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3461B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461B1
KR100703461B1 KR1020067004498A KR20067004498A KR100703461B1 KR 100703461 B1 KR100703461 B1 KR 100703461B1 KR 1020067004498 A KR1020067004498 A KR 1020067004498A KR 20067004498 A KR20067004498 A KR 20067004498A KR 100703461 B1 KR100703461 B1 KR 10070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ide housing
sheave
arms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368A (ko
Inventor
야스마사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모터측 하우징(housing), 브레이크측 하우징이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측 하우징 및 모터측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축에는 쉬브(sheave)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측 하우징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 암의 일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또 각각의 브레이크 암에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브레이크 슈(shoe)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측 하우징에서 한 쌍의 상기 브레이크 암 사이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 암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동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측 하우징에서 한 쌍의 브레이크 암의 타단부 사이에는 제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역행하여 타단부를 흡인(吸引)하여 브레이크 암을 회동시키는 전자 마그넷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WINCH FOR ELEVATOR}
본 발명은, 로프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로서, 쉬브(sheave)의 배면에 브레이크 암, 브레이크 슈 등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가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 2000-28995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이와 같은 것의 경우, 쉬브, 브레이크 장치의 양자를 각각 보수, 점검하는 경우, 양면으로부터 보수, 점검해야 하며, 그 때문에 권상기가 승강로의 벽면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에, 예를 들면 쉬브에 대향한 벽면 영역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반대 측에 돌출한 보수, 점검용의 스페이스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스페이스가 없을 때에는, 쉬브 홈의 마모량, 로프 래치(latch)와 로프와의 틈 등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칸 측에서 거울을 이용하여 상기 마모량을 확인하고, 또 전용 틈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틈을 확인하고 있으며, 전용 거울, 전용 틈 게이지를 이용하여, 시간이 걸리는 쉬브의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브레이크 장치와 함께, 쉬브에 대해서도, 브레이크 장치와 마찬가지로 동일 방향으로부터 직접 눈으로 보면서 보수, 점검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쉬브에 대향한 벽면 영역에서, 엘리베이터 칸 반대 측에 돌출한 보수, 점검용의 스페이스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으며, 또 쉬브의 보수, 점검 작업도 용이하게 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의 권상기는,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모터측 하우징(housing)과, 이 모터측 하우징에 대향하여 고정된 브레이크측 하우징과, 이 브레이크측 하우징 및 상기 모터측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 내에서 상기 고정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쉬브와, 상기 모터측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쉬브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에 일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암과, 각각의 브레이크 암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브레이크 슈(shoe)와,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에서 한 쌍의 상기 브레이크 암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브레이크 암을 서로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제동 스프링과,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에서 한 쌍의 상기 브레이크 암의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역행하여 타단부를 흡인(吸引)하여 브레이크 암을 회동시키는 전자 마그넷을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권상기가 승강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권상기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가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단, 브레이크 암 및 그 근방에 있어서는 일부 노치(notch) 단면도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권상기를 A-A 선을 따라서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권상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권상기의 우측면도이다. 단, 모터측 하우징에서는 일부 노치 단면도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2의 권상기를 B-B 선을 따라서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권상기의 저면도(底面圖)이다.
도 8은 도 1의 권상기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가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에 있어서 동일, 동등 부재, 또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권상기(3)가 승강로(1)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1)의 벽면에 대들보(2)를 통하여 권상기(3)가 고정되어 있다. 권상기(3)의 쉬브(4)에는 로프(5)가 감겨 걸려져 있다. 이 로프(5)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휠(return wheel)(6)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7)에 접속되어 있다. 로프(5)의 타단부는, 균형추 측 리턴 휠(8)을 통하여 균형추(9)에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권상기(3)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권상기(3)를 A-A 선을 따라서 절단했을 때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 권상기(3)에서는, 대향한 모터측 하우징(11)과 브레이크측 하우징(12)이 대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모터측 하우징(11) 및 브레이크측 하우징(12)의 중심부에는 고정축(10)이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축(10)에는, 베어링(13)을 통하여 쉬브(4)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 홈(15)을 가지는 쉬브(4)에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 오목한 형상의 브레이크 드럼(1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드럼(14)의 최외주 단면(20)은, 홈(15)보다 모터측 하우징(11)측에 있다. 브레이크 드럼(14)의 외주면에는, 쉬 브(4)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영구 자석(16)이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드럼(14)의 외경 측에는, 영구 자석(16)에 대향하여 스테이터(stator)(19)가 모터측 하우징(11)에 고정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19)는, 둥근 환상(環狀) 모양의 코어(17)와, 이 코어(17)에 도선이 감겨진 코일(1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16)과 스테이터(19)에 의해 모터를 구성하고 있다.
브레이크측 하우징(12)에는, 상기 A-A 선을 중심선으로 한 대칭 위치에 지지 핀(2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한 쌍의 브레이크 암(22)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브레이크 암(2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서 모터측 하우징(11)측에 삼각형 모양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돌출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숄더(shoulder) 볼트(23)가 관통하고 있고, 이 숄더 볼트(23)의 선단부에, 브레이크 드럼(14)의 내면측의 제동면(25)에 눌러 접하게 되는 브레이크 슈(24)가 나사식으로 붙여져 있다. 브레이크 슈(24)의 제동면(25)과 반대 측에는, 반구(半球) 모양의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24)와 브레이크 암(22) 사이에는, 구면(球面) 모양의 와셔(27)가 오목부(26)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숄더 볼트(23)의 헤드부(28)와 브레이크 암(2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9)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브레이크 슈(24)는 브레이크 암(22)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쉬브(4)의 바로 아래에는, 브레이크측 하우징(12)에 고정된 제동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동 스프링(30)은, 한 쌍의 브레이크 암(22)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쉬브(4)의 바로 아래에는, 브레이크측 하우징(12)에 고정된 전자 마그넷(31)이 설치되어 있다.
쉬브(4)의 근방에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측 하우징(12)에 고정된 L자형 모양의 로프 래치(32)가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이 로프 래치(32)에 의해, 쉬브(4)의 홈(15)으로부터 로프(5)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권상기(3)에서는, 코일(18)에 통전함으로써, 스테이터(19)와 영구 자석(16)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14) 및 브레이크 드럼(14)과 일체인 쉬브(4)가 회전한다. 이 쉬브(4)에는 로프(5)가 감겨 걸려져 있으므로, 로프(5)에 매달려진 엘리베이터 칸(7)은 승강한다.
쉬브(4)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전자 마그넷(31)은, 통전되어 전자력이 발생하고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역행하여, 각각의 브레이크 암(22)의 선단부를 흡착하고 있다. 즉, 한 쌍의 브레이크 암(22)은 각각 지지 핀(2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있고, 브레이크 암(22)에 고정된 브레이크 슈(24)는, 브레이크 드럼(14)의 제동면(25)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한편, 전자 마그넷(31)으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전자 마그넷(31)으로부터의 전자력은 소실되고, 제동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브레이크 암(22)은 각각 지지 핀(2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브레이크 슈(24)는, 브레이크 드럼(14)의 제동면(25)에 눌러 접하고, 브레이크 드럼(14) 및 브레이크 드럼(14)과 일체인 쉬브(4)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브레이크 슈(24)는, 브레이크 암(22)의 회동면으로부터 모터측 하우징(11)측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슈(24)에는, 편중된 하중이 작용하여, 그대로 그 하중이 제동면(25)에 미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브레이크 암(22)과 브레이크 슈(24)와의 사이에,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와셔(27)가 개재하고 있고, 이 와셔(27)에 의해, 브레이크 슈(24)의 제동면(25)에 대한 편하중이 억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3)에 의하면, 쉬브(4)측에,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 암(22), 브레이크 슈(24), 제동 스프링(30) 및 전자 마그넷(31)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쉬브(4),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는, 동일 방향으로부터 직접 눈으로 보면서 보수, 점검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보수, 점검 작업이 향상한다.
특히, 권상기(3)는, 승강로(1)의 벽면에,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7)측에 쉬브(4)가 마주보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넓은 스페이스에서 보수, 점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서, 일부러 권상기(3)에 대향한 벽면 영역에, 엘리베이터 칸(7)과 반대 측으로 돌출한 보수, 점검용의 스페이스를 설치할 필요성도 없다.
또, 와셔(27)는, 반구 모양의 오목부(26)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암(22)으로부터의 브레이크 슈(24)의 제동면(25)에 대한 편하중이 억제되고, 제동 성능이 안정화된다. 또, 제동면(25)에 슬라이딩 접촉한 브레이크 슈(24)의 편마모, 이상 마모가 경감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드럼(14)의 제동면(25)의 마모량도 경감된다.
또, 브레이크측 하우징(12)에는, 쉬브(4)의 홈(15)을 덮는 로프(5)가 홈(15) 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는 로프 래치(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쉬브(4),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보수 점검을 할 때에, 전용의 거울, 전용 틈 게이지를 이용하지 않고, 동일 방향으로부터 로프 래치(32)와 로프(5)와의 틈을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프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모터측 하우징(housing)과,
    이 모터측 하우징에 대향하여 고정된 브레이크측 하우징과,
    이 브레이크측 하우징 및 상기 모터측 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 내에서 상기 고정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쉬브(sheave)와,
    상기 모터측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쉬브와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에 일단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암과,
    각각의 브레이크 암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제동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브레이크 슈(shoe)와,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에서 한 쌍의 상기 브레이크 암 사이에 설치되고 한 쌍의 브레이크 암을 서로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제동 스프링과,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에서 한 쌍의 상기 브레이크 암의 타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력에 역행하여 타단부를 흡인(吸引)하여 브레이크 암을 회동시키는 전자 마그넷과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의 제동면과 반대측면에 형성된 반구(半球) 모양의 오목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구면(球面) 모양의 와셔와,
    상기 브레이크 암 및 상기 와셔를 관통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고정한 볼트와,
    이 볼트의 기단부의 머리부와 상기 브레이크 암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암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의 권상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측 하우징에는, 상기 쉬브의 홈을 덮는 로프가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 래치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의 권상기.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승강로의 벽면에,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측에 상기 쉬브가 면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의 권상기.
KR1020067004498A 2006-03-03 2004-07-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498A KR100703461B1 (ko) 2006-03-03 2004-07-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498A KR100703461B1 (ko) 2006-03-03 2004-07-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368A KR20060061368A (ko) 2006-06-07
KR100703461B1 true KR100703461B1 (ko) 2007-04-03

Family

ID=3715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4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461B1 (ko) 2006-03-03 2004-07-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4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76A (ja) * 1994-06-23 1996-02-13 Kone Oy エレベータ機械装置
EP0970912A2 (en) * 1998-07-07 2000-01-12 Hitachi, Ltd. Elevator apparatus
JP2002362861A (ja) * 2001-06-04 2002-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76A (ja) * 1994-06-23 1996-02-13 Kone Oy エレベータ機械装置
EP0970912A2 (en) * 1998-07-07 2000-01-12 Hitachi, Ltd. Elevator apparatus
JP2002362861A (ja) * 2001-06-04 2002-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制動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0970912
08040676
143628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368A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809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CN101284620A (zh) 电梯用卷扬机
KR101954585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CN109132811B (zh) 电磁制动释放装置及电梯
CN106185563A (zh) 电梯装置和电梯装置用曳引机
CN108285103B (zh) 卷扬机以及电梯
JP4952296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の解放装置及びそのブレーキの解放方法
CN110506022B (zh) 电梯的曳引机制动器以及电梯曳引机
KR10070346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100691663B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JP4292206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US11453572B2 (en) Space saving arrangement of a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CN102897635B (zh) 薄型卷扬机以及电梯设备
CN108285083B (zh) 卷扬机以及电梯
JP2013040033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CN107618964B (zh) 电梯用卷扬机以及电梯装置
JP4312553B2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7362542B2 (ja) 電動巻上装置
JP4522181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475017B2 (ja) エレベータの巻き上げ機
EP1783089A1 (en) Hoist of elevator
JPS638691Y2 (ko)
JP2013112502A (ja) エレベーター用薄型巻上機
KR100795262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HK1123270B (en) Winding machin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