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137B1 - Brake switch using hall sensor - Google Patents
Brake switch using hall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1137B1 KR100711137B1 KR1020060025296A KR20060025296A KR100711137B1 KR 100711137 B1 KR100711137 B1 KR 100711137B1 KR 1020060025296 A KR1020060025296 A KR 1020060025296A KR 20060025296 A KR20060025296 A KR 20060025296A KR 100711137 B1 KR100711137 B1 KR 1007111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e
- circuit board
- hall sensor
- bushing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 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 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light switch using a Hall sensor,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를 홀 센서(16)로써 감지하여 브레이크 등과 ECU를 전자식 무접점 방식으로 함께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By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e pedal with the hall sensor 16 and controlling the brake and the ECU together in an electromagnetic type contactless manner,
작동 소음이 근본적으로 배제됨은 물론, 이물질 혼입 및 축적으로 인한 소손 또는 이상 접속 등의 문제가 없는 반영구적 고품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obtain a semi-permanent, high-quality brake such as a brake which does not have a problem of burning or abnormal connection due to mixing and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as well as fundamentally eliminating operating noise.
브레이크 등, 브레이크 등 스위치, 홀 센서. Brake lights, brakes, switches, Hall sensors.
Description
도 1 은 종래구조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witch such as a brake of a conventional structure,
도 2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rake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상기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ke light switch of the embodiment,
도 4 는 상기 도 2 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도 5 는 상기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의 정면도, 5 is a front view of a circuit board constituting a brake switch,
도 6 은 상기 도 5 에 나타낸 회로기판의 배면도, Fig. 6 is a rear view of the circuit board shown in Fig. 5,
도 7 은 브레이크 ON 상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 회로 구성도,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urrent flow in the brake ON state,
도 8 은 크루즈 ON 상태의 전류 흐름을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8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urrent flow in the cruise ON stat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본체부 11 : 부싱부 10: main body part 11: bushing part
12 : 회로기판 13 : 작동판 12: circuit board 13: working plate
14 : 샤프트 15 : 자석 14: shaft 15: magnet
16 : 홀 센서 17 : 제 1 MOSFET 16: Hall sensor 17: First MOSFET
18 : 접지선 20 : 외부전원 인입단자 18: Ground wire 20: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21 : 저항 22 : 제 2 MOSFET 21: Resistor 22: Second MOSFET
h 1 : 통공 1 h 2 : 통공 2 h 1: through hole 1 h 2: through
g : 안내 돌기 r : 레일 g: guide protrusion r: rail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등(燈)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를 홀 센서로써 감지하여 브레이크 등과 ECU(engine control unit)를 전자식 무접점 방식으로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즉 홀 센서의 원리를 활용한 브레이크 등 스위치에 관한 발명이다. BACKGROUND OF THE
브레이크 등 스위치는 차량의 운전석 앞 부분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등을 점등시키는 반면,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상기 ECU로 크루즈(cruise) 온(ON)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A brake or the like is a memb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pedal, the brake light is turned on, while when the brake pedal is released, the ECU sends a cruise ON signal to the ECU.
여기서, 크루즈 ON 신호라 함은 브레이크 등 스위치 내에 있어 상기 ECU 관련 접점 접속시의 전기적 흐름을 의미하며, 이 크루즈 온 신호에 따라 ECU는 주행 중 엔진 제어를 시작하게 된다. Here, the cruise-ON signal means an electrical flow in connection with the ECU-related contact in the brake switch or the like, and the ECU starts engine control during running according to the cruise-on signal.
한편, 홀 센서는 인접 배치된 자석이 가까워지면 단전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멀어지면 그 반대로 되는 특성을 가진 일종의 전압 센서이며, 본 발명은 어디까지나 이러한 홀 센서의 특성을 차량용 브레이크 등 스위치로 이용한 것이지 홀 센서 자체에 관한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상에서 홀 센서의 구조 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all sensor is a kind of voltage sensor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the disconnection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adjacent magnets are close to each other, and vice versa when the adjacently disposed magnets are close to each o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elated to the sensor itsel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like of the Hall sensor is omitted here.
그러나, 본 명세서상의 설명을 이해함에 있어서는, 인접 배치된 자석이 규정 영역 내로 들어와 가까워지면 전압이 차단되는 반면, 멀어지게 되면 홀 센서 입력단의 전압이 출력단으로 전달된다고 하는 기본적 원리 내지 특성은 인식할 필요가 있다.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basic principle or characteristic that the voltage at the input terminal of the hall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terminal when the adjoining magnet enters and falls into the specified region while the voltage is blocked. .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구조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는, 상호 일체화 구조를 이루는 합성수지 재 본체부(1-b) 및 부싱(bushing)부(1-a)와, 본체부(1-b)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형태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된 브레이크 고정 접점(2) 및 크루즈 고정 접점(3)과, 이들 고정 접점(2, 3)과 각각 조를 이루는 브레이크 가동 접점(4) 및 크루즈 가동 접점(5)과, 이들 가동 접점(3, 5)을 고정 접점(2, 4) 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상호 탄성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S)과, 운전자의 발 아래 위치한 브레이크 페달(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며, 상기 부싱부(1-a)를 관통하여 브레이크 가동 접점(2)과 맞닿은 샤프트(shaft)(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brake switch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ody part 1-b and a bushing part 1-a which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A brake fix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구조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의 작동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거나 놓음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가동 접점(4) 또는 크루즈 가동 접점(5)이 각각의 상대 고정 접점(2, 3)과 접속 또는 그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등 또는 ECU로 향하는 회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게 된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conventional brake switch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the brake pedal is depressed or released by the driver, the brake
이러한 접점식 작동 메커니즘(mechanism)을 갖는 종래 구조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는 그 구조적 단순성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A conventional switch such as a brake having such a contact operating mechanism has various problems in spite of its structural simplicity.
우선,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접속 또는 분리 시 운전자의 귀에 거슬릴 정도의 작동 소음이 발생하는 점을 들 수 있다. First of all, there is an operation noise which is irritating to the driver's ear when connecting or disconnecting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또한, 장기간 사용 시 상기 접점들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혼입·축적되는 결과, 스파크(spark) 발생 및 그에 따른 소손, 또는 접점 간 이상 접속에 따른 기계 고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했다. Further, as a result o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being mixed and accumulated between the contacts during long-term use, spark generation and subsequent burning or frequent machine breakdown due to abnormal connection between contacts have been frequen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자식 무접점 방식의 작동 메커니즘을 가짐에 따라 작동 소음이 근본적으로 배제됨은 물론, 이물질 혼입 및 축적으로 인한 소손 또는 이상 접속 등의 염려가 없는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non-contact type operating mechanism which essentially excludes operating noise, and is free from fouling or abnormal connection due to foreign matt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switch such as a brake.
본 발명은 또한, 브레이크 온/오프(ON/OFF) 및 크루즈 ON/OFF 제어가 하나의 신호만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회로 체계를 갖는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at providing a brake light switch having a simple circuit structure in which brake ON / OFF and cruise ON / OFF control are made of only one sig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를 홀 센서로써 감지하여 브레이크 등과 ECU를 전자식 무접점 방식으로 함께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sen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e pedal with a hall sensor and controlling the brake and the ECU together in an electronic non-contact manner.
즉, 본 발명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를 접점 간 접속 및 단락 형태로 감지하지 않고, 앞서 언급한 바의 홀 센서로써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또는 해제를 감지하는 특징이 있다. That is, the brak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e pedal is not sensed in the form of connection and short-circuit between contacts, and the pressing or release of the brake pedal is sensed by the hall sensor as mentioned above.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등 스위치의 정면도인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의 본체부(10), 그 상단에 결합되며 중공부를 통하여 본체부(10)와 연통하는 부싱부(11)와, 상기 본체부(10) 상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회로기판(12)과, 이 회로기판(12) 상의 홀 센서(16) 측방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홀 센서(16)와 마주보는 쪽 표면상에 부착된 자석(15)을 포함하는 작동판(13)과, 그 상단부가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며, 상기 부싱부(11)를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작동판(13)의 상단부와 맞닿는 샤프트(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 which is a front view of the brake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
상기 본체부(10)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형상의 회로기판 수용부(10-a)와, 이 회로기판 수용부(10-a)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또한, 상기 부싱부(11)는 금속재 나사부(11-a) 및 그 하단부로서의 합성수지재 상면 커버부(11-b)를 포함하는 구조의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성형체를 이루고 있다. The
도시한 바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싱부(11) 상의 상면 커버부(11-b)가 본체부(10) 상단 일부를 덮어주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상면 커버부(11-b)를 본체부(10)의 일부로 성형하고, 상기 금속재 나사부(11-a)만으로 부싱부(11)를 형성한 다음 이들 본체부(10)와 부싱부(11)를 볼트 체결 또는 접합 등의 방법으로 상호 결합 할 수도 있다. The upper cover part 11-b on the
다시 말하자면, 상기 본체부(10)와 부싱부(11)는 도면상의 구조 내지 형상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In other words, the
도면부호 "17" 은 회로기판(12) 상에 장착된 제 1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er field effect transistor), 도면부호 "18" 은 회로기판(12)으로부터 연장된 접지선(18), 도면부호 "19" 는 접지선(18) 말단부로서 상기 부싱부(11) 상의 금속재 나사부(11-a)에 끼워지는 원환형 고리, 도면부호 "N" 은 차체, 즉 샤시(chassis)(도시하지 않음) 상에 부싱부(11)를 끼워넣고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너트(nut)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원환형 고리(19)는 회로기판 수용부(10-a) 밖으로 빠져나온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회로기판 수용부(10-a) 내에 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도면부호 "L" 은 상기 부싱부(11)를 구성하는 상면 커버부(11-b)의 하단선을 나타내며, 회로기판 수용부(10-a)의 전면 전체를 덮어주는 상기 전면 커버(10-a)에 있어 이 선(L) 이상은 상기 상면 커버부(11-b) 내로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The reference numeral "L" denotes a lower end line of the top cover part 11-b constituting the
상기 상면 커버부(11-b)와 전면 커버부(10-b)는 투명 아크릴(acryl) 수지로 하여 그 내부 상황을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op cover part 11-b and the front cover part 10-b are made of transparent acrylic resin so that the internal state of the top cover part 11-b and the front cover part 10-b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한편, 부싱부(11)를 구성하는 금속재 나사부(11-a)는 상에는 절삭 가공에 의한 평면부(f)를 형성함으로써, 부싱부(11)를 포함한 브레이크 등 스위치 전체를 차체 상에 고정시킬 때 너트(N)를 따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metal threaded portion 11-a constituting the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등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인 도 3 을 참조하 여 각각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3,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ak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회로기판 수용부(10-a) 상의 후면부에는 4 개의 통공 1(h1)이 형성되며, 회로기판(12) 후방의 외부전원 인입단자(20)가 이들 통공 1(h1)을 관통하여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Four through
통공 1(h1) 하방으로는 역시 회로기판(12) 후방의 제 2 MOSFET(22)와, 이를 잡아주는 고정 부재(23)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An opening is formed below the through hole 1 (h1) for receiving the
상기 작동판(13)의 측면 상에는 앞서 언급한 바의 자석(15)이 부착되며, 작동판(13)의 전후 양단부에는 안내 돌기(g)가, 그 하단부에는 상기 스프링(S)을 끼우기 위한 봉형 돌기(b)가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스위치 조립 완료시 작동판(13)의 상단부와 맞닿게 되는 상기 샤프트(14)의 하단부는 작동판(13)의 상단부를 보다 확실히 눌러줄 수 있도록 그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When the switch assembly is completed,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작동판(13)과 샤프트(14)를 각각 별개로 구성하지 않고, 작동판(13)의 상단부를 연장하여 샤프트를 형성, 즉 이들 두 구성요소를 일체화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haft by extending the upper end of the
도면부호 "p" 와 "q" 는 상호 결합 관계를 이루는 회로기판 수용부(10-a)와 상면 커버부(11-b) 및 전면 커버부(10-b) 사이의 원-터치(one-touch) 방식 결합을 위한 돌기와 이에 상응하는 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The "p" and "q" designate a one-touch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 receiving portion 10-a, the top cover portion 11-b, and the front cover portion 10- touch type coupling and corresponding holes, respectively.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상기 합성수지재 상면 커버부(11-b)를 금속재 나사부(11-a)와 일체로 성형하지 않고, 회로기판 수용부(10-a)의 일부로 하는 등의 기타 형상 내지 구조라도 무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upper cover part 11-b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metal threaded part 11-a, but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or structures such as a part of the circuit board accommodating part 10- .
한편, 상기 제 2 MOSFET(22) 후단부에는 고정용 통공 3(h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23)를 회로기판(12) 상 통공 1(h1)의 하방 개구부에 맞춰넣은 다음 제 2 MOSFET(22) 상의 통공 3(h3)과 고정 부재(23) 상의 통공 4(h4)을 일치시켜 나사(B)로 상호 체결할 수 있다. The
도 4 는 상기 도 2 상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로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홀 센서(16)는 나타내지 않는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and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도시하지 않음)을 밟음에 따라 샤프트(14)가 눌러지게 되면, 그 하단부에 맞닿은 작동판(13)은 스프링(S)을 밀치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not shown) and the
작동판(13)과 함께 그 표면상의 자석(15) 또한 이동할 것이며, 앞서 명세서 서두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자석(15)이 이동, 즉 멀어짐과 동시에 그 측방의 홀 센서(16)는 입력 전압을 출력단으로 그대로 전달하게 된다. The
그 결과, 제 1 MOSFET(17)가 ON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 등을 점등시키게 되며, 상세한 회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As a result, the
도 5 와 도 6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의 정면도와 배면도로서, 배면도의 경우 역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외부전력 인입단자는 나타내지 않는다. 5 and 6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circuit board constituting a switch such as a brak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rear view, external power lead-in terminals are not shown in order to avoid complication of the drawing.
도면부호 "21" 로 나타낸 저항과, "h2" 로 나타낸 통공 2 이외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앞서 설명한 바 있다.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resistor denoted by
통공 2(h2)는 상기 회로기판(12)이 갖는 형상적 특징 중의 하나로서, 이에는 상기 작동판(13) 상에 있어 회로기판(12)과 마주보는 쪽 안내 돌기(g)가 끼워져 수직 상하로 운동하게 된다. The through hole 2 (h2) is one of the feature features of the
다시 말하자면, 상기 통공 2(h2)는 작동판(13) 상의 안내 돌기(g)를 수용하기 위한 부위, 즉 상기 전면 커버부(10-b) 안쪽 표면상의 안내 레일(r)에 해당하는 부위이다. In other words, the through hole 2 (h2)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for receiving the guide projection g on the
도 7 과 도 8 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등 내부의 회로 구성도로서, 브레이크를 밟았을 경우와 놓았을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Figs. 7 and 8 are circuit diagrams of internal circuits of a brake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showing the case where the brake is applied and the case where the brake is released.
브레이크를 밟았을 경우를 나타낸 도 7 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작동판(13) 측면 상의 자석(15)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홀 센서(16)의 입력 전압이 출력단으로 그대로 전달되며, 홀 센서(16)와 상기 제 1 MOSFET(17)를 통과하여 브레이크 램프(lamp)(DS1)를 ON 상태로 만든다. 7, when the
또한, 브레이크를 놓았을 경우를 나타낸 도 8 에 있어서는, 상기 작동판(13) 측면 상의 자석(15)이 이동하지 않음에 따라 그 측방의 홀 센서(16)가 단전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전원 입력단(Vcc)으로부터의 전압이 상기 제 2 MOSFET(22) 소스(source)단(S)에 걸려 크루즈 램프(DS2)를 ON 상태로 만든다. 8 showing the case where the brake is applied, since the
상기와 같은 전류 흐름 상의 선택적 방향성을 갖게 되는 것은 홀 센서(16) 고유의 자기적 특성과 MOSFET(17, 22) 고유의 전압 소자 특성이 회로 상에서 상호 작용하는 결과로서, 이를 전압 측면에서 정리하자면,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홀 센서 입력 전압이 출력단으로 그대로 전달되는 상태)에는 외부전원 입력단(Vcc)과 제 1 MOSFET(17) 사이에 전압이 걸리는 반면, 브레이크를 놓았을 때(홀 센서 단전 상 태)에는 외부전원 입력단(Vcc)과 제 2 MOSFET(22) 사이에 전압이 걸리게 된다. The reason for having the selective directionality on the current flow is that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도면부호 "G" 와 "D" 는 MOSFET(17, 22) 상의 게이트(gate)단과 드레인(drain)단을 각각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s "G" and "D" denote gate and drain terminals on the
한편, 도면상에 있어 브레이크 램프(DS1) 또는 크루즈 램프(DS2)는 직접 브레이크 등 또는 ECU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쪽으로의 신호 전달 및 그에 따른 관련 장치의 작동을 의미할 뿐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brake lamp DS1 or the cruise lamp DS2 does not directly mean the brake lamp or the ECU itself, but merely means the signal transmission to the driver and the operation of the related apparatus.
다시 말하자면, 브레이크 램프(DS1) ON 상태는 물론 브레이크 등의 점등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크루즈 램프(DS2) ON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ECU로의 크루즈 ON 신호 전송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brake lamp (DS1) is displayed in a lighted form such as a brake light as well as the ON state, while the cruise lamp (DS2) is displayed in a form of a cruise ON signal transmission to the ECU in the ON state.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등 스위치가 갖는 상기와 같은 전기적 특성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 하나로써 브레이크 등과 ECU에 대한 두 가지 스위칭(switching) 동작을 함께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회로 단순화 및 전기 부품 활용도 증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결과이다. The abo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ake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 that the brake pedal can be operated in one of two switching operations simultaneously for the brake and the ECU, And it is a very desirable result in terms of increasing utilization of electric parts.
상기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이 갖는 다른 하나의 특징으로서는, 회로기판(12)으로부터의 접지선(18)을 부싱부(11) 상의 금속재 나사부(11-a)와 샤시로 연결하여 이들을 접지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접점식 브레이크 등에 대한 호환성을 갖도록 한 점이다.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brakes of the embodiment is that the
다시 말하자면, 별도의 전원 공급 라인(line) 없이 종래의 접점식 브레이크 등을 본 발명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으로 교환하더라도 전기 회로 구성상의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In other words, even if a conventional contact-type brake or the like is replaced with a brake or the lik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line, no problem of electric circuit construction occurs.
이상, 본 발명 실시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의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그러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를 홀 센서로써 감지하여 이를 브레이크 등 스위치로 이용하는 한의 사소한 설계 변경 등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마땅할 것이다.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of the minor design changes in which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e pedal is detected by the Hall sensor and used as a brake switch or the like are all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식 무접점 방식의 작동 메커니즘을 가짐에 따라 작동 소음이 근본적으로 배제됨은 물론, 이물질 혼입 및 축적으로 인한 소손 또는 이상 접속 등의 문제가 없는 반영구적 고품질의 브레이크 등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nic non-contact type operating mechanism is provided, the operating noise is fundamentally excluded, and a semi-permanent high-quality brake or the like, which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fouling or abnormal connection due to foreign substance mixing and accumulation,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회로 단순화 및 전기 부품 활용도 증대로 인하여 상당한 수준의 제조공정 단순화 및 그에 따른 공정품질 안정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circuit and the increase in the utilization of electric parts, a considerable level of simpl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consequent stabilization of the process quality can be expect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296A KR100711137B1 (en) | 2006-03-20 | 2006-03-20 | Brake switch using hall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5296A KR100711137B1 (en) | 2006-03-20 | 2006-03-20 | Brake switch using hall sens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1137B1 true KR100711137B1 (en) | 2007-04-24 |
Family
ID=3818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5296A Active KR100711137B1 (en) | 2006-03-20 | 2006-03-20 | Brake switch using hall sen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1137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552B1 (en) | 2009-06-18 | 2011-06-15 | 주식회사 인팩 | Solid State Stop Lamp Switch Using Back Bias Type Camshaft Hall Sensor |
KR101246550B1 (en) * | 2012-11-26 | 2013-03-25 | 동서콘트롤(주) | Brake pedal sensor signal generation method |
KR101246552B1 (en) * | 2012-11-26 | 2013-03-25 | 동서콘트롤(주) | Brake pedal sensor signal generation method |
KR101297839B1 (en) | 2012-04-26 | 2013-08-19 | (주)세신정밀 | Hall sensor switch |
KR101443744B1 (en) * | 2013-03-20 | 2014-09-25 |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 Earth Structure of Switch |
KR101531544B1 (en) * | 2013-11-20 | 2015-06-25 | 동서콘트롤(주) | Brake pedal sensor using hallswitch and brake pedal sensor signal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08082038A (en) * | 2017-11-29 | 2018-05-29 |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 High-mount brake lamp mounting structure |
CN114312554A (en) * | 2021-12-31 | 2022-04-12 | 昆山市兴利车辆科技配套有限公司 | A low-power automotive brake light switch sens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7577A (en) * | 1996-08-30 | 1998-06-05 | 양재신 | Brake light switch of car |
US6531667B2 (en) | 2000-05-19 | 2003-03-11 | Deere & Company Asg Luftfahrttechnik | Pedal displacement sensor |
KR20050121790A (en) * | 2004-06-23 | 2005-12-2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top lamp switch of vehicle |
KR20060006916A (en) * | 2003-04-07 | 2006-01-20 |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 Devic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and displacement of the brake pedal |
-
2006
- 2006-03-20 KR KR1020060025296A patent/KR1007111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7577A (en) * | 1996-08-30 | 1998-06-05 | 양재신 | Brake light switch of car |
US6531667B2 (en) | 2000-05-19 | 2003-03-11 | Deere & Company Asg Luftfahrttechnik | Pedal displacement sensor |
KR20060006916A (en) * | 2003-04-07 | 2006-01-20 |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 Devic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and displacement of the brake pedal |
KR20050121790A (en) * | 2004-06-23 | 2005-12-2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Stop lamp switch of vehicl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552B1 (en) | 2009-06-18 | 2011-06-15 | 주식회사 인팩 | Solid State Stop Lamp Switch Using Back Bias Type Camshaft Hall Sensor |
KR101297839B1 (en) | 2012-04-26 | 2013-08-19 | (주)세신정밀 | Hall sensor switch |
KR101246550B1 (en) * | 2012-11-26 | 2013-03-25 | 동서콘트롤(주) | Brake pedal sensor signal generation method |
KR101246552B1 (en) * | 2012-11-26 | 2013-03-25 | 동서콘트롤(주) | Brake pedal sensor signal generation method |
KR101443744B1 (en) * | 2013-03-20 | 2014-09-25 |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 Earth Structure of Switch |
KR101531544B1 (en) * | 2013-11-20 | 2015-06-25 | 동서콘트롤(주) | Brake pedal sensor using hallswitch and brake pedal sensor signal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08082038A (en) * | 2017-11-29 | 2018-05-29 |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 High-mount brake lamp mounting structure |
CN108082038B (en) * | 2017-11-29 | 2019-10-29 | 领克汽车科技(台州)有限公司 | High-mount brake lamp mounting structure |
CN114312554A (en) * | 2021-12-31 | 2022-04-12 | 昆山市兴利车辆科技配套有限公司 | A low-power automotive brake light switch sens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1137B1 (en) | Brake switch using hall sensor | |
CN101971275B (en) | Proximity switch | |
US8110767B2 (en) | Structured touch switch | |
US7924125B2 (en) | Stop lamp switch | |
EP2951664B1 (en) | Operating device having an optical finger navigation module for a steering wheel | |
ATE288141T1 (en) | SWITCH FOR MOUNTING ON A SWITCHBOARD | |
KR20140054335A (en) | Switch assembly and system | |
US20120199851A1 (en) | Semiconductor relay | |
WO2006137247A1 (en) | Cylinder control unit | |
US10638595B2 (en) | Electric device with a housing with pressing elements | |
CN211352170U (en) | Magnetic induction structure and magnetic induction key switch | |
CN210298159U (en) | Hall brake lamp switch, braking system and vehicle | |
JP2014194902A (en) | Waterproof structure and switch device with waterproof structure | |
KR101379994B1 (en) | Contactless switch | |
US9536688B2 (en) | Press button device and audio equipment having the press button device | |
ATE294527T1 (en) | HOUSEHOLD APPLIANCE | |
CN209930227U (en) | Hall formula stop lamp switch, hall formula stop lamp switch controlling means and vehicle | |
KR101510984B1 (en) | Stop Lamp Switch for Vehicle Using Indused Current | |
JP4268815B2 (en) | Switch unit and torque tool | |
KR101508874B1 (en) | clutch switch for automobile | |
KR20070095809A (en) | Switch module | |
KR101443744B1 (en) | Earth Structure of Switch | |
CN217591269U (en) | Device comprising a housing | |
EP3387661A1 (en) | Electrical switch | |
JP3665685B2 (en) | Light-emitting switch operation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