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451B1 - Flow distributor of heating system - Google Patents
Flow distributor of heat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8451B1 KR100708451B1 KR1020060057976A KR20060057976A KR100708451B1 KR 100708451 B1 KR100708451 B1 KR 100708451B1 KR 1020060057976 A KR1020060057976 A KR 1020060057976A KR 20060057976 A KR20060057976 A KR 20060057976A KR 100708451 B1 KR100708451 B1 KR 100708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valve
- heating
- supply line
- flow 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36—Having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facili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정하기 위해 급수헤더의 각 급수라인 상에 유량밸브가 구비되는 분배기에서 상기 유량밸브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생기면 이들 사이의 압력차이를 줄이면서 난방 파이프에 대한 난방수의 공급이 보다 효과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급수헤더(31)의 각 급수라인(31a) 상에 유량밸브(33)를 구비하여 상기 유량밸브(33)에 의해 급수라인(31a)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이 결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급수헤더(31)와 각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여 별도의 난방수 공급경로(5)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량밸브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이로 인한 보일러의 과부하와 효율 저하 및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flow rate of the heat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eating pipes of each room or living room, if there is an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low valve in the distributor having the flow valve on each water supply line of the water supply hea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rate distribution apparatus for a heating system that can more efficiently and smoothly supply heating water to a heating pipe while reducing a pressure difference, And the flow rate of the heat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line 31a is determined by the flow rate valve 33. The water supply header 33 and the output side water supply line 31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separate heating water supply path 5 so that the overload and efficiency of the boiler due to the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flow val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and noise.
유량조절밸브, 급수헤더, 환수헤더, 급수라인, 회수라인, 보일러 Flow control valve, water supply header, water return header, water supply line, recovery line, boil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를 나타낸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low distribu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heat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a flow distribution device of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의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flow distribution device of a heating syste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의 회로도.4 is a circuit diagram of a flow distribution device of a heating syste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의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of a flow distribution device of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보일러 2:급수관1: boiler 2: water pipe
3:분배기 4:난방 파이프3: distributor 4: heating pipe
5:난방수 공급경로 31:급수헤더5: Heating water supply path 31: Water supply header
31a:급수라인 32:환수헤더31a: water line 32: return header
32a:회수라인 33:유량밸브32a: return line 33: flow valve
33a:유량조절밸브 33b:정유량 밸브33a:
34,53a:밸브 구동기 51:서브 급수라인34, 53a: valve actuator 51: sub-water line
52:차압밸브 53:전자개폐기52: differential pressure valve 53: electromagnetic switch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정하기 위해 급수헤더의 각 급수라인 상에 유량밸브가 구비되는 분배기에서 상기 유량밸브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생기면 이들 사이의 압력차이를 줄이면서 난방 파이프에 대한 난방수의 공급이 보다 효과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ributor in which a flow rate valve is provided on each water supply line of a water supply header to determine a flow rate of heating water supplied to a heating pipe of each room or a living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w distribution apparatus for a heating system that can provide a more efficient and smooth supply of heating water to a heating pipe while reduc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m when an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outputs.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고, 이 난방수를 실내의 여러 방이나 거실에 깔린 파이프를 통과시켜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초기 각 방이나 거실에 대한 난방의 조절은 분배기에 설치된 각 방의 밸브를 수동조작으로 잠그거나 열어 유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해왔고, 근래에는 제어부의 동작명령에 의해서 작동하는 구동기를 밸브에 달아 상기 구동기의 작동에 의해서 밸브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온도시스템이 도입된 바 있다.Generally, a boiler burns fuel to heat water, and this heating water is passed through pipes in various rooms or living rooms to allow heating or hot water to be used. The control of the heating in the initial room or the living room has been made by manually locking or opening the valves of the respective rooms installed in the distributor so that the flow rate can be controlled. In recent years, An automatic temperature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allow the valve to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한편, 난방은 바닥에 깔린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난방이 빨리되고 늦게 되는 것으로서, 통상 넓은 안방이나 거실에 비해서 비교적 작은 방의 경우에는 난방이 빨리되는데, 이는 안방이나 거실에 깔린 파이프보다 작은 방에 깔린 파이프의 길이가 짧아 난방수의 순환이 빨리되는데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is quicker and slower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ipe laid on the floor. In general, the heating is faster in a relatively small room than in a large living room or a living room. The circulation of the heating water is shortened.
결국, 보일러를 작동시킬 때, 각 방이나 거실이 함께 난방이 되지 못하는 난방의 불균형 현상이 발생되어 왔던 것이다.As a result, when the boiler is operated, there has been an unbalanced heating phenomenon in which each room or living room is not heated together.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 방이나 거실에 깔리는 파이프의 길이를, 예컨대 작은 방의 기준으로 60M로 정해 놓고, 대략 120M 정도의 파이프 길이를 갖는 안방이나 거실의 경우에는 분배기와 연결된 60M 파이프를 2개로 깔아 난방수가 순환되는 파이프의 길이를 같게 하여 파이프의 길이 차이에 따른 난방의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고자 하였다.Accordingly, recently, the length of the pipes in each room or living room is set to 60M on the basis of a small room, and in the case of a living room or living room having a pipe length of about 120M, two 60M pipe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are installed, We tried to solve the unbalance of the heating due to the difference of pipe length by making the length of circulating pipes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난방 시스템 역시 최근에 확산되고 있는 발코니 확장으로 인한 또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발코니를 확장하는 경우에도 난방을 위해서 발코니의 바닥에 파이프를 깔고 이 파이프를 다시 보일러의 분배기에 연결하여 보일러의 난방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해야만 되나, 상기 분배기는 이미 각 방이나 거실에 깔린 파이프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발코니의 바닥에 깔린 파이프까지 연결할 수 있는 분배기로 새로 교체해야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such a heating system also has another problem due to the balcony expansion that is spreading recently. That is, even if the balcony is expanded, the heating pipe of the boiler should be circulated by connecting the pipe to the bottom of the balcony for heating, and connecting the pipe to the distributor of the boiler again. However, , It has a problem that it needs to be replaced with a distributor which can connect to the pip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balcony.
또한, 발코니에 깔리는 파이프의 길이는 작은 방을 기준으로 한다 하더라도 작은 방의 파이프 길이보다 더 짧기때문에 전기한 바와 같은 파이프의 길이 차이가 나타나게 되고, 이는 또다시 난방의 불균형 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pipe laid on the balcony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ipe in the small room even though the length of the pipe is small, there is a difference in length of the pipe as described above, which causes a heating imbalance again .
이에 새로 도입된 것이 유량분배시스템으로서, 이는 각 방에 깔린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난방수의 유량 차이가 나게 공급하여 파이프의 길이에 상관없이 각 방에 대한 난방수의 순환시간이 같아지도록 함으로써 난방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고, 이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new distribution system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circulation time of the heating water for each room is equalized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pipe by supplying the difference of the flow rate of the heating wat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ipe placed in each room, So that the balance is achieved. The configuration of this system is as shown in Fig.
통상의 난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1)가 있고, 이 보일러(1)에서 가열된 물은 분배기(3)에 의해서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4)로 공급된 후, 다시 보일러(1) 측으로 환수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A typical heating system includes a
그리고, 상기 분배기(3)는 보일러(1)의 급수관(2)과 연결되는 급수헤더(31)와 보일러(1)의 환수관(6)과 연결되는 환수헤더(32)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급수헤더(31) 및 환수헤더(32)는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4)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급수라인(31a) 및 회수라인(32a)을 갖는다.The
또한, 상기 급수라인(31a) 상에는 각 방의 난방 파이프 길이에 따라 상기 난방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공급 유량을 정하여 난방수가 각 방의 난방 파이프(4)를 순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같아지게 하는 유량밸브(33)가 구비된다.In addition, on the
상기 유량밸브(33)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밸브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33a)가 사용되는 것으로서, 안방이나 거실과 같이 파이프의 길이가 길면 난방수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크게 하여 많이 흘려 보내고, 파이프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작은 방의 경우에는 구멍을 작게 하여 적게 흘려 보내는 식으로 각 방의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정하여 난방의 균형을 맞추어 왔다.The flow
이같은 난방 시스템은 통상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물의 방이나 거실 등의 구조적인 조건에 따라서 시행사에서 미리 유량을 정해 밸브를 세팅시켜 놓기 때문에 시공후 별도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않된다.Such a heating system is usually designed to set the flow rate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conditions of a residential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living room, and therefore, no special operation is required after the construction.
한편, 제어부의 동작명령에 의해서 보일러(1)가 가동되고 환수헤더(32)의 각 회수라인(32a)에 구비된 밸브 구동기(34)가 개방위치로 변환되면, 보일러(1)에서 가열된 난방수는 급수관(2)과 연결된 급수헤더(31)의 각 급수라인(31a)을 통해서 각 방의 난방 파이프(4)를 순환한 다음, 상기 급수헤더(31)와 함께 분배기(3)를 구성하는 환수헤더(32)의 각 회수라인(32a) 및 환수관(6)을 통해서 보일러(1)로 다시 환수되는 식으로 각 방에 대한 난방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리고, 상기 급수헤더(31)의 각 급수라인(31a)을 통해서 각 방의 난방 파이프(4) 측으로 공급되는 난방수는 상기 급수라인(31a)에 구비된 유량밸브(33)에 의해서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 유량으로 각 방의 난방 파이프(4) 측으로 공급되어진다.The heating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그러나, 이때 난방 파이프의 길이가 길어 난방수를 많이 흘려 보내는 안방이나 거실에 대한 난방수의 공급은 폐쇄시키고, 파이프의 길이가 짧아 난방수를 적게 흘려 보내는 작은 방만 난방수를 공급하게 되면, 급수관(2)을 통하여 유량밸브(33)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유량이 많은 반면, 상기 유량밸브(33)를 통과하는 난방수의 유량이 작아 이들의 사이에 과도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at this time, when the length of the heating pipe is long and the supply of the heating water to the living room or the living room to which a large amount of heating water is supplied is closed and the length of the pipe is short so that only a small room, 2, the flow rate of the heating water flowing into the
이렇게 유량밸브(33)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면, 보일러(1)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보일러가 꺼지고 켜지는 것을 반복하는 이상 현상이 발 생할 뿐만 아니라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또한 과압력이 걸린 난방수가 작은 방에 난방수의 유량을 적게 흘려 보내기 위해 미리 배출구멍을 작게 한 유량밸브를 힘들게 통과하면서 심한 소음이 나게 됨으로써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f an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정하기 위해 급수헤더의 각 급수라인 상에 유량밸브가 구비되는 분배기에서 상기 유량밸브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생기면 이들 사이의 압력차이를 줄이면서 난방 파이프에 대한 난방수의 공급이 보다 효과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flow rate of a heating water supplied to a heating pipe of each room or a living room,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flow rate valve is reduced so that the supply of the heating water to the heating pipe can be more effectively and smoothly performed while reducing the pressure difference therebetween.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의 일측 및 타측에 급수라인 및 회수라인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급수라인 및 회수라인을 갖는 급수헤더 및 환수헤더에 의해 분배기가 구성되고, 상기 급수헤더의 각 급수라인 상에 유량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유량밸브에 의해 급수라인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이 결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급수헤더와 각 유량밸브의 출력측 급수라인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여 별도의 난방수 공급경로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line and a recovery line ar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heating pipe of each room or a living room, and a distributor is constituted by a water supply header having a water supply line and a recovery line, And a flow rate valve is provided on each of the water supply lines of the water supply header to determine a flow rate of hot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line by the flow rate valve, And a separate heating water supply path is formed in the heating system.
또한, 상기 급수헤더와 각 유량밸브의 출력측 급수라인의 사이는 서브 급수라인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서브 급수라인은 압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차압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ater supply header and the output side water supply line of each flow valve are connected by a sub-water supply line, and the sub water supply line is opened and clos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valve operated by pressure.
또한, 상기 급수헤더와 각 유량밸브의 출력측 급수라인의 사이는 서브 급수라인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서브 급수라인은 제어부의 동작명령에 의해서 작동하는 전자개폐기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ater supply header and the output side water supply line of each flow valve are connected by a sub-water supply line, and the sub water supply line is opened / closed by an electromagnetic switch operated by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전자개폐기는 밸브 구동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magnetic switch may comprise a valve driver.
또한 상기 유량밸브는 조작에 의해 유량 조절이 가능한 유량조절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low rate valve is constituted by a flow rate control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by operation.
또한, 상기 유량밸브는 조작없이 정해진 유량만 통과시키는 정유량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low rate valve is constituted by a constant flow rate valve that allows only a predetermined flow rate to pass without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통상의 난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4)에 각각 연결되는 급수라인(31a) 및 회수라인(32a)을 갖는 급수헤더(31)와 환수헤더(32)에 의해서 분배기(3)를 구성하고, 상기 급수헤더(31)의 급수라인(31a)은 보일러의 급수관(2)에서 각 방 및 거실의 난방 파이프(4) 측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난방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정하는 유량밸브(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환수헤더(32)의 회수라인(32a)은 각 방과 거실에 대한 난방수의 순환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34)를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includes a
이러한 난방 시스템에 있어,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헤더(31)와 각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 사이를 개폐가능하 게 연결하는 별도의 난방수 공급경로(5)를 형성하여 상기 유량밸브(33)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생기면 압력이 높은 유량밸브(33)의 입력측 난방수를 압력이 낮은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 측으로 흘려 보내 이들 사이의 압력차를 줄이면서 보다 효과적이고 원활한 난방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this heating system, as shown in FIGS. 2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헤더(31)와 각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 사이를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별도의 난방수 공급경로(5)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급수헤더(31)와 각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의 사이에 서브 급수라인(51)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급수라인(51) 상에는 압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차압밸브(52)가 구비되어 서브 급수라인(5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상기 차압밸브(52)는 통상 제작할 때, 미리 압력값이 정해져 외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크게 작용하면 열리고 설정된 압력보다 작으면 닫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밸브(3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유량조절밸브(33a)이다.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set pressure, the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의 동작명령신호에 의해서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안방이나 거실 등에 대한 난방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34)는 모두 폐쇄시키고, 작은 방에 대한 난방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34)만 개방시키게 되면, 종래에 이미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유량밸브(33)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First, a
이렇게 유량밸브(33)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면, 급수헤더(31)와 각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의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 급수라인(51) 상에 구비된 차압밸브(52)에, 설정된 압력보다 큰 외부 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차압밸브(52)가 개방상태로 변환된다.When an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이에 따라 압력이 큰 유량밸브(33)의 입력측 난방수가 서브 급수라인(51)을 통하여 압력이 낮은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 측으로 공급되어져 유량밸브(33)의 입출력 간의 압력차이가 줄어들게 되고, 상기 급수라인(31a)으로 공급된 난방수는 관로의 마찰을 제외한 별다른 저항없이 원활하게 열려진 작은 방의 난방 파이프(4)를 순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input side heating water of the high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상기 급수헤더(31)와 각 유량밸브(33)의 출력측 급수라인(31a)의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 급수라인(51) 상에 전자개폐기(53)를 설치하여 상기 전자개폐기(53)에 의해서 서브 급수라인(51)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있으며, 전자개폐기(53)로써 밸브 구동기(53a)를 사용한 것에 그 특징으로 있다.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상기 밸브 구동기(53a)는 환수헤더(32)의 각 회수라인(32a)에 구비된 밸브 구동기(34)와 동일한 것이며, 그 작동은 환수헤더(32)의 각 회수라인(32a)에 구비된 밸브 구동기(34) 중에 작은 방의 난방을 제어하는 밸브 구동기(34)만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 구동기(34)는 폐쇄할 때, 이 신호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는 측면에서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차압밸브보다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는 유량밸브(33)로써 조작에 의한 유량조절이 가능한 유량조절밸브(33a)를 사용한 반면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유량밸브(33)를 조작이 않되고 정해진 유량만 흘려 보내는 정유량 밸브(33b)를 사용한 것에 있다.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상기 유량조절밸브(33a)는 종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의 시공시 미리 각 방의 파이프 길이에 따라 밸브의 유량을 세팅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유량 밸브(33b)는 유량조절밸브(33a)가 갖는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수단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량조절밸브(33a)는 미리 세팅되어진 상태이므로 시공후 다시 별도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않되나, 조작이 언제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 조작에 의한 난방의 불균형 현상을 초래할 수 있는 반면에, 각 방의 파이프 길이에 맞추어 난방수의 유량이 정해지면 그 정해진 유량만을 항상 흘려 보내는 정유량 밸브(33b)의 경우에는 조작이 않되기 때문에 유량조절밸브와 같이 별도 조작에 의한 난방의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2는 차압밸브이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차압밸브(52) 대신에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한 밸브 구동기(53a)를 사용한 것에 있고, 상기 밸브 구동기의 작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정하기 위해 급수헤더의 각 급수라인 상에 유량밸브가 구비되는 분배기에서 상기 유량밸브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차가 생기면 별도의 난방수 공급경로를 통하여 압력이 높은 유량밸브의 입력측 난방수가 압력이 낮은 유량밸브의 출력측 급수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과도한 압력차이로 인한 보일러의 과부하와 효율 저하 및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flow rate of the heat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eating pipes of each room or the living room, an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low valve in the distributor having the flow valve on each water supply line of the water supply header The input side heating water of the high-pressure flow valve can be supplied to the output side water supply line of the low-pressure flow valve through the separate heating water supply path, so that the overload of the boiler due to the excessive pressure difference therebetwee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desired phenomenon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방수 공급경로가 급수헤더와 각 방의 난방 파이프에 연결된 급수라인의 사이에 형성되고, 통상 유량밸브의 입.출력 간의 과도한 압력은 비교적 면적이 큰 안방이나 거실 등에 대한 난방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면적이 작은 작은 방에 대해서만 난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오히려 보다 효과적이고 원활한 난방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어 난방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water supply path is formed between a water supply header and a water supply line connected to a heating pipe of each room, and an excessive pressur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flow volume valve is usually a heating water The heating water is supplied only to the small room having a small area and the supply of the heating water is perform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heating water more effectively and smoothly, and thus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7976A KR100708451B1 (en) | 2006-06-27 | 2006-06-27 | Flow distributor of heat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7976A KR100708451B1 (en) | 2006-06-27 | 2006-06-27 | Flow distributor of heat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8451B1 true KR100708451B1 (en) | 2007-04-18 |
Family
ID=3818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79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8451B1 (en) | 2006-06-27 | 2006-06-27 | Flow distributor of heat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8451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9777A (en) * | 1996-09-03 | 1998-06-25 | 송석원 | Individual temperature control system |
KR19990013526U (en) * | 1997-09-27 | 1999-04-15 | 최병숙 | Hot water boiler with distributor assembly |
KR20050104498A (en) * | 2004-04-29 | 2005-11-03 | 노영환 | A heating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system controled presser |
KR20060024053A (en) * | 2004-09-13 | 2006-03-16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Heating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heating hot water distribution method |
KR100635107B1 (en) * | 2006-05-04 | 2006-10-18 | 신우공업 주식회사 | Differential pressure flow control valve and hot water distribu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
-
2006
- 2006-06-27 KR KR1020060057976A patent/KR1007084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9777A (en) * | 1996-09-03 | 1998-06-25 | 송석원 | Individual temperature control system |
KR19990013526U (en) * | 1997-09-27 | 1999-04-15 | 최병숙 | Hot water boiler with distributor assembly |
KR20050104498A (en) * | 2004-04-29 | 2005-11-03 | 노영환 | A heating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system controled presser |
KR20060024053A (en) * | 2004-09-13 | 2006-03-16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Heating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heating hot water distribution method |
KR100635107B1 (en) * | 2006-05-04 | 2006-10-18 | 신우공업 주식회사 | Differential pressure flow control valve and hot water distribu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86643B2 (en) | Air conditioning | |
KR101823956B1 (en) | Integrated piping system including constant flow heating water supply functions | |
JP2007532851A5 (en) | ||
KR102449159B1 (en) | Boiler for heating and hot water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150012498A (en) | Heat pump and flow path switching apparatus | |
KR101595371B1 (en) | The calorimeter using flow control system | |
KR100708451B1 (en) | Flow distributor of heating system | |
WO2018087867A1 (en) | Heating medium circulation system | |
KR20110097430A (en) | Boiler system | |
JP6601059B2 (en) | Combined heat source machine | |
RU2343357C1 (en) | Heating system of building | |
KR100701756B1 (en) | Heating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heating hot water distribution method | |
KR20200126507A (en) | Household unit with hot water preheating function using bypass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 |
JP2020106227A (en) | Heat source device | |
JP2008082633A (en) | Water heater and plate heat exchanger | |
KR101283252B1 (en) | Thermal media equal distribution type air conditioning unit | |
JP4367931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134314B1 (en) | Apparatus for control constant flow having manual adjusting valve | |
KR101436875B1 (en) | A hot water heating system | |
JP3005158B2 (en) | Electric water heater | |
KR100679325B1 (en) | Heating Recycling System | |
KR200482921Y1 (en) | Heating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s | |
WO2004070280A1 (en) | Heating plant control device | |
KR102426769B1 (en) | Hot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heating | |
KR101429223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indoor tempera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