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752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8752B1 KR100708752B1 KR1020060038859A KR20060038859A KR100708752B1 KR 100708752 B1 KR100708752 B1 KR 100708752B1 KR 1020060038859 A KR1020060038859 A KR 1020060038859A KR 20060038859 A KR20060038859 A KR 20060038859A KR 100708752 B1 KR100708752 B1 KR 1007087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light emitting
- organic light
- display device
- cylindrical she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BTKNAXYKSUFRK-UHFFFAOYSA-N heliogen blue Chemical compound [Cu].[N-]1C2=C(C=CC=C3)C3=C1N=C([N-]1)C3=CC=CC=C3C1=NC([N-]1)=C(C=CC=C3)C3=C1N=C([N-]1)C3=CC=CC=C3C1=N2 RBTKNAXYKSUF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98 polyfluo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YOZHUJDVYMRYDM-UHFFFAOYSA-N 4-(4-anilinophenyl)-3-naphthalen-1-yl-n-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NC=3C=CC=CC=3)=CC=2)C=2C3=CC=CC=C3C=CC=2)C=CC=1NC1=CC=CC=C1 YOZHUJDVYMRYD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CJYREBRNVKWGJ-UHFFFAOYSA-N copper(II)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Cu+2].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XCJYREBRNVKW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BHBKWKFFTZAHE-UHFFFAOYSA-N n-[4-[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IBHBKWKFFTZA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VIVIEFSHFOWTE-UHFFFAOYSA-K tri(quinolin-8-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 TVIVIEFSHFOWTE-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하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cylindrical shell) 형상의 관통부들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light efficiency may include an intermediate laye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an emissio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has a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like through part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제1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electrode includ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전극을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first electrode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적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comparing light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red light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with light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녹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4 is a graph comparing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green light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with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FIG. 5 is a graph comparing light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blue light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with light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기판 130: 유기 발광 소자 100
131: 제1전극 133: 중간층 131: first electrode 133: intermediate layer
1331: 정공 주입층 1332: 정공 수송층 1331: hole injection layer 1332: hole transport layer
1333: 발광층 1334: 전자 수송층 1333: light emitting layer 1334: electron transport layer
1335: 전자 주입층 134; 제2전극1335: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갖는 화소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having a pixel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 because of its advantages of having a wide viewing angle, excellent contrast, and fast response speed.
이러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최근 요구되는 사항은 저전력으로도 높은 광효율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A recent demand for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to achieve high light efficiency even at low power.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for this.
이러한 시도들 중에서, 공급 전압을 높이는 방법은 의도한 휘도 향상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배터리의 용량 증가를 수반하여 경량화에 반하며, 또한 배터리 및 자발광소자의 수명을 감축시킨다. 이 때문에, 공급 전압을 오히려 낮추 면서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행기술이 제안되었다.Among these attempts, the method of raising the supply voltage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the intended brightness enhancement but contrary to the lightening accompanied by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battery, and also reduces the lifespan of the battery and the self-light emitting device. For this reason, the prior art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luminance while lowering the supply voltage.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92290호에는 무기EL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투광성 기판의 외측 표면에 무기EL소자와 동등 내지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집광용의 마이크로렌즈를 복수개 설치한 무기EL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광의 사출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하게 하여 그 방향에서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EL소자가 면광원이기 때문에 해당 EL소자와 동등 내지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한 경우에는 집광되지 않고 오히려 확산되는 EL광이 필연적으로 생기며, 또한 인접한 EL소자에 의한 상과의 중복으로 인해 상의 선명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4-192290 discloses an inorganic EL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lenses for condensing having a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at of the inorganic EL element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inorganic EL element is formed. . The direction of exiting the light is dire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increase the luminance in that direction. However, since the EL element is a surface light source, when a microlens having a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at of the EL element is used, EL light is inevitably collected, but rather diffused, and due to overlapping with images by adjacent EL element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arpness of the image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본 발명은,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하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cylindrical shell) 형상의 관통부들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mediate laye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an emission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ne of the second electrodes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like through parts.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중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짧은 전극에 복수개의 원기둥 껍 질 형상의 관통부들이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rate may be further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like through portions may be provided at an electrode having a shorter distance from the substrate amo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이 구비된 전극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electrod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shaped through portions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간층에서 발생된 광은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이 구비된 전극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light generated in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electrod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shaped through-hole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중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이 구비되지 않은 전극은 반사성 물질로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de in which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like through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not provided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들은 상기 중간층 형성용 물질로 채워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hrough parts may be filled with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intermediate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들은 다공성 실리카,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채워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hrough portions may be filled with porous silica,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본 발명은 또한,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을 갖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하며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을 갖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rst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shaped through portions, a second electrod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shell-shaped through portion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ntermediate layer including at least a light emit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electrode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제1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전극을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electrode includ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first electrode illustrated in FIG. 1. It is sectional draw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유기 발광 소자(130)는 제1전극(131)과, 제1전극(131)에 대향하는 제2전극(134)과,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133)을 구비한다.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133)은 적어도 발광층(1333)을 포함한다.1 and 2, an organic
제1전극(13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134)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 제1전극(131)이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134)이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제1전극(131)은 투명한 물질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제1전극(131)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구조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제1전극(131)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물질로 형성된 층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제2전극(134)은 투명한 물질 또는 반사성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제1전극(131)을 통해서만 외부로 취출되는 경우에는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 중 제2전극(134) 방향으로 진행한 광을 제2전극(134)에서 반사시켜 제1전극(131)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도록 할 경우에는 제2전극(134)은 반사성 물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 중 제2전극(134) 방향으로 진행한 광이 제2전극(134)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도록 할 경우, 즉 양면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전극(134)도 투명한 물질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제2전극(134)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물질로 형성된 층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극(134)이 반사형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을 전면 증착하여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When the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1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발광층(1333)을 구비하는데, 그 외에도 다양한 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간층(13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저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1331),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1332), 발광층(EML: emissive layer, 1333),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1334) 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1335) 등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은 마스크들을 이용한 진공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using a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material, as shown in FIG. 2, a hole injection layer (HIL: hole injection layer, 1331), a hole transport layer (HTL: hole transport layer, 1332), an emission layer (EML: emissive layer, 1333),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electron transport layer, 1334) or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electron injection layer, 1335) and the like, and the usable organic materials may also be copper phthalocyanine (CuPc: copper phthalocyanine), N, N-di (naphthalene -1-yl) -N, N'-diphenyl-benzidine (N, N'-Di (naphthalene-1-yl) -N, N'-diphenyl-benzidine: NPB),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cluding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 These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materials may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vacuum deposition using masks.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대개 정공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정공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polymer organic material, it may have a structure generally provided with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a light emitting layer (EML), in which case, PEDOT is used as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poly-phenylenevinylene (PPV) and polyfluorene are used as the light emitting layer. Polymer organic materials such as (Polyfluorene) can be used.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최근 요구되는 사항은 저전력으로도 높은 광효율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전극(131)에 복수개의 관통부(131a)들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 관통부(131a)는 원기둥 껍질(cylindrical shell) 형상의 관통부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 중 제1전극(131)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광의 비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에서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recent demand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to achieve high light efficiency even at low power. To this en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물론 제1전극(131)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1a)가 아닌 원기둥 형태의 관통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기둥 형태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태의 관통부가 구비되도록 할 경우, 동일한 조건 하에서 유 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의 휘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된다.Of course, the
하기 표 1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적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표이며, 도 3은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하기 표 1은 제1전극(131)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1a)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과, 제1전극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을 비교한 표이며, 도 3은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1의 결과 및 도 3의 그래프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610nm 내지 630nm인 경우이며,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 및 원기둥 형상 관통부 모두 600nm의 주기를 갖는 경우이다. 이때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의 경우 관통부의 외측 반경은 100nm이고 내측 반경은 50nm였으며, 원기둥 형상 관통부는 그 반경이 100nm이었다.Table 1 is a table comparing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red light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an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is. That is, Table 1 below is a table comparing the transmittance when the
상기 표 1 및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1전극(131)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된 경우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취출되는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파장의 컷-오프(cut-off)가 없어 투과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Referring to the graphs of Table 1 and FIG. 3,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하기 표 2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녹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표이며, 도 4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하기 표 2는 제1전극(131)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1a)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과, 제1전극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을 비교한 표이며, 도 4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2의 결과 및 도 4의 그래프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520nm 내지 540nm인 경우이며,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 및 원기둥 형상 관통부 모두 600nm의 주기를 갖는 경우이다. 이때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의 경우 관통부의 외측 반경은 100nm이고 내측 반경은 50nm였으며, 원기둥 형상 관통부는 그 반경이 100nm이었다.Table 2 is a table comparing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green light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an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is. That is, Table 2 below is a table comparing the transmittance when the
상기 표 2 및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녹색의 광일 경우에도 제1전극(131)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된 경우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취출되는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파장의 컷-오프(cut-off)가 없어 투과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경우 거의 모든 파장대에 대하여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2배에 가까운 투과율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s of Table 2 and FIG. 3, even whe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하기 표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표이며, 도 5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하기 표 3은 제1전극(131)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1a)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과, 제1전극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을 비교한 표이며, 도 5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3의 결과 및 도 5의 그래프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460nm 내지 479nm인 경우이며,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 및 원기둥 형상 관통부 모두 600nm의 주기를 갖는 경우이다. 이때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의 경우 관통부의 외측 반경은 100nm이고 내측 반경은 50nm였으며, 원기둥 형상 관통부는 그 반경이 100nm이었다.Table 3 is a table comparing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blue light with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an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is. That is, Table 3 below is a table comparing the transmittance when the
상기 표 3 및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청색의 광일 경우에도 제1전극(131)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된 경우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취출되는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파장의 컷-오프(cut-off)가 없어 투과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the graphs of Tables 3 and 5, even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이와 같이 제1전극(131)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1a)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취출되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전면에서의 휘도가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1a)는 e-beam 등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As such, the cylindrical electrode-like through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전극(131)에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1a)가 구비될 경우, 그 관통부(131a) 내부는 중간층(133) 형성용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정공 주입층(1331) 형성시 정공 주입층(1331) 형성용 물질로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1a)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1 and 2, when the cylindrical shell-like through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와 다른 점은,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1a)를 채우는 물질이 상이하다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극(131)에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1a)가 구비될 경우 그 관통부(131a) 내부는 중간층(133) 형성용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물질로 관통부(131a)가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다공성 실리카,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은 제1전극(131)을 이루는 물질과 굴절율이 상이한 물질로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제1전극(131)을 통하여 외부로 취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실험적으로는 제1전극(131)의 굴절율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진 물질로 관통부(131a)를 채움으로써,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the material filling the cylindrical shell-shaped through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만을 개시하였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화소마다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the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disclosed. As shown in FIG. 7, at least one thin film transistor TF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pixel.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각 화소 또는 부화소들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필요에 따라 SiO2 등으로 버퍼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부로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구비된다. 물론 도 7에는 예시적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시된 것이며, 그 외의 다양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Each pixel or subpixel has at least on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TFT) as seen in FIG. Referring to FIG. 7, a buffer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of SiO 2 on the
게이트 전극(121)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23)과, 반도체층(127)과 게이트 절연막(125)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상부로는 SiO2 등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128)이 형성되고, 패시베이션막(128)의 상부에는 아크릴, 폴리이미드 등에 의한 화소정의막(129)이 형성되어 있다. 패시베이션막(128)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그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막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박막 트랜지스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는 반드시 도 7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t least one capacitor may b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he circuit including the thin film transisto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7,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23) 중 어느 하나에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130)가 연결된다.Meanwhile, the organic
한편, 도 7에는 중간층(133)이 부화소에만 대응되도록 패터닝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부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그와 같이 도시한 것이며, 중간층(133)은 인접한 부화소의 중간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중간층(133) 중 일부의 층은 각 부화소별로 형성되고, 다른 층은 인접한 부화소의 중간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the
제1전극(131)은 각 화소 또는 부화소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고, 제2전극(134)은 복수개의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기판(10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는, 대향 부재(미도시)에 의해 밀봉된다. 대향부재는 기판(100)과 동일하게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이 외에도, 메탈 캡(metal cap)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formed on the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전극(131)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휘도가 높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since the
한편, 지금까지 제1전극(131)만이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를 갖는 구조를 개시하였으나,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모두를 통해 양 방향으로 취출되는 양면발광형 등의 경우에는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모두 그러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only the
또한 상기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에 있어서는 제1전극(131)이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1a)를 가지며, 이때 기판(100)으로부터 제1전극(131)까지의 거리가 기판(100)으로부터 제2전극(134)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 즉 제1전극(131)이 하부에 배치된 구조만을 개시하이었다. 그러나 기판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먼 상부에 배치된 전극만이 그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물론, 전극에 그와 같은 형상의 관통부를 형성하기에 앞서 유기물로 형성된 중간층이 구비될 경우 관통부 형성 중 중간층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00)에 가깝게 배치된 전극에 그와 같은 구조의 관통부를 형성한 후 중간층을 형성할 경우 중간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further improved light efficienc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8859A KR100708752B1 (en) | 2006-04-28 | 2006-04-28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8859A KR100708752B1 (en) | 2006-04-28 | 2006-04-28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8752B1 true KR100708752B1 (en) | 2007-04-17 |
Family
ID=3818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8859A KR100708752B1 (en) | 2006-04-28 | 2006-04-28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875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4048B1 (en) * | 2011-01-14 | 2018-07-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7373A (en) * | 2004-01-27 | 2005-08-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2006
- 2006-04-28 KR KR1020060038859A patent/KR10070875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7373A (en) * | 2004-01-27 | 2005-08-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4048B1 (en) * | 2011-01-14 | 2018-07-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9662B2 (en)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with microlens | |
KR102030799B1 (en) | 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device | |
US9704926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 |
KR101108167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8237354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US8587499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KR100964225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JP4431125B2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97119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01331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00081773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KR100683737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100965250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KR102695219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7659543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0708752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0777740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070875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0683761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102126383B1 (en) | 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2756323B1 (en)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
KR100615256B1 (en) | Flat panel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