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672B1 - Molded product isolating device - Google Patents
Molded product isola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7672B1 KR100707672B1 KR1020060007580A KR20060007580A KR100707672B1 KR 100707672 B1 KR100707672 B1 KR 100707672B1 KR 1020060007580 A KR1020060007580 A KR 1020060007580A KR 20060007580 A KR20060007580 A KR 20060007580A KR 100707672 B1 KR100707672 B1 KR 100707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hard
- ejector pin
- bobbin
- hard pa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글링크식 사출기의 형체기구로부터 완성된 성형품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장치는, 이동 플레이트(7)에 진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젝터 핀(20)과, 이젝터 핀(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젝터 핀(20)은 이동 플레이트(7)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된 단단한 재질의 경질부(21)와, 경질부(21)의 후단에 연결되며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다관절 구조로 이루어진 유연부(22)를 구비한다. 유연부(22)는 경질부(21)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경질부(2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전환 하면서 경질부(21)를 밀어내어 이동시키고, 경질부(21)가 이동 플레이트(7) 전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성형품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분리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이젝터 핀(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지므로, 이동 플레이트(7)의 폭(d)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the finished molded product from the clamping mechanism of the toggle link injection machine. The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jector pin 20 which is installed to move to the moving plate 7 and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ejector pin 20. The ejector pin 20 is made of a hard part 21 made of a hard material installed to penetrate the movable plate 7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ard part 21 and has a multi-joint structure that can be flexibly bent. The flexible part 22 is provided. The flexible part 22 extend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rd part 21, and the hard part 21 is tur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rd part 21 by the driving means. And the hard part 21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moving plate 7 to separate the molded product. According to such a separating device, since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ejector pin 20 is smaller than in the related art, the width d of the moving plate 7 can be minimized.
사출, 성형, 토글, 링크, 형체기구, 성형품, 분리 Injection, Molding, Toggle, Link, Clamping Device, Molded Parts, Separation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형체기구를 나타낸 도면.1 shows a general clamping mechanism;
도 2는 종래의 성형품 분리장치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lded article separating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품 분리장치의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lded article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분리장치를 이동 플레이트의 배면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device of Figure 3 viewed from the back side of the moving plate.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성형품 분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5a and 5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separating apparatus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고정 플레이트 6 : 후방 플레이트4: fixed plate 6: rear plate
7 : 이동 플레이트 8 : 단링크7: moving plate 8: short link
9 : 장링크 11 : 크로스 헤드9: long link 11: cross head
14 : 모터 15 : 볼 스크류14
16 : 볼 너트 20 : 이젝터 핀16: ball nut 20: ejector pin
21 : 경질부 22 : 유연부21: hard part 22: flexible part
31 : 보빈 40 : 가이드31: Bobbin 40: Guide
본 발명은 토글(toggle)링크를 이용한 토글식 사출성형기의 형체(型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형체기구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ing mechanism of a toggle injection molding machine using a toggle li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ing device capable of separating a molded product from the clamping mechanism.
토글식 사출성형기 형체기구는 타이바를 통하여 이동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한 쌍의 형판에 형체력을 가하여 사출작업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토글식 사출성형기의 형체기구는 토글링크의 개수에 따라, 1쌍의 토클링크로 구성된 싱글 토글식 형체기구와, 2쌍의 토글링크로 구성된 더블 토글식 형체기구로 나눌 수 있다. 싱글 토글식 형체기구는 소형의 사출성형기에 적합하고, 더블 토글식 형체기구는 비교적 큰 형체력이 요구되는 사출성형기에 적합하다. 아울러, 더블 토글식 형체기구는 토글링크에 대한 크로스헤드 링크의 설치방식의 차이에 따라 4점식, 5점식, 또는 6점식 형체기구로 구분될 수 있다.Toggle injection molding machine clamping mechanism is a mechanism for applying the clamping force to the pair of the template mounted between the moving plate and the fixed plate through the tie bar to perform the inj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ggle links, the mold clamping mechanism of the toggle injection molding machine can be divided into a single toggle clamping mechanism composed of a pair of toggle links, and a double toggle clamping mechanism composed of two pairs of toggle links. Single toggle clamping mechanisms are suitable for compact injection molding machines, and double toggle clamping mechanisms are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requiring relatively large clamping forces. In addition, the double toggle type clamping mechanism may be classified into a four-point type, a five-point type, or a six-point type clamp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crosshead link for the toggle link.
종래의 4점식, 5점식 및 6점식 형체기구의 예들이 한국 특허등록 제522396호 공보(2005. 10. 19. 공고) 및 특허등록 제522397호 공보(2005. 10. 19.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4점식 형체기구는 토글링크가 4개의 절점을 가지며 동작하고, 5점식 형체기구는 5개의 절점을, 6점식 형체기구는 6개의 절점을 가지며 동작한다.Examples of conventional four-point, five-point and six-point clamping mechanism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522396 (October 19, 2005) and Patent Registration No. 522397 (October 19, 2005). have. As disclosed in these publications, the four-point clamping mechanism operates with four nodes with a toggle link, the five-point clamping mechanism operates with five nodes, and the six-point clamping mechanism has six nodes.
도 1은 일반적인 5점식 형체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이러한 형체기구는, 타이바(5)의 양측에 후방 플레이트(6)와 고정 플레이트(4)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이동 플레이트(7)가 배치되며, 이동 플레이트(7)는 절점 C, A, 및 B들 사이에 배치된 장링크(9) 및 단링크(8)를 경유하여 후방 플레이트(6)와 연결된다. 후방 플레이트(6)의 일측에는 서보모터(14)와 볼스크류(15)가 설치되고, 볼스크류(15)에는 볼너트(16)를 통하여 크로스헤드(11)가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크로스헤드(11)에 연결된 크로스헤드 링크(12)는 절점 E에서 단링크(8)에 연결된다. 이동 플레이트(7)와 고정 플레이트(4) 사이에는 금형을 이루는 한 쌍의 형판(M1, M2)이 배치된다.Figure 1 shows a typical five-point clamping mechanism. As shown in FIG. 1, in this clamping mechanism, a
이러한 형체기구에서는, 서보모터(14)에 의하여 볼스크류(15)가 회전하면 크로스헤드(11)가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크로스헤드(11)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전진하면 단링크(8)와 장링크(9)가 신장되어 상대적으로 이동 플레이트(7)가 전진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7)와 고정 플레이트(4)가 가까워지고, 결국 한 쌍의 형판(M1, M2)이 서로 맞닿아 금형이 닫히게 된다. In such a clamping mechanism, when the ball screw 15 rotates by the
이러한 상태에서 승압공정과 사출공정에 의하여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서보모터(14)가 볼스크류(1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동 플레이트(7)가 후진하여 금형을 개방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injection molding is completed by the boosting step and the injection step,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7)에는 형판(M1, M2)에 붙어 있는 사출 성형품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에 사용되던 분리장치는 모터나 실린더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젝터 핀(ejector pin)(17)을 구비하여, 구동원의 구동에 따라 이젝터 핀(17)이 이동 플레이트(7)측의 형판(M1)을 관통하여 돌출함으로써 사출 성형품을 형판(M1)으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의 것들이 사용되었다. As shown in Fig. 2, the
그런데, 종래의 분리장치에서는 구동원이 이젝터 핀(17)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구동원으로부터 이젝터 핀(17)으로의 동력전달도 이젝터 핀(17)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형체기구의 길이방향으로 구동원을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7)의 폭(d)을 크게 할 수밖에 없으므로, 형체기구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7)의 폭(d) 증가로 인하여, 절점 C로부터 이동 플레이트(7) 전면까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승압공정 시에 이동 플레이트(7)에 큰 모멘트가 걸려 이동 플레이트(7)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separation device, the drive source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이젝터 핀과 구동원 사이의 동력 전달이 이젝터 핀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의 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형체기구의 성형품 분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eparating the molded part of the clamping mechanism to minimize the width of the moving plate by allowing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ejector pin and the drive source is mad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jector pi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플레이트에 진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젝터 핀과, 상기 이젝터 핀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형체기구의 성 형품 분리장치로서, 상기 이젝터 핀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된 단단한 재질의 경질부와, 상기 경질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배면측에서 상기 경질부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연부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경질부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전환 하면서 상기 경질부를 밀어내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체기구의 성형품 분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jector pin is formed so as to move to the moving plate and the molding device of the molding mechanism comprising a drive means for moving the ejector pin, the ejector pin is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Flexible part made of a rigid material installed to penetrate linearly, a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ard part and flexible to bend, extending from the back side of the moving pl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rd part And a flexible part, wherein the flexible part is pushed and moved by the hard part while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rd part by driving of the driving means.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외주에 상기 유연부가 감겨지며, 상기 경질부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부는 상기 보빈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려나와 상기 경질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Here, the driving means, the flexible portion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the bobbin rotat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hard portion,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obbin, the flexible portion is the rotation of the bobbin As a result, it is released from the bobbin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hard par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 분리장치는, 일단은 상기 경질부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보빈의 회전방향과 접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유연부가 풀려나올 때 상기 유연부를 상기 경질부 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연부는 다관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olded article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exten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rd portion, the other end is extend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bbin, the flexible when the flexible part is released from the bobbin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or guiding the portion to move toward the hard portion. And, the flexible portion may be made of a multi-joint stru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품 분리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이동 플레이트의 배면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lded article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back side of the mov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 분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한 일반적인 형체기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서 형체기구의 구성요소에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참조부호 7은 형체기구의 이동 플레이트를, 참조부호 M1은 이동 플레이트(7) 측에 결합되는 형판(M1)을 나타낸다.The molded article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general clamping mechanism shown in FIG. 1,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That is, in FIG. 3 and FIG. 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품 분리장치는 이동 플레이트(7)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이젝터 핀(20)을 구비한다. 형체기구에서 성형품의 성형이 완료되면, 이젝터 핀(20)은 도 3에서 우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그의 선단이 이동 플레이트(7)의 전면(도 3에서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형판(M1)에 붙어 있는 성형품을 밀어내어 분리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molded article separating device has a pair of
각각의 이젝터 핀(20)은 단단한 재질의 핀 형상을 가지는 경질부(21)와, 경질부(21)의 후단에 연결되며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유연부(22)로 이루어진다. 경질부(21)는 이동 플레이트(7)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구멍(19)에 삽입되며, 유연부(22)는 경질부(21)와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직선부(2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Each
유연부(22)는 다관절 구조, 즉 다수의 분절된 경질의 마디들이 고무줄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펼쳐진 상태에서는 경질부(21)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연부(22)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유연하게 구부러지면서도 직선방향으로의 힘도 받을 수 있는 구조의 것이라면, 예를 들어 체인(chain)과 같은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부(22)는 이동 플레이트(7)의 배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31)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보빈(31)의 회전에 따라 풀리면서 경질부(21)를 밀어내어 경질부(21)가 이동 플레이트(7)의 구멍(19)을 통하여 직선운동을 하도록 한다. 보빈(31)은 경질부(21)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축을 증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보빈(31)의 회전운동을 경질부(2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이동 플레이트(7)의 배면에는 유연부(22)를 경질부(21) 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0)가 설치된다. 가이드(40)는 'ㄱ'자형 파이프(elbow)의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40)의 일단은 경질부(21)와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도 3 참조), 타단은 보빈(31) 상단의 접선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도 4 참조). 따라서, 보빈(31)이 회전하면, 유연부(22)가 풀리면서 가이드(40)를 따라 이동 플레이트(7)의 배면측으로부터 구멍(19)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그에 따라 경질부(21)가 밀려나 이동 플레이트(7)의 전면으로 돌출하면서 형판(M1)에 붙어있는 성형품을 밀어내 분리하게 된다.In order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한편, 보빈(31)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대칭인 한 쌍의 이젝터 핀(20, 20)이 구비되므로, 이들을 이동하기 위하여 한 쌍의 보빈(31, 31)이 필요하다. 이들 한 쌍의 보빈(31, 31)은 하나의 모터에 의해 동시에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보빈(31, 31)에는 각각 종동기어(32, 32)들이 결합되며, 종동기어(32, 32)들은 하나의 구동기어(33)와 동시에 맞물린다. 그리고, 구동기어(33)는 모터와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기어(33)가 회전하면, 한 쌍의 보빈(31, 31)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면서, 이젝터 핀(20)을 이동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성형품 분리장치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lded articl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도 5a는 형체기구에서 성형품의 사출성형이 완료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성형품의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이동 플레이트(7)가 후진함으로써 한 쌍의 형판(M1, M2)(도 1 참조)들이 서로 멀어져 금형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기어(33)가 회전하면, 구동기어(33)와 맞물린 한 쌍의 종동기어(32, 32)와 보빈(31, 31)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Fig. 5A shows a state immediately after injection molding of a molded article is completed in the clamping mechanism. Whe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molded article is completed, the moving
각 보빈(31)의 회전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 핀(20)의 유연부(22)가 보빈(31)으로부터 풀리면서 가이드(40)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7)의 구멍(19)으로 안내되어 밀려들어간다. 그에 따라 이젝터 핀(20)의 경질부(21)는 도면에서 좌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그의 선단이 이동 플레이트(7)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젝터 핀(20)의 경질부(21) 선단은 이동 플레이트(7) 전면에 결합된 형판(M1)을 관통하여, 형판(M1)에 붙어있는 성형품을 밀어냄으로써, 성형품이 분리되도록 한다.As the
본 실시예에서는 이젝터 핀(20)의 유연부(22)가 감겨진 보빈(31)이 경질부(21)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측면에서 볼 때 유연부(22)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가이드(40)에 의해 90도 선회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질부(21)를 직선이동 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구동원인 모터로부터 이젝터 핀(20)으로의 동력전달이 이젝터 핀(20)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이젝터 핀(20)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작아지므로, 이동 플레이트(7)의 폭(d)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 이동 플레이트의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형체기구 전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의 폭을 줄임으로써, 승압공정 시 이동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감소시켜 이동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dth of the moving plate can be reduced, the size of the entire mold clamping mechanism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moving pl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ment applied to the moving plate during the step-up proces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moving plat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will b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580A KR100707672B1 (en) | 2006-01-25 | 2006-01-25 | Molded product isol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580A KR100707672B1 (en) | 2006-01-25 | 2006-01-25 | Molded product isola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7672B1 true KR100707672B1 (en) | 2007-04-13 |
Family
ID=3816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7580A KR100707672B1 (en) | 2006-01-25 | 2006-01-25 | Molded product isola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767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50480A (en) | 2015-06-22 | 2016-12-30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jector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20160150479A (en) | 2015-06-22 | 2016-12-30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jector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0423A (en) * | 1984-06-26 | 1986-01-17 | Fanuc Ltd | Ejector mechanism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
JPS63107533A (en) * | 1986-10-24 | 1988-05-12 | Fanuc Ltd | Ejector for product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950004243Y1 (en) * | 1992-03-17 | 1995-05-24 | 홍종선 | Injection Molded Product Extraction (EJECT) Device |
JPH08207091A (en) * | 1995-02-03 | 1996-08-13 | Sumitomo Heavy Ind Ltd | Ejector |
JP2001212828A (en) * | 2000-02-07 | 2001-08-07 | Meiki Co Ltd | Mold clamping device |
-
2006
- 2006-01-25 KR KR1020060007580A patent/KR10070767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0423A (en) * | 1984-06-26 | 1986-01-17 | Fanuc Ltd | Ejector mechanism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
JPS63107533A (en) * | 1986-10-24 | 1988-05-12 | Fanuc Ltd | Ejector for product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950004243Y1 (en) * | 1992-03-17 | 1995-05-24 | 홍종선 | Injection Molded Product Extraction (EJECT) Device |
JPH08207091A (en) * | 1995-02-03 | 1996-08-13 | Sumitomo Heavy Ind Ltd | Ejector |
JP2001212828A (en) * | 2000-02-07 | 2001-08-07 | Meiki Co Ltd | Mold clamp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50480A (en) | 2015-06-22 | 2016-12-30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jector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20160150479A (en) | 2015-06-22 | 2016-12-30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jector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26426B1 (en) | Mold clamping device and mold thickness adjusting method | |
KR100707672B1 (en) | Molded product isolating device | |
WO1998038023A1 (en) | Blow molding machine | |
JP6756795B2 (en) | 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100724244B1 (en) | Molding 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molding part separation device | |
JP5480430B1 (en) | Molding 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100733697B1 (en) | Molded product isolating device | |
JP2007167923A (en) | Product discharging method in die casting machine and device therefor | |
JP2013184443A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3958537B2 (en) | Molding device clamping machine | |
CN115139453B (en) | Mold insert slewing mechanism and mould | |
JP5394802B2 (en) |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 |
KR200469877Y1 (en) | Fixing Apparatus of Core Rotation for Multi Injection mold | |
JP4247761B1 (en) | 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CN111531819B (en) | Ejection mechanism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10105168A (en) | Multi-material injection-molding apparatus, multi-material injection-molding method, and multi-material injection-molding mold | |
JP3628778B2 (en) | Undercut mold | |
JP4928133B2 (en) | Molding machine | |
JP2001150496A (en) | Method for taking out product from mold | |
KR100545756B1 (en) | Injection 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100203397B1 (en) | Eject Device for Molded Products_ | |
JP3620724B2 (en) | Molding device for electric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10274528A (en) | Blow mold and blow molding method | |
KR20180042548A (en) | Method for taking-out a product molded by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7617832B2 (en) | Ejector unit, mold clamping unit,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