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8637B1 -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637B1
KR100708637B1 KR1020000074795A KR20000074795A KR100708637B1 KR 100708637 B1 KR100708637 B1 KR 100708637B1 KR 1020000074795 A KR1020000074795 A KR 1020000074795A KR 20000074795 A KR20000074795 A KR 20000074795A KR 100708637 B1 KR100708637 B1 KR 10070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ask
vibration damping
damping means
hole
cathode r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362A (ko
Inventor
김동환
박우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637B1/ko
Priority to US09/962,676 priority patent/US6642645B2/en
Publication of KR2002004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6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8Mitigating undesirable mechanical effects
    • H01J2229/0744Vibration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충격으로 인한 텐션마스크의 진동의 대폭적 감쇠를 목적으로 하여,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트립들과,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슬롯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브리지들과,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양 단변부를 구비하는 텐션마스크; 상기 스트립들에 인장력이 가하여지도록 텐션마스크의 양 장변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서포트 부재와, 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 및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에 각각 현가되어 텐션마스크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복수개의 진동 감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진동 감쇠 수단이 그 현가되는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의 각 홀을 형성하는 외측변부에 고정되도록 그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홀의 외측변부를 감싸면서 적어도 두 번 굽혀져 있음으로써, 텐션마스크의 진동에 따른 하울링 현상 및 화면의 해상도 저하를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이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Tension mask assembly for color CRT}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텐션마스크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의 홀에 현가되는 진동 감쇠 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의 홀에 현가되는 진동 감쇠 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 프레임. 11, 12, 41, 42 : 제1,2서포트 부재.
13, 14, 43, 44 : 제1,2탄성 부재. 20, 30, 50, 60 : 텐션마스크.
21, 31 : 스트립. 22, 32 : 슬롯.
23, 33 : 브리지. 45, 55, 65 : 홀.
47, 57, 67 : 진동 감쇠 수단. 46b, 51 : 단변부.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텐션마스크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넬(11)의 네크부(12)내에 장착된 전자총(13)으로부터 세 종류의 전자빔(Red, Green, Blue)을 방출시켜 이를 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14)의 표면에 뚫린 수십만 개의 전자빔 통과공(14a)에 통과시킨 다음, 상기 펀넬(11)과 봉착된 패널(15)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막(16)의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체에 각각 랜딩되게 함으로써 이들을 여기시켜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일종이다.
이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최근 시청자의 시야각을 넓히고 화상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면의 평면화, 따라서 패널의 평면화가 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칼라 음극선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섀도우 마스크에 대하여도 평면화가 요구되고 있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는, 도 2 및 도 2의 A1 부분을 확대한 도면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2서포트 부재(11)(12)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11)(12)의 각각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제1,2탄성 부재(13)(14)를 구비한 프레임(10)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스트립(21)들이 브리지(2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자빔 통과공을 형성하는 슬롯(22)들을 가지는 평판형 텐션마스크(20)가 인장력을 받으면서 상기 제1,2서포트 부재(11)(12)에 용접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프레임에 의해 인장력을 받는 상태에서 그에 용접되어 있으며 두께가 0.1 내지 0.25mm 정도인 박판소재로 되어 있고 특히, 그 장변부인 가장자리만 프레임의 서포트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단변부 가장자리는 고정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도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전자빔 통과공인 슬롯을 정확한 량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형광체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화면이 떨리는 하울링(howling) 현상이 생기고 화면의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가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받게 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진동 감쇠 수단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전자빔 통과공을 정확하게 통과하지 못하고 형광체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화면이 떨리게 되는 하울링 현상 및 화면의 해상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트립들과, 상기 스트립들을 상호 연결하여 슬롯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브리지들과,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양 단변부를 구비하는 텐션마스크와; 상기 텐션마스크의 스트립들에 인장력이 가하여지도록 텐션마스크의 양 장변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 및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에 각각 현가되어 텐션마스크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복수개의 진동 감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진동 감쇠 수단이 그 현가되는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의 각 홀을 형성하는 외측변부에 고정되도록 그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홀의 외측변부를 감싸면서 적어도 두 번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상기 각 진동 감쇠 수단이 상기 텐션마스크의 밀도보다 큰 밀도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상기 각 진동 감쇠 수단이 그 현가되는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의 각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의 외측변부를 감싸면서 굽혀져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쪽으로 굽혀져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쪽으로 굽혀져 있는 연장부는 상기 홀의 외측변부를 감싸면서 상기 외측변부쪽으로 더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의 홀과 그에 현가되는 진동 감쇠 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슬롯(32)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트립(31)들과, 상기 스트립(31)들을 상호 연결하여 슬롯(32)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브리지(33)들과, 복수개의 홀(45)이 형성되는 양 단변부(46a)(46b)를 구비하는 텐션마스크(30)와;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스트립(31)들에 인장력이 가하여지도록 텐션마스크(30)의 양 장변부(48a)(48b)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서포트 부재(41)(42) 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부재(43)(44)를 구비하는 프레임(40); 및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양 단변부(46a)(46b)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45)에 각각 현가되어 텐션마스크(30)의 진동을 감쇠 시키는 복수개의 진동 감쇠 수단(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텐션마스크(30)의 각 단변부(46a)(46b)에 형성되는 홀(45)의 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로 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홀(45)은, 텐션마스크(30)의 양 단변부(46a)(46b)의 무공부에 위치하며, 텐션마스크(30)의 슬롯(3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45)의 폭은, 이에 현가되는 진동 감쇠 수단(47)의 단부의 두께를 고려하되, 가능한 한 좁게 하는 것이 진동 감쇠 수단(47)을 텐션마스크(30)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진동 감쇠 효과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홀(45)의 길이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45)의 길이는 이에 삽입되는 상기 진동 감쇄 수단(47)의 폭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게 한다.
상기 홀(45)은, 텐션마스크(30)의 슬롯(32)의 경우와 같이, 에칭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0)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1,2서포트 부재(41)(42)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그 양단부가 지지되는 한 쌍의 제1,2탄성부재(43)(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는 각각 고정부(41a)(42a)와 고정부(41a)(42a)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41b)(42b)를 구비하여 그 단면이 L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2탄성부재(43)(44)는 각각 양단부가 제1,2서포트 부재(41)(42)의 단부와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U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단면은 사각 또는 L자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40)은 상기 제1,2서포트부재(41)(42)와 이를 지지하는 제1,2탄성부재(43)(44)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텐션마스크에 Y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대안으로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를 지지하는 제1,2탄성부재(43)(44)는 상기 텐션마스크(30)에 인장력이 가하여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양단부를 제1,2서포트 부재(41)(42)의 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은 상기 텐션마스크(30)의 홀(45)에 현가되어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현가되는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양 단변부의 각 홀(4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양단부 중 일단부(47a)가 굽혀져 있다. 이 때,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의 일단부(47a)가 굽혀지는 각도 즉, 굽혀진 상기 일단부(47a)와 상기 홀(45)에 삽입되는 삽입부(47b)가 이루는 각도(B)는, 상기 텐션마스크 조립체가 칼라 음극선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이 텐션마스크(30)로부터 이탈 내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절한 각도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홀(45)의 외측변부(45a)에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B)를 90 도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의 폭(W)은 상기 홀(45)의 길이보다 작거나 이와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의 길이는 텐션마스크(30)의 단변부(46a)(46b)와의 마찰 및 진동 감쇠 수단(47)의 중량에 의하여 텐션마스크의 진동을 감쇄시키기에 적절한 길이이면서, 동시에 상기 프레임(40)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의 두께는 상기 홀(45)의 두께를 고려하여 이보다 작지만 이에 거의 일치하도록 함이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이 상기 홀(45)을 통해 텐션마스크(30)에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진동 감쇠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 범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은 상기 텐션마스크(30)의 밀도보다 큰 밀도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있어서,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의 홀과 그에 현가되는 진동 감쇠 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도 4 및 5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있어서 진동 감쇠 수단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이 상호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대하여는, 진동 감쇠 수단(57)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에 관하여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진동 감쇠 수단(57)은, 도 4 및 5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진동 감쇠 수단(47)과 달리, 그 현가되는 상기 텐션마스크(50)의 양 단변부(51)의 각 홀(55)에 삽입되는 삽입부(57c)와, 상기 삽입부(57c)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의 외측변부(55a)를 감싸면서 굽혀져 있는 연결부(57b)와, 상기 연결부(57b)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57c)쪽으로 굽혀져 있는 연장부(57a)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진동 감쇠 수단(57)은 텐션마스크(50)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그로부터 이탈 내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있어서,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의 홀과 그에 현가되는 진동 감쇠 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진동 감쇠 수단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 시예들에 있어서와 서로 일치하므로, 진동 감쇠 수단(67)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진동 감쇠 수단(67)은, 삽입부(67c)와 연결부(67b) 및 연장부(67a)를 가지는 점에 있어서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동 감쇠 수단(57)과 유사하지만, 상기 연결부(67b)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67c)쪽으로 굽혀져 있는 연장부(67a)가 상기 홀(65)의 외측변부(65a)를 감싸면서 상기 외측변부(65a)쪽으로 더 굽혀져 있는 점에서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진동 감쇠 수단(57)과 다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진동 감쇠 수단(67)은 텐션마스크(60)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어 그로부터 이탈 내지 회전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됨은 물론 텐션마스크(60)의 진동 감쇠 효과도 더욱 커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2서포트 부재(41)(42)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들을 지지하는 제1,2탄성부재(43)(44)가 탄성 변형 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텐션마스크(30)의 장변부(48a)(48b)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41)(42)의 고정부(41a)(42a)에 용접되어 있으므로 상기 텐션마스크(30)에는 스트립(31)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립(31)의 길이 방향으로만 인장력을 받는 텐션마스크(30)는 단변부(46a)(46b)가 프레임(40)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작은 충격에도 X 또는 Z 방향으로 진동하기 쉽다.
그러나, 상기 텐션마스크(30)의 각 단변부(46a)(46b)에 형성된 복수개(도 4 및 5에 도시된 텐션마스크의 경우에는 세 개)의 홀(45)에 현가된 복수개의 진동 감쇠 수단(47)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들 진동 감쇠 수단(47)과 텐션마스크(30)의 단변부(46a)(46b) 사이의 마찰과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상기 텐션마스크(30)의 X 또는 Z 방향의 진동을 대폭 감쇠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진동 감쇠 수단(47)이 상기 텐션마스크(30)의 밀도보다 더 큰 밀도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면, 양자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 감쇠 수단 자체의 중량에 의한 진동 감쇠 효과가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는,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의 무공부에 슬롯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고 각 홀에 하나씩 현가되는 복수개의 진동 감쇠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진동 감쇠 수단과 텐션마스크의 단변부의 무공부 사이의 마찰 및 진동 감쇠 수단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텐션마스크의 진동, 특히 슬롯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진동을 대폭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에 의할 경우에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텐션마스크의 진동으로 인하여 전자빔 통과공인 슬롯을 정확하게 통과하지 못하고 형광체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화면이 떨리는 하울링(howling) 현상 및 화면의 해상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슬롯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트립들과, 상기 스트립들을 상호 연결하여 슬롯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브리지들과,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양 단변부를 구비하는 텐션마스크;
    상기 텐션마스크의 스트립들에 인장력이 가하여지도록 텐션마스크의 양 장변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2서포트 부재와, 상기 제1,2서포트 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 및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에 각각 현가되어 텐션마스크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복수개의 진동 감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진동 감쇠 수단이 그 현가되는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의 각 홀을 형성하는 외측변부에 고정되도록 그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홀의 외측변부를 감싸면서 적어도 두 번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진동 감쇠 수단이 상기 텐션마스크의 밀도보다 큰 밀도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진동 감쇠 수단이 그 현가되는 상기 텐션마스크의 양 단변부의 각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홀의 외측변부를 감싸면서 굽혀져 있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쪽으로 굽혀져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쪽으로 굽혀져 있는 연장부가 상기 홀의 외측변부를 감싸면서 상기 외측변부쪽으로 더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KR1020000074795A 2000-12-08 2000-12-08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70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795A KR100708637B1 (ko) 2000-12-08 2000-12-08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조립체
US09/962,676 US6642645B2 (en) 2000-12-08 2001-09-26 Tension mask assembly for color CRT having vibration attenation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795A KR100708637B1 (ko) 2000-12-08 2000-12-08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362A KR20020045362A (ko) 2002-06-19
KR100708637B1 true KR100708637B1 (ko) 2007-04-17

Family

ID=1970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7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8637B1 (ko) 2000-12-08 2000-12-08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42645B2 (ko)
KR (1) KR100708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2918B2 (ja) * 1999-10-01 2006-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KR100768185B1 (ko) * 2001-11-29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30063627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837A (ko) * 1998-09-01 2000-04-25 모리 가즈히로 컬러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651A (ja) * 1984-09-21 1986-04-19 Toshiba Corp 受像管
US5162694A (en) * 1989-10-25 1992-11-1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egmented shadow mask support structure for flat tension mask color crt
JP2544543B2 (ja) * 1991-06-11 1996-10-16 東北学院大学 カラ―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837A (ko) * 1998-09-01 2000-04-25 모리 가즈히로 컬러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70656A1 (en) 2002-06-13
US6642645B2 (en) 2003-11-04
KR20020045362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3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 마스크 조립체
KR10066967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64757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KR10071952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727572B1 (ko) 섀도우 마스크 진동 감쇠기를 가지는 crt
US6111347A (en) Aperture grill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US6900582B2 (en) CRT having a tension mask with vibration damping mean
EP1089311A2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7301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EP1372181B1 (en) Vibration absorber device for colour cathode-ray tube
JP4012702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テンションマスクフレーム組立体
US6812627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mask assembly for displaying clearer images
KR10076818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20030080665A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39580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9990017004A (ko)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20030063627A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20040217683A1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mask assembly for same
KR10073011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40080532A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30088962A (ko) 컬러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JP2001185047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9990000044A (ko)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JPH09274868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2170498A (ja) カラー受像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