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433B1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7433B1 KR100707433B1 KR1020050016301A KR20050016301A KR100707433B1 KR 100707433 B1 KR100707433 B1 KR 100707433B1 KR 1020050016301 A KR1020050016301 A KR 1020050016301A KR 20050016301 A KR20050016301 A KR 20050016301A KR 100707433 B1 KR100707433 B1 KR 100707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ket
- door
- refrigerator
- cam
- doo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3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는, 냉장고 본체에 힌지부로 연결된 복수의 도어와; 상기 복수의 도어에서 상호 마주하는 부분에 상대 도어 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개스킷 어셈블리와;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에서 상기 도어의 힌지부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냉장고 본체 쪽에 고정된 부재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도어가 여닫힐 때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를 당겨주는 당김력 발생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개스킷을 보다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고, 도어 개폐시에 상대 도어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며, 개스킷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body by a hinge portion; A gasket assembly which is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counterpart door side to a part facing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doors, and seals a gap between the doors;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gasket assembly in a hinge direction of the door; And a pull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that pulls the gasket assembly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interaction with a member fixed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side, so that the gasket can be separated more reliably, and the doo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easily by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counterpart doo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gasket.
프렌치, 개스킷, 캠, 개스킷 홀더, 힌지 브래킷, 연결 부재, 자석French, Gasket, Cam, Gasket Holder, Hinge Bracket, Connecting Element, Magnet
Description
도 1은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French type refrigerator,
도 2는 종래 기술의 개스킷 분리 장치가 구비된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의 개방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French type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gasket separating device of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의 개스킷 분리 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평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gasket detaching device of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도어 개방시에 개스킷의 변형 상태가 도시된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deformation state of a gasket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prior art,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5 to 7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냉장고의 도어 개방 상태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pen state of a refrigerator;
도 6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주요부 평면 구성도,6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도 7은 도어가 열리고 있는 상태의 주요부 평면 구성도,7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9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gasket det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 구 성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 : 냉동실 32 : 냉장실 31: freezer 32: cold storage room
35R, 35L : 도어 36 : 도어 캡 35R, 35L: Door 36: Door cap
37 : 개스킷 40 : 냉장고 본체 37: gasket 40: refrigerator body
45 : 힌지부 50 :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 45
51 : 개스킷 홀더 53 : 개스킷 51: Gasket Holder 53: Gasket
55 : 자석 57 : 회전축 55
59 : 탄성 부재 60 : 연결 부재 59: elastic member 60: connection member
65 : 가이드부 70 : 당김력 발생기구 65: guide portion 70: pull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71 : 캠 부재 72 : 캠면 71: cam member 72: cam surface
75 : 당김 레버 76 : 롤러75: pull lever 76: roller
170 : 당김력 발생기구 171 : 캠 부재 170: pull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171: cam member
175 : 당김 레버 176 : 롤러175: pull lever 176: roller
245 : 힌지부 246 : 힌지 브래킷 245: hinge portion 246: hinge bracket
247 : 힌지축 272 : 캠면 247: hinge axis 272: cam surface
275 : 당김 레버 350 :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 275 pull lever 350: side gasket assembly
356 : 가이드부 367 : 스토퍼 356: guide portion 367: stopper
본 발명은 양문형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쪽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호 밀착된 개스킷이 도어 개방과 함께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typical French type refrigerator.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상측에 냉장실(1)이 위치되고, 하측에 냉동실(2)이 위치된다. 특히 상기 냉장실은 내부를 분리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이다.As shown in the refrigerator, the refrigerating
상기 냉장실(2)은 이를 개폐하는 도어(3)가 양문 개방형 구조로 구성되고, 각 도어(3)의 둘레면에는 냉기가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냉장고 본체(5)에 밀착되는 개스킷(10)이 설치된다.The refrigerating chamber (2) is a door (3) for opening and closing it is composed of a double-door open structure, the gasket (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frigerator main body (5) is install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door (3) do.
특히 상기 양문형 도어(3)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도 냉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개스킷(11)이 설치되는 바, 일반적으로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는 양쪽 도어의 개스킷이 밀착되도록 한쪽 도어에 필러(filler)가 구비된 구조를 갖거나, 필러가 구비되지 않고 양쪽 도어(3)의 개스킷(11)이 상호 밀착되는 필러리스(fillerless) 구조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냉장고는 필러리스 타입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양쪽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양쪽 도어에 구비된 개스킷(11)이 상호 밀착되어 도어(3)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1 and 2 illustrate a pillarless type, in which the
여기서 도 3은 상기 양쪽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스킷(11)이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의 'A' 방향의 평단면 구성도로서, 상기 개스킷(11)은 양쪽 도어(3)가 상호 마주하는 측면에 설치된 개스킷 홀더(12)와, 이 개스킷 홀더(12)에 장착되어 상호 밀착되는 개스킷 러버(13)로 이루어진다.3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rection 'A'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상기 개스킷 러버(13)의 내부에는 상호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자석(14)이 각각 설치된다.The
특히, 상기 개스킷(11)은 한쪽 도어(3)가 개방될 때 다른 쪽 도어도 따라서 열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 초기 개방시에 상기 양쪽 개스킷(11)을 어느 정도 분리시키는 개스킷 분리 장치(15)가 설치된다.Particular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상기 개스킷 분리 장치(15)는 상기 개스킷 홀더(12)를 도어(3)에 지지된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구성하고, 상기 힌지부(16)를 중심으로 개스킷 홀더(12)의 반대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캠 레버(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본체(5)에는 상기 캠 레버(17)가 접촉되면서 도어 개방시에 상기 개스킷 러버(13) 및 개스킷 홀더(12)가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상기 캠 레버(17)와 대향되는 캠부(6)가 형성된다.The
따라서 도어(3)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캠 레버(17)의 캠부(18)가 냉장고 본체(5)의 캠부(6) 뒤쪽에 안착된 상태로 있다가, 한쪽 도어(3)가 열리게 되면, 도어를 따라 캠 레버(17)도 함께 빠져나오면서 캠 레버(17)의 캠면(18)이 냉장고 본체(5)의 캠부(6)를 통과하면서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개스킷 홀더(12)도 동시에 힌지부(1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도 3의 점선으로 나타낸 개스킷(11')이 다른 쪽 도어(3)의 개스킷(11)과 분리되면서 한쪽 도어만 열리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종래 개스킷 분리 장치는 도어(3)가 열리면서 발생되는 캠 레버(17)의 회전각에 비하여 개스킷(11)의 이격 변화량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한쪽 도어(3)를 개방할 때 양쪽 개스킷(11)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개방되는 한쪽 도어를 따라 다른 쪽 도어도 약간 개방되는 들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made as described above opens one
즉, 도 3을 참고하면, 통상적으로 회전 중심 즉, 힌지부(16)로부터 캠 레버(17)까지의 길이(H1)가 힌지부(16)로부터 개스킷(11)까지의 길이(H2)보다 길게 설계되므로, 도어 개방시에 상기 캠 레버(17)의 변화량에 비하여 개스킷(11)의 변화량이 작게 되어 개스킷과 개스킷 내부에 구비된 자석(14)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거나, 상호 인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한쪽 도어가 개방되어 다른 쪽 도어도 일정 정도 따라 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That is, referring to Figure 3, typically a center of rotation that is, the hinge portion length (H 2) to the length (H 1),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3)가 열리는 과정에서 양쪽 개스킷(11)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양쪽 자석(14)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어(3)를 열 때마다 도 4에서와 같이 개스킷 러버(13)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변형되는 현상이 계속 반복되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상태로 냉장고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개스킷 러버(13)가 손상되어 개스킷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또한, 도어(3)의 힌지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냉장고의 중앙부에서 상기 캠 레버(17)와 냉장고 본체(5)의 캠부(6)가 서로 접촉하면서 개스킷(11)을 이격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도어(3)를 개방할 때 저항이 커져 그만큼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Further, since the cam lever 17 and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개폐시에 힌지부 쪽에서 개스킷을 당겨서 상대 도어로부터 개스킷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개스킷을 보다 확실하게 분리하여 상대 도어와의 간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개스킷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pull the gasket on the hinge side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o remove the gasket from the mating door more reliably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with the mating door.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ket separating device of a refrigerator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gasket.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중앙부가 아닌 힌지부 쪽에 개스킷을 당겨주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여는 힘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개스킷을 당겨주는 수단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냉장고의 중앙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pening force of the door by installing a means for pulling the gasket on the hinge side of the door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door,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center of the refrigerator while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means for pulling the gaske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gasket separating device of a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은 힌지 브래킷에 개스킷을 당겨주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simplifying a structure by including a means for pulling a gasket on the hinge bracke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는, 냉장고 본체에 힌지부로 연결된 복수의 도어와; 상기 복수의 도어에서 상호 마주하는 부분에 상대 도어 쪽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개스킷 어셈블리와;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에서 상기 도어의 힌지부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냉장고 본체 쪽에 고정된 부재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도어가 여닫힐 때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를 당겨주는 당김력 발생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plurality of door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body by a hinge; A gasket assembly which is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counterpart door side to a part facing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doors, and seals a gap between the doors;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gasket assembly in a hinge direction of the door; And a pull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that pulls the gasket assembly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interaction with a member fixed to the refrigerator main body side.
상기 도어는 상기 연결 부재 또는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된다.The door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or the pull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된 개스킷 홀더와, 상기 개스킷 홀더의 앞쪽에 설치되고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 개스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asket assembly includes a gasket holder rotat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doo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at another end thereof, and a gasket installed at a front side of the gasket holder and provided with a magnet therein.
또한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된 개스킷 홀더와, 상기 개스킷 홀더의 앞쪽에 설치되고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 개스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sket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asket holder provided on the door to be movabl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doo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a gasket installed in front of the gasket holder and provided with a magnet therein. .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와 함께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부재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a link member connected with the gasket assembly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ull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캠 부재와, 상기 도어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캠 부재에 접촉되어 상대 이동을 하면서 상기 연결 부재를 이동시키는 당김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ll force generating mechanism includes a cam memb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a pull lever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on the door side and moves the connecting member while making a relative movement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when the door is open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캠 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서 상기 힌지부 방향으로 캠면이 돌출되고, 상기 당김 레버는 상기 캠 부재의 캠면과 반대 방향으로 캠면에 돌출되어, 도어 열림 초기에 상기 두 캠면이 상호 접촉되면서 당김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am member has a cam surface protruding from the refrigerator main body toward the hinge portion, and the pull lever protrudes from the cam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m surface of the cam member so that the two cam surfaces contact each other at the beginning of the door opening.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상기 캠 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서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 방향으로 캠면이 돌출되고, 상기 당김 레버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부분을 중심으로 한 쪽 부분은 캠면이 형성되어 상기 캠 부재의 캠면에 접촉되고, 다른 쪽 부분은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도어 여닫힘시에 상기 두 캠면이 상호 접촉되면서 당김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am member has a cam surface protruding from the refrigerator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gasket assembly, and the pull lev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oor, and a portion around the portion is formed with a cam surface to form a cam surface. The other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pulling force while the two cam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상기와 다르게 상기 캠 부재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the cam member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from the refrigerator body.
또한 상기와 다르게 상기 힌지부는 상기 냉장고 본체에서 고정된 힌지 브래킷이 포함되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힌지 브래킷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above, the hinge part may include a hinge bracket fixed to the refrigerator body, and the cam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the hinge bracket.
상기한 당김 레버는 상기 캠 부재와의 접촉부에 롤러가 구비된다.The pull lever is provided with a roller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상기 개스킷 분리 장치는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 연결부재, 당김 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와 상기 도어 사이에는 개스킷을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ket is pull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gasket assembly, the connection member, the pull lever and the door.
상기 연결부재 또는 당김력 발생기구에는 과도한 변위 발생을 완충시키는 완충 부재가 구비된다.The connecting member or the pull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that cushions excessive displac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발명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 중 어느 하나가 없으나 양문 개방형 도어를 가지는 냉장고에도 적용 가능하며, 양쪽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냉장고에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쪽 도어에서 상호 마주하는 부분에 상대 도어 쪽에 밀착되어 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가 설치된 냉장고에는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having neither a freezer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but having a double door open type door, and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that is open in a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a refrigerator in which both doors are open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of course, applicable to all the refrigerators in which the side gasket assembly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te door side in the opposite parts of both doors to seal the gap between the doo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냉장실에 양문형 도어가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는 프렌치 타입의 냉장고를 중심으로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rench type refrigerator that can be op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double door type in one refrigerator compartment.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5는 냉장고의 도어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주요부 평면 구성도이며, 도 7은 도어가 열리고 있는 상태의 주요부 평면 구성도이다.5 to 7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open state of the refrigerator,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oor closed state, 7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냉동실(31)이 위치되고, 상측에 양문형 도어(35L, 35R)가 구비된 냉장실(32)이 위치된다.As shown in FIG. 5, a freezing
상기 양쪽 도어(35L, 35R)는 냉장고 본체(40)에 힌지부(45)로 연결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냉장실(32)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wo
상기 양쪽 도어(35L, 35R)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40)에 밀착되어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도어(35L, 35R)의 상하 좌우에 개스킷(37)들이 설치된다.Gaskets 37 are installed on both the
특히, 상기 양쪽 도어(35L, 35R)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격벽이나 냉장고 본체(4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대 도어 쪽에 밀착되어 도어(35L, 35R)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가 설치된다.Particularly, since the partition wall or the refrigerator
상기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35L, 35R)의 측면에 설치되는 개스킷 홀더(51)와, 이 개스킷 홀더(51)의 앞쪽에 설치되어 상대 도어의 개스킷에 밀착되는 개스킷(53)과, 상기 개스킷(53)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대 도어(35L, 35R)의 개스킷(53)과 밀착되도록 하는 자성을 발생시키는 자석(55)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특히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는 상대 도어의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와 밀착된 상태에서 냉장실(32) 내부를 밀봉하기 때문에 도어(35L or 35R)가 여닫힐 때 상대쪽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에 쓸리면서 도어(35L or 35R)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양쪽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어(35L, 35R)가 여닫힐 때 양쪽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를 이격시키는 장치가 구비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separating both
먼저, 상기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는 개스킷 홀더(51)가 도어(35L, 35R)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개스킷 홀더(51)는 회전축(57)을 통해 도어(35L, 35R)에 설치되고, 이 회전축(57)은 개스킷(53)의 주요 밀착 부분의 이격 변위가 커지도록 가능한 자석(55)이 설치된 부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상기 개스킷 홀더(51)의 뒷부분에는 상기 도어(35L, 35R)의 힌지부(45) 방향으로 길게 연결 부재(60)가 연결되고, 이 연결 부재(60)는 상기 도어(35L, 35R)가 여닫힐 때 상기 개스킷(53)이 상대 개스킷(5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당김력을 발생시키는 당김력 발생기구(70)와 연결된다.A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60)는 상기 개스킷 홀더(51)의 회전축(57) 부분과 가능하면 먼 쪽인 자석(55)이 위치되는 부분의 바로 뒤쪽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스킷 홀더(51)와 함께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7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링크 구조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ng
상기 연결 부재(60)는 그 중간 부분에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에 의해 과도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조립 오차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완충 부재(63)가 구비된다. 이 완충 부재(63)는 통상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63)와 일체로 움직이면서 개스킷을 당기는 힘을 전달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후술할 개스킷 홀더(51)의 회전축(5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59)보다 탄성 계수가 큰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The connecting
상기 연결 부재(60)는 도어(35L, 35R)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도어 캡(36)의 내측에 구비되는 바, 상기 도어 캡(36)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 부재(6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65)는 후술할 당김력 발생기구(7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로도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connecting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70)는 냉장고 본체(40) 쪽에 고정된 부재 즉, 캠 부재(71)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도어(35L, 35R)가 열릴 때 상기 연결 부재(60)를 통 해 상기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를 당겨주도록 구성된다.The pulling
즉,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70)는, 상기 냉장고 본체(40)에서 상기 도어(35L, 35R) 방향으로 돌출되는 캠 부재(71)와, 상기 도어(35L, 35R)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60)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35L, 35R)가 열릴 때 상기 캠 부재(71)에 접촉되어 상대 이동을 하면서 상기 연결 부재(60)를 이동시키는 당김 레버(75)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pull
여기서 상기 캠 부재(71)는 상기 냉장고 본체(40)에서 상기 힌지부(45) 방향으로 캠면(72)이 돌출되고, 상기 당김 레버(75)는 상기 캠 부재(71)의 캠면(72)과 반대 방향으로 캠면이 돌출되어,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70)는 도어(35L, 35R) 여닫힘시에 상기 두 캠면이 상호 접촉되면서 당김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Here, the
상기 당김 레버(75)의 캠면은 상기 캠 부재(71)의 캠면(72)에 구름 접촉되도록 롤러(7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개스킷 홀더(51)의 회전축(57)에는 상기 당김력 발생기구(70)의 당김력에 대향되는 힘을 개스킷 홀더(51)에 제공하는 통상의 스프링 구조의 탄성 부재(59)가 구비된다. 즉, 상기 탄성 부재(59)는 양쪽 도어(35L, 35R)의 개스킷(53)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탄성 부재(59)는 상기 개스킷 홀더(51)에 설치되는 구조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연결 부재(60)나 당김 레버(75) 등에도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Such an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냉장고의 양쪽 도어(35L, 35R)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 레버(75)가 캠 부재(71)의 낮은 부분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개스킷 홀더(51)의 탄성 부재(59)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한 쪽 개스킷(53)이 상대 개스킷(53)에 밀착되어 냉장실(32) 내부를 밀봉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both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쪽 도어(35R)를 개방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당김 레버(75)의 롤러(76)가 상기 캠 부재(71)의 캠면(72)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76)가 상기 캠면(72)의 정점을 통과하면서 최대 당김 변위가 발생되고, 상기 당김 레버(75)가 도어(35R)의 힌지부(45)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 부재(60)로 연결된 개스킷 홀더(51)가 탄성 부재(59)의 탄성력을 이기고 도어(35R)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user opens the one
따라서 상대 도어(35L)의 개스킷(53)에 밀착되어 있던 개스킷(53) 및 자석(55)이 상대 도어(35L, 35R) 측의 개스킷(53)과 자석(55)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도어(35R)를 따라 열리게 된다.Therefore, the
이와 반대로 도어(35R)가 닫히게 될 때에도 상기 당김 레버(75)의 롤러(76)가 상기 캠 부재(71)를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도어(35R)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 개스킷(53)이 상대 도어(35L)의 개스킷(53)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로 닫히게 된다.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결국, 도어(35R)가 닫히고 열릴 때 상기 캠 부재(71)와 당김 레버(75)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개스킷(53)을 상대도어(35L)의 개스킷(53)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양쪽 자석(55) 사이의 인력을 줄이고 개스킷(53) 간의 쓸림 현상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도어(35R) 개폐 작동이 가능해지게 된다.Consequently, both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60) 및 당김 레버(75) 등이 도어(35L, 35R) 상단부를 구성하는 도어 캡(36) 내에 설치된 실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 도어(35L, 35R)의 내부가 아닌 상단부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도어(35L, 35R)의 상측부에 설치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의 'X' 부분인 도어(35L, 35R)의 하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 내지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8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개스킷 분리 장치는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 연결 부재(60) 등의 구성은 전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제 2실시예에서는 당김력 발생기구(170)인 캠 부재(171)의 캠면(172)이 상기 냉장고 본체(40)에서 상기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 방향으로 돌출된다.In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캠 부재(171)와 접촉되어 당김력을 발생시키는 당김 레버(175)는 상기 도어(35L, 35R)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고, 회전 중심(C)으로부터 한쪽 부분에는 상기 캠 부재(171)의 캠면(172)에 접촉되는 캠면을 이루는 롤러(176)가 설치되고 다른 쪽 부분에는 상기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50)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6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A pull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개스킷 분리 장치도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어(35L, 35R) 여닫힘시에 상기 당김 레버(175)의 롤러(176)가 상기 캠 부재(171)의 캠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당김력을 발생시켜 개스킷(53)을 상대 개스킷(53)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In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개스킷 분리 장치는 전술한 제 1 및 2 실시예에서 캠 부재(71)(171)가 냉장고 본체(40)에서 직접 설치되어 돌출된 구조와는 다르게 캠 부재(271)가 힌지부(245)를 이루는 힌지 브래킷(246)에 직접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통상, 냉장고 본체(40)의 상부와 하부측에는 상기 도어(35L, 35R)가 여닫힐 때 회전 중심을 형성토록 힌지 브래킷(246)이 설치되고, 이 힌지 브래킷(246)에 형성된 힌지축(247)이 도어(35L, 35R)의 힌지홀(미도시)에 삽입되는 구조로 힌지 장치가 이루어진다.In general, a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 브래킷(246)의 측면에 캠 부 재(271)를 이루는 캠면(272)을 일체로 형성하고, 도어(35L, 35R) 쪽에는 상기 캠면(272)에 접촉되어 당김력을 발생시키도록 전술한 제 2 실시예의 당김 레버(17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당김 레버(275)가 설치된다.Her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구성은 별도의 캠 부재(271)를 형성하지 않고도 힌지 브래킷(246)에 캠면(272)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제 2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한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implement the same mechanism as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by forming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분리 장치의 제 4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개스킷 분리 장치는 전술한 각 실시예의 개스킷 어셈블리(50)가 회전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과는 다르게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350) 전체가 도어(35L, 35R)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개스킷 분리 장치는 도어(35L, 35R)의 측면에 상기 개스킷 어셈블리(350)가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부(356)가 구비되고, 개스킷 홀더(351)의 뒤쪽에는 상기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350)는 상대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350)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357)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부(356)에는 상기 개스킷 홀더(351)가 더 이상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제한하는 스토퍼(367)가 형성된다.The gaske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전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같이 상기 개스킷 홀더(351)의 뒤쪽에는 연결 부재(60)가 연결되고, 이 연결 부재(60)는 냉장고 본체(40) 쪽의 캠 부재(71) 와 당김 레버(75)로 이루어진 당김력 발생기구(70)가 구비된다.And a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개스킷 홀더(351)와 상기 연결 부재(60)의 연결부분은 개스킷 내(353)에 자석(355)이 설치된 부분의 밀착력이 크므로 자석(355)이 위치되는 부분의 뒤쪽에서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도어(35L, 35R)가 여닫힐 때 상기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350) 전체가 도어(35L, 35R)의 측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대 사이드 개스킷 어셈블리(350)와 밀착되거나 분리되게 된다.Therefore,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35L, 35R) is opened and closed, the entire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는, 도어의 중앙부가 아닌 도어의 힌지부 쪽에서 개스킷을 당겨서 분리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개스킷이 분리되는 변위를 크게 하여 개스킷을 보다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폐시에 상대 도어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며, 개스킷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gasket separation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pull and separate the gasket from the hinge side of the door instead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door, thereby increasing the displacement at which the gasket is separated, thereby making the gasket more reliable. It can be separated,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relative doo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t is easy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gasket.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힌지부 쪽에서 냉장고 본체 쪽과 도어와의 상호 간섭으로 개스킷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 도어의 중앙부에 설치된 구조보다 작은 힘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동시에, 분리 장치의 노출을 최소할 수 있으며, 부품의 노출에 따른 부품의 파손 및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gasket can be separated by th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refrigerator main body side and the door at the hinge side of the door can open the door with a smaller force than the structur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onventional door, It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damage and appearance of the parts due to the exposure of the parts.
또한, 본 발명은 힌지 브래킷에 밀착되어 도어 개폐시에 개스킷을 당겨주도 록 구성할 경우에 장치의 전체 부품수를 줄임과 아울러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ppearance by minimizing the external exposure as well as the total number of parts of the device when configured to close the hinge bracket to pull the gaske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6301A KR100707433B1 (en) | 2005-02-26 | 2005-02-26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6301A KR100707433B1 (en) | 2005-02-26 | 2005-02-26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4818A KR20060094818A (en) | 2006-08-30 |
KR100707433B1 true KR100707433B1 (en) | 2007-04-13 |
Family
ID=3760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63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7433B1 (en) | 2005-02-26 | 2005-02-26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743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0655B1 (en) | 2012-04-10 | 2018-10-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auto 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US9052135B2 (en) * | 2013-08-21 | 2015-06-09 | True Manufacturing Company, Inc. | Refrigerator cooler with magnetic french door gaskets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10995977B2 (en) | 2019-08-28 | 2021-05-04 | Whirlpool Corporation | Mullion hinge assembly |
CN114809625B (en) * | 2022-06-29 | 2022-11-11 |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 Steel structure template for build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73382A (en) | 1980-10-24 | 1982-05-08 | Sharp Kk | Storage with refrigeration cycle |
JPS61259073A (en) | 1986-04-04 | 1986-11-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Storage shed having refrigeration cycle |
JP2000297978A (en) | 1999-04-13 | 2000-10-24 | Daiwa Industries Ltd | Double door refrigerator |
KR100420346B1 (en) | 2001-09-11 | 2004-03-0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n Opening device of door for Refrigerator |
-
2005
- 2005-02-26 KR KR1020050016301A patent/KR1007074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73382A (en) | 1980-10-24 | 1982-05-08 | Sharp Kk | Storage with refrigeration cycle |
JPS61259073A (en) | 1986-04-04 | 1986-11-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Storage shed having refrigeration cycle |
JP2000297978A (en) | 1999-04-13 | 2000-10-24 | Daiwa Industries Ltd | Double door refrigerator |
KR100420346B1 (en) | 2001-09-11 | 2004-03-0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An Opening device of door for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4818A (en) | 2006-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3309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44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33B1 (en)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
KR100707435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697076B1 (en) | Filler guide device for gasket adhesion of the refrigerator | |
KR100722286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60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34B1 (en) | Side gasket separator in the refrigerator | |
KR100707466B1 (en)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
KR100707462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55320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57B1 (en)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
KR100707452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33310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36B1 (en) | Side gasket disconnector on the refrigerator door | |
KR100748970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61B1 (en)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
KR100707456B1 (en) | Door gasket unit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65B1 (en) | Gasket Separation Unit on Refrigerator Door | |
KR100755319B1 (en)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
KR100748980B1 (en) | Door opener and door hinge mechanism of the refrigerator | |
KR100748967B1 (en) | Gasket Separator in Refrigerator | |
KR100707463B1 (en) | Gasket Separation Unit on Refrigerator Door | |
KR100673455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
KR100707443B1 (en) | Door opener of the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