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7262B1 -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262B1
KR100707262B1 KR1020050008039A KR20050008039A KR100707262B1 KR 100707262 B1 KR100707262 B1 KR 100707262B1 KR 1020050008039 A KR1020050008039 A KR 1020050008039A KR 20050008039 A KR20050008039 A KR 20050008039A KR 100707262 B1 KR100707262 B1 KR 10070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gamut
data
cmy
col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157A (ko
Inventor
조희근
조민기
김대원
강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262B1/ko
Priority to US11/328,142 priority patent/US7852535B2/en
Publication of KR2006008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58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16Conversion to subtractive colour signals
    • H04N1/6022Generating a fourth subtractive colour signal, e.g. under colour removal, black mas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색데이터 변환방법은, C(Cyan) 색료, M(Magenta) 색료, 및 Y(Yellow) 색료로 구성되는 CMY 색역과 K(Black) 색료를 이용하여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을 갖는 CMYK 색역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CMYK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하는 단계,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저명도 색들과 고채도 색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재현되고, 결과적으로 이미지 인쇄결과가 보다 자연스러워지게 된다.
색역, 색역확장, CMY, CMYK

Description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verting color-data in use of color-gamut extens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RGB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도 3의 CMYK 색역 생성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CMYK 색역 생성단계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K 색료의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색역확장부
120 : 컬러매핑부
130 : 색데이터 변환부
140 : K 대체부
본 발명은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인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한 한 후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되는 프린터의 대부분은 C(Cyan) 색료, M(Magenta) 색료, 및 Y(Yellow) 색료에 K(Black) 색료를 추가한 4색 색료를 이용한다. K 색료를 추가함으로 인해, 색역확장과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예를 들면, RGB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한 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색데이터 변환장치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RGB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데이터 변환장치는, 컬러매핑부(10), 색데이터 변환부(20), 및 K 대체부(30)를 구비한다.
컬러매핑부(10)는 CMY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에 대한 RGB 데이터를 CIE L*a*b*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색데이터 변환부(20)는 컬러매핑부(10)에서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CIE L*a*b* 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한다. K 대체부(30)는 색데이터 변환부(20)에서 출력되는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 환한다. 이에 따라, K 대체부(30)에서는 CMYK 데이터가 출력된다.
색데이터 변환장치에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색데이터는 CMYK 데이터임에도 불구하고, 컬러매핑부(10)가 컬러매핑시에 이용하는 색역은 CMY 색역이다. 그리고, K 대체부(30)가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함에 있어서는, 입력색에 대한 C 색료, M 색료, Y 색료의 비율을 일정하게 감소시키는 대신, K 색료를 적정 비율로 첨가함으로서,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컬러매핑과 K 대체을 수행하게 되면, 명도가 낮은 색들과 채도가 높은 색들이 자연스럽게 재현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이미지 인쇄결과가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개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명도 색들과 고채도 색들을 보다 자연스럽게 재현하기 위해,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인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한 한 후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색데이터 변환방법은, a) C(Cyan) 색료, M(Magenta) 색료, 및 Y(Yellow) 색료로 구성되는 CMY 색역과 K(Black) 색료를 이용하여, 상기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을 갖는 CMYK 색역을 생성하는 단계; b) 생성된 상기 CMYK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하는 단계; c) 상기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으로서,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는 단계; a2)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 색료, 상기 M 색료, 상기 Y 색료, 및 상기 K 색료로 구성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3) 상기 판단단계에서 구성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MYK 색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1) 단계는,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상기 CMY 색역의 채도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K 색료의 비율은 해당명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K 색료의 비율은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5005355131-pat00001
여기서, L은 상기 해당명도이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상기 CMY 데이터를 상기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색데이터 변환장치는, C(Cyan) 색료, M(Magenta) 색료, 및 Y(Yellow) 색료로 구성되는 CMY 색역과 K(Black) 색료를 이용하여, 상기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을 갖는 CMYK 색역을 생성하는 색역확장부; 상기 색역확장부에서 생성된 상기 CMYK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하는 컬러매핑부; 상기 컬러매핑부에서 컬러매핑된 상기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색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색데이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K 대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으로서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고,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 색료, 상기 M 색료, 상기 Y 색료, 및 상기 K 색료로 구성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MYK 색역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상기 CMY 색역의 채도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K 색료의 비율을 해당명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K 색료의 비율을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5355131-pat00002
여기서, L은 상기 해당명도이다.
그리고, 상기 K 대체부는, 상기 색역확장부에서 생성된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상기 CMY 데이터를 상기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색데이터 변환장치는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인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한다. 그리고, 본 색데이터 변환장치는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색데이터 변환장치는, 색역확장부(110), 컬러매핑부(120), 색데이터 변환부(130), 및 K 대체부(140)를 구비한다.
색역확장부(110)는 C(Cyan) 색료(colorant), M(Magenta) 색료, 및 Y(Yellow) 색료로 구성되는 CMY 색역과 K(Black) 색료를 이용하여, CMY 색역을 확장한다. 즉, 색역확장부(110)는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을 갖는 CMYK 색역을 생성한다. 색역확장부(110)가 CMY 색역을 확장하여, CMYK 색역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컬러매핑부(120)는 색역확장부(110)에서 생성된 CMYK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한다. 구체적으로, 컬러매핑부(120)는 CMYK 색역 범위내에서 입력색에 대한 RGB 데이터를 CIE L*a*b*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는, 입력색에 대한 RGB 데이터를 CMYK 색역 범위내의 색공간에 위치시킬 경우에 해당하는 CIE L*a*b* 데이터를 구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색데이터 변환부(130)는 컬러매핑부(120)에서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 데이터(CIE L*a*b* 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한다.
K 대체부(140)는 색데이터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K 대체부(140)는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함에 있어서, 전술한 색역확장부(110)가 생성한 CMYK 색역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색데이터 변환장치가 색역확장을 통해 색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색역확장부(110)는 CMY 색역과 K 색료를 이용하여, CMYK 색역을 생성한다(S210). 여기서, CMY 색역은 C 색료, M 색료, 및 Y 색료로 구성되는 색역이다. 그리고, CMYK 색역은 K 색료를 이용하여 CMY 색역을 확장시킴으로서 생성되는 색역으로,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이다.
이하에서, CMYK 색역 생성단계(S21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CMYK 색역 생성단계(S210)의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색역확장부(110)는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키고(S211), 이와 함께, CMY 색역의 채도범위를 소정 방향으로 증가시시킨다(S213). S211단계와 S213단계로 인하여, CMY 색역보다 넓은 색역인 '확장된 색역'이 생성되게 된다.
S211단계와 S213단계로 인하여 기존의 CMY 색역 보다 넓은 색역을 갖는 확장된 색역이 생성되는 과정을 도 5a에 도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5a를 참조하면, S211단계는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 'L0'를 그 보다 더 낮은 명도 'L1'로 감소시킴(즉, 최저명도점을 'l1' 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S213단계는 CMY 색역의 채도범위를 소정 방향('r1'방향, 'r2'방향 등)으로 증가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S211단계와 S213단계는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감소와 CMY 색역의 채도범위 증가는 기정해진 소정범위만큼씩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도 5b에 도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5b를 참조하면,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순차적으로 'L1', 'L2', 'L3' 로 감소시킴(즉, 최저명도점을 순차적으로 'l1', 'l2', 'l3'에 따라 이동시킴)과 함께 채도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단계적으로 색역을 확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색역확장부(110)는 확장된 색역에 기존의 CMY 색역 전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5). 이는,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과도하게 감소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채도범위의 감소현상을 고려한 것이다.
도 5c에는, 과도한 명도감소로 인해 생성된 확장된 색역이 기존의 CMY 색역 전부를 포함하지 못하게 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L4까지 낮추게 된 경우에는, 확장된 색역이 기존의 CMY 색역 중 빗금친 부분을 포함하지 못하게 된다. 즉, 확장된 색역이 기존의 CMY 색역 전부를 포함하지 못하게 된다.
확장된 색역이 기존의 CMY 색역 전부를 포함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색역확장의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다. 따라서, S215단계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절차에 해당한다.
만약, S215단계에서 확장된 색역에 기존의 CMY 색역 전부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색역확장부(110)는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조정한다(S221). 도 5c를 참조하여 볼 때, 구체적으로 S221단계는,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L4에서 L3으로 변경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후, S215단계부터 재수행한다.
한편, S215단계에서 확장된 색역에 기존의 CMY 색역 전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색역확장부(110)는 확장된 색역을 C 색료, M 색료, Y 색료, 및 K 색료로 구성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17).
이때, K 색료의 비율은 해당명도(L)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Figure 112005005355131-pat00003
위 '수학식 1'에 대한 그래프를 도 6a에 도시하였다. 도 6a에서 f1은 위 '수학식 1'에서 n=1인 경우의 그래프이고, f2는 위 '수학식 1'에서 n=3인 경우의 그래프에 해당한다.
위 '수학식 1'에서 제1 기준명도(L1)와 제2 기준명도(L2)에 대한 제한은 없 다. 도 6b에는 적절한 기준명도들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6b에서 'Lmax'는 최대명도점이고, 'Lmin'은 최소명도점이고, 'Lcusp'는 최대채도점이다. 그리고, 'α'는 Lmin와 Lcusp의 중간점이고, 'β'는 Lmax와 Lcusp의 중간점이다.
언급된 기준명도들 중 'α'를 제1 기준명도(L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언급된 기준명도들 중 'Lmax', 'β', 'Lcusp' 중 어느 하나를 제2 기준명도(l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17단계에서 확장된 색역을 C 색료, M 색료, Y 색료, 및 K 색료로 구성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색역확장부(110)는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조정한다(S221). 이후, S215단계부터 재수행한다.
한편, S217단계에서 확장된 색역을 C 색료, M 색료, Y 색료, 및 K 색료로 구성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색역확장부(110)는 확장된 색역을 CMYK 색역으로 결정한다(S219).
상기한 절차들에 의해, 색역확장부(110)는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인 CMYK 색역을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S230단계부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210단계 이후, 컬러매핑부(120)는 S210단계에서 생성된 CMYK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한다(S230). 구체적으로, 컬러매핑부(120)는 CMYK 색역 범위내에서 입력색에 대한 RGB 데이터를 CIE L*a*b*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는, 입력색에 대한 RGB 데이터를 CMYK 색역 범위내의 색공간에 위치시킬 경우에 해당하는 CIE L*a*b* 데이터를 구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다음, 색데이터 변환부(130)는 S230단계에서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CIE L*a*b* 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한다(S250).
이후, K 대체부(140)는 색데이터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한다(S270). 그리고, K 대체부(140)가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를 변환함에 있어서, S210단계에서 생성된 CMYK 색역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K 대체부(140)에서는 CMYK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인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한 한 후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명도 색들과 고채도 색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재현되고, 결과적으로 이미지 인쇄결과가 보다 자연스러워지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a) C(Cyan) 색료, M(Magenta) 색료, 및 Y(Yellow) 색료로 구성되는 CMY 색역과 K(Black) 색료를 이용하여, 상기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을 갖는 CMYK 색역을 생성하는 단계;
    b) 생성된 상기 CMYK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하는 단계;
    c) 상기 컬러매핑된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으로서,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는 단계;
    a2)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 색료, 상기 M 색료, 상기 Y 색료, 및 상기 K 색료로 구성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3) 상기 판단단계에서 구성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MYK 색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는,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상기 CMY 색역의 채도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K 색료의 비율은 해당명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K 색료의 비율은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방법:
    Figure 112005005355131-pat00004
    여기서, L은 상기 해당명도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상기 CMY 데이터를 상기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방법.
  7. C(Cyan) 색료, M(Magenta) 색료, 및 Y(Yellow) 색료로 구성되는 CMY 색역과 K(Black) 색료를 이용하여, 상기 CMY 색역보다 확장된 색역을 갖는 CMYK 색역을 생성하는 색역확장부;
    상기 색역확장부에서 생성된 상기 CMYK 색역를 이용하여, 입력색을 컬러매핑하는 컬러매핑부;
    상기 컬러매핑부에서 컬러매핑된 상기 입력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CMY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색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색데이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CMY 데이터를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K 대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으로서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고,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 색료, 상기 M 색료, 상기 Y 색료, 및 상기 K 색료로 구성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상기 CMYK 색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CMY 색역 상의 최저명도점에 대한 명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상기 CMY 색역의 채도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확장된 색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K 색료의 비율을 해당명도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색역확장부는,
    상기 K 색료의 비율을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Figure 112005005355131-pat00005
    여기서, L은 상기 해당명도임.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K 대체부는,
    상기 색역확장부에서 생성된 CMYK 색역을 이용하여, 상기 CMY 데이터를 상기 CMYK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데이터 변환장치.
KR1020050008039A 2005-01-28 2005-01-28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KR10070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039A KR100707262B1 (ko) 2005-01-28 2005-01-28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US11/328,142 US7852535B2 (en) 2005-01-28 2006-01-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color data using color gamut exten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039A KR100707262B1 (ko) 2005-01-28 2005-01-28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157A KR20060087157A (ko) 2006-08-02
KR100707262B1 true KR100707262B1 (ko) 2007-04-17

Family

ID=3675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039A KR100707262B1 (ko) 2005-01-28 2005-01-28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52535B2 (ko)
KR (1) KR100707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6742B2 (en) * 2005-02-16 2009-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data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gamut boundary descriptors
US8422103B2 (en) * 2008-12-23 2013-04-16 Ricoh Production Print Solutions LLC Optimization of gray component replacement
JP5140206B2 (ja) * 2010-10-12 2013-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色信号処理装置
GB2551768A (en) * 2016-06-30 2018-01-03 Gen Electri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respiratory ra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706A (ja) * 1994-04-19 1995-10-31 Nec Corp 色変換方法、色変換装置および色変換テーブル作成装置
JPH10117294A (ja) 1996-08-22 1998-05-06 Fuji Photo Film Co Ltd 色変換方法
JPH11275374A (ja) 1998-03-19 1999-10-08 Sharp Corp カラー画像処理方法及び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2000333027A (ja) 1999-05-18 2000-11-30 Sony Corp 印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KR20010054991A (ko) * 1999-12-09 2001-07-02 윤종용 칼라 프린터의 칼라 재현 특성을 고려한 흑색 생성과 칼라중간조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2171421A (ja) 2000-11-30 2002-06-14 Canon Inc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199A (en) * 1994-05-03 1996-09-0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four color printer
US6281984B1 (en) * 1997-03-25 2001-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verting an externally defined four dimensional colorant (CMYK) into an equivalent four dimensional colorant defined in terms of the four inks (C′M′Y′K′) that are associated with a given printer
US6362808B1 (en) * 1997-07-03 2002-03-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rangement for mapping colors between imaging systems and method therefor
DE60041622D1 (de) * 1999-11-11 2009-04-09 Panasonic Corp Farbtonübereinstimm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US6867883B1 (en) * 2000-01-21 2005-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a color gamut
US6961461B2 (en) * 2000-05-17 2005-11-01 Tidal Phot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encoding and displaying of object color for digital imaging
US6778300B1 (en) * 2000-05-18 2004-08-17 Canon Kabushiki Kaisha Black generation for color management system
US6386670B1 (en) * 2001-01-30 2002-05-14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ing black and three colors from three color data
US7136523B2 (en) * 2001-10-04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correction tabl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040223173A1 (en) * 2002-10-17 2004-11-11 Seiko Epson Corporation Generating method for color conversion table,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orrespondence definition data
US6776473B2 (en) * 2002-12-16 2004-08-17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ixing multi-level black and color inks in a printing system
US7411696B2 (en) * 2003-01-15 2008-08-12 Xerox Corporation Smooth gray component replacement strategy that utilizes the full device gamut
KR100601867B1 (ko) * 2004-06-11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벡터 스트레칭을 이용한 색역 매핑 장치 및 방법
US7295703B2 (en) * 2004-06-18 2007-11-13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scanner characterization for color measurement of printed media having four or more colorants
US20060072130A1 (en) * 2004-09-28 2006-04-06 Agfa Monotyp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gamut mapping templates to derive actual color gamut mapp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8706A (ja) * 1994-04-19 1995-10-31 Nec Corp 色変換方法、色変換装置および色変換テーブル作成装置
JPH10117294A (ja) 1996-08-22 1998-05-06 Fuji Photo Film Co Ltd 色変換方法
JPH11275374A (ja) 1998-03-19 1999-10-08 Sharp Corp カラー画像処理方法及び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2000333027A (ja) 1999-05-18 2000-11-30 Sony Corp 印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KR20010054991A (ko) * 1999-12-09 2001-07-02 윤종용 칼라 프린터의 칼라 재현 특성을 고려한 흑색 생성과 칼라중간조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2171421A (ja) 2000-11-30 2002-06-14 Canon Inc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157A (ko) 2006-08-02
US20060170941A1 (en) 2006-08-03
US7852535B2 (en)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148B1 (en) Contrast enhancement of an image using luminance and RGB statistical metrics
EP192407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Capable of Revising Gray Image Obtained from a Color Image
US82433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8103987A (ja) 画像処理装置
US804056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encoding medium encoded with a computer program
JP2000165907A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記録方法
KR100707262B1 (ko) 색역확장을 이용한 색데이터 변환장치 및 방법
JP2013118453A (ja) 色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1222575A (zh) 基于图像属性将图像分类的方法、介质和系统
JPH07212583A (ja) カラー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898241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revents an occurrence of contouring,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n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H07152904A (ja) 画像処理装置
JP5759281B2 (ja) 画像処理装置
JP4179048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903334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6094524A (ja) ルミナスチャンネル内の高周波数に対し高感度である人間のコントラスト機能を使用する画像依存型黒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158688A (ja) 画像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80046080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060558A (ja) 色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画像処理方法
JP4267386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01352456A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26600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1146210A (ja) 画像処理装置
JP201617840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4701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