킹 유닛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핸드오프 발생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에서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액세스 제어 라우터, 인터 워킹 유닛 관계로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할당되었던 IP 정보를 상기 단말에 할당하여 상기 단말, 상기 기지국 제어 시스템, 상기 기지국 제어기,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상기 인터 워킹 유닛,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의 인증 절차는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부터 수신한 서버 도메인 및 사용자 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 렐름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권한검증 서버에는 상기 렐름 정보에 포함된 서버 도메인이 상기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이 가능한 서버 도메인으로 등록되어 있고, 상기 서버 도메인에 대해서 상기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형성할 인터 워킹 유닛 정보가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인터넷망에서 상기 단말의 발신 호 처리 과정은,
    상기 단말에서 무선 링크 초기접속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기본기능을 협상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과 상기 인증/권한검증 서버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의 수용 정보 및 벤더 상세 정보를 상기 단말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전송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사용할 IP 정보를 할당받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간의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진행하여 상기 단말,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서 무선 링크 초기접속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기본기능을 협상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과 상기 인증/권한검증 서버가 연동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단말의 수용 정보 및 벤더 상세정보를 상기 단말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전송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간의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에서 상기 인터 워킹 유닛으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프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인터 워킹 유닛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에서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관계로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간의 기존 연결이 존재하면 핸드오프 복귀로 판단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의 계측-2 터널링 프로토콜 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단말,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를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절차 수행 단계는 상기 벤더 상세정보 필드를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프되었음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IP를 새로 할당받지 않고 기존 IP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8. 이동통신망에서 휴대인터넷망으로의 핸드오프 복귀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호 처리 중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휴대인터넷망으로 핸드오프를 요청할 경우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접속망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기본기능을 협상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과 인터넷망의 인증/권한검증 서 버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단말의 수용 정보 및 벤더 상세정보를 상기 휴대인터넷망의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전송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간의 트래픽 연결 설정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를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를 통해 인터 워킹 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인터 워킹 유닛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로 등록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따라 트래픽 라우팅 정보를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 상기 인터 워킹 유닛 관계로 갱신하는 단계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선택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PPP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단말, 상기 무선 액세스 스테이션,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 상기 인터 워킹 유닛,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절차 수행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프 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할당받은 IP, 사용자 ID,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단말에서 상기 휴대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IP를 새로 할당받지 않고 기존 IP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 워킹 유닛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호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핸드오프 호이고 상기 휴대인터넷망으로의 복귀 호가 아닐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에서 상기 인터 워킹 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픽 데이터를 PPP 패킷 형태로 상기 인터 워킹 유닛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PPP 패킷을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 워킹 유닛에서 상기 액세스 제어 라우터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단말의 발신 호 처리 과정은,
    상기 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시스템으로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기지국 시스템과 트래픽 설정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기지국 시스템으로 접속 설정을 통보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가 PPP 설정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서 상기 인증/권한검증 서버와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단말, 상기 기지국 시스템, 상기 기지국 제어기,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상기 기지국 시스템으로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기지국 시스템과 트래픽 설정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간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서 상기 인터 워킹 유닛과의 상기 계층-2 터널링 프로토콜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상기 기지국 시스템으로 접속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함으로써 상기 단말, 상기 기지국 시스템, 상기 기지국 제어기,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KR1020050042607A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KR10071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07A KR100711313B1 (ko)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607A KR100711313B1 (ko)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19A KR20060119519A (ko) 2006-11-24
KR100711313B1 true KR100711313B1 (ko) 2007-04-27

Family

ID=3770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07A KR100711313B1 (ko) 2005-05-20 2005-05-20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5052B1 (en) 2022-03-11 2023-09-19 T-Mobile Usa, Inc. User equipment hosting for customizable 5G services
US11877202B2 (en) 2022-02-24 2024-01-16 T-Mobile Usa, Inc. Handovers between IPV4 public data network sessions and 5G radio access networ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653B1 (ko) 2006-02-28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통신 시스템들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863209B1 (ko) * 2007-06-26 2008-10-13 (주)오픈베이스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8681B1 (ko) * 2007-08-24 201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58508B1 (ko) * 2008-08-26 2013-04-26 (주)오픈에스앤에스 단말기 식별을 통한 공통 경로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7662B1 (ko) * 2018-06-21 2020-02-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네트워크에서의 인증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5157A (ja) 1997-10-14 1999-10-08 Lucent Technol Inc 最適ル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6452920B1 (en) 1998-12-30 2002-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terminating L2TP using mobile IP data
KR20030000328A (ko) * 2001-06-23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핸들의 떨림 저감구조
KR200332832Y1 (ko) 2002-07-02 2003-11-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과 차세대 비동기 무선 통신시스템간의 긴밀한 상호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20040026056A (ko) * 2002-09-17 200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의 분산 시스템간 핸드오프 방법
KR20040056480A (ko) * 2002-12-23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첩된 상이한 무선접속 이동통신망의 버티컬 핸드오프 방법
KR20050023194A (ko) * 2003-08-27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인터넷망에서 패킷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KR20050060626A (ko) * 2003-12-17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티컬 핸드오프 환경에서의 트랜스코딩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5157A (ja) 1997-10-14 1999-10-08 Lucent Technol Inc 最適ル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6452920B1 (en) 1998-12-30 2002-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terminating L2TP using mobile IP data
KR20030000328A (ko) * 2001-06-23 2003-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핸들의 떨림 저감구조
KR200332832Y1 (ko) 2002-07-02 2003-11-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과 차세대 비동기 무선 통신시스템간의 긴밀한 상호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20040026056A (ko) * 2002-09-17 200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의 분산 시스템간 핸드오프 방법
KR20040056480A (ko) * 2002-12-23 2004-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첩된 상이한 무선접속 이동통신망의 버티컬 핸드오프 방법
KR20050023194A (ko) * 2003-08-27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인터넷망에서 패킷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KR20050060626A (ko) * 2003-12-17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티컬 핸드오프 환경에서의 트랜스코딩 서비스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6480
200332832000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7202B2 (en) 2022-02-24 2024-01-16 T-Mobile Usa, Inc. Handovers between IPV4 public data network sessions and 5G radio access networks
US12114223B2 (en) 2022-02-24 2024-10-08 T-Mobile Usa, Inc. Handovers between 5G radio access networks and IPV4 public data network sessions
US11765052B1 (en) 2022-03-11 2023-09-19 T-Mobile Usa, Inc. User equipment hosting for customizable 5G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519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5013C (en) Ip address allocation for mobile terminals
JP463434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4178475B2 (ja) 公衆無線lanとセルラー網の間のローミング方法
EP1465385B1 (en) Method for commo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across disparate networks
KR100617795B1 (ko) 셀룰러 망과 무선 랜 망의 타이틀리 커플드 연동 방법 및 장치
KR101490243B1 (ko) 이종망간 핸드오버시 빠른 보안연계 설정방법
IL2042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instances from a packet data services network
KR20050031987A (ko)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랜간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11313B1 (ko) 이동통신과 휴대인터넷간의 망 연동 방법
US20100118774A1 (en) Method for changing radio channels, composed network and access router
CA2583182C (en) Reducing handoff latency for a mobile station
US72961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 network in a communications environment
KR100700887B1 (ko)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wlan망과 cdma망사이의 핸드오프 제어방법
KR100623291B1 (ko) 씨디엠에이 2000과 휴대인터넷 망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KR100623292B1 (ko) 휴대 인터넷망에서 씨디엠에이 2000 망으로의 핸드오프 방법
KR100638590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KR100643706B1 (ko)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과 ip 기반의 이동통신시스템간 연동 장치 및 연동 방법
KR100619385B1 (ko) 휴대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간 연동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및 ip 정보 설정/전달방법
KR100668660B1 (ko) 휴대 인터넷 망과 3g 망간의 로밍을 위한 사용자 인증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라우터
KR100734907B1 (ko) 이동 단말기의 핸드 오버 방법
KR100706893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601877B1 (ko) Cdma2000망과 휴대 인터넷간의 연동이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로밍 방법
KR100619384B1 (ko) P-P 인터페이스와 PPP bypass 기능을 이용한휴대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간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100696002B1 (ko) Ppp프락시 기능을 이용한 휴대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간 연동 방법
KR100674281B1 (ko) 이동통신망과 휴대인터넷망간의 연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