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508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088B1
KR100705088B1 KR1020040118262A KR20040118262A KR100705088B1 KR 100705088 B1 KR100705088 B1 KR 100705088B1 KR 1020040118262 A KR1020040118262 A KR 1020040118262A KR 20040118262 A KR20040118262 A KR 20040118262A KR 100705088 B1 KR100705088 B1 KR 10070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efrigerator
reservoir
machine room
cold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999A (ko
Inventor
이윤석
임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0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0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보관되는 용량이 다른 다수의 저장고가 상호 조합가능하도록, 저장고에 일정한 규격을 갖는 커플러가 형성되고, 냉기가 생성되는 기계실을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의 주거환경에 맞는 냉장고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고, 노후된 저장고의 교체가 용이하며, 교체시 발생되는 비용부담이 적어 사용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냉장고, 저장고, 조합, 기계실, 커플러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저장고으로 연결되는 증발기의 배관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써, 간냉식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냉장고 110, 210, 310 : 기계실
112, 212, 312 : 압축기 114, 214, 314 : 응축기
116, 216, 316 : 팽창변 120, 220, 320 : 저장고A
124 : 증발기A 130, 230, 330 : 저장고B
140, 240, 340 : 저장고C 144 : 증발기C
150 : 분기도관 152 : 도관A
154 : 도관B 156 : 도관C
160, 360 : 커플러 311 : 격벽
313 : 송풍팬 315 : 송풍구
324 : 냉기유로 326 : 냉기 토출구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보관하는 각 저장고가 상호 분리/조립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하거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고 내부에 형성된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고에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저장고의 일측으로 여닫을 수 있는 도어가 형성된다.
이러한 냉장고는, 저장고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직냉식과 간냉식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직냉식 냉장고는, 냉장고의 후방에 압축기, 응축기, 팽창변이 설치된 기계실을 구비하여, 상기 기계실에서 저온으로 변화된 냉매가 저장고와 인접하게 설치된 증발기로 유입되어 상기 저장고에 보관되는 음식물에 차가운 기운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신선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고에 공급되는 냉기의 정도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 실로 구분되어 상기 기계실과 냉장실 및 냉동실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간냉식의 냉장고는, 직냉식 냉장고가 가지는 성에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기계실에서 발생된 냉기를 저장고와 연결된 덕트를 통하여 송풍함으로써, 저장고 내부의 대류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신속한 냉장/냉동이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간냉식 냉장고도 직냉식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기계실과 냉장실 및 냉동실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냉장고의 대형화로 인하여 사용자 주거환경에 부합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직냉식 냉장고와 간냉식 냉장고는 통상적으로 획일적인 크기와 형태를 갖고 사용자에게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거환경에 맞는 냉장고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하여 냉장고를 선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량이 많은 저장고를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확장시킬 수 없다.
또한, 빈번한 사용으로 노후된 저장고의 교체를 위해서는 냉장고 전체를 교체해야 했으며, 기능이 추가된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어도 선택의 여지없이 냉장고 전체를 교체해야 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비용부담에 사용자의 구매욕구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주거환경에 맞추어 냉장고의 저장고를 조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이 빈번한 저장고만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냉장고의 저장고 중 노후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경우, 노후된 저장고만을 새로히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저장고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며 도어가 설치된 다수의 저장고와, 상기 다수의 저장고가 상호 조합되도록 저장고의 외측에 형성된 커플러와, 상기 저장고와 연접되고 냉기를 생성시키는 기계실 및 상기 다수의 저장고 각각에 이너 케이스와 근접 설치되어 냉매를 유동시키는 증발기가 포함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며 도어가 설치된 다수의 저장고와, 상기 다수의 저장고가 상호 조합되도록 저장고의 외측에 형성된 커플러와, 상기 저장고와 연접되고 냉기를 생성시키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에서 발생된 냉기를 각각의 저장고으로 유동시키는 냉기유로가 포함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기술적 사상으로,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며 도어가 설치된 다수의 저장고와, 상기 다수의 저장고가 상호 조합되도록 저장고의 외측에 형성된 커플러 및 상기 각각의 저장고에 냉기를 생성시키도록 부설되는 열전소자가 포함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장고(100)는, 크게 압축기(112), 응축기(114), 팽창변(116)이 설치되는 기계실(110)과, 도어(122, 132, 142)가 설치되며 보관되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각각 다른 다수의 저장고(120, 130, 140)로 구성된다. 상기 기계실(110)과 각각의 저장고(120, 130, 140)는 조합을 통하여 그 크기와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블럭화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위치되는 저장고B(130)와 저장고C(140)의 조합에 상기 저장고B(130)와 저장고C(140)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의 저장고A(120)가 조합되며, 상기 저장고A(120)와 저장고B(130)의 너비에 준하는 기계실(110)이 서로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커플러(160)에 의해 조합되었다.
여기서, 상기 저장고A(120), 저장고B(130), 저장고C(140)의 조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용량이 다른 각각의 저장고의 조합과 이와 연계되는 기계실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고A(120)와 동일한 용량을 가진 저장고A'의 조합과 상기 저장고A(120)와 저장고A'의 너비에 준하는 기계실의 조합도 가능하며, 다른 예로서, 저장고B(130)와 저장고C(140)가 상하로 위치되고 기계실(110)이 조합된 후, 저장고A(120)의 빈자리에 다른 기능의 물품(예를 들어, 쌀통, 서랍장등)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기계실(110)에는 통상의 냉장고 기계실에 설치되는 직냉식 냉장 사이클이 수행되는 압축기(112), 응축기(114), 팽창변(116)이 설치되고, 상기 응축기(114)에서 발생된 열을 기계실(110)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팬(118)이 설치된다. 그 리고, 각 저장고(120, 130, 140)의 이너 케이스측에 설치된 증발기로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분기도관(1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110)과 연계되는 저장고(120, 130, 140)는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의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며, 음식물을 저장고에서 보관하거나 취식을 위해 꺼낼수 있도록 일측으로 도어(122, 132, 14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장고의 외측으로 일정한 규격을 갖으며 일정한 영역으로 커플러(150)가 형성된다.
상기 커플러(160)는 상기 각각의 저장고(120, 130, 14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저장고(120, 130, 140)의 외측, 즉 아웃 케이스에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커플러(160)가 형성되어 각각의 저장고들(120, 130, 140)이 상호 조합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커플러(1600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서 요철결합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고의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분기도관(150)과 연결되는 증발기가 매설되는데, 상기 저장고에 설치된 증발기는 각 저장고(120, 130, 140)의 크기와 형태에 비례하여 배선되고, 상기 기계실(110)의 분기도관(15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분기도관(150)에는 상기 기계실과 연접되는 저장고의 갯수만큼(또는 그 이상)의 도관(152, 154, 156)이 설치되어, 각 저장고에 매설된 증발기(124, 134, 144)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장고에서, 상기 저장고에 설치된 증발기와 기계실에 설치된 분기도관의 연결상태를 도 2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저장고으로 연결되는 증발기의 배관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계실(110)의 압축기(112)에서 응축기(114)로 유입되는 냉매는 팽창변(116)을 통과한 후 저장고A(120)에 매설된 증발기A(124)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저장고A(120)의 후방에 매설된 증발기A(124)는 기계실(110)에 설치된 분기도관(150)에서 분기되는 도관A(152)와 연결되고, 다시 압축기(112)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저장고B(130)에 매설된 증발기B(134)도 상기 분기도관(150)에서 분기되는 도관B(154)와 연결되어 압축기(112)로 유동되어 저장실의 내부와 열교환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저장고C(140)에 매설된 증발기C(144)도 상기 분기도관(150)에서 분기되는 도관C(156)와 연결된다. 상기한 저장고의 후방에 매설된 증발기들과 도관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저장고의 조합에 의해 저장고와 도관의 갯수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장고(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기계실(110)에 설치된 압축기(112)에서 저온저압의 냉매가 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114)로 유동되어, 대기와 열교환하여 냉매의 온도를 낮춘상태로 팽창변(116)으로 유입된다. 팽창변(116)으로 유입된 냉매는 감압되면서, 매우 차가운 상태로 분기도관(150)으로 이동하게된다.
그리고, 분기도관(15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각 저장고(120, 130, 140)의 증발기들(124, 134, 144)로 유입되면서, 각 저장고(120, 130, 140) 내부와 열교환하게 되어 저장고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되며, 저장고 내부와 열교환된 저온저압의 냉매는 압축기(112)측에 설치된 분기도관(150)으로 유입되고 압축기(112)에서 다시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114)로 유동시키는 순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대기와 열교환되는 응축기(114)로 인해 기계실(110)의 가열된 공기는 응측기(114)와 인접한 팬(118)의 구동에 의해 기계실(110) 외부로 배기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도관(150)에서 선택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저장고(120, 130, 140)에 매설된 증발기들(124, 134, 144)은 상기 팽창변(116)에서 감압된 냉매가 유입되어 저장고 내부로 차가운 기운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기도관(150)에는 각각의 저장고A(120), 저장고B(130), 저장고C(140)에 매설된 증발기A(124), 증발기B(134), 증발기C(144)와 연결되는 도관A(152), 도관B(154), 도관C(156)가 설치된다. 상기 분기도관(150)에 설치된 도관(152, 154, 156)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가로 조합되는 저장고의 증발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며, 때에 따라서는, 상호 조합된 저장고 중 사용치 않는 저정고의 증발기에 냉매가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사용자의 주거환경에 맞추어 저장고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냉장고는 직냉식 냉장 사이클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간냉식 냉장 사이클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써, 간냉식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다. 상기 간냉식 냉장고(200)는 직냉식 냉장고(100)와 마찮가지로, 단열을 위하여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고,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량이 각기 다른 다수의 저장고(220, 230, 240)가 구성되며, 상기 저장고에 도어(232, 24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장고(220, 230, 240)의 외측, 즉, 아웃 케이스에 일정한 크기 와 간격으로 커플러가 형성되어 각각의 저장고들(220, 230, 240)이 상호 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고에 냉기를 공급하게 되는 기계실(210)에는, 압축기(212), 응축기(214), 팽창변(216)이 설치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212), 응축기(214), 팽창변(216)이 설치된 기계실(210)에 일측에 격벽(211)에 형성되고, 증발기(250)가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210)의 구획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212), 응축기(214), 팽창변(216)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열이 증발기(250)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데, 상기 응축기(214)에 설치된 팬(318)이 가열된 공기를 기계실 외부로 배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50)가 설치된 구분된 기계실(210)에 송풍팬(213)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13)의 풍향에 부합되도록 송풍구(215)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250)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기운이 상기 송풍구(215)를 통해 각 저장고A(220), 저장고B(230), 저장고C(2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냉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로는 가요성을 갖는 덕트(224)로 구성되어, 상기 기계실(210)에 형성된 송풍구A(252), 송풍구B(254), 송풍구C(256)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저장고A(220), 저장고B(230), 저장고C(240)와 연결되어, 각 저장고에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저장고에 연결되는 가요성 덕트(224)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맞추어 저장고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과 각 저장고에 냉기를 유동시키는 냉기유로는 각 저장고의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각 저장고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도 5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다.
상기 수용용량이 각기 다른(또는 같은) 저장고(320, 330, 340)에 도어(332, 342)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고(320, 330, 340)의 아웃 케이스에는 각 저장고(320, 330, 340)를 조합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형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커플러(360)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고(320, 330, 340)는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냉기유로(3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유로(324)는 이너 케이스측으로 접하여 설치된 냉기의 차폐를 수행하는 냉기토출구(326)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저장고(320, 330, 340)의 냉기유로(324)에 냉기가 유입되도록 기계실(310)에 송풍구(315)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10)은 가요성 덕트가 설치된 냉장고(200)와 마찬가지로, 압축기(312), 응축기(314), 팽창변(316)이 설치되어 냉매가 유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312), 응축기(314), 팽창변(316)이 설치된 기계실(310)의 일측에 격벽(311)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312), 응축기(314), 팽창변(316)이 설치된 부분과 구분되어 열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증발기(3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350)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기운이 상기 송풍구(315)를 통해 각 저장고A(320), 저장고B(330), 저장고C(3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냉기유로(324)가 형성되는데, 상기 냉기유로(324)는 각 저장고(320, 330, 340)의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에 형성된 송풍구A(352), 송풍구B(354), 송풍구C(356)로 유입된 냉기가 저장고A(320), 저장고B(330), 저장고C(340) 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고B(330)와, 저장고C(340)가 상하로 연접하여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고B(330)의 냉기유로(324)가 저장고C(340)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고로부터 기계실에서 냉기의 공급이 수월치 않은 저장고로 냉기유로를 연장시켜 우회시키는 냉기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각 저장고(320, 330, 340)에 기계실(31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기유로(324)를 통해 각 저장고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간냉식 냉장고(300)는 기계실(310)이 저장고(320, 330)의 상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고(320)와 저장고(330, 34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310)은 상하로 조합된 저장고B(330), 저장고C(340)와 저장고A(320)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고A(320)를 대체하여 커플러(360)에 의하여 상하로 조합되는 저장고B'(미도시), 저장고C'(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310)에 형성된 송풍구(354, 356)를 통해 냉기가 저장고의 냉기유로(324)에 공급되고, 상기 냉기유로(324)에 냉기가 공급되면, 각 저장고(320, 330, 340)의 이너 케이스측에 형성된 냉기토출구(326)를 통해 저장실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계실의 송풍구와 저장실의 냉기유로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형태에 맞추어 형성되거나, 또는, 미리 형성된 경우에는 별도의 캡(미도시)이나, 냉기 토출구를 폐쇄하여 냉기를 차단시키면 충분하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직냉식 냉장고나, 간냉식 냉장고에 설치된 직냉식 냉장고의 저장고 증발기 배선 및 간냉식 냉장고의 저장고에 형성된 냉기유로를 대체하여 열 사이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 사이펀(THERMOSYPHON)은, 중력이 작용하는 곳에서 액체가 기체로 바뀌는 2상변화에 의하여 특정부위에서 발생되는 열을 작동유체가 흡수하여, 상기 작동유체가 기체로 바뀌면서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열을 신속히 이동시키는 역활을 하게 되므로, 상기 냉기와 열교환되는 증발기측에 열 사이펀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각 저장고의 이너케이스 측으로 연결시켜 각각의 저장고 내부에 냉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저장고는 상호 조합되고, 상기 저장고가 개별적으로 냉기를 생성시켜 음식물의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키실 수도 있는데, 상기 각각의 저장고에 열전소자를 설치하여 저장고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흔히 펠티어 소자(냉열 반도체)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2종의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상호 접합시켜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열전소자에 직류전류를 가하면 양 금속표면에서 흡열반응과 방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전류의 방향을 바꾸게 되면 흡열표면과 방열표면이 바뀌게 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열전소자에 일방향으로 전류를 가하게 되면 특정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방향을 바꾸어 직류전류를 가하게 되면 특정공간을 히팅시킬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각각의 저장고에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가 설치된 각 저장고는 상호 조합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저장고의 외측에 커플러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를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구현시킬 수 있어, 직냉식 냉장고나, 간냉식 냉장고의 기계실이 필요치 않게 되며, 사용자의 주거환경에 따라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노후된 저장고의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용량의 저장고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자의 주거환경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저장고를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냉장(냉동)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노후된 저장고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줄여 사용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가 내장되며 도어가 설치된 다수의 저장고;
    상기 다수의 저장고가 상호 조합되도록 저장고의 외측에 형성된 커플러;
    상호 조합되는 상기 다수의 저장고의 상측에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각각의 저장고로 유동시키고, 가요성을 갖는 덕트;가 포함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부에 증발기가 설치되도록 구획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발생된 냉기가 각 저장고에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송풍구가 포함되는 냉장고.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118262A 2004-12-31 2004-12-31 냉장고 Expired - Fee Related KR10070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262A KR100705088B1 (ko) 2004-12-31 2004-12-3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262A KR100705088B1 (ko) 2004-12-31 2004-12-3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999A KR20060078999A (ko) 2006-07-05
KR100705088B1 true KR100705088B1 (ko) 2007-04-06

Family

ID=3717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2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5088B1 (ko) 2004-12-31 2004-12-3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6938B (zh) * 2017-03-23 2021-03-0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411A (ja) * 1992-05-26 1993-12-07 Toshiba Corp 冷蔵庫
KR20040018105A (ko) * 2002-08-23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립식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411A (ja) * 1992-05-26 1993-12-07 Toshiba Corp 冷蔵庫
KR20040018105A (ko) * 2002-08-23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립식 냉장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322411
10200400181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999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806B1 (ko) 냉장고의 제빙시스템 및 제빙방법
CN101981391B (zh) 制冷模块和制冷系统
EP3023717B1 (en) Refrigerator
CN106705292B (zh) 组合有空调和冰箱的制冷器具及其控制方法
KR101869165B1 (ko) 냉장고
KR102310657B1 (ko) 냉장고
KR101858237B1 (ko)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및 냉장고용 열풍유닛
KR2010005944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79833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8096662A (ja) 冷蔵庫
KR10037761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KR102176725B1 (ko) 냉장고
KR100907338B1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JP2017146023A (ja) 冷蔵庫
JP2002257454A (ja) 電気冷蔵庫
KR100705088B1 (ko) 냉장고
KR20120069250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냉기제어방법
JP6714382B2 (ja) 冷蔵庫
JP6607745B2 (ja) 冷蔵庫
WO2010092625A1 (ja) 冷蔵庫
JP2018004121A (ja) 冷蔵庫
KR101872608B1 (ko) 냉장고
JP2007064596A (ja) 冷蔵庫
KR100404467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JP4701909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4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4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