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760B1 - Ventilation - Google Patents
Venti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9760B1 KR100709760B1 KR1020050107588A KR20050107588A KR100709760B1 KR 100709760 B1 KR100709760 B1 KR 100709760B1 KR 1020050107588 A KR1020050107588 A KR 1020050107588A KR 20050107588 A KR20050107588 A KR 20050107588A KR 100709760 B1 KR100709760 B1 KR 100709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member
- building
- frame
- air passage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이나 창틀에 설치되며, 그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통로를 가지며, 상기 공기통로에는 건물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제1테이퍼부 내에서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밸브부재; 상기 제1밸브부재를 상기 건물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스프링; 상기 프레임의 공기통로의 개폐를 위해 그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r window frame of the building, and has an air passage for the flow of air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 air passage is made of a narrower cross-sectional area of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ward the inside A frame having one taper portion formed thereon; A first valve member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air passage within the first tapered portion of the frame; A first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valve member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building; It provides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fixed valve member coupled to the fra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passage of the fram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or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밸브부재가 공기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건물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member shown in Figure 2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by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passag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shown in FIG.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프레임 20 : 제1테이퍼부10
22 : 제1밸브부재 24 : 제1스프링22: first valve member 24: first spring
30 : 제2테이퍼부 32 : 제2밸브부재30: second taper portion 32: second valve member
34 : 제2스프링 40 : 공기통로34: second spring 40: air passage
81 : 제1고정밸브부재 82 : 제2고정밸브부재81: first fixed valve member 82: second fixed valve member
88 : 모터 100 : 환기장치88: motor 100: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건물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동력없이 환기가 가능하고, 환기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의 변화를 최소화시켜 일정한 유량으로 환기가 가능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or,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ventilator for ventilating a building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ventilate without additional power, minimiz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ventilator It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that can be ventilated at a constant flow rate.
환기장치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건물 등에 있어서 건물 등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As is well known, the ventilation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circulating air inside and outside a building to maintain comfortable indoor air.
대표적인 환기장치로는 흔히 사용되는 환풍기가 있다. 환풍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강제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치인데, 환풍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팬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동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Typical ventilators include commonly used fans. The fan is a device that circulates the air by forcibly rotating the fan by using electricity. In order to use the fan, a power that is used to rotate the fan is required.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건물에는 실내외의 기온차이에 따른 밀도차에 의해 공기가 이동되는 굴뚝효과가 발생하는데, 굴뚝효과에 의한 건물 내부와 외부사이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냉방이나 난방을 하여 건물의 내부와 외부사이의 기온차이가 큰 하절기나 동절기에 가장 크게 된다.As is well known, a building has a chimney effect in which air is moved by a density differenc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The air flow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s caused by cooling or heating.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outside and outside is greatest during summer or winter.
하절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물내에는 냉방을 하게 되고, 냉방으로 인해 실내 기온이 외부의 기온보다 낮다. 공기의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낮으므로 기온이 낮은 건물 내부에서부터 기온이 높은 건물 외부쪽으로 바람이 불게 된다. 동절기의 경우 건물내에는 난방을 하게 되어 건물 내부의 기온이 높으므로 하절기와 반대방향의 바람이 불게 된다.In the summer, the building is usually cooled, and the room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due to cooling. The higher the air density, the lower the temperature, so that the wind blows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where the temperature is low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winter, the building is heated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building is high, so the wi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ummer season is blown.
또한 일반적으로 공기의 온도는 지면으로부터 위로 올라갈수록 떨어지게 되므로, 지표면 부근의 온도보다는 상층부의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하절기 에 있어서 건물내부와 건물외부의 기온차는 지표면 부근에서 가장 크게 되고, 상층부로 올라갈수록 그 기온차가 줄어 들게 되므로 실내에서 실외로 부는 바람의 세기는 지표면 부근 즉 저층에서 가장 크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generally lowered upwards from the ground,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layer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temperature near the ground surface. Therefore, in summ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s the largest in the vicinity of the earth's surface, and as the temperature rises to the upper flo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creases.
종래의 굴뚝효과를 이용한 환기장치는 높이에 따른 기온의 차이에 의해 저층과 고층의 바람의 방향이나 세기의 편차가 심한 점을 고려하지 않아 각 층별로 환기장치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각 층별 환기효율이 균등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ventilator using the chimney effect, the amount of air moving through the ventilator for each floor becomes inconsistent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 wind direction or intensity of the lower and higher floors due to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height. Therefore, each floor has a disadvantage that the ventilation efficiency is not equ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굴뚝효과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없이 건물의 환기를 시킬 수 있고, 지표면에서부터의 높이에 따른 바람의 세기에 관계없이 환풍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환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possible to use the chimney effect to ventilate the building without a separate power, and the amount of air to be constantly ventilated regardless of the wind strength according to the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that can be maintaine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이나 창틀에 설치되며, 그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통로를 가지며, 상기 공기통로에는 건물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r window frame of the building, and has an air passage for the flow of air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 air passage in the interio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 frame having a first taper portion in which a flow cross-sectional area of air is narrowed toward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제1테이퍼부 내에서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밸브부재;A first valve member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air passage within the first tapered portion of the frame;
상기 제1밸브부재를 상기 건물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스프링;A first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valve member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building;
상기 프레임의 공기통로의 개폐를 위해 그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fixed valve member coupled to the fram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passag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상기 공기통로에는 건물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제2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The air passage of the frame is formed with a second taper portion that narrow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상기 프레임의 제2테이퍼부 내에서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밸브부재와,A second valve member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air passage in the second tapered portion of the frame;
상기 제2밸브부재를 상기 건물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econd valve membe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uilding.
상기 고정밸브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하는 위치와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The fixed valve member is installed on the frame so as to be reciprocally rotated between a posi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air passage,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밸브부재의 회전을 위해 그 고정밸브부재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have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which is dynam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valve member for rotation of the fixed valve memb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밸브부재가 공기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건물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irst shown in Figure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lve member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by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passag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V-IV line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에서 도면상의 우측이 건물의 외부이고, 좌측이 건물의 내부이 다.2 and 3,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left side is the inside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100)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에 마련된 제1테이퍼부(20)와 제2테이퍼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건물의 외벽(1)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이 설치되는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통로(40)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10)에는 공기통로(40)의 개폐를 위해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밸브부재(81)과 제2고정밸브부재(82)가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제1고정밸브부재(81) 및 상기 제2고정밸브부재(82)는 상기 공기통로(40)를 개방하는 위치와 폐쇄하는 위치사이에서 왕복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fixed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의 단면은 상기 고정밸브부재들(81,82)이 왕복회전하는 회전축선(L)을 기준으로 상하가 대칭인 단면 예컨대 원형이나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0)의 단면이 원형이다.Therefore, the cross section of the
상기 고정밸브부재들(81,82)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밸브부재들(81,82)의 회전을 위해 상기 고정밸브부재들(81,82)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모터(88)가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모터(88)에는 타이머 장치를 연결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고정밸브부재들(81,82)을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10)의 공기통로(4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그 온도센서에 의한 실내외 온도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고정밸브부재들(81,82)들을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10)의 공기통로(40)를 개폐하는 구성도 가능하다.The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양단부에는 걸림턱(11)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1테이퍼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공기통로(40)에 마련되어 있으며, 건물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면적 즉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The
상기 제1테이퍼부(20)에는 상기 제1테이퍼부(20) 내에서 상기 공기통로(40)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밸브부재(22)와 상기 제1밸브부재를 상기 건물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스프링(24)가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제2테이퍼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공기통로(40)에 마련되어 있으며, 건물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면적 즉 유동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The
상기 제2테이퍼부(30)에도 상기 제1테이퍼부(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테이퍼부(30) 내에서 상기 공기통로(40)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밸브부재(32)와 상기 제2밸브부재를 상기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스프링(34)가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제1밸브부재(22)와 상기 제2밸브부재(32)는 그 단면이 상기 프레임(10)의 공기통로(4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한다.The cross section of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프레임(10)의 단부에 마련된 고정밸브부재(81,82)는 상기 프레임(10)의 공기통로(4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The
건물의 환기는 그 건물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하절기나 동절기와 같이 냉방이나 난방을 통해 강제적으로 그 실내온도를 통제하는 경우에 있어서 항상 환기를 시키게 되면 실내온도 통제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예를들어 냉방을 하는 하절기에 계속 환기를 하게 되면 건물 외부의 더운 공기가 실내로 계속적으로 유입되어 실내온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냉방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냉방이나 난방을 하는 시기에는 환기를 항상 할 수는 없으며 특정시간 동안에만 환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Ventilation of the building is necessary for the health of those who work in it. However,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forcedly controlled through cooling or heating, such as summer or winter, the efficiency of room temperature control is reduced. For example, if the air is continuously ventilated during the summer, the cooling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hot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continuously flows into the room and the room temperature increases. Therefore,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ventilate at the time of cooling or heating, it is desirable to ventilate only for a certain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동절기나 하절기에 있어, 환기가 필요한 시간에는 상기 고정밸브부재(81,82)를 상기 프레임(10)의 공기통로(40)를 개방시키는 위치에 두어 상기 공기통로(40)를 따라 공기가 왕복할 수 있도록 하며, 환기를 하지 않는 시간에는 상기 고정밸브부재(81,82)를 상기 프레임(10)의 공기통로(40)를 폐쇄하는 위치에 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inter or summer season, when the ventilation is required, the
상기 고정밸브부재(81,82)가 상기 프레임(10)의 공기통로(40)를 폐쇄할 때에는 걸림턱(11)에 걸리게 되는데, 상기 걸림턱(11)에 걸리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공기통로(40)를 폐쇄할 수 있고, 상기 공기통로(40)와 상기 고정밸브부재(81,82)사이의 틈을 막아 기밀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When the fixing
환기가 필요해 상기 고정밸브부재(81,82)가 상기 공기통로(40)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공기통로(40)를 통해서 실내외의 공기가 순환되어 환기되 게 된다.When the fixing
상기 고정밸브부재(81,82)에 의한 상기 공기통로(40)의 개방이나 폐쇄는 상기 고정밸브부재(81,82)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모터(88)에 의하게 된다.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상기 공기통로(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통로(4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커서 운동에너지가 큰 경우에는 공기가 제1밸브부재(22) 또는 제2밸브부재(32)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1밸브부재(22) 또는 제2밸브부재(32)를 건물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If the flow rate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예를 들어 도 3에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 즉 건물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면, 공기의 유속이 큰 경우에는 상기 공기통로(40)를 통해서 이동하는 공기가 제1밸브부재(22)를 밀게 되고, 그 힘에 의해 상기 제1밸브부재(22)는 제1스프링(24)을 건물의 내부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건물의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air moves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3, when the air flow rate is large, the air moving through the
제1밸브부재(22)가 건물의 내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테이퍼부(20)와 제1밸브부재(22) 사이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공기통로(40)를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양은 공기의 속도와 그 유동단면적에 각각 비례하게 되는데 공기의 속도가 큰 경우에는 그 유동단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공기통로(40)를 통하는 공기의 유량의 변화는 그다지 심하지 않다.When the
한편 공기의 유속이 줄어들게 되면 운동에너지 역시 줄어들게 되므로 공기가 제1밸브부재(22)에 가할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들게 되므로, 제1스프링(24)의 탄성 변형 역시 감소되어 제1밸브부재(22)가 상기 테이퍼부(20)의 유동단면적이 큰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밸브부재(22)와 테이퍼부(20)사이의 단면적이 커지게 되고 따라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동면적은 늘어나게 된다. 즉 공기의 이동속도가 줄어드는 경우에는 유동단면적이 증가함으로 인해 상기 공기통로(40)를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 변화는 최소화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rate of air is reduced, the kinetic energy is also reduced, and thus the energy that air can apply to the
공기가 건물의 내부에서 건물의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공기의 속도에 따라 제2밸브부재(32)가 건물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상기 제2밸브부재(32)가 건물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밸브부재(32)와 제2테이퍼부(30) 사이의 면적 즉 유동단면적이 줄어드는 정도도 달라지게 되므로, 상술한 공기가 건물의 외부에서 건물의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기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When the air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즉 본 발명의 환기장치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유량의 변화가 최소화되어 일정한 공기흐름의 유지가 가능한 환기를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employing the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the change in the flow rate is minimized to enable the ventilation to maintain a constant air flow.
상기에서는 제1테이퍼부와 제2테이퍼부를 구비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테이퍼부만 구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2테이퍼부와 제2밸브부재, 제2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테이퍼부에 의해 어느정도 일정한 공기 흐름을 유지하는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having the first taper portion and the second taper por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even when only the first taper portion is provide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That is, even when the second taper portion, the second valve member, and the second spring are not provided, the first taper portion allows ventilation to maintain a certain air flow.
상기에서는 제1고정밸브부재와 제2고정밸브부재를 구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정밸브부재를 한 개만 포함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고정밸브부재를 이 용하여 프레임의 공기통로의 폐쇄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first fixed valve member and the second fixed valve memb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even when only one fixed valve member is included, the air passage of the frame can be closed by using one fixed valve member. The effect of the invention can be achieved.
상기에서는 걸림턱을 구비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걸림턱을 구비해야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a locking step, but the locking step must not necessarily provid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는 고정밸브부재가 왕복회전에 의하여 프레임의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왕복회전에 의하여 프레임의 공기통로를 개폐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밸브부재가 왕복회전에 의하여 프레임의 공기통로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고정밸브부재가 왕복회전하는 그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하가 대칭인 프레임 단면이 요구되지만 고정밸브부재가 프레임의 일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프레임의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단면형상이 한정될 필요가 없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xed valve member moves to a position for closing and opening the air passage of the frame by reciprocating rotation is not necessarily to open and close the air passage of the frame by reciprocating rotation.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fixed valve member to close the air passage of the frame by reciprocating rotation, a cross-section of the frame is symmetrical up and down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which the fixed valve member reciprocates, but the fixed valve member is hinged to one end of the fram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air passage of the frame in such a manner as to b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ame need not be limited.
상기에서는 상기 고정밸브부재의 회전을 위해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그 고정밸브부재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모터를 구비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모터에 의하여 고정밸브부재가 회전하거나 이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솔레노이드 등의 다른 구동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원이 없이 수동으로 고정밸브부재에 의해 공기통로를 개폐하도록 된 형태의 환기장치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but the embodiment has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for the rotation of the fixed valve member and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fixed valve member, but the fixed valve member is not necessarily rotated or moved by the motor. Other drive sources such as solenoids may be used, and a ventilator in a form of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an air passage by a fixed valve member without a separate drive source does not viol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는 건물의 외벽에 본 발명의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시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건물에 설치되는 창틀에도 본 발명의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환기장치가 창틀에 설 치되는 경우에는 일종의 환기장치로 볼 수 있는 창과 함께 건물의 환기를 담당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bed the embodiment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embodiment in which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installed in the building does not viol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ventil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it can be in charge of the ventilation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window that can be seen as a kind of ventilation syste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환기장치로 실현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alized as various types of ventilation devic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viol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없이 건물의 환기를 시킬 수 있고, 지표면에서부터의 높이에 따른 바람의 세기에 관계없이 환풍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환풍장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on device capable of ventilating a building without a separate power, and keeping the amount of air vented constant regardless of the strength of the wind according to the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7588A KR100709760B1 (en) | 2005-11-10 | 2005-11-10 | Ventil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7588A KR100709760B1 (en) | 2005-11-10 | 2005-11-10 | Ventil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9760B1 true KR100709760B1 (en) | 2007-04-19 |
Family
ID=3818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75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9760B1 (en) | 2005-11-10 | 2005-11-10 | Venti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976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2073A (en) * | 2021-02-26 | 2022-09-02 | 윤태호 | Position 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irflow |
CN119877891A (en) * | 2025-03-31 | 2025-04-25 | 中联西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Existing building outer wall transformation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5508U (en) * | 1996-12-27 | 1998-09-25 | 추호석 | Air outlet structure of rolling stock |
JP2004101155A (en) * | 2002-09-06 | 2004-04-02 | Chiyousuke Sokei | Ventilation passage utilizing effect of venturi tube |
JP2004233021A (en) * | 2003-02-03 | 2004-08-19 |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 Clean room exhaust system |
KR200394913Y1 (en) * | 2005-05-07 | 2005-09-07 | 주식회사 해훈건설 | Ventilator used venturi |
-
2005
- 2005-11-10 KR KR1020050107588A patent/KR1007097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5508U (en) * | 1996-12-27 | 1998-09-25 | 추호석 | Air outlet structure of rolling stock |
JP2004101155A (en) * | 2002-09-06 | 2004-04-02 | Chiyousuke Sokei | Ventilation passage utilizing effect of venturi tube |
JP2004233021A (en) * | 2003-02-03 | 2004-08-19 |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 Clean room exhaust system |
KR200394913Y1 (en) * | 2005-05-07 | 2005-09-07 | 주식회사 해훈건설 | Ventilator used venturi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2073A (en) * | 2021-02-26 | 2022-09-02 | 윤태호 | Position vari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airflow |
KR102469038B1 (en) | 2021-02-26 | 2022-11-18 | 윤태호 | Position-Variable Air Cleaning Device By Airflow |
CN119877891A (en) * | 2025-03-31 | 2025-04-25 | 中联西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Existing building outer wall transforma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5206673B2 (en) |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2016435A (en) | energy efficient buildings | |
US20040140364A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moisture control | |
DK0837288T3 (en) | Ventilation convector with adjustable deflector elements | |
KR101058417B1 (en) | Ventilated window frame | |
KR200442087Y1 (en) | Multi-stage adjustable ventilation for windows | |
KR101526136B1 (en) | Energy regeneration type reversible fan ventilator and ventilation system and comprising the same | |
KR100709760B1 (en) | Ventilation | |
KR102119098B1 (en) | Cooling System for Elevator Shaft and Method Thereof | |
KR101374865B1 (en) | Multipurpose Ventilation System | |
KR101562171B1 (en) | Louber window capable of controlling awning angle | |
JP4614828B2 (en) |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KR102601479B1 (en) | Hybrid venti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20076050A (en) | Ventilating apparatus | |
KR100499524B1 (en) |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JP3082061B2 (en) | Air conditioning method for heating or heating and cooling | |
CN216592082U (en) | Curtain wall ventilator | |
TWI263022B (en) | Air circulation device | |
KR100697839B1 (en) |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ventilation window | |
KR200424327Y1 (en) | Ventilation | |
WO2004009946A1 (en) | Frame with integrated ventilation | |
KR200404269Y1 (en) |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 |
FI12468U1 (en) | Supply air arrangement | |
KR100763418B1 (en) | Ventilation | |
KR101590723B1 (en) | Deck plate structure for a vertical ventil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