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8197B1 -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Flexible Screen - Google Patents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Flexibl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197B1
KR100708197B1 KR1020050126932A KR20050126932A KR100708197B1 KR 100708197 B1 KR100708197 B1 KR 100708197B1 KR 1020050126932 A KR1020050126932 A KR 1020050126932A KR 20050126932 A KR20050126932 A KR 20050126932A KR 100708197 B1 KR100708197 B1 KR 10070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achable unit
portable
audio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1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domain size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플렉시블 스크린(flexible screen)을 이용한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의 본체에 부착하여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을 접고 펴는 착탈 유니트, 착탈 유니트의 결합 및 분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모드 및 AV 모드를 구분하고, 그 모드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의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되는 신호의 정보를 표시하도록하는 시스템 본체부를 포함한다.Disclosed are a portable audio /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flexibl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the audio mode and the AV mode by detecting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unit, the detachable unit that folds and unfolds the flexible screen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main body of the system, and distinguishing the audio mode and the AV mode according to the mode. It includes a system main unit to set the information of the signal to be reproduced.

Description

플렉시블 스크린을 이용한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video using flexible screen}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 video using flexible screen}

도 1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portable audio player and a portable AV player.

도 2a 및 도 3a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2A and 3A are front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B and 3B are sid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플렉시블 스크린(flexible screen)을 이용한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udio / video playback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audio / video signal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flexible screen.

일반적으로 휴대용 AV 재생장치라 하면, 개인용 미디어 재생장치(PMP), 개 인용 비디오 재생장치(PVR), PMC(Portable Media Center)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으며, 컬러 화면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말한다. 이에 대해,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는 MP3 파일 등과 같은 압축된 오디오 파일(Audio File)이나 오디오 CD 등을 재생하는 장치를 말하며, 최근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나 HDD(Hard Disk Drive) 등이 저장매체로 널리 사용된다.  In general, a portable AV player includes an ability to play multimedia contents such as a personal media player (PMP), a personal video player (PVR), a portable media center (PMC), and the like to provide a color screen. Speak portable device. In contrast, a portable audio player refers to a device that plays compressed audio files such as MP3 files or audio CDs. Recently, a flash memory or a hard disk drive is used as a storage medium. Widely used.

도 1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a)가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b)는 휴대용 AV 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portable audio player and a portable AV player. In Fig. 1, (a) shows a portable audio player, and (b) shows a portable AV player.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1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키(16)와, 재생할 파일의 선택 및 재생 정보를 표시하는 위한 표시창(12)을 포함하며, 통상 표시창(12)의 크기는 제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2 인치(inch) 이하의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웹(Web)상에서 공유되는 오디오 파일은, PC 등을 통해 다운로드(Download)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portable audio playback apparatus 10 includes an operation key 16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a display window 12 for displaying selection and playback information of a file to be played back. In general,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12 is generally less than 2 inches (Liquid Crystal Display) to reduce the size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audio file shared on the Web can be downloaded and used through a PC or the like.

이러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14)를 통해 PC 등과 연결되어, 웹(Web) 상에서 공유되는 오디오 파일이나 PC에 저장된 압축된 오디오 파일(MP3, WMA등)을 다운로드 받고, 표시창(12)에 오디오 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조작키(16)를 이용하여 재생을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파일을 재생하여, 해당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 단자를 통해 헤드폰(Headphone)이나 스피커로 출력하고, 재생중인 오디오 파일의 진행 상태 및 관련 정보를 표시창(12)에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재생이 정지되면, 오디오 파일 목록을 다시 표시창(12)에 디스플레이하며, 가사 지원 기능이 있는 제품의 경우는 해당 음악의 가사를 표시창(12)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The portable audio player 10 is connected to a PC or the like through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rt 14 to share audio files on the Web or compressed audio files stored in the PC (MP3, WMA, etc.). Download the file, and display the audio file list on the display window 12. When the user selects an audio file to be played using the operation key 16, the user plays the selected file, and outputs an audio signal of the file to a headphone or a speaker through an output terminal. The progress state and related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 In addition, when playback is stopped by the user, the audio file list is displayed again on the display window 12. In the case of a product having a lyrics support function, the lyrics of the corresponding music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 FIG.

한편, 휴대용 AV 재생장치(20)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ivx 나 WMV 파일 등과 같은 압축된 A/V 파일을 재생하며, 보통 영화 1편 이상이 보관되야 하므로 1GB 이상의 HDD가 저장매체로 주로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AV player 20 plays compressed A / V files, such as Divx or WMV files, as shown in FIG. 1 (b). HDD is mainly used as a storage medium.

휴대용 A/V 재생장치(20)는 사용자의 정보 입력을 위한 다수의 조작키(25a, 25b, 25c)와, AV 파일의 메뉴 표시 및 실제로 비디오 파일이 재생되는 표시창(22)을 구비한다. 표시창(22)은 최소한의 비디오 해상도를 위하여 3 인치 이상의 LCD 디스플레이 화면이 채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portable A / V playback apparatus 2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25a, 25b, 25c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and a display window 22 for displaying a menu of an AV file and actually playing a video file. The display window 22 typically employs a 3 inch or larger LCD display screen for minimal video resolution.

휴대용 AV 재생장치(20)는, USB 포트(24)를 통해 PC 등에 접속되어, 웹상에서 공유되거나 판매되는 압축된 AV 파일(Divix, WMW, MPEG)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고, 표시창(22)에 AV 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조작키(25a, 25b, 25c)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AV 파일을 선택하면, 선태된 파일을 재생하여 표시창(22)에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 신호는 출력단자를 통해 해드폰이나 스피커로 출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재생중인 AV 파일의 진행 상태 및 관련 정보를 표시창(22)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재생이 정지되면, AV 파일 목록을 다시 표시창(22)에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The portable AV player 20 is connected to a PC or the like via a USB port 24 to download and use compressed AV files (Divix, WMW, MPEG) that are shared or sold on the web. Display a list of files.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AV file by using the operation keys 25a, 25b, and 25c, the selected file is play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2, and the audio signal is output to the headphone or speaker through the output terminal. By selecting,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rogress state and related information of the AV file being played back on the display window 22. When playback is stopped by the user, the AV file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2 again. When playing back an audio file, it operates in the same way as a portable audio player.

그런데, 현재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경우 주로 압축 오디 오 파일만 재생이 가능하고, 일부 제품의 경우에 JPEG 등의 정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크기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미지 확인이 불편하다. 또한,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경우는 대부분 동영상 파일 재생뿐만 MP3 등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갖고 있지만, 실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는 동영상 재생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보다는 오디오 파일의 재생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 실정이다. However, currently available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s can play only compressed audio files. Some products can display still images such as JPEG, but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ize of the displayed screen. Therefore, image confirmation is inconvenient. In addition, most portable AV playback devices have audio playback functions such as MP3 as well as video file playback. However, when a user actually uses the product, it is used to play audio files rather than video playback. More situation.

따라서, 표시창의 크기 등에 의해, 전체적인 제품의 크기나 무게가 증가한 휴대용 AV 재생장치를 오디오 파일의 재생만을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 휴대성이 뛰어나지 못하다. 또한, 휴대용 AV 재생장치는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화면 등을 구동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전력소비가 많고, 이에 따라 배터리 등을 이용한 제한된 전원 조건하에서 구동시간이 길지 못하다.Therefore, when a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having an increased size or weight of the overall product is used only for the reproduction of an audio file due to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or the like, the portability is not excellent.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needs to drive a large display screen and the like,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high, and thus the driving time is not long under limited power conditions using a battery or the like.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사용하는 AV 재생 모드에 따라 표시될 스크린의 영역을 착탈 유니트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휴대성 및 재생 시간을 극대화하는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portable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that maximizes portability and playback time by adjusting an area of a scree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AV playback mode used by a user by a detachable unit.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플렉시블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요 오디오/비디오 재생 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a flexible scree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AV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AV playback system,

상기 시스템의 본체에 부착하여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 을 접고 펴는 착탈 유니트;A detachable unit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system to fold and unfold the flexible screen by combining and detaching;

상기 착탈 유니트의 결합 및 분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모드 및 AV 모드를 구분하고, 그 모드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의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되는 신호의 정보를 표시하도록하는 시스템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ystem body for detecting the coupling and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unit to distinguish between the audio mode and the AV mode, and set the area of the flexible screen according to the mode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reproduced signal.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 본체와, 상기 시스템의 본체에 부착하여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을 접고 펴는 착탈 유니트를 구비한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재생방법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other technical problem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yback method of a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having a system main body and a detachable unit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system, and detachable unit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flexible screen by combining and detaching.

선택된 오디오 또는 AV 파일을 인출하는 과정;Fetching the selected audio or AV file;

상기 시스템 본체에 부착된 착탈 유니트의 결합 유무를 체크하는 과정;Checking whether the detachable unit attached to the system body is coupled;

상기 착탈 유니트가 시스템 본체에 결합되면 오디오 모드임을 판단하여 스크린의 특정 영역만을 설정하고, 상기 착탈 유니트가 시스템 본체에 분리되면 AV 모드임을 판단하여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termining that the detachable unit is in the audio mode when the detachable unit is coupled to the system main body, and setting only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and determining the AV mode when the detachable unit is detached from the system main body;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및 도 3a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b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2A and 3A are front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B and 3B are sid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V 재생장치는, USB 포트(202), 플레이, 조그, 스톱과 같은 조작키들(201a, 201b, 201c), 구비한 시스템 본체, 표시창(209), 락 스위치(Lock SW)를 구비한 착탈 유니트(210)로 구성된다. 이때 표시창(209)은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스크린을 사용한다. AV 재생장치는 사용자가 시스템 본체에 착탈 유니트(210)를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오디오 모드와 AV 모드로 구분하여 표시창(209)의 크기가 달라진다. 오디오 모드일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유니트(210)가 시스템 본체에 결합된 형태로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오디오 재생에 관한 비디오 정보만을 표시한다. 그리고 AV모드일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유니트(210)가 시스템 본체에 분리된 형태로 이때 스크린의 전 영역을 사용하여 동영상과 같은 비디오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플렉시블 스크린은 원래의 크기로 펼쳐진 상태로 비디오 정보를 표시한다. 2A and 3, th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B port 202, operation keys 201a, 201b, and 201c such as play, jog, and stop, a system main body, and a display window 209. , A detachable unit 210 having a lock switch (Lock SW). At this time, the display window 209 uses a flexible screen capable of bending. In the AV playback apparatus,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209 is changed by dividing the audio unit and the AV mode according to the user's coupling or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unit 210 to the system main body. In the audio mode, as illustrated in FIG. 2A, the detachable unit 210 is coupled to the system main body and displays only video information related to audio reproduction in a portion of the screen. In the AV mode, as illustrated in FIG. 3A, the detachable unit 210 is separated from the system main body, and displays video information such as a moving image using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Here, the flexible screen displays video information in its unfolded state at its original size.

도 2b 도 3b와 같은 AV 재생 장치의 측면도를 보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탈 유니트(210)를 결합하면 플렉시블 스크린이 휘어지고 동시에 오디오 모드로 인식하게되고 이때 스크린의 일부 영역만을 표시창(209)으로 사용하여 오디오 재생에 관한 텍스트 정보만을 표시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탈 유니트(210)를 분리하면 플렉시블 스크린이 펴지고 동시에 AV 모드로 인식하게되고 이때 스크린의 전제 영역을 표시창(209)으로 사용하여 동영상과 같은 비디오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시스템 본체는 락 스위치(Lock SW)를 구비하여 착탈 유니트(210)와 결합 및 분리할 때마다 온/오프(ON/OFF) 신호를 발생한다. Referring to the side view of the AV playback apparatus as shown in FIG. 2B, when the user combines the detachable unit 210 as shown in FIG. 2B, the flexible screen is bent and recognized as an audio mode at the same time. 209 is used to display only text information relating to audio reprodu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detaches the detachable unit 210, the flexible screen is opened and simultaneously recognized in the AV mode. At this time,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is used as the display window 209 to display video information such as a video. . In addition, the system main body includes a lock switch (SW) to generate an ON / OFF signal every time the coupling unit 210 is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unit 21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휴대용 AV 재생장치는, 시스템 본체(200)와 착탈 유니트(210), 플렉시블 스크린부(209)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AV player includes a system main body 200, a detachable unit 210, and a flexible screen unit 209.

시스템 본체(200) 키입력부(201), 통신 인터페이스부(202), 시스템 제어부(203), 저장매체(205), A/V 코덱부(204), DAC부(206a)와 H/P 앰프부(207a), 그리고 ADC부(206b)와 라인 앰프부(207b)를 포함한다. System main body 200, key input unit 201,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2, system control unit 203, storage medium 205, A / V codec unit 204, DAC unit 206a and H / P amplifier unit 207a, and an ADC section 206b and a line amplifier section 207b.

키입력부(201)는 플레이, 조그, 스톱과 같은 기능을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시스템 제어부(203)에 전달한다. The key input unit 201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for operating functions such as play, jog, and stop, and transmi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operation command to the system control unit 203.

통신 인터페이스부(202)는 PC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2)에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는 대표적으로 컴퓨터와 주변기기간의 플래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인 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2 provides an interface for downloading or uploading data from a PC or the like. A communication interface provid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02 is typically a USB (Universal Serial Bus), which is a flag and play interface between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mmun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he interface method can be used.

시스템 제어부(203)는 A/V 코덱부(204)를 비롯한 시스템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착탈 유니트(210)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여 스크린의 표시 영역과 표시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203)는 락 스위치가 "온(ON)"이면 착탈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오디오 모드임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스크린 표시 영역과 표시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락 스위치가 "오프(OFF)"이면 착탈 유니트가 분리된 상태의 AV 모드임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스크린 표시 영역과 표시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The system controller 203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system including the A / V codec unit 204, and in particular, determines whether the detachable unit 210 is coupl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and the display state of the screen. do. That is, if the lock switch is "ON", the system control unit 203 determines that the audio mode is in a state where the detachable unit is coupled, and outputs the preset screen display area and display state information accordingly, and the lock switch is "off". (OFF) ",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chable unit is in the AV mode in a detached state, and accordingly, the preset screen display area and display state information are output.

A/V 코덱부(204)는, 시스템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저장매체(205)에 저 장된 압축 AV 파일을 디코딩(Decoding)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크린 표시 영역 및 표시 상태 정보를 패스한다. A/V 코덱부(204)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음향처리부를 구성하는 DAC부(206a) 및 H/P 앰프부(207a)에서 처리된다. 즉, DAC부(206a)는 A/V 코덱부(204)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H/P 앰프부(207a)는, DAC부(206a)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단자(211)로 출력한다. The A / V codec unit 204,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unit 203, decodes the compressed AV fil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205 to generate video and audio data, and displays a screen display area and display. Pass status information. The audio data decoded by the A / V codec unit 204 is processed by the DAC unit 206a and the H / P amplifier unit 207a constituting the sound processing unit. That is, the DAC unit 206a converts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A / V codec unit 204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 H / P amplifier unit 207a amplif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DAC unit 206a.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211.

또한, A/V 코덱부(204)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여 저장매체(205)에 저장한다. 즉, 입력단자(212)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라인 앰프부(207b)에서 증폭되고, ADC부(206b)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A/V 코덱부(204)에서 압축하여 저장매체(205)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A / V codec unit 204 encode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stores the encoded audio signal in the storage medium 205. That is,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terminal 212 is amplified by the line amplifier unit 207b, converted into digital data by the ADC unit 206b, and then compressed by the A / V codec unit 204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Stored at 205.

표시제어부(208)는 AV코덱부(204)에서 출력되는 스크린 표시 영역 및 표시 상태 정보에 따라 플렉시블 스크린부(209)의 표시 영역의 설정을 제어하고 그 설정 영역에 AV코덱부(204)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208 controls the setting of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screen unit 209 according to the screen display area and the display stat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V codec unit 204 and decodes the AV codec unit 204 in the setting area. Display the video signal.

플렉시블 스크린부(209)는 착탈 유니트(210)에 의해 화면의 휘어짐이 가능한 스크린으로서, 표시제어부(208)에 의해 제어된 영역에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flexible screen unit 209 is a screen capable of bending the screen by the detachable unit 210 and displays a video signal in an area controlled by the display controller 208.

착탈 유니트(210)는 시스템 본체(200)에 부착하여 결합 및 분리에 의해 플렉시블 스크린부(209)을 접고 편다. The detachable unit 210 is attached to the system main body 200 to fold and fold the flexible screen unit 209 by combining and detaching.

착탈 유니트(210)가 시스템 본체(200)에 결합 여부는 시스템 본체에 구비된 락 스위치(Lock SW)에서 기구적 혹은 전기적으로 검출되는 온/오프 신호가 시스템 제어부(203)에 전달됨으로써 알 수 있다.Whether the detachable unit 210 is coupled to the system main body 200 may be determined by transmitting an on / off signal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detected by the lock switch provided in the system main body to the system controller 203.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의 키이 정보를 수신한다(510 과정). 이때 사용자의 키이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오디오 또는 AV 파일을 인출한다(520 과정). First, the user's key information is received (step 510). At this time, the selected audio or AV file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formation (step 520).

이어서, 시스템 본체에 부착된 착탈 유니트의 결합 유무를 체크한다(530 과정). Subsequently, it is checked whether the detachable unit attached to the system body is coupled (step 530).

이때 락 스위치가 "온"이면 착탈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오디오 모드임을 판단하여 스크린의 일부 영역만을 설정하고(540 과정), 그 일부 영역에 오디오 재생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만을 출력한다(550 과정). 또한 락 스위치가 "오프"이면 착탈 유니트가 분리된 상태의 AV 모드임을 판단하여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설정하고(560 과정), 그 전체 영역에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570 과정). At this time, if the lock switch is "on", it determines that the audio mode is in the detachable unit coupled state (step 540), and sets only a partial region of the screen, and outputs only text information related to audio reproduction to the partial region (step 550). In addition, if the lock switch is "of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chable unit is in an AV mode in which the detachable unit is in a detached state, and sets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step 560), and outputs a video signal to the entire area (step 57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하는 AV 재생 모드에 따라 표시된 스크린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따라, 오디오 재생시에는 스크린의 일부 영역만 사용하면 되므로 휴대용 기기의 필수조건인 제품 크기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이 증대되고, 필요한 기기만을 동작시킴으로써 제한된 전원조건에서 재생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displayed scree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V playback mode of the user using the flexible screen. Accordingly, since only a part of the screen needs to be used for audio reproduction, portability is increased by minimizing the size of a product, which is an essential condition of a portable device, and maximizing playback time under limited power conditions by operating only necessary devices.

Claims (5)

휴대용 AV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In a portable AV playback system, 시스템 본체에서 출력되는 신호 정보를 표시하고, 화면의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스크린부;A flexible screen unit displaying sign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ystem main body and capable of bending a screen; 시스템 본체에 부착하여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을 접고 펴는 착탈 유니트;A detachable unit attached to the system main body to fold and unfold the flexible screen by coupling and separating; 상기 착탈 유니트의 결합 상태 및 분리 상태를 감지하여 오디오 모드 및 AV 모드를 구분하고, 그 모드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에 표시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되는 신호 정보를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부에 출력하는 시스템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V 재생장치.It detects the coupling state and the disconnection state of the detachable unit to distinguish the audio mode and AV mode, and set the display area on the flexible screen according to the mode and includes a system main unit for outputting the signal information to be reproduced in the flexible screen unit Portable AV playbac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착탈 유니트의 결합/분리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락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V 재생장치.The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lock switch for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upon coupling / detaching of the detachabl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본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ystem body portion 상기 착탈 유니트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여 스크린의 표시 영역과 표시 상태를 결정하는 시스템 제어부;A system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display area and a display state of a screen by determining whether the detachable unit is coupled;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압축 AV 파일을 디코딩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린 표시 영역 및 표시 상태 정보를 패스하는 AV코덱부;An AV codec unit for decoding the compressed AV file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ler to generate video and audio data, and to pass the screen display area and display state information; 상기 AV코덱부에서 출력되는 스크린 표시 영역 및 표시 상태 정보에 따라 표시 영역의 설정을 제어하고 그 설정 영역에 AV코덱부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V 재생장치.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screen display area and the display stat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V codec unit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decoded by the AV codec unit to the setting area.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착탈 유니트가 결합되면 오디오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착탈 유니트가 분리되면 AV 모드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V 재생장치.The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ystem controller determines an audio mode when the detachable unit is coupled, and determines an AV mode when the detachable unit is detached. 시스템 본체와, 상기 시스템 본체에 부착하여 결합 및 분리에 의해 플렉시블 스크린을 접고 펴는 착탈 유니트를 구비한 휴대용 AV 재생 장치의 재생방법에 있어서,A playback method of a portable AV playback apparatus having a system main body and a detachable unit attached to the system main body and folding / unfolding the flexible screen by combining and detaching the system main body, 선택된 오디오 또는 AV 파일을 인출하는 과정;Fetching the selected audio or AV file; 상기 시스템 본체에 부착된 착탈 유니트의 결합 유무를 체크하는 과정;Checking whether the detachable unit attached to the system body is coupled; 상기 착탈 유니트가 시스템 본체에 결합되면 오디오 모드임을 판단하여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특정 영역만을 설정하고, 상기 착탈 유니트가 시스템 본체에 분리되면 AV 모드임을 판단하여 상기 플렉시블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휴대용 AV 재생장치의 재생방법.Determining that the detachable unit is in an audio mode when the detachable unit is coupled to the system main body, and setting only a specific area of the flexible screen; and setting the entire area of the flexible screen by determining that the detachable unit is in the AV mode when the detachable unit is detached from the system main body. A playback method of a portable AV player.
KR1020050126932A 2005-12-21 2005-12-21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Flexible Screen KR100708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32A KR100708197B1 (en) 2005-12-21 2005-12-21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Flexibl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32A KR100708197B1 (en) 2005-12-21 2005-12-21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Flexible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197B1 true KR100708197B1 (en) 2007-04-17

Family

ID=3818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932A KR100708197B1 (en) 2005-12-21 2005-12-21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Flexibl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1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162A (en) * 2015-10-13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867A (en) * 1998-05-30 1999-12-15 손욱 Por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867A (en) * 1998-05-30 1999-12-15 손욱 Por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162A (en) * 2015-10-13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10102161A (en) * 2015-10-13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10102160A (en) * 2015-10-13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369598B1 (en) 2015-10-13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369599B1 (en) 2015-10-13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373838B1 (en) 2015-10-13 202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20032044A (en) * 2015-10-13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603463B1 (en) * 2015-10-13 202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RE50285E1 (en) 2015-10-13 2025-01-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4814B2 (en) Portable CD player and burner
KR100555901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video media playback function and its playback method
JP2006337977A (en) Portable audio player and audio player
KR100708197B1 (en) Audio / Video Playback Device Using Flexible Screen
JP4887548B2 (en) Electronics
KR101351585B1 (en) Apparatus for interface between A/V system and portable device
KR20080091674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739727B1 (en) Portable AV Player with Removable Video Unit
JP3615194B2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with image display
JP2005182533A (en) Multimedia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05044333A (en) Computer system
JP4566050B2 (en) Electrical equipment system
JP2007011802A (en)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movable memory
JP4998051B2 (en) File name acquisition device, file name acquisition method, and program
JP2001092602A (en)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JP4650229B2 (en) Playback system, portable playback device, and playback method
US20050283812A1 (en) Multi-functional multimedia playing device
JP2004062850A (en) Portable data backup equipment
JP4747698B2 (en)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movable memory
TW491997B (en) Apparatus and method of playing MP3
KR20010026172A (en) Printer for having MP3 player and method for driving it
KR20030097032A (en) Mpeg player
JP2008217561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ata player
JP2003091502A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JP2006004582A (en)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