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196B1 -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5196B1 KR100705196B1 KR1020040044518A KR20040044518A KR100705196B1 KR 100705196 B1 KR100705196 B1 KR 100705196B1 KR 1020040044518 A KR1020040044518 A KR 1020040044518A KR 20040044518 A KR20040044518 A KR 20040044518A KR 100705196 B1 KR100705196 B1 KR 100705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oor
- refrigerator
- pipe
- water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에 관한 것으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인입관을 통해 냉장고의 도어 하단으로 유입되고, 상기 인입관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 설치된 물탱크에 상승 유동되어 상기 물탱크에 물이 충진되며, 상기 물탱크에 충진된 물이 냉장고의 냉기에 의해 1차로 냉각됨과 더불어 상기 물탱크의 타단에 연결된 분배관을 통해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제빙기 및 냉수기의 방향으로 상승 유동되고, 상기 분배관으로 유동된 물이 상기 분배관의 상단에서 연장된 제1토수관을 통해 상기 제빙기로 낙수되어 얼음을 형성하고, 상기 분배관의 중앙부에서 분기된 제2토수관을 통해 유동된 물이 상기 도어의 외측 디스펜서로 연통된 냉수기를 통해 냉장고 외부로 토출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인입관과 분배관과 제1토수관 및 제2토수관의 구조가 단순 배열됨은 물론 전체 길이가 축소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부에 설치된 물탱크에서 1차로 냉각된 물이 제빙기 및 냉수기로 유동되어 사용됨에 따라 상기 물의 냉각 효율이 더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pipe of a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wherein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flows into a lower end of a door of a refrigerator through an inlet pipe,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rises in a water tank installed on an inner side of the door. Flowing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is primarily cooled by the cold air of the refrigerator and the ice maker and cold water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through a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ater tank A second flow which rises and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ir,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pipe falls into the ice maker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tribution pipe to form ice, and branche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ipe. As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cold water connected to the outer dispenser of the door, the inlet pipe and the distribution pipe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is not only arranged in a simple manner, but the overall length is reduced. It is to be improved further.
냉장고, 디스펜서Refrigerator, dispenser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요부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냉장고 11 - 도어10-refrigerator 11-door
12 - 냉동실 13 - 냉장실12-Freezer 13-Refrigerator
14 - 힌지 15 - 힌지축14-Hinge 15-Hinge Shaft
20 - 디스펜서 21 - 얼음토출기20-Dispenser 21-Ice Dispenser
22 - 냉수기 30 - 하우징22-chiller 30-housing
31 - 제빙기 40 - 물탱크31-Ice Maker 40-Water Tank
50 - 물공급관 51 - 인입관50-Water Supply Pipe 51-Inlet Pipe
52 - 분배관 53 - 제1토수관52-Distribution pipe 53-First water discharge pipe
54 - 제2토수관54-Second Water Je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냉장고의 냉동실 및/또는 냉장실 도어에 설치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pipe of a refrigerator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pipe of a refrigerator dispenser installed in a freezer compartment and / or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of a refrigerator in which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arranged in a left / right direction.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음식물을 저온에서 보관하도록 된 냉장실과, 음식물을 저온으로 얼려 보관하도록 된 냉동실이 함께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refrigerator compartment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and a freezer compartment for freez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and the refrigerator include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ranged up / down or left / right. It is universal to be formed.
또한, 상기 냉장고에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서 냉장 또는 냉동된 물 등의 음료를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냉장고의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하도록 상기 냉장고의 도어 바깥쪽면에 디스펜서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has a dispens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o easily discharge the beverage, such as water refrigerated or frozen in the refrigerator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without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re is a case.
또, 상기 디스펜서는 냉장고에서 냉각된 물 등의 음료를 상기 냉장고의 도어 외부에서 토출하도록 된 냉수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근래에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서 물 등을 얼린 얼음을 냉장고 도어의 외부에서 토출할 수 있도록 된 얼음토출기를 상기 냉수기와 함께 설치하는 것이 증가되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dispenser is generally configured with a cold water to discharge the beverage, such as water cooled in the refrigerator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in recent years to discharge ice frozen water or the like inside the refrigerator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install the ice discharger together with the cold water.
여기서, 상기 냉수기 및 얼음토출기가 함께 설치된 종래의 디스펜서는 외부급수원으로 부터 냉장고의 후면부를 통해 급수관이 연결되고, 이 급수관을 통해 유 입된 물이 상기 냉장고의 후면부 또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하부에 형성된 물탱크로 충진되고, 이 물탱크로 충진된 물이 상기 물탱크와 냉수기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상기 냉수기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물탱크와 제빙기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빙기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제빙기에서 얼음을 생성하도록 하고 이 생성된 얼음을 상기 얼음토출기로 이동시켜 상기 도어 외부의 디스펜서에서 물 및 얼음을 토출하도록 구성되었다.Here, the conventional dispenser equipped with the cold water and ice discharger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or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Filled with a water tank,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supplies the water to the cold water through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and supplies water to the ice maker through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nd the ice maker. It was configured to produce ice in an ice maker and to move the produced ice to the ice ejector to discharge water and ice from a dispenser outside the door.
이때, 상기 냉장고 후방의 물탱크와 상기 냉수기가 연결되는 급수관과, 상기 물탱크에서 제빙기로 연결되는 급수관은 각각 냉장고의 하부 및 상부로 배열되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급수관의 배열 설치가 까다롭게 됨은 물론, 상기 급수관의 냉장고 내부 배열로 인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용적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t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and the cold water machine,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ice maker in the water tank, were generally composed of separate parts arranged i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refrigerator. Installation of the array become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inside the refrigerator is reduced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tor in the water supply pipe.
또한, 종래에 상기 냉수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상기 냉수기에 직접연결하도록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 역시 냉장고의 후방으로 연결된 급수관이 상기 냉장고의 후방에서 분기되어 그 일측의 급수관이 상기 제빙기로 연결되고, 또 다른 측의 급수관이 상기 냉장고 도어의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냉장고 내부의 급수관 배열의 복잡성이나, 상기 급수관으로 인한 냉장고 내부의 용적 축소 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었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a case in which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ld water is conven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door so as to directly connect the cold water to the cold water. However,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is branched from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A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ice maker, and another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a water tank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door, and problems such as complexity of arrangement of the water supply pipe inside the refrigerator or reduction of the volume inside the refrigerator due to the water supply pipe Still remained.
따라서, 근래에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상기 제빙기 및 냉수기 모두로 급수를 이루는 물탱크가 구비된 디스펜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 물탱크와 제빙기 및 냉수기에 각각 연결되는 물공급관의 개발 이 진행 중이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a dispenser having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both the ice maker and the cold water cooler has been developed i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Development of supply lines is underwa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냉장고 도어에 물탱크와 제빙기 및 냉수기가 모두 설치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제빙기 및 냉수기 각각에 연결되는 물공급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water tank, the ice maker, and the cold water dispenser in the dispenser in which both the water tank, the ice maker, and the cold water machine ar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유입된 상온의 물을 물탱크에서 1차로 냉각시킨 후에 제빙기로 급수하여 상기 제빙기에서 물의 냉각을 위해 소요되는 열교환 에너지를 저감하도록 된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to reduce the heat exchange energy required for cooling the water in the ice maker by cooling the water at room temperature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in the water tank first and then to the ice maker In prov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탱크와 제빙기 및 냉수기에 연결되는 물공급관을 단순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연결길이를 축소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for a refrigerator dispenser, which can simplify arrangement of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tank, an ice maker, and a cold water machine, as well as reduce the connection length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와 제빙기와 냉수기 및 이와 연결되는 물공급관으로 구성된 디스펜서를 모두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하여 상기 냉장고 전체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디스펜서의 각 구성품과 냉장고의 구성품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된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ispenser consisting of a water tank, an ice maker, a cold water machine,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hereto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refrigerator, as well as to the components of the dispenser. It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components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탱크와 제빙기와 냉수기와 물공급관이 설치된 도어를 디스펜서가 포함된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도어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됨은 물론, 상기 도어의 교체만으로 기존 냉장고에 디스펜서 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the ice maker, the cold water and the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in the door can be configured as a separate part containing a dispens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door, as well as replacement of the door It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for a refrigerator dispenser, which allows the dispenser to be installed in an existing refriger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탱크와 제빙기 및 냉수기로 연결되는 물공급관에 대한 설치 및 수리 보수가 용이하도록 된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pipe of a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which facilitates installation and repair of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water tank, an ice maker, and a cold water mach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내측에 물탱크와 제빙기와 냉수기가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와 제빙기와 냉수기가 물공급관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ater tank and the ice maker and the cold water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ank, the ice maker and the cold water is connect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물공급관이 인입관과, 분배관과, 제1토수관과, 제2토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ipe comprises an inlet pipe, a distribution pipe,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and a second water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냉장고 냉기에 의해 냉각이 가능한 냉장고 도어의 안쪽면에 외부 급수원과 물공급관을 통해 연결된 물탱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till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tank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 refrigerator door capable of cooling by refrigerator cold ai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물탱크와 냉수기가 분배관 및 제2토수관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is connected through the distribution pipe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물탱크와 제빙기가 분배관 및 제1토수관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ank and the ice maker are connected through a distribution pipe and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인입관이 도어의 하단을 통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로 삽입된 인입관이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 설치된 물탱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pip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door, the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물탱크에서 상기 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제빙기의 위치에 이르도록 분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ribution pipe is connected to reach the position of the ice maker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in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분배관의 상부 선단에서 상기 제빙기의 중앙 상부에 이르도록 제1토수관이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tribution pipe to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ice mak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분배관의 중앙부 상기 냉수기의 설치위치에서 제2토수관이 분기되어 상기 냉수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is branched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ld water cooler in the center of the distribu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ool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인입관이 상기 도어의 하단에 설치된 힌지의 힌지축 중공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pip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oor through the hinge shaft hollow portion of the hinge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do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 설치된 제빙기와 물탱크를 덮어 막을 수 있는 하우징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is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ice maker and the water tank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인입관은 냉장고 도어의 하단을 통해 상기 도어의 내부로 배열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의 안쪽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pipe is arranged in the interior of the door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refrigerator door,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doo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물탱크에서 냉수기 및 제빙기로 연결되는 분배관과, 제1토수관 및 제2토수관은 상기 도어의 안쪽 하우징의 내부에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ribution pip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and ice maker in the water tank,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is arranged inside the inner housing of the door.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 냉동실(12)의 도어(11)에 설치된 디스펜 서(20)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20)가 설치된 냉동실(12) 도어(1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1 illustrates a dispenser 20 installed in a
본 발명은 냉동실(12) 도어(11)와, 디스펜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eezer compartment (12) door (11) and a dispenser (20).
상기 냉장고(10)는 본 실시예에서 냉동실(12)과 냉장실(13)이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냉장고(10)로 구성된다.The
상기 도어(11)는 상기 냉장고(10) 냉동실(12)의 개방면을 덮어 막아 상기 냉동실(12)과 외부를 차단하도록 판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12)의 일측단에 힌지(14)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 도어(11)는 상기 냉장고(10) 내부의 냉기와 외기가 열교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된 통상의 냉장고 도어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펜서(20)가 설치되는 도어(11)의 안쪽면은 상기 냉장고(10)의 냉동실(12) 및 냉장실(13) 방향으로 향한 상기 도어(11)의 일면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도어(11)의 바깥쪽면으로 표출된 얼음토출기(21)와 냉수기(22)를 통해 얼음 및 냉수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물탱크(40)와, 제빙기(31)와, 얼음토출기(21)와 냉수기(22) 및 물공급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enser 20 is formed to discharge ice and cold water through the
상기 물탱크(40)는 상기 냉동실(12) 도어(11)의 안쪽면에 내부가 중공된 2개의 원통이 상호 유통 가능하도록 결합된 형상을 이루고 체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40)는 상기 도어(11)의 폐쇄에 의해 냉동실(12)의 내부로 그 일부 가 삽입되도록 상기 도어(11)의 안쪽면에 그 일면이 고정되어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다.The
상기 제빙기(31)는 상기 물탱크(40)의 상부 상기 도어(11)의 안쪽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40)의 상부 상기 도어(11)의 안쪽면에 유입되는 물을 소정시간동안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냉동실(12)의 냉기를 받아 상기 저장된 물을 얼음으로 냉각시키고 이 냉각된 얼음을 상기 제빙기(31)의 하부에 설치된 얼음저장통으로 토출하도록 된 것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얼음토출기(21)는 상기 얼음저장통에 저장된 얼음이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11)의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얼음저장통에서 상기 도어(11)의 외측부에 이르도록 연통되며, 그 입구를 개/폐 제어하도록 된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냉수기(22)는 상기 물탱크(40)에서 냉각된 냉수가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11)의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물탱크(40)에서 도어(11)의 외측에 이르도록 연결된 물공급관과 이 물공급관의 입구를 개/폐 제어하도록 된 노즐 등의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물공급관(50)은 인입관(51)과, 분배관(52)과, 제1토수관(53)과, 제2토수관(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인입관(51)은 그 일단이 상기 냉장고(10)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냉동실(12) 도어(11)의 하단을 통해 도어(11)의 내부로 삽입되는 통상의 물유동관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인입관(51)은 상기 냉동실(12) 도어(11) 의 하부 힌지(14)를 통해 상기 도어(1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도어(11)의 내부로 삽입된 인입관(51)이 상기 도어(11)의 안쪽면에 설치된 물탱크(40)의 일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된다.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인입관(51)은 상기 냉장고(10)의 하단 일측에 체결된 힌지(14)의 힌지축(15) 중앙부에 축방향으로 관통 개구된 중공부로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15)이 삽입된 도어(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인입관(51)은 상기 외부 급수원에서 상기 도어(11)의 하단 힌지(14)를 통해 직접 유입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냉장고(10)의 후면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냉동실(12)의 하부를 통해 배열되면서 상기 냉동실(12)의 전면에 이르러 상기 냉동실(12)과 도어(11)의 하단에 연결된 힌지(14)를 통해 상기 도어(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또, 상기 도어(11)의 내부로 삽입된 인입관은 상기 도어(11)의 내부에서 상기 물탱크(40)의 방향으로 뻗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물탱크(40)가 설치된 도어(11)의 안쪽면으로 관통 돌출되면서 상기 물탱크(40)의 일단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상기 분배관(52)은 상기 인입관(51)이 그 일면에 연통된 물탱크(40)의 타면에서 상기 인입관(51)의 형상과 유사한 관형상을 이루고 상기 도어(11)의 내부로 재차 삽입되면서 상기 제빙기(31) 및 냉수기(22)가 설치된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기(31) 및 냉수기(22)는 상기 물탱크(40)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분배관(52)은 상기 물탱크(40)의 타면에서 상기 도어(11)의 상방향으로 굴곡되면서 뻗어 형성된다.
The
상기 제1토수관(53)은 상기 분배관(52)의 선단이 상기 제빙기(31)의 상단부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빙기(31)의 상단에 이르도록 연장된 분배관(52)의 선단에서 상기 제빙기(31)의 상부 중앙에 이르도록 상기 인입관(51)과 유사한 형상의 관형상을 이루는 제1토수관(53)이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irst
상기 제2토수관(54)은 상기 냉수기(22)가 설치된 물탱크(40)와 제빙기(31)의 중앙지점에 위치된 분배관(52)에서 상기 냉수기(22)의 방향으로 상기 인입관(51)의 형상과 유사한 관형상을 이루는 관이 분기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또, 상기 물탱크(40)와 제빙기(31)와 분배관(52)과 제1토수관(53)과 제2토수관(54)은 상기 냉동실(12)의 도어(11) 안쪽면 및 내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각 부재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3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제빙기(31)와 물탱크(40) 등의 디스펜서(20) 구성품을 모두 덮어 막아 도어(11) 내측의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그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Here, the
또, 상기 인입관(51)은 상기 도어(11)의 내부에서 배열되지만, 상기 분배관(52)과, 제1토수관(53) 및 제2토수관(54)은 상기 도어(11)의 안쪽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상기 물탱크(40)와 제빙기(31) 및 냉수기(22)에 각각 연결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물공급관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refrigerato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냉장고(10)의 작동 및 외부 급수원의 급수에 따라, 상기 급수원의 물이 인입 관(51)을 통해 상기 냉장고(10)의 냉장실(12) 도어(11) 하단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인입관(51)을 통해 도어(11)의 하측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인입관(51)의 형상을 따라 상기 도어(11)의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인입관(51)이 냉동실(12) 도어(11)의 안쪽면에 설치된 물탱크(40)에 이르러 상기 도어(11)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탱크(40)에 연결되므로, 상기 물이 상기 물탱크(40)의 내부로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40)의 내부로 충진된 물은 상기 물탱크(40)가 상기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냉동실(12)의 내측부에 위치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냉동실(12)의 냉기와 열교환을 이루면서 상기 물탱크(40)의 내부에서 소정온도로 냉각된다.Water introduc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물탱크(40)의 내부에서 냉각된 물이 상기 인입관(51)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급수원의 수압 등에 의해 상기 물탱크(40)의 상부로 유동되고, 상기 물탱크(40)의 상부로 유동된 물이 상기 물탱크(40)의 타측 상부에 연결된 분배관(52)으로 유동된다.The water cooled in the
상기 분배관(52)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분배관(52)의 형상을 따라 상기 도어(11)의 안쪽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도어(11)의 상부로 유동된 물은 상기 분배관(52)의 선단에 연통된 제1토수관(53)으로 유동된다.The water flowing into the
상기 제1토수관(53)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제1토수관(53)의 출구를 통해 상기 제1토수관(53)의 출구가 위치된 제빙기(31)의 중앙부로 낙수된다. 상기 제1토수관(53)의 출구를 통해 낙수된 물은 상기 제빙기(31)의 물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냉동실(12)의 냉기를 받아 얼음으로 냉각된다.Water flowing into the first
이때, 상기 제1토수관(53)을 통해 제빙기(31)로 낙수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40)의 내부에서 1차로 냉각된 상태의 냉수로써 상기 얼음으로 냉각되는 효율이 증대된다.At this time, the water flowing down to the
따라서, 상기 제빙기(31)에서 냉각된 얼음은 상기 제빙기(31)의 제어작동 또는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상기 제빙기(31)의 하부에 설치된 얼음저장통으로 낙하되고, 상기 얼음저장통으로 낙하된 얼음은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11)의 외측에 설치된 얼음토출기(21)를 통해 토출되어 사용된다.Therefore, the ice cooled in the
또, 상기 분배관(52)으로 유동된 물 중에서 일부는 상기 분배관(52)의 중앙부에서 냉수기(22)에 이르도록 분기된 제2토수관(54)으로 유동되고, 상기 제2토수관(54)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제2토수관(54)의 선단에 설치된 냉수기(22)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11)의 외측으로 토출되어 사용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이때, 상기 제2토수관(54)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물은 상기 물탱크(40)에서 소정온도로 냉각된 냉수로 토출되어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또, 상기 분배관(52)과, 제1토수관(53) 및 제2토수관(54)에 대한 수리 및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30)을 도어(11)의 안쪽면에서 떼어내고 상기 물탱크(40)와 제빙기(31) 및 냉수기(22)에 각각 연결됨과 더불어 도어(11) 안쪽면에서 외부로 표출된 분배관(52)과, 제1토수관(53) 및 제2토수관(54)에 대한 보수작업을 이루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repair and repair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 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may be various. Of course,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에 제빙기와 냉수기와 물탱크 및 물공급관으로 구성되는 디스펜서의 구성품이 모두 설치되어 상기 디스펜서가 도어를 단위로 하는 단일 조립체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됨은 물론, 저장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of the dispenser including the ice maker, the cold water machine,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pipe ar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so that the dispenser is composed of a single assembly in which the door is a unit. And as well as easy to assembl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manage.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품이 모두 도어에 설치되어 냉장고의 타 부품과 간섭되는 것이 최소화됨은 물론, 상기 냉장고의 내부공간을 사용하는 것이 폐지되어 상기 냉장고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mponents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installed on the door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of the refrigerator, and the us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is abolished, so tha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refrigerator is eliminated. It is effective to improve.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물탱크가 냉동실의 내부로 위치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을 냉각시키도록 됨에 따라, 냉수기로 공급되는 물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각장치가 폐지되는 효과가 있다.Yet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ater tank is positioned inside the freezing compartment to cool the water in the water tank, so that a separat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is abolished.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물탱크가 냉동실의 내부로 위치되어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1차로 냉각됨에 따라, 제빙기에서의 얼음 냉각을 위한 열교환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the water tank is position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s first coole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heat exchange energy for ice cooling in the ice maker.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물공급관을 이루는 분배관과 제1토수관 및 제2토 수관이 도어의 안쪽면에서 표출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각 물공급관의 보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istribution pipe constituting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is to be expr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each of the water supply pipe more easily. .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4518A KR100705196B1 (en) | 2004-06-16 | 2004-06-16 |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4518A KR100705196B1 (en) | 2004-06-16 | 2004-06-16 |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428A KR20050119428A (en) | 2005-12-21 |
KR100705196B1 true KR100705196B1 (en) | 2007-04-06 |
Family
ID=3729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45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5196B1 (en) | 2004-06-16 | 2004-06-16 |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519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0033A (en) | 2022-11-14 | 2024-05-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594B1 (en) * | 2005-12-22 | 2007-06-14 |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Flow regulator of refrigerator dispenser |
KR101327460B1 (en) * | 2006-08-11 | 2013-11-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573U (en) * | 1998-07-08 | 2000-02-07 | 윤종용 | Refrigerator water supply |
EP1139045A2 (en) | 2000-03-31 | 2001-10-04 | CANDY S.p.A.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cool water dispensing unit |
KR100432752B1 (en) | 2002-05-31 | 2004-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2004
- 2004-06-16 KR KR1020040044518A patent/KR10070519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2573U (en) * | 1998-07-08 | 2000-02-07 | 윤종용 | Refrigerator water supply |
EP1139045A2 (en) | 2000-03-31 | 2001-10-04 | CANDY S.p.A. | Refrigerator appliance with cool water dispensing unit |
KR100432752B1 (en) | 2002-05-31 | 2004-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0033A (en) | 2022-11-14 | 2024-05-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9428A (en) | 2005-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90474B2 (en) | Refrigerator | |
KR101519134B1 (en) | Refrigerator | |
KR100705196B1 (en) |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KR100764310B1 (en) | Dispenser water supply pipe for French door type refrigerator | |
KR20060056185A (en) |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KR20050117830A (en) |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refrigerator | |
CN100464144C (en) | Distributor water supply pipe for a refrigerator | |
KR20050119438A (en) | Water supply tub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having french door | |
KR100705197B1 (en) | Water supply pipe of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CN100498166C (en) | Water supplying pipe for refrigerator distributor | |
CN100464145C (en) | Water supply pip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KR20050119435A (en) | Water supply tub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KR100235440B1 (en) | Cold air supply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6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