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6630B1 -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 Google Patents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630B1
KR100706630B1 KR1020040114462A KR20040114462A KR100706630B1 KR 100706630 B1 KR100706630 B1 KR 100706630B1 KR 1020040114462 A KR1020040114462 A KR 1020040114462A KR 20040114462 A KR20040114462 A KR 20040114462A KR 100706630 B1 KR100706630 B1 KR 10070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noise
injection molding
noise
low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643A (ko
Inventor
정한석
송석균
Original Assignee
정한석
송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석, 송석균 filed Critical 정한석
Priority to KR102004011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6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6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원은 각종 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구조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물 구조에 있어서, 1차적으로 폴리프로필렌수지와 무기물필러류의 배합조성물(1)을 이용하여 층간 소음방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일정 규격과 모양으로 상, 하판 사출성형물을 얻고, 2차적으로 폴리우레탄수지와 다공성 물질을 혼합 및 발포시켜 폴리우레탄발포폼 얻되 상기 하판에 내삽 될 수 있는 크기로 얻으며, 상기 1차에서 얻은 상, 하판 사출성형물 사이에 2차에서 얻은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켜 건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층간소음 방지제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원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배합조성물(1) 또는 발포폼에는 유기 또는 무기 난연제를 조성물 중량의 5~10w%로 추가하여 난연성을 갖는 층간 소음 저감구조를 제공하는 층간 소음저감 구조물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건축물 층간소음 저감제, 폴리프로필렌수지, 사출성형물, 폴리우레탄 발포폼

Description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도 1 : 본원의 단위 방음재 구조의 사시도.
도 2 : 도 1 단위 방음재 구조의 분해 정면도.
도 3 : 도 1 단위 방음재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 : 본원의 폴리우레탄계 발포폼 사시도.
도 5 : 본원의 단위 방음재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 :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 : 본원의 단위 방음재가 현장에 시공되는 일 실시예.
도 8 : 도 6에서 나타내는 단위 방음재의 현장시공 실시예.
도 9 : 본원의 단위 방음재의 상부판과 하부판을 이루는 폴리프르필렌 수지 조성물의 분산도를 나타내는 확대 사진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단위 방음재 10 : 상판부
11 : 상판 굴곡부 12 : 상판 결합돌출부
13 : 상판 오목부 14 : 상판 볼록부
15 : 나사결합부 20 : 하판부
21 : 하판 바닥판 22 : 하판 측부
23 : 하판 결합돌출부 24 : 바닥 받침부
25 : 하판 바닥구멍부 26 : 하판 측벽오목부
27 : 하판 측벽볼록부 30 : 폴리우레탄 발포폼
31 : 발포폼 상부 32 : 발포폼 하부
33 : 발포폼 요철부 41 : 결합 돌출부
42 : 내삽 오목부 43 : 상판 돌기부
44 : 하판 측벽 오목부 45 : 하판 측벽 볼록부
본원은 각종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구조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재 구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 70~85w%, 무기물 필러류 15~30 w%의 배합조성물(1)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일정 규격과 모양으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되는 사출성형물을 얻고,
폴리우레탄수지 70~85w%, 다공성 카본 15~30 w%의 배합조성물(2)을 혼합 및 발포시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얻되 상기 하부판에 내삽될 수 있는 크기로 얻으며,
상기 상부, 하부판 사출성형물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켜 건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구조와 그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원의 층간소음 저감재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배합조성물(1) 또는 배합조성물(2)에는 유기 또는 무기 난연제를 배합조성물 중량의 5~10w%로 추가하여 난연성을 갖는 층간 소음 저감구조를 제공하는 층간 소음저감 구조물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즉 아파트, 빌라, 다세대 주택 등의 공동주택, 오피스텔 및 학교 등의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 및 고급화되면서 직하층의 거주자나 이용자에게 직상층에서 발생한 바닥 충격 및 기타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어 이에 따른 피해가 발생되고, 때로는 분쟁으로 비화되어 새로운 사회문제 및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오늘의 현실이다.
이는 공동주택이 대량으로 공급되기 시작 된 이후 현재까지 대부분의 건축물이 경제성과 대량 공급성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건설되고 있음은 주지하는바와 같으나, 콘크리트는 재료 특성상 동일한 두께의 다른 재료보다 공기를 매체로 전달되는 소음에 대해서는 저감성이 양호하지만, 콘크리트에 충격이 직접 가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음은 인접세대 및 하층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소음은 크게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경량충격음은 접시, 수저 떨어지는 소리, 의자당기는 소리, 플라스틱 샌달로 온돌마루를 걷는 소리 등 "딱딱", "쨍" 하는 고음으로서 탭핑머신을 충격원으로 사용하여 측정되는 충격음이며, 중량충격음은 아이들 뛰는 소리, 달리기, 보행, 농구공 낙하 등 "쿵" 하는 저음으로서 타이어를 충격원으로 사용하여 측정되는 충격음이다.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대단위 아파트가 건설되고 아파트 입주자 끼리 각 층간의 충격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끊임없이 제기되자 정부에서는 2004년 5월에 '표준 바닥 구조안'을 제시하면서 슬라브 두께를 180㎜로 규정하고, 층간 소음규제를 경량충격음(의자를 끌거나, 물건을 떨어뜨릴 때 나는 소음 등)을 58데시벨(dB) 이하로, 중량충격음(사람이 뛰거나 굴리는 소리)을 50데시벨 이하로 규정하면서, 경량 충격음은 바로 적용하고 중량충격음은 2005년 7월에 시행하는 법안을 제정하기 에 이르렀다.
이러한 '표준 바닥 구조안'을 적용할 경우 건설업체는 건축물을 축조 시 슬라브 두께를 180㎜로 하여 시공을 행하거나, 슬라브의 두께를 임의로 채택하되 경량소음 58dB이하, 중량소음 50dB 이하의 기준을 맞추어 시공을 행하여야 하므로, 결국 슬라브 두께를 두껍게 하자면 건축비가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소음감소 기준은 건설업자들에에 최 우선적으로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현안과제로 대두 되었다.
따라서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에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문제는 건설회사의 오랜 과제였고 그동안에도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유리면사로 형성되는 보드와, 보드내부로 탄성부재를 내장시키 는 층간소음 저감재가 개시되었으나 유리면사가 수분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갖고 이를 방수포장지나 비닐 등의 수분침투를 막는 방수부재(4)로 밀봉시켜야 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공정에 비해 그 효과가 크지 않고, 또한 최근 유리섬유나 암면은 발암물질을 함유하여 세계적으로 그 사용이 규제되고 있으며 시공환경이 나빠 사용을 기피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특유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타설공법을 사용하므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더욱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한편 다른 대용품으로 고무방진판과 스티로폴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스티로폴은 단열성은 우수하나 방음, 방진 성능이 나오지 않아 방진재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폐타이어 분쇄물을 타르타르산 수용액으로 된 경화촉진제와 우레탄계 바인더를 배합한 고무제 방음방진재가 개시되어 일부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국내공개특허 특2001-74153호에서는 복수의 폴리에틸렌 발포층과 폴리프로필렌 층으로 이루어진 주택 바닥 방음방진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가격이 고가임과 번거로운 공정에 비해 그 방음효과가 크지 않음에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상기의 '표준 바닥 구조안' 에서는 층간소음 방지제에 난연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기준은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웰-빙 시대를 구가하는 현대인들에게 건축물 자재를 난연성 재료로 갖추어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야 함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원 발명은 각종 건축구조 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물 구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 및 무기물 필러류로 배합조성물(1)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일정 규격과 모양으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되는 사출성형물을 얻고, 폴리우레탄수지 및 다공성물질로 배합조성물(2)를 만들고 이를 혼합 및 발포시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얻되 상기 하부판에 내삽 될 수 있는 크기로 얻으며, 상기 상부, 하부판 사출성형물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켜 건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구조와 그 층간소음 방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층간 소음 저감재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배합조성물(1) 또는 배합조성물(2)에는 유기 또는 무기 난연제를 조성물 중량의 5~10w%로 추가하여 난연성을 갖는 층간소음 방지구조를 제공하여 이를 건물의 직상층과 직하층 사이에 시공함으로서 경량충격음과 함께 중량충격음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단열효과 및 난연효과를 동시에 충족시키며 층간 소음규제 조건을 만족 시키는 층간 방음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층간 방음재들이 갖는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상기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충격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70~85w%, 무기물 필러류 15~30 w%의 배합조성물(1)을 이용하여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일정 규격과 모양으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되는 사출성형물을 얻고, 폴리우레탄수지 70~85w%, 다공성 카본 15~30 w%의 배합조성물(2)를 혼합 및 발포시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얻되 상기 하부판에 내삽 될 수 있는 크기로 얻으며, 상기 상부, 하부판 사출성형물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켜 건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층간소음 방지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배합조성물(1) 또는 배합조성물(2)에 유기 또는 무기 난연제를 조성물 중량의 5~10w%로 추가하여 흡음성과 단열성 및 난연성을 부여한 층간소음 방지재 구조 및 그 방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사출성형물 상부판은 표면으로 일정간격으로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형성하여 소음원의 진동거리를 최대화시켜 소음을 차단하도록 성형 되고, 하부로는 하부판과 조립되도록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로 제공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사출성형물 하부판은 사출물의 크기에 따라 5~30 ㎝ 간격으로 바닥 받침부를 갖고 받침부에는 구멍(홀)이 형성되어 탄성재 패킹 돌출부가 구멍(홀)을 지지하도록 하여 하부판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조를 갖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즉 본원은 내충격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일정형상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사출성형물을 일정규격과 형상으로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하여 얻고, 별도로 폴리우레탄수지에 다공성물질을 첨가시켜 발포시킨 발포폼 중간재를 얻은 후 이 발포폼 중간재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사출성형물 상판과 하판 사이에 내장시켜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을 감소시킨 층간 소음 방지재를 제공하는 기술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가공특성, 내약품성, 내후성, 고접동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사출성형품의 형태로 주로 자동차, 전기부품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범용 플라스틱의 일종이며 근래에는 난연성, 내열성, 고강성, 고충격성, 장기 내후성 등을 부여하도록 새로운 기능과 용도를 찾아 다양한 목적으로 시도 및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건자재용 및 산업 자재용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신디오택틱 호모폴리프로필렌, 아이소택틱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용융지수(ASTM D1238 : 230℃, 2.16kg 하중 조건하)가 0.1∼60g/10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수지는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에 흡음효과를 주기 위하여 무기 필러류로서 비중이 큰 납분말, 납화합물, 철분, 산화철슬러그, 바라이트(황산바륨) ,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건물의 화재 발생시 유해가스나 검은 연기 등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본원의 층간 소음 방지재에 필요한 경우 일정량의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음재의 유연성 그리고 난연성 및 저 발연성을 향상시키고자 할로겐계 유기 난연제 또는 적인, 3산화안티몬 등을 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할로겐계 유기 난연제로는 염소화파라핀, 데카브로모 디페닐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의 조성 외에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1차 및 2차 산화 방지제, 활제 및 슬립제 중 1종 이상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기질 혼합물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5.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자 등은 상기의 원료를 사용하여 최적의 방음효과를 얻으면서 현장시공이 용이한 층간 방음소재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원료배합과 실험을 통하여 연구해 오던 중 각종 건축 구조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물 구조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무기물 필러류를 적정량 배합시켜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해 에 이용될 수 있도록 일정 규격과 모양으로 상, 하판 사출성형물을 얻고, 폴리우레탄수지와 다공성 카본류를 혼합하여 발포시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얻되 상기 하판에 내삽 될 수 있는 크기로 얻으며, 상기 상, 하판 사출성형물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켜 건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룰 때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사출성형물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판은 표면으로 일정간격으로 굴곡부 또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소음원의 진동거리를 최대화시켜 소음을 차단하도록 성형 되고, 상판의 저부는 하판과 조립되도록 돌출부를 갖도록 상판이 사출성형되고, 폴리프로필렌수지 하판 사출성형물은 하판의 내부는 4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키는 구조이고 하판의 측벽부에는 상판과 조립되는 결합지지턱을 가지며 하판의 바닥부는 약 10~20 ㎝ 간격으로 바닥 받침부를 갖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원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사출성형물은 슬래브 바닥면 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탄성재 패킹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룰 때 방음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장시공도 용이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자 등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70 ~ 85w%, 무기물 필러 15 ~ 30 w% 사이에서 폴리프로필렌 사출성형물 속에서 무기물 입자가 도 9과 같이 골고루 분산되어 중량소음 전달을 방지하여 주며 또한 중량을 향상시켜 현장에 설치 시 휨성을 방지하여 주고, 또한 현장 적응력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 사출성형 하였다.
또한 폴리우레탄수지 70 ~ 85 w%, 다공성 필러 15~ 30 w%를 첨가 혼합하여 발포성형기에 넣고 발포시킨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본원이 목적으로 하는 방음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하 본원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실시한 일실시예를 기술하고 제시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1]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하기와 같이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가로×세로×높이=450×450×42㎜의 조립식 방음재 사출성형판을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나눠 사출성형 하고자 하였다.
본원의 상부판 및 하부판 사출성형물의 원료배합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 73중량부, 황산바륨 : 20중량부, 데카브롬 : 5중량부, 삼산화안티몬 : 2 중량부로 배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0)과 하판부(20)를 얻었으며, 상판부(10)는 표면으로 일정간격으로 상판 굴곡부(11)를 형성하도록 성형 되어 공기음의 진동거리를 최대화시켜 공기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부여하도록 하고, 상판부의 저면 바닥부로는 하판부(20)과 결합되는 상판 결합돌출부(12)를 갖는 구조로 상부 사출성형품을 얻고, 사출물 하판부(20)은 하판 바닥판(21)은 다수개의 구멍(25)을 갖고 상부쪽으로는 4각 형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폼(30)을 내장하는 구조를 이루고 하판부 측부(22)로는 상판부의 결합돌출부(12)와 결합되는 하판 결합돌출부(23)를 가지며 바닥판(21) 저면쪽으로는 약 10~25 ㎝ 간격으로 바닥 받침부(24)를 갖는 구조의 사출물을 얻었다.
상기 사출물의 바닥 받침부(24)는 시공위치에서의 슬라브 바닥부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사출물의 받침부와 슬라브 바닥부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패킹을 개재시켜 본원의 층간소음을 저감재 사출성형물이 슬라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원의 층간소음 저감재 사출성형물이 슬라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지지구조를 살펴보면 본원의 소음저감재 사출물은 시공예정 현장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설계되어 사출성형될 수 있으며 사출성형물의 크기에 따라 약 10~25 ㎝ 정도의 간격으로 하판부의 바닥 받침부(24)가 만들어 질 수 있으며, 그 바닥받침부에 구멍(홀)을 형성하여 탄성재 패킹의 돌출부가 구멍(홀)을 지지하도록 하고 탄성재 패킹의 바닥부는 건축슬라브 바닥에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어 서 되어 양쪽을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 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층간소음을 저감재 사출성형물 하판부의 바닥판(21)은 일정간격으로 구멍(25)을 형성하되 단순히 평판부에 일정거리로 구멍(홀)을 형성하는 단순구조로 하거나 또는 사출물 하판부의 바닥판에도 상판과 같은 형상으로 요철부를 형성하게 하거나 슬레이트 굴곡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층간 발생하는 소음의 진동거리를 최대화시켜 소음의 차단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사출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2]
폴리우레탄 수지로 층간 방음(고체음) 제거효과를 부여하기 폴리우레탄수지에 밀도를 증가시키고 흡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기와 같이 혼합한 조성을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방음재의 상판부(10)과 하판부(20) 사이에 내장되는 발포폼(30)을 얻었다.
발포폼의 조성은 폴리우레탄 수지 : 75중량부, 다공성물질로 활성탄카본 : 20중량부, 난연제로 TCPP(인산계,염소계혼합물) 5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포성형기를 이용하여 발포물(30)을 얻었다.
상기 발포폼(30)은 도4a 에서와 같이 상부면과 바닥면이 단순 평판일 수도 있으며, 또는 도4b, 도4c 에서와 같이 상부면 바닥면으로는 다수개의 완충돌기(embossing)부 또는 굴곡부를 형성하여 발포 폼이 갖는 자체의 탄력 완충성과 완충돌기에서 흡수하는 탄력 완충성을 이용하여 충격공명음(소음)이 슬라브를 통하여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제시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층간 방음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단위 방음재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 단위 방음재 구조의 분해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도 1 단위 방음재 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원의 단위 방음재 사출성형물은 상판부(10)와 하판부(20)로 나누어 사출성형되고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별도로 생산되는 발포폼(30)을 내장시키는 구조로 단위 방음재(100)를 구성하게 되는바, 상판부(10)는 표면으로 일정간격으로 굴곡부(11)를 형성하도록 성형 되어 공기음의 진동거리를 최대화시켜 공기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부여하도록 하고, 상판부의 저면 바닥부로는 하판부(20)과 결합되는 결합돌출부(12)를 갖는 구조이며, 상판부의 측부의 일측(예를 들면 우,하측)으로 부분적으로 상판오목부(13)를 갖고 측부의 일측(예를 들면 상,좌측)으로는 부분적으로 상판볼록부(14)를 형성하여 하판부(20)와 의 결합을 견고히 함과 동시에 현장설치시 단위 방음재(100)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이루고 나사결합부(15)을 통하여 하판부의 결합돌출부(23)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판부(20)는 바닥판(21) 상부쪽으로는 4각 형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폼(30)을 내장하는 구조를 이루고 하판부 측부(22)로는 상판부의 오목부(13) 및 볼록부(14)에 일치되어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하판부 자체의 측부(22)에 부분적으로 하판 측벽오목부(26) 및 하판 측벽볼록부(27)를 갖는 구조를 이루어 상판부와 결합되며 또한 현장설치시 단위 방음재간 연결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 조를 이루며 또한 상판부의 결합돌출부(12)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23)를 갖고 바닥판(21) 저면쪽으로는 약 10~25 ㎝ 간격으로 바닥 받침부(24)를 갖는 구조의 사출물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는 본원의 단위 방음재 상판부와 하판부에 채워질 수있는 폴리우레탄계 발포폼을 나타내고 있는바 도4a에서는 평판구조의 발포물을, 도4b에서는 돌기부의 발포물을, 도4c에서는 슬레이트 골 형상의 굴곡부를 갖는 발포물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원의 단위 방음재 구조에서 상판부(10)과 하판부(20)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발포폼을 내장시키는 구조로 단위 방음재를 구성하고 상판부와 하판부가 결합될 시 상판부의 저면 바닥부로는 하판부와 결합되는 결합돌출부(41)를 갖고 하판부의 측부에는 결합돌출부(41)의 돌기를 수용하는 내삽오목부(42)가 설치되어 상판부와 하판부를 경합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본원의 단위 방음재를 이루는 변형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상판부가 돌기부(43)을 갖고 발포폼이 내장되는 하판부의 바닥판에는 일정거리로 구멍(홀)을 형성하며, 하판부의 측벽부의 일측(예를 들면 우,하측)으로 일렬의 하판 측벽오목부(44)를 형성하고 측부의 일측(예를 들면 상,좌측)으로는 일렬의 하판 측벽볼록부(45)를 형성시켜 추후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또 다른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단위 방음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단위 방음재가 현장에서 시공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바닥면을 고른 후 하판부 측부(22)에 만들어진 하판 측벽오목부(26) 및 하판 측벽볼록부(27)의 구조에따라 조립식으로 배열을 하고 하판부 바닥면 상부로 발포폼을 내장시키고 상판을 결합시키는 구조로 단위 방음재를 현장에 시공하는 양태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도 6에서 나타내고 있는 본원의 단위 방음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시공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판부의 측벽부의 일측으로 일렬로 형성된 또 다른 형태의 하판 측벽오목부(44)와 측벽부의 일측으로는 일렬로 형성된 하판 측벽볼록부(45)를 조립식으로 배열을 하고 하판부 바닥면 상부로 발포폼을 내장시키고 돌기부를 갖는 상판을 결합시키는 구조로 단위 방음재를 현장에 시공하는 양태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원의 실시예 1에서 배합한 폴리프로필렌수지 : 73중량부, 황산바륨 : 20중량부, 데카브롬 : 5중량부, 삼산화안티몬 : 2 중량부로 배합한 조성물의 분산도를 촬영한 사진도 이다.
즉 본원의 기술사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물 상판부와 하판부를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얻되, 상판과 하판은 각각 일정규격(예를 들어 가로×세로×높이=450×450×40㎜)의 조립식 단위물품을 이루도록 하여 현장 시공 시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 슬라브 상에 본원의 조립식 층간방음재 하판을 먼저 배열시키고 하판 내부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킨 후 상부판을 조립시켜 시공하는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건축물의 층간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층간소음 규제조건을 충족 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저감재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시공밥 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원의 단위방음재의 난연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은 시트 시험편을 수평으로 유지해서 분젠 버너의 화염길이 15㎜의 끝부분이 시료편의 하단에 닿도록 하고 15초 후에 화염을 제거했을 때 연소하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발명자가 기대하는 난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원발명은 건물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는 층간소음 방지재에 관한 것으로 현장시공 전에 현장의 방음재 설치 구간을 파악하고 현장여건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물의 규격을 설계하여 상부판과 하부판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조립식 단위물품을 이루도록 제작하여 현장 시공 시 건축물 스라브의 층과 층 사이에 본원의 조립식 층간방음재 하판을 먼저 배열시키고 하판 내부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킨 후 상부판을 조립시켜 시공하는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건축물의 층간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층간소음 규제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원의 층간 소음 방지재를 각종 건물의 바닥층에 시공하게 되면 직상층에서 발생하여 직하층으로 전달되는 경량충격음 뿐 아니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단열효과가 우수할 뿐 만아니라 필요한 경우 난연성을 부가시켜 건물의 사후 관리에도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 층간 소음 저감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5)

  1. 각종 건축구조물의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 70~85w%, 무기물 필러류 15~30 w%의 배합조성물(1)을 이용하여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일정 규격과 모양으로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되는 사출성형물을 얻고,
    폴리우레탄수지 70~85w%, 다공성 카본 15~30 w%의 배합조성물(2)를 혼합 및 발포시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얻되 상기 하부판에 내삽 될 수 있는 크기로 얻으며,
    상기 상부, 하부판 사출성형물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켜 건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2. 삭제
  3. 각종 건축구조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물 구조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 70~85w%, 무기물 필러류 15~30 w%의 배합조성물을 이용하여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일정 규격과 모양으로 상부판과 하부판 사출성형물을 얻고,
    폴리우레탄수지 70~85w%, 다공성 카본 15~30 w%의 배합조성물을 혼합 및 발포시켜 폴리우레탄 발포폼 얻되 상기 하부판에 내삽 될 수 있는 크기로 얻으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출성형물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내장시켜 건물의 상, 하 층간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을 이용하는 층간소음 방지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 사출성형물 상부판은 표면으로 일정간격으로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형성하여 소음원의 진동거리를 최대화시켜 소음을 차단하도록 성형 되고, 하부로는 하부판과 조립되도록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을 이용하는 층간소음 방지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사출성형물 하부판은 사출물의 크기에 따라 5~30 ㎝ 간격으로 바닥 받침부를 갖고 받침부에는 구멍(홀)이 형성되어 탄성재 패킹 돌출부가 구멍(홀)을 지지하도록 하여 하부판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구조를 갖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물을 이용하는 층간소음 방지구조물.
KR1020040114462A 2004-12-28 2004-12-28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Expired - Fee Related KR10070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462A KR100706630B1 (ko) 2004-12-28 2004-12-28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462A KR100706630B1 (ko) 2004-12-28 2004-12-28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643A KR20060075643A (ko) 2006-07-04
KR100706630B1 true KR100706630B1 (ko) 2007-04-11

Family

ID=3716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4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6630B1 (ko) 2004-12-28 2004-12-28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096B1 (ko) * 2005-10-14 2006-12-20 (주)에이스테크시스템 다층바닥시스템
KR100708626B1 (ko) * 2006-02-14 2007-04-18 김재열 바닥 시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6943B1 (ko) * 2019-09-18 2020-02-13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656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한화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656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한화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65686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643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032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단용 건식 온돌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671455B1 (ko) 공동주택건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KR200420631Y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2393404B1 (ko) 실란 화합물의 가수 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pos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KR102537106B1 (ko) 개선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 시스템
KR100810502B1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0706630B1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재
KR100686211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KR101999686B1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KR102524748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1824431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20100033176A (ko) 방음벽용 흡음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KR101516891B1 (ko) 건축물용 바닥재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200328912Y1 (ko)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JP3013023B2 (ja) 遮音構成材
KR100700640B1 (ko) 소음 방지재
KR200376033Y1 (ko) 소음 방지재
KR102393405B1 (ko) 실란 화합물의 가수 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pos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102364956B1 (ko) 조립식 단열 패널
KR200431427Y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4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4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