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9407B1 - 냉장고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407B1
KR100709407B1 KR1020040100896A KR20040100896A KR100709407B1 KR 100709407 B1 KR100709407 B1 KR 100709407B1 KR 1020040100896 A KR1020040100896 A KR 1020040100896A KR 20040100896 A KR20040100896 A KR 20040100896A KR 100709407 B1 KR100709407 B1 KR 100709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frigerator
dispenser
ice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146A (ko
Inventor
김선규
이항복
곽상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4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4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나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의 스위치 일측에 발광체가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400) 일측에 형성되어 얼음이나 물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부(540)와; 상기 취출부(5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얼음이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작동을 결정하는 스위치(544)와; 상기 스위치(54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544)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발광체(5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의 인식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더욱 돋보이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디스펜서, 스위치, 발광체

Description

냉장고 디스펜서{ A dispenser of refrigerator }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사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닫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냉장실
220. 서랍 240. 선반
260. 트레이 300. 냉동실
400. 도어 500. 디스펜서
520. 디스플레이부 522. 디스플레이
524. 조작버튼 540. 취출부
542. 취출구 544. 스위치
546. 발광체 600. 홈바
C. 컵
본 발명은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음이나 물을 취출하기 위한 스위치의 일측에 발광체가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의 상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고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들을 냉동 또는 냉장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들어서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다양한 기능과 대형을 선호하는 소비자 경향에 맞물려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상기 대형 냉장고는 전면 양쪽에 도어가 형성되어 양쪽으로 개폐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홈바 또는 디스펜서가 구비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면에 양쪽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된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0)는 냉장고 본체(1)의 좌우측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도어(10)는 독립적인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의 내측에는 냉동 또는 냉장저장을 필요로 하는 음식물 이 저장되기 위한 다수개의 서랍과 트레이가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1)의 내측 구성은 본 발명과는 실질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 본체(1)의 도어(10)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홈바(20)와 디스펜서(3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홈바(20)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좌우측 중 일측의 도어(1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10)를 열지 않고도 술 또는 음료수 등을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도어(10)를 열때 발생하는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30)는 상기 냉장고 본체(1)의 좌우측 도어(10) 중 다른 한쪽의 도어(1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얼음 또는 정수된 물을 저장된 탱크로부터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펜서(30)는 디스플레이부(31)와 취출부(35)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는 상기 디스펜서(30)의 작동을 조절하고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1)에는 상기 디스펜서(30)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32)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3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30)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작할 수있는 다수개의 조작버튼(33)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35)는 사용자가 컵 또는 다양한 용기들에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받는 부분으로 상기 도어(10)의 내측으로 다소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35)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디스펜서(30)가 작동되어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이 취출구로 나오게 하는 스위치(36)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36)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컵 또는 다른 용기를 접촉하여 뒤로 밀어서 작동시키는 레버형태나 취출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컵 또는 용기로 누를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36)의 상방에는 취출구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컵 또는 다른 용기로 상기 스위치(36)를 조작하면서 물 또는 얼음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 디스펜서는 냉장고 본체(1) 자체에 별도의 조명기구가 구비되지 않아서 상기 디스펜서(3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별도의 조명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30)의 스위치(36)를 인식할 수 있어야 만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즉, 야간에 상기 디스펜서(3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내등을 켜야만 상기 디스펜서(30)의 스위치(36)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조명기구가 없이 어림짐작으로 상기 디스펜서(30)의 스위치(36)를 조작하게 될 경우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정확하게 컵에 받을 수 없게 되어 외부로 흘리는 등 사용상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얼음이나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의 스위치 일측에 발광체가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형성되어 얼음이나 물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부와; 상기 취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얼음이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작동을 결정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발광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체는 상기 스위치의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발광체는 엘이디(LED)로 형성된다.
상기 발광체는 야광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의 상방에 취출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의 인식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본체(1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측이 크게 좌우로 구획되어 냉장실(200)과 냉동실(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본체(100)의 전면은 선택적으로 차폐가 가능한 도어(400)에 의해서 차폐된다. 도면에 도시된 냉장고는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상기 본체(100) 내측의 냉장실(200)과 냉동실(300)을 각각 차폐하는 도어(40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400)는 외측단부의 상, 하단에 각각 힌지(Hinge)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동하면서 열릴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도어(400)를 열게 되면 상기 각각의 냉장실(200)과 냉동실(300) 전체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300)과 냉장실(200) 그리고 각각을 차폐하는 도어(4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서랍(220)들과 선반(240) 및 트레이(Tray,260)가 구비된다. 이들 각각의 서랍(220)들과 선반(240) 및 트레이(260)는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각각 의 저장공간에서 다른 저장온도를 가지도록 하며,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저장공간에 알맞은 음식물들을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의 내측에 냉동 또는 냉장저장되는 음식물 중에서 마시는 물이나 얼음, 그리고 음료수와 술 등은 아주 빈번하게 꺼내어지게 되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400)의 내측에 형성된 트레이(260)에 보관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400)를 개방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상기 냉장실(200) 또는 냉동실(300) 전체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00)가 자주 개방되면 상기 냉동실(300)과 냉장실(200) 내부의 냉기 손실이 너무 크게 된다.
이러한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냉장고의 도어(400)에 술 또 는 음료수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홈바(600)와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Dispenser,500)가 필요에 따라 각각 구비된다.
상기 홈바(600)는 상기 도어(400)의 트레이(260)에 저장된 음료수나 술 등을 도어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400)의 트레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소형도어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수나 술 등을 필요로 할때 상기 본체(100)를 차폐하는 도어(400)를 열 필요 없이 상기 도어(400)의 일측에 형성된 소형도어만을 개방하여 필요로 하는 것을 인출할 수 있게 되어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닫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디스펜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디스펜서(500)는 사용자가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조작가능한 높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디스펜서(500)는 디스플레이부(520)와 취출부(54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520)는 상기 디스펜서(500)의 작동 상태를 조절,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5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522)와, 상기 디스플레이(5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500)의 작동을 조절하여 정수된 물이나 얼음 및 조각얼음 등의 취출 상태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조작버튼(52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520)의 하측에는 취출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취출부(540)는 정수된 물이나 얼음들을 외부로 취출하는 곳으로 상기 도어(400)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며, 상기 취출부(540)의 상단부에는 정수된 물이나 얼음이 하방으로 취출되는 취출구(542)가 형성된다.
상기 취출구(542)의 하방에는 상기 취출구(542)를 통해서 정수된 물이나 얼음이 취출될 수 있도록 상기 취출구(542)의 개방을 조절하는 스위치(544)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544)는 상기 취출부(540)의 후면에서 소정거리만큼 돌출형성되어 누름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컵(C) 또는 다른 용기로 상기 스위치(544)를 누르면서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544)의 외곽 둘레에는 발광체(546)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체(546)는 상기 스위치(544)의 인식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발광(發光)작용 하는 것으로, 밝은 빛을 발생하는 엘이디(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발광체(546)는 상기 스위치(54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스위치(544)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취출부(540)의 후측면 즉, 스위치(544)의 외측둘레에 해당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체(546)는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야광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 때에도 설치위치는 상기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 면도로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500)로부터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디스플레이부(520)에 설치된 다수개의 조작버튼(524)을 조작하여 상기 디스펜서(500)로부터 정수된 물과 얼음, 그리고 조각얼음 중에서 원하는 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22)에 원하는 상태의 설정이 완료된 후, 실내가 어둡거나 별도의 조명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발광체(546)의 발광작용을 통해서 상기 취출부(540)의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544)를 용이하게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부(540)의 스위치(544)에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컵(C) 또는 다른 용기를 접촉시켜 상기 스위치(544)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544)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스위치(544) 상부의 상기 취출구(542)가 개방되고, 상기 취출부(540)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522)에 설정된 정수된 물이나 얼음이 사용자의 컵(C)에 받쳐지게 된다.
상기 컵(C) 또는 용기에 원하는 양의 정수된 물이나 얼음이 받쳐지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컵(C) 또는 용기를 상기 스위치(544)로부터 떼어 상기 취출구(542)를 차단함으로서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의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체(546)를 상기 스위치(544)의 테두리에 설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발광체(546)를 상기 스위치(544)의 내측에 설치하거나 상기 스위치(544)와 발광체(54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 에서는, 정수된 물이나 얼음들이 취출되는 취출구의 개폐를 결정하는 스위치의 일측에 발광체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두운 곳에서도 상기 스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있게 되어 상기 취출구로부터 원하는 상태의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의 위치가 사용자가 정수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 컵 또는 다른 용기를 스위치에 밀착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컵 또는 다른 용기에 채워지는 물 또는 얼음의 양을 보다 용이 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어두운 밤 또는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물 또는 얼음을 넘치지 않도록 컵 등에 용이 하게 받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깔의 발광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비교적 획일화된 냉장고의 디자인에 차별화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형성되어 얼음이나 물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부와;
    상기 취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얼음이나 물이 취출되기 위한 작동을 결정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발광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상기 스위치의 둘레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엘이디(LED)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야광물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상방에 취출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
KR1020040100896A 2004-12-03 2004-12-03 냉장고 디스펜서 Expired - Fee Related KR100709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96A KR100709407B1 (ko) 2004-12-03 2004-12-03 냉장고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96A KR100709407B1 (ko) 2004-12-03 2004-12-03 냉장고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146A KR20060062146A (ko) 2006-06-12
KR100709407B1 true KR100709407B1 (ko) 2007-04-18

Family

ID=3715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8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9407B1 (ko) 2004-12-03 2004-12-03 냉장고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96B1 (ko) 2009-08-12 2012-04-1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75B1 (ko) 2006-12-11 2013-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8596085B2 (en) 2007-02-05 2013-1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KR101730183B1 (ko) 2010-01-18 201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펜서
KR101650305B1 (ko) 2010-04-27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2124037B1 (ko) * 2019-08-02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88584B1 (ko) * 2019-12-27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795A (ko) * 1997-08-26 1999-03-15 윤종용 냉장고의 워터 디스펜서 제어장치
KR20010000671A (ko) * 2000-10-12 2001-01-05 안영상 광역 브이오디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795A (ko) * 1997-08-26 1999-03-15 윤종용 냉장고의 워터 디스펜서 제어장치
KR20010000671A (ko) * 2000-10-12 2001-01-05 안영상 광역 브이오디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17795
200167164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96B1 (ko) 2009-08-12 2012-04-1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146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3460B2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778993B1 (ko) 디스펜서용 조작레버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20080289355A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06126482A1 (ja) 冷蔵庫
US10684068B1 (en) Lighted water dispensing
US20110167862A1 (en) Refrigeration and ice-making system thereof
US11828528B2 (en) Water dispenser
US10605517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comprising a delivery door
CN100526772C (zh) 冰箱
KR100709407B1 (ko) 냉장고 디스펜서
US11578907B2 (en) Temperature-controlled drawer in a refrigerator
KR20080061121A (ko) 대기전력 선택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CN1940427B (zh) 冰箱分配器
JP3308984B2 (ja) 冷蔵庫
KR101810460B1 (ko) 냉장고
JP2010071564A (ja) 冷蔵庫
JP2007003173A (ja) 冷蔵庫
KR20080005808U (ko) 냉장고
KR200389123Y1 (ko) 숙박시설용 냉장고
KR20070111629A (ko) 냉장고
KR100690201B1 (ko) 숙박시설용 냉장고
KR100849565B1 (ko) 냉장고 도어 바스켓 장착구조
JP2008106990A (ja) 冷蔵庫
KR20070054281A (ko) 냉장고의 멀티 디스펜서
KR20040061384A (ko) 냉장고의 야채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