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9146B1 -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 Google Patents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146B1
KR100709146B1 KR1020030032763A KR20030032763A KR100709146B1 KR 100709146 B1 KR100709146 B1 KR 100709146B1 KR 1020030032763 A KR1020030032763 A KR 1020030032763A KR 20030032763 A KR20030032763 A KR 20030032763A KR 100709146 B1 KR100709146 B1 KR 10070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arc
moving plate
transfer tub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412A (ko
Inventor
차은종
김경아
Original Assignee
충청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북도 filed Critical 충청북도
Priority to KR102003003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146B1/ko
Priority to PCT/KR2004/000352 priority patent/WO2004103175A1/en
Priority to US10/530,194 priority patent/US7438690B2/en
Publication of KR2004010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1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1Peak expiratory flow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연속적인 호식기류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대호식기류계는 일단에는 제 1 호식기류구 및 제 1 호식기류구의 일측에 관통되는 압력전달공이 형성된 제 1 본체와, 제 1 본체의 타단 인접한 상부면 상에 배치되고 제 1 본체의 바닥면에서 연장되는 지지돌기들에 의해서 단부가 고정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되는 이동판을 갖는 하부케이스부; 제 1 호식기류구의 일측에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본체의 상부에서 압력전달공을 관통하는 제 1 전달관 및 제 1 본체의 내부로 배치된 제 1 전달관의 외주면 상에서 제 1 전달관과 연통하면서 이동판 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2 전달관을 구비하는 압력전달관, 압력전달관의 제 2 전달관의 연장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된 탄성판과, 탄성판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이동판의 일측면 상에 장착되는 압력스프링을 갖는 공기탄성부; 및 제 1 본체에 결합되고 공기탄성부를 한정하면서 일단에는 제 1 호식기류구에 대응하는 제 2 호식기류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호식기류구의 일측에는 양측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측정장공이 형성된 제 2 본체와, “T”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는 측정장공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본체의 상부에 걸쳐지고 하부는 이동판의 타측면 상부에 걸쳐져 이동판에 의해서 이동되는 측정눈금판을 갖는 상부케이스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Peak expiratory flow meter capable of measuring continuous expiratory flow signal}
도 1은 종래 최대호식기류계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식기류계를 분해하여 나나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대호식기류계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압력과 기류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그리고
도 6은 표준기류와 측정기류간의 비교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110 : 하부케이스부 112 : 제 1 본체
114 : 제 1 호식기류구 116 : 압력전달공
118 : 레일 120 : 지지돌기
130 : 공기탄성부 132 : 압력전달관
134a : 제 1 전달관 134b : 제 2 전달관
136 : 탄성판 140 : 압력스프링
150 : 상부케이스부 152 : 제 2 본체
154 : 제 2 호식기류구 156 : 측정장공
158 : 눈금 160 : 측정눈금판
본 발명은 천식환자들이 사용하는 최대호식기류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호식기류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식(Asthma)은 만성 호흡기질환의 하나로 기도가 좁아지는 천식 발작(Asthmatic attack)은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는 호흡기 질환이다(A. Greening, “General principles”, In: Manual of asthma management, pp.331-337, Ed. by P.M. O'byne, N.C. Thomson, W.B. Saunders, New York, 2001). 따라서 천식환자는 스스로 자가관리하는 것이 필수이며, 통상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최대호식기류계(Peak expiratory flow meter; PEFM)를 사용하여 강제호식(forced expiration)을 행하고, 이때 최대호식기류(PEF)를 측정한다. 최대호식기류계로 측정한 최대호식기류 값에 따라 스스로의 상태를 인지하고 병원 방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상례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최대호식기류계는 도 1에 보인 원리에 의해 동작하는데, 호흡관(10) 내에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11)의 한 쪽을 관에 고정하고(ⓢ) 반대쪽은 호흡관(10) 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판(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관 안, 밖에 걸쳐있는 표시기(13)가 이동판(12)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있다. 도 1에서 환자의 호식기류(F)가 없을 때에, 즉 사용치 않을 때 이동판(12)이 도면에 도시된 ①위치에 있고 표시기(13)는 이동판(12)과 밀착시켜 넣는다. 환자가 호식하기 시작하면 호식기류(F)에 의해 이동판(12)이 힘을 받으므로 이동판(13)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호식기류에 의한 미는 힘(F)이 커짐에 따라 이동거리(L)가 길어지며 표시기(13)도 이동판(12)과 함께 이동한다. 동시에 이동판(12)은 스프링(11)을 잡아당기므로 스프링(11) 내에는 탄성력이 생성 보존된다. 환자는 폐활량 검사할 때와 같이 강제 호식하는데 이는 공기를 최대한 들이마신 후 호흡관(10)에 입을 대고 가능한 빨리 그리고 많이 호식하는 표준화된 호흡기능검사방법이다. 환자의 강제호식시 호식기류에 의한 미는 힘(F)의 값이 최대치를 지나 감소하기 시작하면 이동판(12)은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궁극적으로 원래 위치(①)로 돌아오지만(ⓟ) 이동판(12)과 함께 밀착하여 이동했던(ⓜ) 표시기(13)는 이동판(12)과 연결 되어있지 않으므로 이동판(12)의 우측 최대이동거리(L)까지 이동한 후 그대로 그위치(②)에 남아있게 되고 최대이동거리(L)를 시각적으로 측정하여 최대호식기류를 계측한다.
상기와 같은 최대호식기류계는 천식환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필요시 수시로 최대호식기류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널리 활용되는 의료용구이며, 이들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영국특허 제 1463814 호와, 미국특허 제 5,224,487 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공개하고 있는 최대호식기류계들은 휴대가능하며 사용이 간편하지만 강제호식하며 행하는 폐활량 검사과정(spirometry)에서 최대호식기류값 하나만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천식환자 등 만성 호흡기질환자의 호흡기능평가는 강제호식 중 호식기류신호를 연속측정하여 신호파형으로부터 강제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량(forced expiratory volume at 1sec, FEV1.0) 등의 중요한 지표값을 함께 얻어야만 가능하다(R.E, Kanner, A.H. Morris, “Forced expiratory spirogram”, In: Clinical pulmonary function testing, pp.I-7~10, Intermountain Thoracic Society, Salt Lake City, 1975).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최대호식기류계들은 단지 호식기류의 최대치인 최대호식기류값 만을 제공하므로 호흡기능평가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호흡기능평가를 위하여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지표들인 FVC, FEV1.0, PEF들을 동시에 얻고자 하면 고가의 폐활량계(spirometer)를 사용해야만 하는 바, 이는 호식기류신호를 계측하는 원리 등 제반 동작구조가 PEFM과는 전혀 다른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현재 천식환자가 호흡기능 평가를 하고자 하는 경우 PEFM으로 PEF값만을 측정하던지, 아니면 별도의 폐활량계를 따로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탄성체(miniatured air expansion chamber)가 내장되는 최대호식기류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최대호식계로부터 연속적인 기류신호에 해당하는 압력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실질적인 폐활량계 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평상시에는 최대호식기류계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신호축적 및 분석회로를 연결하여 폐활량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 및 양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는 천식환자가 입안에 머금을 수 있도록 제 1 호식기류구 및 제 1 호식기류구의 일측에 관통되는 압력전달공이 형성된 제 1 본체와, 제 1 본체의 타단 인접한 상부면 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 1 본체의 바닥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돌기들에 의해서 단부가 고정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되는 이동판을 갖는 하부케이스부;
제 1 호식기류구의 일측에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본체의 상부에서 압력전달공을 관통하는 제 1 전달관 및 제 1 본체의 내부로 배치된 제 1 전달관의 외부면 상에서 제 1 전달관과 연통하면서 이동판 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2 전달관을 구비하는 압력전달관, 압력전달관의 제 2 전달관의 연장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된 탄성판과, 탄성판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이동판의 일측면 상에 장착되는 압력스프링을 갖는 공기탄성부; 및
제 1 본체에 결합됨과 아울러 공기탄성부를 한정하면서 일단에는 제 1 호식기류구에 대응하는 제 2 호식기류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호식기류구의 일측에는 타단 인접한 위치까지 관통 연장되면서 양측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측정장공이 형성된 제 2 본체와, “T”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는 측정장공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본체의 상부에 걸쳐지고 하부는 이동판의 타측면 상부에 걸쳐져 이동판에 의해서 이동되는 측정눈금판을 갖는 상부케이스부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탄성체(miniatured air expansion chamber)가 내장되는 최대호식기류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최대호식계로부터 연속적인 기류신호에 해당하는 압력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실질적인 폐활량계 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평상시에는 최대호식기류계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신호축적 및 분석회로를 연결하여 폐활량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식기류계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100)는 하부케이스부(110), 공기탄성부(130) 및 상부케이스부(150)를 구비한다.
먼저, 하부케이스부(110)는 제 1 본체(112), 레일(118)을 구비한다. 제 1 본체(112)는 상부 및 양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본체(112)의 일단에는 천식환자가 입안에 머금을 수 있도록 방사상 좁아지게 형성되는 제 1 호식기류구(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호식기류구(114)의 일측에는 제 1 본체(112)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압력전달공(116)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118)은 제 1 본체(112)의 타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레일(118)은 압력전달공(116)의 일측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배치됨과 아울러 제 1 본체(112)의 타단 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러한 레일(118)의 각각의 단부는 제 1 본체(112)의 바닥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돌기(120)들에 의해서 고정 배치되고, 레일(118)에는 수직한 판 형상의 이동판(1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케이스부(110)에는 공기탄성부(130) 및 상부케이스부(150)가 배치된다.
공기탄성부(130)는 압력전달관(132) 및 탄성판(136)을 구비한다. 압력전달관(132)은 제 1 전달관(134a) 및 제 2 전달관(134b)을 구비한다. 제 1 전달관(134a)은 제 1 본체(112)의 상부에서 압력전달공(116)을 지나 제 1 본체(11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전달관(134a)의 상부는 폐쇄되고 개방된 하부에는 통상의 압력센서(136) 또는 신호분석용 전자회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전달관(134b)은 제 1 본체(112)의 내부로 배치된 제 1 전달관(134a)의 외주면 상에서 이동판(122) 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된다. 즉, 제 2 전달관(134b)과 제 1 전달관(134a)은 서로 연통하게 된다. 탄성판(136)은 수직하게 배치된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판(136)의 일측에는 제 2 전달관(134b)의 연장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홈(138)이 형성되고 타측면 상에는 압력스프링(140)의 일단이 장착된다. 이때, 압력스프링(140)의 타단은 이동판(122)의 일측면 상에 장착된다.
한편, 상부케이스부(150)는 제 2 본체(152) 및 측정눈금판(160)을 구비한다. 제 2 본체(152)는 제 1 본체(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 및 양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2 본체(152)의 일단에는 제 1 호식기류구(114)에 대응하는 제 2 호식기류구(154)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호식기류구(154)의 일측에는 제 2 본체(152)의 타단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측정장공(156)이 제 2 본체(152)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측정장공(156)의 양측에는 눈금(158)이 표시된다. 측정눈금판(160)은 대략적으로 “T” 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측정눈금판(160)의 상부는 측정장공(156)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본체(152)의 상부에 걸쳐지고 측정눈금판(160)의 하부는 이동판(122)의 타측면 상부에 걸쳐진다. 즉, 측정눈금판(160)은 이동판(122)을 따라서 이동하며, 제 1 본체(112) 내부에 배치된 공기탄성부(130)는 제 2 본체(150)에 의해서 제 1 본체(112) 및 제 2 본체(152) 사이에 한정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최대호식기류계(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동판(122)이 레일(11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본체(112)를 갖는 하부케이스부(110)에 공기탄성부(130)를 장착한다. 이때, 공기탄성부(130)의 압력전달관(132)의 제 1 전달관(134a) 및 제 2 전달관(134b)을 압력전달공(116) 및 탄성판(136)의 장착홈(138)에 장착한다. 이때, 제 1 전달관(134a)과 압력전달공(116) 및 제 2 전달관(134b)과 장착홈(138) 사이에는 공기의 유통이 없도록 밀폐되게 장착하며, 탄성판(136)에 장착된 압력스프링(140)의 타단은 이동판(122)의 일측면 상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부케이스부(110)에 공기탄성부(130)가 장착되면, 측정눈금판(160)이 장착된 제 2 본체(152)를 갖는 상부케이스부(150)를 하부케이스 부(110)의 상부에 덮어 하부케이스부(110)의 상부를 폐쇄한다. 이때, 측정눈금판(160)의 하부는 이동판(122)의 타측면 상에 밀착되게 배치시켜 이동판(122)의 이동에 따라서 반응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최대호식기류계(100)는 제 1 호식기류구(114) 및 제 2 호식기류구(154)를 통하여 들어오는 호식기류(F)가 이동판(122)을 밀어 압력스프링(140)이 늘어나면 압력스프링(140) 내에는 탄성력이 생성되고, 생성된 탄성력은 탄성판(136)을 잡아당기게 되어 탄성판(136)과 압력전달관(132) 내부에는 공기팽창이 이루어져 진공압력 즉, 음압이 형성된다. 그리고 호식기류(F)의 크기에 따라 이동판(122)의 이동거리가 달라지고 이에 비례하여 탄성력도 변화하므로 공기탄성부(130) 내에 형성되는 압력(P)은 호식기류(F)에 비례하는 동시에 호식기류(F)의 연속적인 변화를 반영하게 되고, 압력스프링(140)에 의해서 반응하는 공기탄성부(130)와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호식기류(F)에 비례하는 압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최대호식기류계(100)는 이동판(122)이 대칭되게 배치된 복수의 레일(118)을 따라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제 1 호식기류구(114) 및 제 2 호식기류구(154)로부터 호식기류(F)가 유입되면 이동판(122)이 이동하고 압력스프링(140)이 당겨지면서 탄성판(136)이 함께 당겨지므로 공기탄성부(130) 내부에는 호식기류(F)에 비례하는 음압이 형성된다. 한편 음압은 압력전달관(132)을 통해 외부에 연결되는 압력센서(136)에 의해서 연속 계측이 이루어져 환자가 강제호식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기류신호를 계측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제 2002-1151 호에 제시한 기구와 방법을 사용하여 압력과 호식기류 특성을 산출하였다.
도 5는 6회의 스트로크(stroke) 실험을 통하여 얻은 압력(P)과 호식기류(F) 특성곡선을 보였다. 압력(P)과 호식기류(F)간의 수학적 관계식은 2차함수로 거의 정확하게 (상관계수=0.99996) 표현할 수 있었다. 압력(P)과 호식기류(F)간이 단순 비례하지 않는 것은 마찰력과 관성 등 기구의 동작이 이상적이지 않으므로 이론적인 비례관계로부터 벗어나는데 기인한다. 그러나 압력(P)을 측정한 후 2차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호식기류(F)가 얻어지므로 실용적인 문제점은 없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압력(P)을 연속 측정하여 호식기류(F)를 얻고 (측정기류; Fm) 이를 실제로 가한 표준기류신호(표준기류; Fs)와 비교한 결과를 도 6에 보였다. 여기서 Fm과 Fs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100)의 유용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100)는 측정눈금판(160)을 이동시키는 이동판(122)이 복수의 레일(118)에 장착되어 측정눈금판(160)이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압력전달관(132)의 제 1 전달관(134a)에 압력센서(136) 또는 전자회로(도시되지 않음)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함으로써, 적절한 방법으로 폐화량검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호식기류계(100)의 융통성이 매우 우수하며 저가 로 제조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불러올 수 있게 하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상부 및 양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는 천식환자가 입안에 머금을 수 있도록 제 1 호식기류구 및 상기 제 1 호식기류구의 일측에 관통되는 압력전달공이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타단 인접한 상부면 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본체의 바닥면 상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돌기들에 의해서 단부가 고정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장착되는 이동판을 갖는 하부케이스부;
    상기 제 1 호식기류구의 일측에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압력전달공을 관통하는 제 1 전달관 및 상기 제 1 본체의 내부로 배치된 상기 제 1 전달관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제 1 전달관과 연통하면서 상기 이동판 측으로 방사상 넓어지게 연장되는 제 2 전달관을 구비하는 압력전달관, 상기 압력전달관의 상기 제 2 전달관의 연장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홈이 형성된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에 일단이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의 일측면 상에 장착되는 압력스프링을 갖는 공기탄성부; 및
    상기 제 1 본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탄성부를 한정하면서 일단에는 상기 제 1 호식기류구에 대응하는 제 2 호식기류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호식기류구의 일측에는 타단 인접한 위치까지 관통 연장되면서 양측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측정장공이 형성된 제 2 본체와, “T”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는 상기 측정장공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2 본체의 상부에 걸쳐지고 하부는 상기 이동판의 타측면 상부에 걸쳐져 상기 이동판에 의해서 이동되는 측정눈금판을 갖는 상부케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공과 상기 압력전달공을 지나는 상기 제 1 전달관 사이에는 공기의 유통이 없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달관과 상기 장착홈 사이에는 공기의 유통이 없도록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7. 삭제
KR1020030032763A 2003-05-23 2003-05-23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Expired - Fee Related KR10070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63A KR100709146B1 (ko) 2003-05-23 2003-05-23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PCT/KR2004/000352 WO2004103175A1 (en) 2003-05-23 2004-02-20 Peak expiratory flow meter capable of measuring continuous expiratory flow signal
US10/530,194 US7438690B2 (en) 2003-05-23 2004-02-20 Peak expiratory flow meter capable of measuring continuous expiratory flow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763A KR100709146B1 (ko) 2003-05-23 2003-05-23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412A KR20040100412A (ko) 2004-12-02
KR100709146B1 true KR100709146B1 (ko) 2007-04-18

Family

ID=3347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7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9146B1 (ko) 2003-05-23 2003-05-23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8690B2 (ko)
KR (1) KR100709146B1 (ko)
WO (1) WO2004103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01B1 (ko) * 2005-09-21 2007-05-22 충청북도 선형 저항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호식기류를 측정하는장치
TW200742564A (en) * 2006-05-12 2007-11-16 Zhen-Han Zhu Sliding curtain piece
KR102039984B1 (ko) * 2019-05-10 2019-11-04 브레싱스 주식회사 호흡 측정 장치
CN112914551B (zh) * 2021-01-20 2023-07-04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呼吸系统多功能测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315A (ko) * 1995-05-11 1996-12-17 알. 쉔 윌리암 개량된 폐활량 측정기
KR19990073865A (ko) * 1998-03-04 1999-10-05 차은종 폐활량 검사장치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23982D0 (en) * 1989-10-25 1989-12-13 Clement Clarke Int Measurement apparatus
US5224487A (en) * 1991-07-22 1993-07-06 Healthscan Products, Inc. Portable peak flow meter
GB9324455D0 (en) * 1993-11-29 1994-01-12 Vitalograph Limited Peak flow meters
US5816246A (en) * 1994-09-15 1998-10-06 Mirza; M. Zubair Electronic pocket spirometer
US6626845B2 (en) * 2000-04-07 2003-09-30 New York Medical Colleg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in vivo air volumes
GB0025679D0 (en) * 2000-10-19 2000-12-06 Clement Clarke Int Ltd Ventilatory capacity met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315A (ko) * 1995-05-11 1996-12-17 알. 쉔 윌리암 개량된 폐활량 측정기
KR19990073865A (ko) * 1998-03-04 1999-10-05 차은종 폐활량 검사장치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3175A1 (en) 2004-12-02
KR20040100412A (ko) 2004-12-02
US20060058698A1 (en) 2006-03-16
US7438690B2 (en)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7195A (en) Portable spirometer
JP3102898B2 (ja) 個人用の肺活量計
US4736750A (en) Apparatus for testing pulmonary functions
US3946726A (en) Pulmonary diagnostic instrument including breath transducer
US7094208B2 (en) Spirometer
EP2818107B1 (en) On-airway pulmonary function tester
EP0511983B1 (en) Ventilatory instrument for measuring peak expiratory flow
Bursztein et al. Determination of energy metabolism from respiratory functions alone
US8753286B2 (en) Spirometer with replaceable flow tube
US20210196148A1 (en) Breath sensor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US6004277A (en) Personal pulmonary function analyzers
KR100709146B1 (ko) 연속적인 호식기류 계측이 가능한 최대호식기류계
US6889564B1 (en) Peak flow meter
KR100721001B1 (ko) 선형 저항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호식기류를 측정하는장치
US20090204014A1 (en) Down-sized single directional respiratory air flow measuring tube
US6732581B1 (en) Low thermal capacity device for high precision pocket-size spirometry and other applications
KR100682026B1 (ko) 소형 단방향 기류 계측용 호흡관
CN116615140A (zh) 肺活量计
De Jongh Spirometers
Weygandt A sensitive five-breath N2 washout test of distribution of ventilation
RU2833020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р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датчика дыхания
Hart et al. The accuracy of dry gas meters at continuous and sinusoidal flows
Krumpe et al. Use of an acoustic helium analyzer for measuring lung volumes
WO2024052656A1 (en) Pitot tube for measuring high and low respiratory flow rates
Juroszek The influence of gas parameters on the result of spirometric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2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228

Appeal identifier: 2005101007780

Request date: 200511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5

Effective date: 20070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77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115

Effective date: 2007022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2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51115

Decision date: 20070228

Appeal identifier: 200510100778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