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3856B1 -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856B1
KR100703856B1 KR1020050094952A KR20050094952A KR100703856B1 KR 100703856 B1 KR100703856 B1 KR 100703856B1 KR 1020050094952 A KR1020050094952 A KR 1020050094952A KR 20050094952 A KR20050094952 A KR 20050094952A KR 100703856 B1 KR100703856 B1 KR 100703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weight
curable
composition
acry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수동
김동수
정태윤
김상환
오정현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9429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038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856B1/ko
Priority to US12/088,573 priority patent/US7935392B2/en
Priority to JP2008535431A priority patent/JP2009511702A/ja
Priority to AT06715889T priority patent/ATE491761T1/de
Priority to PCT/KR2006/000437 priority patent/WO2007043727A1/en
Priority to EP06715889A priority patent/EP1951830B1/en
Priority to DE602006018989T priority patent/DE602006018989D1/de
Priority to CNA2006800377711A priority patent/CN101283062A/zh
Publication of KR10070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JP2012237078A priority patent/JP2013060598A/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6Crosslinking by 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유기용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저점도의 올리고머를 포함하여 유기용제 함량이 10 중량% 이하이므로, 스프레이, 딥, 플로우, 스핀 코팅법을 적용한 도장이 가능하면서도 도장시 발생하는 휘발성 물질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이며, 상온 건조가 가능하여 유기용제 및 온도에 의한 재질변형이 없을 뿐 아니라 작업성 및 물성이 우수하므로, 모바일 폰,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고급 제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용 코팅액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HIGH SOLID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저점도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광개시제 및 10 중량% 이하의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인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해 대기와 수질오염, 오존층 파괴 지구온난화 등 지구의 환경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과 규제가 높아지면서 도료 분야에서도 친환경적 제품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기오염 부분에 있어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의 사용을 최대한 감소시킨 친환경 도료 시스템이 요구되는데,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분말코팅 시스템 (powder coating system), 수성 코팅 시스템 (water born coating system), 자외선 경화형 코팅 시스템 (UV curable coating system), 하이솔리드 코팅 시스템 (high solid coating system)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코팅 시스템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시스템으로 인정되어왔다.
그러나, 기존 자외선 경화형 코팅 시스템의 경우, 초기에는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고안되었지만 현재에는 스프레이 코팅 (spray coating), 딥 코팅 (dip coating), 플로우 코팅 (flow coating), 스핀 코팅 (spin coating) 등의 도장 방법에 따라 다량의 유기용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이 대기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작업자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쳐 왔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성과 외관상 품질을 위하여 반드시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와 모바일 등의 플라스틱 코팅은 대부분 스프레이 도장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45∼60 중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장을 실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코팅 도료들은 도장을 위하여 다량의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대기 환경오염과 산업재해 유발, 플라스틱 재질의 변형, 다량의 유기용제 사용에 따른 건조라인 확보 등의 에너지 낭비 문제를 야기 시킴으로서, 현재에는 휘발성 유기용제의 농도를 줄인 친환경적 도료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저점도의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를 개발하여 10 중량% 이하의 유기용제를 포함하면서도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또는 스핀 코팅법으로 도장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물성 및 작업성도 우수한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또는 스핀 코팅법으로 도장이 가능하고 건조가 빠르며 친환경적이면서도 작업성 및 밀착성, 연필경도, 광택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습성, 내산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저점도의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20∼60 중량%,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20∼60 중량%, 유기용제 1∼10 중량% 및 광개시제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저점도의 다관능 올리고머 및 10 중량% 이하의 휘발성 유기용제를 포함하여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또는 스핀 코팅법으로 도장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이면서도 물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필수 구성 성분으로서 저점도의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유기용제 및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는 분자 내에 4∼9 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류를 포함하며, 상온에서의 점도가 4,000 내지 10,000 cps인 저점도의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점도 올리고머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4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저점도 다관능 올리고머의 양이 60 중량% 보다 높으면 경화 도막의 가교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도막이 부서지기 쉽고, 열이나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며, 20 중량% 미만일 때는 경도와 마모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올리고머의 점도 조절을 위한 반응성 희석제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라이/테트라아크릴레이트 (pentaerythritol tri/tetraacrylate; PETA),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헥사메틸렌 다이아크릴레이트 (hexamethylene diacrylate; HDD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ydroxyethyl acrylate; 2-HEA),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hydroxypropyl acrylate; 2-HPA),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isobonyl acrylate; IBOA) 등이 있으며,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5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단량체의 비율이 60 중량% 보다 높으면 경화속도가 느려지고 기계·화학적 물성이 저하되며, 20 중량% 미만이면 작업성과 레벨링 (levelling)이 저하되고, 희석력 미비로 인하여 상용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제는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methyl isobutyl ketone), 메틸 에틸 케톤 (methyl ethyl ketone), 다이메틸 케톤 (dimethyl ketone), 아이소프로필 알콜 (isopropyl alcohol), 아이소부틸 알콜 (isobutyl alcohol), 노르말 부틸 알콜 (normal butyl alcohol),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노르말 부틸 아세테이트 (normal butyl acetate), 에틸 셀루솔브 (ethyl cellusolve), 부틸 셀루솔브 (butyl cellusolve) 등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제의 비율이 10 중량%보다 높으면 휘발성 유기화합물 규제에 저촉되며, 1 중량% 미만이면 희석력 미비로 인하여 상용성이 나빠지고 실킹 (silking) 현상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하고 코팅액에 존재하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가교시키는 역할을 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1- hydroxy cyclohexyl phenyl ketone, Irgacure 184), 비스 (2,4,6-트라이메틸 벤조일) 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bis(2,4,6-trimethyl benzoyl) phenyl phosphine oxide, Irgacure 819), 2,4,6-트라이메틸 벤조일 다이페닐 포스핀 (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TPO),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 (2-hydroxy-2-methyl-1-phenyl-1- propane, Darocur 1173), 벤조페논 (benzophenone, BP) 등을 들 수 있고,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7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도막의 슬립 (slip) 및 광택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료용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통상의 레벨링제,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계의 레벨링제, 예를 들어 BYK-300, BYK-333, BYK-310 (BYK chemie사) 등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2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막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료용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어 XP-0396, XP-0596, XP-0746 (hanse chemie사) 등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2 중량%의 양으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먼저 저점도의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및 유기용제를 명시된 양으로 교반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광개시제 첨가시 레벨링제 및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다양한 기재,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폰,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플라스틱 기재에 대해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또는 스핀 코팅법,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코팅법으로 도장하여 물성이 우수한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형성되는 코팅막의 두께는 5∼5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코팅막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료 조성물을 상기 코팅법에 따라 기재에 도포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자외선으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레이 도장의 경우, 상온에서 1∼2분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저점도의 올리고머 함유로 인해 10 중량% 이하의 유기용제 사용만으로도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또는 스핀 코팅을 이용한 도장에 적합하고 친환경적이며 상온 건조가 가능하여 유기용제 및 온도에 의한 재질변형이 없으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또는 스핀 코팅법을 사용하는 도장이 가능하고 상온에서 건조가 빠르며 휘발성 유기성분 (VOC) 함량이 적어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밀착성, 연필경도, 광택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습성, 내산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폰,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고급 제품 코팅에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지는 않는다.
<자외선 경화용 도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상온에서의 점도가 6,000 cps (Brookfield DV-II)인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펜타/헥사아크릴레이트 혼합물 (N-4612, 일본 San Nopco사) 35 중량%,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14 중량%, 헥사메틸렌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7 중량%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7.5 중량%, 및 유기용제인 메틸아이소부틸 케톤 3 중량%, 아이소부틸 알콜 5 중량% 및 다이메틸 케톤 2 중량%를 투입한 후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광개시제인 Darocur 1173 (CIBA-GEIGY사) 6 중량% 및 레벨링제인 BYK-333 (BYK chemie사) 0.5 중량%를 첨가하고 20분 동안 교반하여 불휘발분 90%의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펜타/헥사아크릴레이트 30 중량%,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로서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대신 펜타에리스리톨 트라이/테트라아크릴레이트 14 중량%,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2.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휘발분 90%의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펜타/헥사아크릴레이트 30 중량%, 및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로서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대신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2.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휘발분 90%의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다이펜타 에리스리톨 펜타/헥사아크릴레이트 30 중량%,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로서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15 중량%,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6.5 중량%, 및 유기용제로서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3중량% 및 아이소부틸 알콜 2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휘발분 95%의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의 보편적인 조성에 의거하여,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로서 60℃에서의 점도가 2,000 cps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BECRYL 1290, 벨기에 UCB사) 15 중량% 및 60℃에서의 점도가 2,000 내지 4,000 cps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BECRYL 9260) 11 중량%,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인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6 중량% 및 헥사메틸렌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7 중량%, 및 유기용제인 톨루엔 30 중량%,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15 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5 중량% 및 에틸 세루솔브 5 중량%를 투입한 후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여기에 광개시제인 Darocur 1173 5 중량% 및 레벨링제 1 중량%를 첨가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여 불휘발분 45%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제조하였다.
<코팅막의 제조>
실시예 5 내지 8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각각 제조된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UVP 하도 (자외선 경화형 상도를 위한 하도 도료)가 도장된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재질 위에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코팅한 후, 미량의 유기용제를 제 거하기 위하여 상온 (25℃)에서 1∼2분간 건조시킨 다음, 퓨전 램프 (Fusion Lamp, Fusion System사)를 이용하여 라인 스피드 (line speed) 10 m/min, 광량 300 mJ/cm2의 경화조건에서 2회 자외선 경화하여 15∼20 ㎛의 코팅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사용하고, 다량의 유기용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60℃에서 1∼2분 동안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 및 경화하여 15∼20 ㎛의 코팅막을 제조하였다.
<물성 평가>
시험예
상기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2에서 수득한 코팅막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상기 물성의 측정방법 및 평가기준은 각각 다음과 같다:
(1) 밀착성 : ASTM D3359-87에 의한 평가
경화된 투명 코팅도막에 1㎜ 간격으로 재질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가로, 세로 각각에 11개의 줄을 칼로 긋고 1 m×1 m의 칸을 100개 만들어 그 위에 접착력이 우수한 셀로판테이프를 붙이고 급격하게 180°의 각도에 가깝도록 떼어낸다. 이를 동일 위치에 3회 반복하며, 이때 밀착성의 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5B: 잘린 모서리 부분의 코팅막 떨어짐이 없고, 격자 내의 코팅막 박리가 없음.
4B: 모서리 부분의 떨어짐이 약하게 관찰되고 전체의 5% 이내에서 박리가 일어남.
3B: 모서리 부분의 박리와 부스러짐이 관찰되고 15% 이내에서 박리됨.
2B: 격자 내에서도 박리와 부스러짐이 보이며 35% 이내에서 박리됨.
1B: 큰 리본 형태의 박리가 나타나며 35%∼65% 박리됨.
0B: 65% 이상의 면적에서 박리되고 밀착 불량임.
(2) 연필경도 : ASTM D3363-74에 의한 평가
코팅된 시편의 평면에 45° 각도로 연필을 대고 1 ㎏ 하중으로 밀어 5회 측정시 긁힌 무늬 또는 도막의 파쇄가 2회 이상 일어나지 않는 경우 그 연필의 경도 수치를 표면 경도 수치로 한다.
(3) 광택
코팅 도막의 광택도를 입사각과 수광각이 각각 60°일 때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기준면의 광택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의 백분율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BYK-GARDNER 광택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4) 내마모성
코팅 도막 표면에 500 g의 하중을 받는 산업용 지우개로 40회/min의 속도로 마찰시켜 소재의 노출 시점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5) 내약품성
코팅 도막 표면에 500 g의 하중을 받는 산업용 지우개에 메틸 알콜 (99.3%)을 충분히 적시면서 40회/min의 속도로 마찰시켜, 소재의 노출 시점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6) 내습성
온도 50℃, 습도 95%의 항온항습 조건 하에서 코팅된 시편을 72 시간 방치한 후 외관 변형 및 밀착성을 시험한다.
(7) 내산성
pH 4.6인 표준용액에 코팅된 시편을 72 시간 침적한 후 외관 변형 및 밀착성을 시험한다.
(8) 자외선시험 ( QUV )
코팅된 시편을 자외선 시험기 (QUV, 미국 Q-Pannel사)에서 72 시간 폭로 후 외관 변형 및 밀착성을 시험한다.
상술된 물리적 특성 평가 기준에 따라 측정한 코팅막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57146518-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유기용제의 함유량이 높은 고점도의 올리고머 사용 조성물에 비해 자외선 경화시 변형이 적으면서도 연필경도,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산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코팅막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저점도의 올리고머를 포함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 환경기준에 적합한 양의 유기용제를 사 용하여도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또는 스핀 코팅시, 코팅 작업성이 우수하고 상온 건조 조건을 갖는 친환경 도료일 뿐 아니라, 자외선 경화 후에도 밀착성, 연필경도, 광택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습성, 내산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코팅막을 제공하므로, 모바일 폰,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고급 제품에 매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상온에서의 점도가 4,000 내지 10,000 cps 범위인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20∼60 중량%,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20∼60 중량%, 유기용제 1∼10 중량% 및 광개시제 1∼10 중량%를 포함하는,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용 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는 분자 내에 평균 4∼9 관능기를 가진 반응성 아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는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와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라이/테트라아크릴레이트 (pentaerythritol tri/tetraacrylate; PETA), 트라이메틸올프로판 트라이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헥사메틸렌 다이아크릴레이트 (hexamethylene diacrylate; HDD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hydroxyethyl acrylate; 2-HEA),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hydroxypropyl acrylate; 2-HPA),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isobonyl acrylate; IBO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용제는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methyl isobutyl ketone), 메틸 에틸 케톤 (methyl ethyl ketone), 다이메틸 케톤 (dimethyl ketone), 아이소프로필 알콜 (isopropyl alcohol), 아이소부틸 알콜 (isobutyl alcohol), 노르말 부틸 알콜 (normal butyl alcohol),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노르말 부틸 아세테이트 (normal butyl acetate), 에틸 셀루솔브 (ethyl cellusolve), 부틸 셀루솔브 (butyl cellusolv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기재 (substrate)에 대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료 조성물을 스프레이 코팅 (spray coating), 딥 코팅 (dip coating), 플로우 코팅 (flow coating) 또는 스핀 코팅 (spin coating)법으로 적용하여 자외선 경화된 코팅막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기재가 플라스틱 재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코팅막을 가진 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모바일 폰, 자동차 또는 가전제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050094952A 2005-10-10 2005-10-10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Active KR100703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52A KR100703856B1 (ko) 2005-10-10 2005-10-10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PCT/KR2006/000437 WO2007043727A1 (en) 2005-10-10 2006-02-07 High-soli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JP2008535431A JP2009511702A (ja) 2005-10-10 2006-02-07 Uv硬化性ハイソリッド塗料組成物
AT06715889T ATE491761T1 (de) 2005-10-10 2006-02-07 Uv-härtbar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mit hohem festgehalt
US12/088,573 US7935392B2 (en) 2005-10-10 2006-02-07 High-soli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EP06715889A EP1951830B1 (en) 2005-10-10 2006-02-07 High-soli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DE602006018989T DE602006018989D1 (de) 2005-10-10 2006-02-07 Uv-härtbar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mit hohem festgehalt
CNA2006800377711A CN101283062A (zh) 2005-10-10 2006-02-07 高固体的可紫外光固化的涂料组合物
JP2012237078A JP2013060598A (ja) 2005-10-10 2012-10-26 Uv硬化性ハイソリッド塗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952A KR100703856B1 (ko) 2005-10-10 2005-10-10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856B1 true KR100703856B1 (ko) 2007-04-06

Family

ID=3794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952A Active KR100703856B1 (ko) 2005-10-10 2005-10-10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35392B2 (ko)
EP (1) EP1951830B1 (ko)
JP (2) JP2009511702A (ko)
KR (1) KR100703856B1 (ko)
CN (1) CN101283062A (ko)
AT (1) ATE491761T1 (ko)
DE (1) DE602006018989D1 (ko)
WO (1) WO200704372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93B1 (ko) 2013-04-09 2014-07-25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플로우 코팅용 자외선 경화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로우 코팅방법
CN104358105A (zh) * 2014-10-11 2015-02-18 际华三五零九纺织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辐射加工下的帘子布浸胶固化工艺
KR20180022782A (ko) * 2015-07-02 2018-03-06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경화형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1900B2 (ja) * 2005-12-30 2015-01-14 デスカップ エスエー 塗料製品に添加される成分としての架橋可能な組成物
FR2925912B1 (fr) * 2007-12-26 2010-01-22 Toray Plastics Europ Film polyester enroulable comprenant sur au moins l'une de ses faces, un revetement reticule resistant aux rayures, procede d'obtention de ce film polyester
JP5844117B2 (ja) * 2010-10-25 2016-01-13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
CN102952071B (zh) * 2011-08-30 2015-11-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紫外光固化单体及其制备方法、可聚合组合物和背光模块
DK2565033T3 (en) * 2011-09-01 2016-04-25 Senosan Gmbh Composite element
TWI483043B (zh) * 2011-09-14 2015-05-01 Lg Innotek Co Ltd 發光單元以及使用其之液晶顯示器
CN103508887B (zh) * 2012-06-19 2015-12-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紫外光固化单体及其制备方法、可聚合组合物、增亮膜和背光模块
CN107116016A (zh) * 2017-06-30 2017-09-01 广东龙昕科技有限公司 一种壳体的立体雕刻涂装生产工艺及其喷涂漆料
DE102017008456A1 (de) * 2017-09-10 2019-03-14 Mankiewicz Gebr. & Co. Gmbh & Co. Kg Recycling-fähige Beschichtungen und deren Verwendung zur Bedruckung von wiederverwertbaren Kunststoffen
WO2020218833A1 (ko) * 2019-04-25 2020-10-29 윤학중 폴리카보네이트 사출물을 플로우 코팅 방식 또는 커튼 코팅 방식으로 도장하는 공정
US11332559B2 (en) 2019-07-17 2022-05-17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olymers for display devices
KR102419836B1 (ko) * 2020-03-19 2022-07-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CN114605909A (zh) * 2022-04-19 2022-06-10 广东卫斯理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大灯翻新修复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688A (ko) * 1997-12-31 1999-07-26 차동천 광섬유 외부 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020040863A (ko) * 1999-10-15 2002-05-30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방사선-경화성 코팅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335A (ja) * 1984-07-28 1986-02-21 T S B:Kk 紫外線硬化型コ−テイング組成物
DE3684945D1 (de) * 1985-02-27 1992-05-27 Ucb Sa Durch strahlung vernetzbare ueberzugszusammensetzung.
AU664999B2 (en) * 1991-04-03 1995-12-14 Red Spot Paint & Varnish Co., Inc. UV curable hardcoat compositions and processes
JP3334189B2 (ja) * 1991-10-25 2002-10-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紫外線硬化性組成物、該硬化性組成物を用いるコート層を有する成形品、その製造方法、及び該硬化性組成物を用いる接着方法
JPH05271578A (ja) * 1992-02-20 1993-10-19 Mitsubishi Rayon Co Ltd 被覆材組成物
JP3035402B2 (ja) * 1992-03-09 2000-04-24 三菱化学株式会社 耐摩耗性紫外線硬化性被覆組成物
JPH0616966A (ja) * 1992-07-02 1994-01-25 Nippon Kayaku Co Ltd 塗料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741695A (ja) * 1993-07-30 1995-02-10 Mitsubishi Chem Corp 耐摩耗性被覆組成物
US6140386A (en) * 1994-04-19 2000-10-31 Vanderhoff; John W.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methods for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JP2000007944A (ja) * 1998-06-24 2000-01-11 Nippon Kayaku Co Ltd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JP4765136B2 (ja) * 2000-03-31 2011-09-07 日本製紙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用塗料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DE10027670A1 (de) 2000-06-03 2001-12-13 Votteler Lackfabrik Gmbh & Co Durch UV-Strahlung härtbare Beschichtungsmitte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Überzügen aus diesen Beschichtungsmitteln und deren Verwendung
KR20040030554A (ko) * 2001-03-28 2004-04-09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의한 피복방법 및적층체
JP2002321315A (ja) * 2001-04-26 2002-11-05 Mitsubishi Rayon Co Ltd 合成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3691030B2 (ja) * 2002-07-01 2005-08-3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水圧転写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2004155893A (ja) * 2002-11-06 2004-06-03 Tokushiki:Kk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US6998425B2 (en) 2003-12-23 2006-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R2869321B1 (fr) 2004-04-26 2008-09-05 Soficor Mader Sa Vernis anti-graffiti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688A (ko) * 1997-12-31 1999-07-26 차동천 광섬유 외부 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020040863A (ko) * 1999-10-15 2002-05-30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방사선-경화성 코팅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61688
1020020040863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93B1 (ko) 2013-04-09 2014-07-25 주식회사 노루비케미칼 플로우 코팅용 자외선 경화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로우 코팅방법
CN104358105A (zh) * 2014-10-11 2015-02-18 际华三五零九纺织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辐射加工下的帘子布浸胶固化工艺
KR20180022782A (ko) * 2015-07-02 2018-03-06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경화형 조성물
KR102654426B1 (ko) * 2015-07-02 2024-04-03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경화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55263A1 (en) 2008-10-16
ATE491761T1 (de) 2011-01-15
WO2007043727A1 (en) 2007-04-19
JP2013060598A (ja) 2013-04-04
EP1951830A4 (en) 2009-11-11
EP1951830B1 (en) 2010-12-15
CN101283062A (zh) 2008-10-08
JP2009511702A (ja) 2009-03-19
US7935392B2 (en) 2011-05-03
EP1951830A1 (en) 2008-08-06
DE602006018989D1 (de)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797B1 (ko) 저점도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0703856B1 (ko)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JP5491577B2 (ja) 耐候性の改良された放射線硬化性コーティング
CN101939389B (zh) 塑料基材用涂料组合物、由其形成的涂膜、以及成形体
KR100884079B1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CN111094464B (zh) 紫外线固化性涂料组合物
KR101342581B1 (ko) 무용제로 스프레이 도장이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US20170321060A1 (en) Antifog coating composition
US9403990B2 (en) Curing-type coating-agent composition
EP2534208A1 (en) Radiation curable liquid composition for low gloss coatings
KR20140074505A (ko) 고신율 자외선 경화형 코팅제 조성물
WO2004083327A1 (en) Uv curable paint composition with high operating efficiency
KR101131888B1 (ko) 플라스틱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4076B1 (ko) 칼라코팅용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1109937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0993460B1 (ko) 고광택 칼라코팅용 하이솔리드 자외선 경화형 도료 및 이를이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도장 방법
KR102184896B1 (ko) Uv 경화형 고연신율 및 고기능성 코팅액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JP4299513B2 (ja) 被覆材組成物および物品
KR20170030106A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1869203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20050069135A (ko) 유연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도료 조성물
KR20240153140A (ko)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KR20060106502A (ko) 플라스틱용 자외선 경화형 칼라 도료 조성물
KR20040047436A (ko) 미끄럼 방지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