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3131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131B1
KR100703131B1 KR1020030068506A KR20030068506A KR100703131B1 KR 100703131 B1 KR100703131 B1 KR 100703131B1 KR 1020030068506 A KR1020030068506 A KR 1020030068506A KR 20030068506 A KR20030068506 A KR 20030068506A KR 100703131 B1 KR100703131 B1 KR 10070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ransmission
buffer
channel state
buffer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540A (ko
Inventor
이주호
곽용준
최성호
허윤형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919,03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50078651A1/en
Priority to EP20040019416 priority patent/EP1509011A3/en
Priority to JP2004236764A priority patent/JP4243229B2/ja
Priority to CNA2004100951535A priority patent/CN1604687A/zh
Publication of KR2005001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1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스케쥴링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버퍼상태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나타내는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채널상태정보 전송주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이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을 시작한 후, 상기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EUDCH, 버퍼 상태, CSI, 전송포맷 결정, 스케쥴링 할당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SSIGNMENT OF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a는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의 상향링크 무선자원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상향링크 무선자원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간에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향링크 패킷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5b는 상향링크 패킷을 수신하는 기지국의 스케쥴링 제어 채널 구조와, 스케쥴링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Node B제어 스케쥴링을 위한 버퍼상태와 채널상태의 연속적인 전송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상태 전송주기의 설정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와 채널상태의 전송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와 채널상태의 전송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상태와 채널상태의 전송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버퍼상태와 채널상태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의 EUDCH 전송 제어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버퍼상태와 채널상태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버퍼상태와 채널상태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EUDCH 수신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버퍼상태와 채널상태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EU-SCHCCH 수신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케쥴링 할당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신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향 링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 방식인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한다.) 통신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를 통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향상된 역방향 전용 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이하 "EUDCH" 또는 "E-DCH"라 한다.)을 사용한다. 상기 EUDCH는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통신에 있어서 패킷 전송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채널이다. 상기 EUDCH 기술에는 기존에 이미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 한다.)에서 사용되고 있는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및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방법과 함께 좀 더 작아진 전송 시간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이하 ”TTI"라 한다.)의 새로운 기술들을 사용한다. 또한 상향링크 채널의 기지국(Node B) 제어 스케쥴링이 사용된다.상기 상향링크에 대한 Node B 제어 스케쥴링은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쥴링과는 많은 차이를 가지게 된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이하 "UE"라 한다.)들이 송신한 상향링크 신호들은 상호간에 직교성이 유지되지 않아 상기 상향링크 신호들은 상호간에 간섭신호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Node B는 수신하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증가할수록 특정 UE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신호의 양도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특정 UE는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신호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Node B의 수신성능은 저하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상기 증가된 송신전력을 가지는 상향링크 신호는 다른 신호에 대해 간섭신호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Node B는 상기 수신 성능을 보장하면서 수신할 수 있는 상향링크 신호의 양을 제한한다. 〈수학식 1〉은 상기 Node B의 수신 성능을 보장하면서 수신할 수 있는 상향링크 신호의 양을 나타낸다.
ROT=I_0 /N_0
상기 I_0 는 상기 Node B의 전체 수신 광대역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이며, 상기 N_0 는 Node B의 열잡음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ROT는 상기 Node B가 상향 링크에서 상기 EUDCH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이 된다.
도 1a, 도 1b는 Node B에서 할당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1a,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Node B가 할당할 수 있는 상향링크 무선자원은 ICI(Inter-cell interference), 음성 트래픽(Voice traffic), EUDCH 패킷 트래픽들의 합으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도 1a는 상기 Node B 스케쥴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총 ROT(Total ROT)의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EUDCH 패킷 트래픽에 대해 스케쥴링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복수 개의 UE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총 ROT는 목표 ROT(Targer ROT)보다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성능은 저하된다.
도 1b는 상기 Node B 스케쥴링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총 ROT의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Node B 스케쥴링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UE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상기 Node B 스케쥴링은 특정 UE에게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허용하는 경우 다른 UE들에게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허용함으로서 상기 총 ROT가 상기 목표 ROT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Node B 스케쥴링은 항상 일정한 수신성능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Node B는 상기 EUDCH를 사용하는 UE들의 요청 데이터 레이트 또는 상향링크의 송신 품질을 나타내는 채널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각 UE별로 EUDCH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를 통보하거나, 상기 EUDCH 데이터 레이트를 조정한다. 이러한 상기 Node B 스케쥴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Node B의 총 ROT가 목표 ROT를 넘지 않도록 상기 UE들에게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한다. 상기 Node B는 멀리 있는 UE에 대해서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하고, 가까이 있는 UE에 대해서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할 수 있다.
도 2는 EUDCH에 Node B 스케쥴링이 사용되는 상황에 대한 기본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200은 EUDCH를 지원하는 Node B를 나타내며, 210 내지 216은 EUDCH를 사용하는 UE들이다. 어떤 UE의 데이터 레이트가 높아지면 상기 Node B가 상기 UE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전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UE의 ROT는 상기 총 ROT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반면, 다른 UE의 데이터 레이트가 낮아지면 상기 Node B가 상기 다른 UE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전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른 UE의 ROT는 상기 총 ROT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Node B는 상기 데이터 레이트와 무선자원간의 관계, 상기 UE가 요청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고려하여 상기 EUDCH 패킷 데이터에 대한 Node B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UE들(210 내지 216)은 상기 Node B(200)와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역방향송신 전력으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상기 Node B(200)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상기 UE(210)는 가장 높은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220)으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Node B(200)와 가장 가까이 있는 상기 UE(214)는 가장 낮은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224)으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Node B(200)는 총 ROT를 유지하면서 다른 셀에 대한 ICI를 줄이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의 세기와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반비례하도록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이 가장 높은 UE(210)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하고, 상기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이 가장 낮은 UE(214)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한다.
도 3은 UE가 Node B로부터 EUDCH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받고, 상기 할당된 데이터 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310단계에서 상기 Node B(300)와 상기 UE(302)사이에 EUDCH가 설정된다. 상기 310단계는 전용전송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통한 메시지들의 송수신 과정을 포함한다. 312단계에서 상기 UE(302)는 상기 Node B(300)로 원하는 데이터 레이트, 버퍼상태, 상향링크 채널 상황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전송한다. 상기 상향링크 채널 상황에 관련된 정보는 상향채널 송신전력과 송신전력 마진 등을 포함한다.
상기 Node B(300)는 상기 상향채널의 송신전력과 수신전력을 비교하여 순방향 채널 상황을 추정한다. 즉, 상기 상향채널 송신전력과 상향 채널 수신전력의 차이가 작으면 역방향 채널 상황은 양호하며, 상기 송신전력과 수신전력의 차이가 많으면 역방향 채널 상황은 불량하다. 상향링크 채널상황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UE가 송신전력 마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Node B(300)는 상기 송신전력 마진을, 이미 알고 있는 UE의 가능한 최대 송신전력에서 빼줌으로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추정한다. 상기 Node B(300)는 상기 추정한 상기 UE의 채널 상황과 상기 UE(302)가 원하는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UE의 상향링크 패킷 채널을 위한 가능한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가능한 최대 데이터 레이트는 314단계에서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실려 상기 UE(302)로 통보된다. 상기 UE(302)는 통보된 가능한 최대 데이터 레이트의 범위 내에서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고, 316단계에서 상기 Node B(300)로 상기 결정된 데이터 레이트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EUCD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패킷 데이터를 Node B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UE는 상기 Node B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일정 주기단위로 전달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UE는 상기 버퍼상태와 상향링크 채널상태(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를 소정의 스케쥴링 구간(Scheduling Interval)마다 연속하여 상기 Node B로 전송한다. 상기 스케쥴링 구간마다 상기 버퍼상태와 CSI를 전송함하게 되면 상향링크 시그널링의 과부하를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향링크 패킷 전송의 효율이 저해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상향링크 시그널링을 과부하를 막을 수 있는 효율적인 스케줄링 방안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업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업링크로 전송하는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주기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퍼상태와 CSI 전송주기를 조절함으로서 상향링크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주기를 조절함으로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스케쥴링을 위해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버퍼상태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나타내는 채널 상태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채널상태정보 전송주기를 전달받는 과정과,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이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을 시작한 후,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채널상태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스케쥴링을 위해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퍼상태와 채널 상태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채널상태 수신주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퍼상태와 채널상태가 최초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가 최초로 수신되면,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전송채널(EUDCH)의 Node B 제어 스케쥴링을 위하여, UE에서 상기 Node B로 전송하는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주기들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전송 주기들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와 CSI를 전송한다. Node B의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는 EUDCH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품질, 상향 링크의 ROT 상황, UE의 핸드오버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주기들을 각각 설정한다.
도 4는 EUDCH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역방향 물리 채널들은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DPDCH), EUDCH서비스를 위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U-DPDCH), 전용 물리 제어 채널(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HSDPA 서비스를 위한 전용 물리 제어 채널(High Speed DPDCH: HS-DPCCH), EUDCH 서비스를 위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U-DPCCH)등을 사용한다.
상기 EU-DPCCH는 EUDCH 서비스를 위한 물리제어채널로서 UE의 버퍼상태 및 Node B가 상향링크 채널 상황을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상향링크 송신전력 및 상향링크 송신 전력 마진 등을 포함하는 채널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EU-DPCCH는 상기 EU-DPDCH를 위한 데이터 크기, 부호율, 변조 방식 등의 전송 포맷을 나타내는 패킷 데이터 전송 포맷 인자(Transport Format and Resource Indicator: E-TFRI)를 전송한다. 상기 EU-DPDCH는 상기 Node B로부터 수신된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레이트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운반한다. 상기 DPDCH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 만을 지원하지만, 상기 EU-DPDCH는 동시에 전송하는 확산코드의 수를 유지하면서 데이터 레이트를 높이기 위해 상기 BPSK뿐만 아니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8PSK(8-ary PSK)등의 상위 변조방식까지도 지원할 수 있다.
EUDCH 전송제어기(EUDCH transmission controller)(404)는 EUDCH로 전송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EUDCH 데이터 버퍼(400)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Node B 제어 스케쥴링을 위해 필요한 버퍼상태를 얻으며, 또한 상향링크 송신경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CSI를 얻는다. 또한 상기 EUDCH 전송 제어기(404)는 상기 EUDCH를 위한 패킷 데이터 전송 포맷을 나타내는 E-TFRI를 결정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전송 포맷은 스케쥴링 할당부(402)에서 허용하는 최대 데이터 레이트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EUDCH 전송 제어기(404)는 상기 버퍼상태, CSI 및 상기 E-TFRI 등을 포함하는 EU-DPCCH 데이터를 생성하여 곱셈기(408)로 입력한다.
DPDCH의 데이터는 확산기(spreader)(422)에서 DPDCH에 할당된 OVSF(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19
를 이용하여 칩 레이트로 확산되며, 이득 조정기(gain adjuster)(424)에서 채널이득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0
과 곱해진 후 합산기(426)으로 입력된다. 상기 EU-DPCCH의 데이터는 확산기(408)에서 EU-DPCCH에 할당된 OVSF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1
를 이용하여 칩 레이트로 확산되며, 이득 조정기(410)에서 채널이득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2
과 곱해진 후 상기 합산기(426)으로 입력된다. 상기 합산기(426)는 상기 이득 조정기들(424,410)의 출력 데이터를 합산한 후 I채널에 할당하기 위하여 합산기(420)로 입력한다.
상기 EUDCH 패킷 전송기(406)는 상기 패킷 데이터 전송 포맷에 의해 지정된 양의 패킷 데이터를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400)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패킷 데이터 전송 포맷에 따라 채널 코딩을 수행하여 EU-DPDCH 데이터를 생성한다. 변조 매핑기(Modulation Mapper)(412)는 상기 EU-DPDCH 데이터에 대해 BPSK, QPSK 또는 8PSK로 변조를 수행하여 EU-DPDCH 변조 심볼 스트림을 출력한다. 여기서 BPSK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변조심볼들은 실수 값을 갖지만, QPSK나 8PSK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변조 심볼들은 복소 값을 갖는다. 하기에서는 상기 EU-DPDCH에 대해QPSK, 8PSK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변조 매핑기 (412)는 상기EU-DPDCH 데이터를 복소수 심볼 스트림으로 변환한 후 확산기(414)로 전달한다. 상기 확산기(414)는 상기 변조심볼 스트림을 EU-DPDCH에 할당된 OVSF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3
에 의해 칩 레이트로 확산한다. 상기 확산기(414)의 출력은 이득 조정기(418)에서 채널이득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4
과 곱해진 후 상기 합산기(420)로 입력된다.
상기 DPDCH의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DPCCH 데이터는 확산기(428)에서 DPCCH에 할당된 OVSF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5
를 이용하여 칩 레이트로 확산되며, 이득 조정기(430)에서 채널이득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6
과 곱해진다. 상기 이득 조정기(430)의 출력 데이터는 합산기(436)으로 입력된다. 또한 HSDPA 서비스를 위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HS-DPCCH데이터는 확산기(432)에서 HS-DPCCH에 할당된 OVSF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7
를 이용하여 칩 레이트로 확산되며, 이득 조정기기(434)에서 채널이득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8
과 곱해진 후 상기 합산기(436)로 입력된다. 상기 합산기(436)는 상기 이득 조정기들(430,434)의 출력 데이터를 합산한 후 Q채널에 할당하기 위하여 상기 위상 변환기(Phase adjuster)(438)로 입력한다. 상기 위상 변환기(438)는 상기 합산기(436)의 출력 데이터에 위상 변화량 j를 곱한 후 상기 합산기(420)로 전달된다.
상기 합산기(420)은 상기 합산기(426)의 출력에 상기 이득 조정기(418)와 상기 위상 변환기(438)의 출력들을 합산하여 생성한 복소 심볼 스트림을 스크램블러(scrambler)(442)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러(442)는 상기 복소 심볼 스트림을 스크램블링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29
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한다. 상기 스크램블링된 복소 심볼 스트림은 펄스 형성기(Pulse Shaping Filter)(444)에서 펄스 형태로 변환된 후 RF(Radio Frequency) 유닛(446)을 거쳐 안테나(448)을 통해 상기 Node B로 전달된다.
도 5a는 EUDCH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쥴링 제어 채널(Scheduling Control Channel: EU-SCHCCH)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스케쥴링 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케쥴링 제어 채널은 하나의 OVSF 코드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UE들에게 스케쥴링 허용/해제 메시지(Scheduling Grant/Release Message)와 허용된 최대 데이터 레이트(allowed max data rate)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할당정보(500)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쥴링 허용/해제 메시지는 상기 EUDCH 패킷 데이터의 전송 허용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500)는 상기 스케쥴링 허용/제어 메시지와 상기 허용된 최대 데이터 레이트가 적용될 UE를 나타내는 UE 식별자(UE ID)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500)를 포함하는 EU-SCHCCH 데이터(500)는 직/병렬 변환기(510)에서 병렬 심볼 스트림들로 변환된 후 변조 매핑기(512)로 전달된다. 상기 변조 매핑기(512)는 상기 심볼 스트림들을 I, Q 스트림들로 변환한 후 확산기들(514, 516)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확산기들(514, 516)은 상기 I, Q 스트림을 EU-SCHCCH에 할당된 OVSF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0
에 의해 칩 레이트로 확산한다. 상기 확산기 (516)로부터 전달된 Q 스트림은 위상 변환기(518)에서 위상 변화량 j와 곱해진 후 합산기(520)로 전달된다. 상기 합산기(520)은 상기 이득 조정기(514)와 위상 변환기(518)의 출력들을 합산하여 생성한 복소 심볼 스트림을 스크램블러(522)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러(522)는 상기 복소 심볼 스트림을 스크램블링 코드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1
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한다. 상기 스크램블링된 복소 심볼 스트림은 펄스 형성기(524)에서 펄스 형태로 변환된 후 RF 유닛(526)을 거쳐 안테나(528)을 통해 UE들로 전달된다.
도 6은 전형적인 EUDCH 시스템에서 UE에서 Node B로 버퍼상태와 CSI를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Node B는 상기 UE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UE는 상기 Node B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전송받기 위해 상기 버퍼 상태와 CSI를 일정시간(스케쥴링 구간: Tsch_int) 간격으로 매번 전송한다.
600시점에서 UE의 EUDCH 데이터 버퍼에 상기 Node B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저장(발생)된다. 상기 UE는 602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버퍼의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버퍼상태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과 전력마진을 나타내는 CSI를 상기 Node B로 전송한다. 상기 Node B는 상기 버퍼상태와 CSI를 이용하여 상기 UE에게 할당할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최대 데이터 레이트를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포함시켜 610구간에서 상기 UE로 통보한다.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를 한번의 전송으로 상기 Node B로 모두 전송할 수 없을 경우 상기 UE는 상기 Node B에게 스케쥴링 할당을 계속 요구하기 위해 상기 602구간 내지 606구간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버퍼상태와 CSI를 스케쥴링 구간(Tsch_int) 간격으로 연속하여 전송한다. 상기 606시점 이후에는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였으므로 상기 UE는 상기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을 중단한다. 상기 Node B는 상기 UE로부터 버퍼상태와 CSI를 전달받더라도 ROT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 612 구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버퍼상태와CSI는 매 스케쥴링 구간마다 전송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송은 상향링크 오버헤드를 크게 증가시켜 상향링크 트래픽 용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퍼 상태와 CSI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설정된 전송주기들을 사용한다. 여기서 버퍼상태와 CSI에 대해 서로 다른 전송주기들을 설정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향링크(Uplink: UL) 전력제어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Node B는 UE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UE로 상향링크 전력제어(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UL TPC)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UE는 상기 Node B로부터 상기 TPC를 수신하고, 상기 TPC가 송신전력을 낮추라는 명령이면 하향링크 송신전력을 감소시키며, 상기 TPC가 송신전력을 높이라는 명령이면 하향링크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상기 UE로부터 CSI가 수신되지 않는 구간에서, Node B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UE의 송신전력을 추정할 수 있다.
Transmit_power_est = CSI_prev+power_control_step_size× (up_count-down_coumt)
상기 Transmit_power_est는 상기 UE의 전송전력 추정값이며, 상기 CSI_prev는 이전에 수신한 상기 UE의 송신 전력 정보이다. 상기 up_count는 상기 CSI_prev를 수신한 이후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라고 명령한 횟수를 나타내며, 상기 down_coumt는 상기 CSI_prev를 수신한 이후 송신전력을 감소시키라고 명령한 횟수를 나타낸다. 상기 power_control_step_size는 한번의 명령에 의해 감소 또는 증가되는 송신전력의 단위 양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Node B는 상기 이전에 수신한 UE의 전송 파워와 상기 Node B가 명령한 송신전력에 관한 명령들을 이용하여, 상기 UE의 현재 전송전력을 추정한다.
하지만 상기 UE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있을 경우, 상기한 <수학식 2>는 적용될 수 없다 이를 하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소프트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UE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UE(720)는 상기 핸드오버 영역에 관련된 적어도 2개의 활성 Node B들(여기에서는 3개의 활성 Node B들(710,712,714)을 도시하였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활성 Node B들(710-714)은 상기 UE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RNC(7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방식은, 상기 활성 Node B들(710-714) 중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오류없이 복조한 활성 Node B가 RNC(700)로 상기 복조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함으로써 매크로 선택 다이버시티(macro selection diversity)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상기 UE(720)는 상기 활성 Node B들(710-714)로부터 3개의 하향링크 전력제어명령(TPC)들을 전달받는다. 상기 UE(720)는 상기 3개의 TPC들 중 하나라도 송신전력을 낮추라는 명령이면, 상기 송신전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UE(720)는 상기 3개의 TPC들 모두가 송신전력을 높이라는 명령이면, 상기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삭제
그런데 각 활성 Node B(710-714)는 다른 활성 Node B들이 전송한 전력제어 명령을 알 수 없으므로, 각 활성 Node B(710-714)가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추정된 상기 UE(720)의 송신전력은 상기 UE(720)의 실제 송신전력과 차이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활성 Node B들(710-714)이 상기 핸드오버 영역에 있는 상기 UE(720)의 전송전력을 정확히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UE(720)가 보다 짧은 CSI의 전송주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UE로부터 버퍼상태가 보고되지 않는 구간에서, Node B는 상기 UE로부터 이전에 보고된 버퍼상태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상기 UE의 버퍼상태를 추정한다.
Buffer_state_est=Buffer_state_prev - Data_sent
상기 Buffer_state_est는 버퍼상태 추정값이며, 상기 Buffer_state_prev는 이전에 수신된 버퍼상태 값이다. 상기 Data_sent는 상기 Buffer_state_prev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UE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UE로부터 수신한 E-TFRI 값들을 이용하여 획득된다. 상기 E-TFRI는 EU-DPDCH 의 데이터 크기와 부호율 및 변조방식 등을 나타내므로, 상기 데이터 크기에 따라 상기 UE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양을 알 수 있다. 상기 E-TFRI는 패킷 데이터의 수신성능을 높이기 위해 통상 상기 전력제어 명령보다 낮은 수신 에러 레이트를 가지도록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Node B에 의한 상기 UE의 버퍼상태 추정값은 전송전력 추정값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는 CSI 전송주기보다 길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NC에서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CSI 전송주기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800단계에서 상기 RNC는 ROT조건과 EUCDH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들을 고려하여 상기 EUDCH 서비스를 요청하는 UE를 위한 버퍼상태 전송주기(Tbuffer)를 결정한다. 여기서 ROT 조건이라 함은 측정 ROT가 미리 정해지는 목표 ROT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802단계에서 상기 RNC는 상기 UE가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UE가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면 804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UE가 핸드오버 영역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806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804단계에서 상기 RNC는 상기 UE를 위한 CSI 전송주기(TCSI)를 스케쥴링 구간 길이(Tsch_int)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상기 806단계에서 상기 RNC는 상기 CSI 전송주기(TCSI)를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2
상기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3
는 A이하의 최대 정수를 구하는 함수이다. 상기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4
는 E-TFRI의 요구되는 수신 에러 레이트이며, 상기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5
는 UE로 전송되는 전력제어명령(TPC)의 요구되는 수신 에러 레이트이다. 상기 〈수학식 4〉와 같이 상기 CSI 전송주기(TCSI)는 상기 E-TFRI의 수신 에러 레이트와 UE로 전송되는 전력제어명령의 수신 에러 레이트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Tbuffer)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상기 RNC는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Tbuffer)와 상기 CSI 전송주기(TCSI)를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UE로 전달하며, NBAP(Node B Application Part)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Node B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버퍼상태 전송주기가 CSI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된다. 그러나, CDMA 시스템에서 페이딩 현상에 의한 일시적인 채널변화는 전력제어에 의해 어느 정도 극복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Node B 제어 스케쥴링은 지형적인 영향 등에 의한 새도우(shadowing) 등의 긴 시간 페이딩(long term fading) 현상 즉 긴 시간 동안의 평균적인 채널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CSI는 긴 시간 동안의 평균적인 채널 상황을 반영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SI 가 긴 시간 동안의 평균적인 채널 상황을 나타내는 경우, CSI 전송주기를 버퍼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CSI 전송주기가 버퍼상태 전송주기보다 짧게 되는 경우와, CSI 전송주기가 버퍼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된 요지는 CSI 전송주기와 버퍼상태 전송주기를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경우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에서는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CSI 전송주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전송주기들에 따라 버퍼상태와 CSI를 전송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 및 시스템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E에서 전송하는 버퍼상태와 CSI을 포함하는 코드 블록을 도시화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버퍼상태와 CSI는 하나의 스케쥴링 구간 동안에 전송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스케쥴링 구간은 10ms이다.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CSI 전송주기를 달리하기 위해 UE는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CSI를 각각 별개의 코딩 체인(Coding Chain)을 거쳐 채널 부호화한다.
이때, 상기 버퍼상태는 CRC를 부가한 후 채널 부호화를 거치며, 상기 CSI는 CRC를 부가하지 않고 채널 부호화를 거친다. 상기 Node B는 CRC 체크를 통해 버퍼상태가 전송되었음을 인식한다. 상기 CSI는 상기 버퍼상태의 후단에 위치하여 전송되므로 상기 CSI의 수신여부는 상기 버퍼상태의 수신여부로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의 동작에 대해 알아본다.
1. EUCD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의 양이 스케쥴링을 위한 소정 임계값 이상이면, UE는 Node B로 버퍼 상태 및 CSI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2. 상기 UE는 상기 버퍼상태와 CSI를 전송한 후, 설정된 전송주기(RNC가 UE 로 전송한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와 CSI 전송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주기는 상기 RNC가 통보한 전송주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 UE는 버퍼상태와 CSI를 전송한 후 Node B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가 전송되는지 알기 위해 EU-SCHCCH을 체크한다.
4. EUDCH 데이터 버퍼의 패킷 데이터 양이 상기 임계값 미만으 감소되면 UE는 버퍼상태 및 CSI 전송을 중단한다. 다른 경우, 상기 Node B로부터 Node B 스케쥴링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에도 버퍼상태 및 CSI 전송을 중단한다.
Node B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Node B는 UE로부터 버퍼상태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EU-DPCCH의 CRC 체크를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CRC 체크에 의해 어느 한 스케쥴링 구간에서 상기 버퍼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스케쥴링 구간의 상기 버퍼상태 후단에서 CSI를 수신한다.
2. Node B는 버퍼상태와 CSI를 처음으로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수신주기들(상기 RNC가 Node B로 통보한 수신주기들)에 따라 지정된 스케쥴링 구간들에서 버퍼상태와 CSI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퍼상태가 수신되는 스케쥴링 구간들은 상기 CSI 가 수신되는 스케쥴링 구간들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Node B는 상기 버퍼상태와 CSI를 이용하여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3. Node B는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상기 UE의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치가 소정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버퍼상태와 CSI의 수신을 중단한다.
4. 다른 경우, Node B는 상기 버퍼상태와 CSI 전송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UE로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와 Node B간의 스케쥴링 할당을 위한 EU-DPCCH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CNTsch_int는 스케쥴링 구간들을 구별하는 스케쥴링 구간 번호(index)이며 각 스케쥴링 구간은 버퍼상태를 전송하기 위한 영역과 CSI를 전송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한다.
CNTsch_int=10인 1010 구간에서 상기 UE는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이 스케쥴링을 위한 임계값을 초과함을 인지하고 상기 Node B로 버퍼상태와 CSI를 최초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UE는 상기 Node B로 버퍼상태와 CSI를 각각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CSI 전송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상기 버퍼상태의 전송주기는 8배의 스케쥴링 구간길이(Tsch_int)이므로 버퍼상태는 CNTsch_int가 10,18,26인 구간들(1010,1014,1018)에서 전송되며, 상기 CSI의 전송주기는 4배의 스케쥴링 구간길이이므로CSI는 CNTsch_int가 10,14,18,22,26인 구간들(1010,1012,1014,1016,1018)에서 전송된다.
상기 Node B는 버퍼상태와 CSI를 처음 수신한 후, RNC로부터 통보된 버퍼상태와 CSI의 수신주기들에 따라 상기 UE로부터 버퍼상태와 CSI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1000 및 1002 구간들에서 상기 Node B는 가장 최근에 보고된 버퍼상태와 CSI 및 ROT 상황을 고려하여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상기UE에게 전송한다.
상기 Node B는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상기 UE의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을 추정하고, 상기 UE가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였다고 판단되면,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상기 UE로 더 이상 전송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Node B는 1004 구간에서처럼 상기 UE에게 상기 UE에 대해 스케쥴링 할당 정보가 더 이상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UE는 상기 Node B로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을 중단한다. 상기 Node B는 상기 스케쥴링을 중단한 이후에도 상기 UE로부터 새로운 버퍼상태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EU-DPCCH의 스케쥴링 구간들마다 CRC 체크를 게속하여 수행한다.
상기 Node B에서 스케쥴링 할당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UE는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가 상기 임계값 이하가 되면 상기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을 중단한다.
상기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버퍼상태와 CSI의 주기적인 전송을 시작하는 시점은,최초로 전송한 버퍼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최초로 전송한 버퍼상태와 별개로 하기된 과정을 통해 상기 버퍼상태와 CSI의 전송시점을 결정한다. 하기 〈수학식 5〉는 버퍼상태의 전송시점을 결정하는 수식이며, 하기 〈수학식 6〉은 상기 CSI의 전송시점을 결정하는 수식이다.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6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7
여기서 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다. 상기 CNTsch_int는 스케쥴링 구간들을 식별하는 스케쥴링 구간 번호이다. 상기 offset_buffer 는 EUDCH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UE들로부터의 버퍼상태들이 같은 시점에 전송되어 상기 시점에서 Node B의 측정 ROT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UE들 별로 가능한 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정수 값이다. 각 UE들은 자신에게 설정된 offset_buffer에 따라 상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에서 버퍼상태를 상기 Node B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offset_CSI는 복수의 UE들로부터 CSI가 같은 시점에 전송되어 상기 시점에서 Node B의 측정 ROT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UE들 별로 가능한 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정수 값이다. 각 UE들은 자신에게 설정된 offset_CSI에 따라 상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에서 CSI를 상기 Node B로 전송한다. 상기 offset_buffer와 상기 offset_CSI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버퍼상태와 CSI를 전송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에 도시한 UE는 각각 0으로 설정된 offset_buffer와 offset_CSI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는 8배의 스케쥴링 구간길이이며, 상기 CSI 전송주기는 4배의 스케쥴링 구간길이이다. 그러면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상기 버퍼상태의 전송시점(1106,1108)은 CNTsch_int=16, 24이며, 상기 〈수학식 6〉에 의해 상기 CSI의 전송시점(1105,1106,1107,1108,1109)은CNTsch_int=12, 16, 20, 24,28이다. 상기 UE는 1104 구간에서 버퍼상태와 CSI를 최초로 전송한 후, 1105, 1106, 1107,1108,1109 구간들에서 상기 CSI를 전송하고, 1106, 1108 구간들에서 버퍼상태를 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의 EUDCH 전송제어기(12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송 시작 및 종료 결정기(1202)는 버퍼상태 및 CSI 전송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시작시점은 입력된 버퍼상태를 미리 정해지는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버퍼상태(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의 양)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전송 시작 및 종료 결정기(1202)는 상기 버퍼상태 및 CSI의 전송 시작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하여 시작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종료시점은 상기 Node B로부터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이다. 다른 경우, 상기 버퍼상태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전송 시작 및 종료 결정기(1202)는 상기 버퍼상태 및 CSI의 전송 종료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하여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
전송시점 결정기(1204)는 상기 전송 시작 및 종료 결정기(1202)에서 상기 시작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버퍼상태 및 CSI의 전송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버퍼상태 및 CSI의 전송시점은 상기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NTsch_int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버퍼상태 및 CSI의 전송주기들 Tbuffer, TCSI는 RNC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전송시점 결정기(1204)로 전달된다. 상기 전송시점 결정기(1204)는 버퍼상태 전송시점이 결정되면 상기 버퍼상태 전송시점에 대응하는 스케쥴링 구간들에서 버퍼상태 전송스위치(1206)을 온(on)시킨다. 또한 상기전송시점 결정기(1204)는 CSI 전송시점이 결정되면 상기 CSI 전송시점에 대응하는 스케쥴링 구간들에서 CSI전송스위치(1214)을 온시킨다.
상기 버퍼상태 전송스위치(1206)가 온되면 상기 버퍼상태가 CRC 부가부(1208)로 입력된다. 상기 버퍼상태는 CRC부가부(1208)에서 CRC가 부가된 후, 채널 코딩부(1210)에서 채널코딩된다. 상기 채널코딩된 버퍼상태는 다중화기(1212)로 입력된다. 상기 CSI 전송스위치(1214)가 온되면 상기 CSI는 채널 코딩부(1216)에서 채널코딩된 후, 상기 다중화기(1212)로 입력된다. EUDCH 전송포맷(TF) 결정기(1218)은 상기 Node B로부터 전송된 스케쥴링 할당정보를 이용하여상기 EUDCH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의 전송 포맷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송 포맷을 나타내는 전송포맷 인자(E-TFRI)를 생성한다. 상기전송포맷인자(E-TFRI)는 CRC 부가부(1220)에서 CRC가 부가된 후, 채널 코딩부(1222)에서 채널 코딩된다. 상기 채널 코딩된 전송포맷인자는 상기 다중화기(1212)로 입력된다. 상기 다중화기(1212)는 상기 부호화된 버퍼상태, CSI, 전송포맷 인자를 다중화하여 EU-DPCCH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EUDCH 패킷 송신기(1224)는 상기 EUDCH 전송포맷 결정기(1218)에서 결정한 전송포맷을 이용하여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UE 송신단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1300단계에서 상기 UE는 버퍼상태, 즉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의 양을 관찰(monitoring)한다. 1302단계에서 상기 UE는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1306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으면 1304단계로 이동한다. 1304에서 상기 UE는 다음 스케쥴링 구간이 될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를 관찰하기 위해 1300단계로 복귀한다.
1306단계에서 상기 UE는 버퍼상태와 CSI를 전송하고, 130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308단계에서 상기 UE는 다음 스케쥴링 구간까지 대기한 후, 1310단계에서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를 관찰한다. 1312단계에서 상기 UE는 버퍼상태와 CSI를 계속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과 상기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여전히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UE는 상기 버퍼상태와 CSI를 계속 전송하기 위해 1314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아졌으면 상기 UE는 상기 버퍼상태와 CSI전송을 중단하기 위해 1322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322단계에서 상기 UE는 역방향 패킷전송서비스를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역방향 패킷 전송서비스를 계속한다고 판단되면 1324단계로 이동하여 다음 스케쥴링 구간까지 대기한다. 상기 역방향 패킷 전송서비스를 계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1314단계에서 상기 UE는 현재 스케쥴링 구간 번호가 상기 RNC로부터 전송된 버퍼상태 전송주기에 따라 결정된 버퍼상태 전송시점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스케쥴링 구간 번호가 상기 버퍼상태 전송시점과 일치하면 1316단계로 이동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131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316단계에서 상기 UE는 버퍼상태를 전송하고, 131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318단계에서 상기 UE는 상기 현재 스케쥴링 구간 번호가 상기 RNC로부터 전송된 CSI 전송주기에 따른 CSI 전송시점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스케쥴링 구간 번호가 상기 CSI 전송시점과 일치하면 1320단계로 이동하고,일치하지 않으면 1308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1320단계에서 상기 UE는 CSI를 전송하고, 1308단계로 복귀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Node B의 수신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안테나(1400)는 UE가 전송한 RF 신호를 수신한 후 RF부(1402)로 전달한다. 상기 RF부(1402)는 상기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전환한 후 펄스 형성기(Pulse Shaping Filter)(1404)로 전달한다. 상기 펄스 형성기(1404)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스크램블러(1406)로 전달한다. 상기 디스크램블러(1406)는 스크램블링 코드 Cscramble을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한다.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신호는 역확산부(1408)에 의해 OVSF 코드 COVSF와 곱해지고, 채널보상부(1410)를 거친 후 역다중화기(1412)로 전달된다. 상기 역다중화기(1412)는 상기 채널 보상부(141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부호화된 버퍼상태와 CSI, E-TFRI로 분리한다. 최초에 CSI 수신 스위치(1414)와 버퍼상태 수신 스위치(1416)는 온(on)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CSI는 각각 버퍼상태 채널 디코딩부(1422)와 CSI 채널 디코딩부(1420)로 전달된다.
상기 부호화된 버퍼상태는 상기 버퍼상태 채널 디코딩부(1422)에 의해 채널 디코딩된다. 버퍼상태 CRC 검사기(CRC Checker)(1426)는 상기 버퍼상태에 대해 CRC를 검출한다. 상기 CRC 검사기(1426)는 상기 CRC 검출 결과 값을 수신시점 제어기(1434)로 전달한다. 상기 수신시점 제어기(1434)는 상기 CRC 검출 결과 값을 이용하여 상기 UE로부터 버퍼상태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CRC 검출 결과 값이 성공이면, 즉 상기 UE로부터 버퍼상태가 전송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시점 제어기(1434)는 수신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고CNTsch_int와 Tbuffer, TSCI, 임계값(THRESbuffer)을 이용하여 버퍼상태 및 CSI의 수신시점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수신시점에서만 버퍼상태 수신 스위치(1416)와 CSI수신 스위치(1414)을 각각 온시킨다.
상기 CSI 채널 디코딩부(1420)는 상기 부호화된 CSI를 채널 디코딩한 후 EUDCH 스케쥴러(1430)로 전달한다. 상기 EUDCH 스케쥴러(1430)는 상기 CSI 채널 디코딩부(1420)로부터 전달된 CSI와 상기 버퍼상태 CRC검출부(1426)로부터 전달된 버퍼상태를 이용하여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는 스케쥴링 제어 채널(EU-SCHCCH)을 통해서 상기 UE로 전송된다. E-TFRI 채널 디코딩부(1418)는 상기 역다중화기(1412)로부터 전달된 부호화된 E-TFRI를 채널디코딩한 후, E-TFRI CRC 검사기(1424)로 전달한다. 상기 E-TFRI CRC 검사기(1424)는 상기 E-TFRI에 대해 CRC 검사를 수행하고, 만일 상기 CRC 검사에 성공하면 상기 E-TFRI를 EUDCH 데이터 디코딩부(1428)로 제공한다.
상기 EUDCH 데이터 디코딩부(1428)는 상기 UE로부터 EU-DPDCH를 통해 수신된 EUDCH 데이터를 상기 E-TFRI를 이용하여 디코딩한다.
UE 버퍼상태 추정기(1432)는 상기 버퍼상태 CRC검출부(1426)로부터 전달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E-TFRI를 이용하여 상기 UE의 버퍼상태를 추정한다. 상기 버퍼상태 추정치는 상기 수신시점 제어기(1434)로 전달된다. 상기 수신시점 제어기(1434)는 상기 버퍼상태 추정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수신 종료 시점으로 판단하여, 스케쥴링 제어 채널(EU-SCHCCH) 송신기(도 5b)를 제어하여 상기 UE로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Node B에서 버퍼상태와 채널상태를 수신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1500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UE가 전송한 부호화된 버퍼상태를 채널 복호화한다. 1502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상기 버퍼상태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하고 1504단계로 이동한다. 1504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상기 CRC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스케쥴링 구간에서 상기 UE가 버퍼상태를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CRC 검사에 성공하면 상기 버퍼상태를 스케쥴러로 전달한 후 1506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CRC 검사에 실패하면 150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508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다음 스케쥴러 구간까지 대기한 후 1500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1506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상기 버퍼상태에 이어서 수신한 부호화된 CSI에 대해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여 CSI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CSI를 스케쥴러로 전달한 후, 1510단계에서 다음 스케쥴링 구간까지 대기한다. 1512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가장 최근에 수신한 버퍼상태와 수신 데이터 양을 이용하여 상기 UE의 버퍼상태를 추정한다. 상기 수신 데이터 양은 E-TFRI로부터 알 수 있으며, 상기 가장 최근에 수신한 버퍼상태에서 상기 수신데이터 양을 뺀 나머지가 상기 UE의 버퍼상태 추정치가 된다.
1514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상기 버퍼상태 추정치가 소정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갖는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UE의 버퍼상태 추정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가지면 1516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UE의 버퍼상태 추정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1526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UE로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 후 1528 단계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1526 단계를 점선으로 표기한 것은, 상기 1526 단계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만일 1526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1514 단계에서 1528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528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상향링크 패킷 전송 서비스를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향링크 패킷 전송 서비스를 계속할 것으로 판단되면 1530단계로 이동하여 다음 스케쥴링 구간까지 대기한 후 1500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향링크 패킷 전송 서비스를 중단할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1516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현재 스케쥴링 구간이 버퍼상태 수신시점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버퍼상태 수신시점이면 1518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버퍼상태 수신시점이 아니면 1522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518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상기 현재 스케쥴링 구간에서 버퍼상태를 수신하여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 후 1520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버퍼상태에 대해 CRC 체크를 수행한다. 상기 CRC 검사에 성공하면, 상기 버퍼상태는 스케쥴러로 입력된다.
1522단계에서 상기 Node B는 상기 현재 스케쥴링 구간이 CSI 수신시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CSI 수신시점이면 1524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현재 스케쥴링 구간에서 CSI를 수신하여 채널 복호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CSI 수신시점이 아니면 1510단계로 복귀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Node B로부터 전달되는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UE의 EU-SCHCCH 수신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안테나(1600)는 상기 Node B가 전송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RF부(1602)로 전달한다. 상기 RF부(1602)는 상기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전환한 후 펄스 형성기(1604)로 전달한다. 상기 펄스 형성기(1604)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크램블러(1606)로 전달한다. 상기 디스크램블러(1606)는 스크램블링 코드 Cscramble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한다.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신호는 스위치(1608)를 거친 후 역확산부(1610), 채널보상부(1612)를 거친 후 EU-SCHCCH 채널 복호기(1614)로 전달된다. 상기 스위치(1608)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EU-SCHCCH 채널 복호기(1614)는 상기 채널 보상부(1612)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대해 채널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EU-SCCCH CRC 검출부(1616)로 전달한다. 상기 EU-SCCCH CRC 검사기(1616)에서 상기 복호된 데이터에 대한 CRC 체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Node B로부터 스케쥴링 할당 정보가 수신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CRC 검사 결과가 성공이면 상기 EU-SCCCH CRC검사기(1616)는 상기 복호된 데이터가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검출하여 EUDCH 전송 제어기(1618)로 전달한다.또한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가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EU-SCHCCH CRC 검사기(1616)는 상기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검출하여 스케쥴링 할당 수신 제어기(1620)로 전달한다.
상기 스케쥴링 할당 수신 제어기(1620)는 EUDCH 데이터 버퍼의 버퍼상태와 소정 임계값 THRESbuffer, 그리고 버퍼상태 보고 플래그(Buffer state report flag)를 전달받는다. 상기 버퍼상태 보고 플래그는 상기 UE의 송신측에서 상기 Node B로 최초의 버퍼상태를 전송하였을 때 활성화된다. 상기 버퍼상태 보고 플래그에 의해 상기 Node B로 최초의 버퍼상태가 전송되었음을 인지하면, 상기 스케쥴링 할당 수신 제어기(1620)는 상기 스위치(1608)를 온(on)시켜 상기 Node B로부터 전송되는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스케쥴링 할당 수신 제어기(1620)는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1608)를 제어한다. 즉, 상기 버퍼상태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스위치(1608)는 온되어 상기 Node B로부터 전송된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버퍼상태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스위치(1608)는 오프(off)된다.또한 상기 스케쥴링 할당 수신 제어기(1620)는 상기 EU-SCHCCH CRC 검사기(1616)로부터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스위치(1608)를 오프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E 의 EU-SCHCCH 수신기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1700단계에서 상기 UE는 스케쥴링 할당 정보의 수신시작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수신시작 조건은 버퍼상태 보고 플래그가 활성화되는 시점이다. 상기 버퍼상태 보고 플래그가 활성화되면 1702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1704단계로 이동하여 다음 스케쥴링 구간까지 대기한다.
상기 1702단계에서 상기 UE는 EU-SCHCCH 수신 데이터에 대해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1704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CRC 체크를 수행한다. 상기 CRC 체크에 의해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가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라고 판단되면 1710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1712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710단계에서 상기 UE는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EUDCH 전송 제어기로 전달한다. 상기 1712단계에서 상기 UE는 다음 스케쥴링 구간까지 대기한 후, 1714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714단계에서 상기 UE는 EUDCH 데이터 버퍼의 버퍼 상태를 관찰한다. 상기 버퍼상태 관찰은 상기 EUDCH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716단계에서 상기 UE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스케쥴링 할당 정보의 수신을 계속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UE는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에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가 포함되었는지에 따라 스케쥴링 할당 정보의 수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상기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UE는 상기 스케쥴링 할당 정보를 계속 수신하기 위해 1702단계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상기 스케쥴링 해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171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718단계에서 상기 UE는 상향링크 패킷 전송 서비스를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상향링크 패킷 전송 서비스를 계속할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UE는 1720단계로 이동하여 다음 스케쥴링 구간까지 대기한 후 1700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상향링크 패킷 전송 서비스를 중단할 것으로 판단한다면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는 단말기 버퍼에 대기중인 데이터 양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을 위해 필요한 정보인 버퍼 상태와 CSI 정보를 다른 주기로 전송함으로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EUDCH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9)

  1.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스케쥴링을 위해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버퍼상태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나타내는 채널상태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채널상태 전송주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며,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이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을 시작한 후,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는 에러검출을 위한 사이클릭 리던던시 비트를 부가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주기적인 전송을 시작한 후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게 되면,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주기적인 전송을 중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을 시작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의 중단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주기적인 전송을 중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자원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스케쥴링을 위해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퍼상태와 채널상태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채널상태 수신주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퍼상태와 채널상태가 최초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가 최초로 수신되면,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에 따라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이전 버퍼상태와 상기 이전 버퍼상태 이후에 수신된 패킷 데이터 양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버퍼상태를 추정하는 과정과 ,
    상기 추정된 버퍼상태가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주기적인 수신을 중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채널상태정보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 수신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삭제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의 무선자원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소정 스케쥴링 구간의 할당된 전송영역들에 각각 실려 전송되며,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이 시작된 직후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스케쥴링 구간들 각각의 할당된 전송영역에 실려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이 시작된 이후, 미리 정해지는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과 상기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으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 각각의 할당된 전송영역에 실려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또는 상기 채널상태를 위한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8
    여기서 CNTsch_int는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의 구간 번호이며, 상기 offset은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단말들과 가능한 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정수 값이며, 상기 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며, 상기 T는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 또는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이며, 상기 Tsch_int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임.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 20 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2개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소프트 핸드오버 중에 있을 때,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가 긴 기간 페이딩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긴 주기 동안의 상향링크 채널 상황의 변화를 반영하는 경우,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버퍼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수신 데이터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전송에러 검출을 위한 사이클릭 리던던시 코드(CRC)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CRC를 검사한 결과 상기 수신 데이터에 에러가 없으면,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소정 스케쥴링 구간의 할당된 전송영역들에 각각 실려 수신되며,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가 최초로 수신된 직후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스케쥴링 구간들 각각의 할당된 전송영역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가 최초로 수신된 이후, 미리 정해지는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과 상기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으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 각각의 할당된 전송영역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또는 상기 채널상태를 위한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Figure 112005055191268-pat00039
    여기서 CNTsch_int는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의 구간 번호이며, 상기 offset은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단말들과 가능한 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정수 값이며, 상기 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며, 상기 T는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 또는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이며, 상기 Tsch_int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임.
  2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의 중단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소프트 핸드오버 중에 있을 때,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가 긴 기간 페이딩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긴 주기 동안의 상향링크 채널 상황의 변화를 반영하는 경우,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2.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스케쥴링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버퍼상태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나타내는 채널상태를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 데이터의 양을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전송 시작 시점과 전송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전송 시작 및 종료 결정기와, 여기서 상기 전송 시작 시점은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에 도달하는 시점이며,
    서로 다른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채널상태 전송주기를 획득하고, 상기 전송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에 따른 버퍼상태 전송시점과 채널상태 전송시점을 각각 결정하는 전송시점 결정기와,
    상기 결정된 버퍼상태 전송시점에서 상기 버퍼상태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버퍼상태 송신기와,
    상기 결정된 채널상태 전송시점에서 상기 채널상태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채널상태 송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송신기는,
    상기 결정된 버퍼상태 전송시점에서 상기 버퍼상태를 입력받는 스위치와,
    상기 버퍼상태에, 상기 버퍼상태의 전송에러 검출을 위한 사이클릭 리던던시 코드(CRC)를 부가하는 CRC 부가부와,
    상기 CRC가 부가된 상기 버퍼상태를 채널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채널 부호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송신기는,
    상기 결정된 채널상태 전송시점에서 상기 채널상태를 입력받는 스위치와,
    상기 채널상태를 채널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채널 부호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소정 스케쥴링 구간의 할당된 전송영역들에 각각 실려 전송되며,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전송시점과 상기 채널상태 전송시점은,
    상기 전송 시작 시점으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스케쥴링 구간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전송시점과 상기 채널상태 전송시점은,
    상기 전송 시작 시점 이후, 각각 미리 정해지는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과 상기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으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Figure 112005055191268-pat00040
    여기서 CNTsch_int는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의 구간 번호이며, 상기 offset은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단말들과 가능한 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정수 값이며, 상기 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며, 상기 T는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 또는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이며, 상기 Tsch_int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임.
  39.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작 및 종료 결정기는,
    상기 전송 시작 시점 이후 상기 패킷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게 되는 시점을 상기 전송 종료 시점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40.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작 및 종료 결정기는,
    상기 전송 시작 시점 이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의 중단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전송 종료 시점으로 결정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41.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42. 제 41 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2개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소프트 핸드오버 중에 있을 때,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4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4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가 긴 기간 페이딩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긴 주기 동안의 상향링크 채널 상황의 변화를 반영하는 경우,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45.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전송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주기는,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자원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장치.
  46.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스케쥴링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버퍼상태와 채널상태를 수신하는 상기 기지국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채널상태 수신주기를 획득하고,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의 수신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에 따른 버퍼상태 수신시점과 채널상태 수신시점을 각각 결정하는 수신 시점 제어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버퍼상태가 최초로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버퍼상태가 최초로 수신되는 시점을 상기 수신 시작 시점으로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버퍼상태 수신시점에서 상기 버퍼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버퍼상태 수신기와,
    상기 결정된 채널상태 수신시점에서 상기 채널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채널상태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기는,
    상기 버퍼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수신 데이터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사이클릭 리던던시 코드(CRC)를 입력받는 스위치와,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수신 시작 시점 이전에는 상기 수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통과시키고 상기 수신 시작 시점 이후에는 상기 결정된 버퍼상태 수신시점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를 통과시키며,
    상기 CRC를 검사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에 에러가 없으면 상기수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CRC 검사기와,
    상기 수신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버퍼상태를 검출하는 채널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수신기는,
    상기 결정된 채널상태 수신시점에서 상기 채널상태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입력받는 스위치와,
    상기 수신 데이터를 복호하여 상기 채널상태를 검출하는 채널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는 소정 스케쥴링 구간의 할당된 전송영역들에 각각 실려 수신되며,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시점과 상기 채널상태 수신시점은,
    상기 수신 시작 시점으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스케쥴링 구간들 각각의 할당된 전송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시점과 상기 채널상태 수신시점은,
    상기 수신 시작 시점 이후, 미리 정해지는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과 상기 최초의 지정 스케쥴링 구간으로부터 각각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의 정수배만큼 떨어진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 각각의 할당된 전송영역에 실려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Figure 112006088393067-pat00041
    여기서 CNTsch_int는 상기 지정 스케쥴링 구간들의 구간 번호이며, 상기 offset은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단말들과 가능한 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정수 값이며, 상기 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며, 상기 T는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 또는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이며, 상기 Tsch_int는 상기 스케쥴링 구간 길이임.
  53.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점 제어기는,
    이전 버퍼상태와 상기 이전 버퍼상태 이후에 수신된 패킷 데이터 양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버퍼상태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버퍼상태가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수신 종료 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점 제어기는,
    상기 수신 종료 시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버퍼상태와 상기 채널상태 전송의 중단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5.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소프트 핸드오버 중에 있을 때,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7.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가 긴 기간 페이딩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긴 주기 동안의 상향링크 채널 상황의 변화를 반영하는 경우,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59.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상태 수신주기와 상기 채널상태 수신주기는,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의 무선자원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KR1020030068506A 2003-08-16 2003-10-0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할당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9,036 US20050078651A1 (en) 2003-08-16 2004-08-16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scheduling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0040019416 EP1509011A3 (en) 2003-08-16 2004-08-16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scheduling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4236764A JP4243229B2 (ja) 2003-08-16 2004-08-16 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上りリンクパケットの伝送の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割当方法及び装置
CNA2004100951535A CN1604687A (zh) 2003-08-16 2004-08-16 用于上行链路分组传输的调度分配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6733 2003-08-16
KR1020030056733 2003-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540A KR20050018540A (ko) 2005-02-23
KR100703131B1 true KR100703131B1 (ko) 2007-04-05

Family

ID=3722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131B1 (ko) 2003-08-16 2003-10-0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44B1 (ko) * 2007-12-14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공통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5871A1 (ja) * 2005-03-11 2006-09-14 Ntt Docomo, Inc.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US8204007B2 (en) * 2005-08-01 2012-06-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enhanced dedicated channel transmissions
KR100842537B1 (ko) * 2006-01-18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의 입출력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683385B1 (ko) * 2019-04-01 2024-07-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병렬 처리가 가능한 스케줄러, 시스템 및 이의 스케줄링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645A (ko) * 2000-07-06 2002-01-16 서평원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hdr) 시스템의 버퍼상태 보고메시지와 버퍼상태 보고 메시지 전송방법
US20020183066A1 (en) 2001-04-12 2002-12-05 Pankaj Rajesh K.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45288A1 (en) 2001-08-28 2003-03-06 Carlo Luschi Method of send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corresponding apparatus
KR20040110044A (ko) * 2003-06-20 2004-12-29 김영용 CDMA2000 1x EV-DO 시스템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러(BBS:Buffer BasedScheduler)개발
KR20060013529A (ko) * 2003-05-07 2006-02-1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디바이스용 업링크 스케줄링에서 이용되는 버퍼점유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645A (ko) * 2000-07-06 2002-01-16 서평원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hdr) 시스템의 버퍼상태 보고메시지와 버퍼상태 보고 메시지 전송방법
US20020183066A1 (en) 2001-04-12 2002-12-05 Pankaj Rajesh K.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45288A1 (en) 2001-08-28 2003-03-06 Carlo Luschi Method of send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corresponding apparatus
KR20060013529A (ko) * 2003-05-07 2006-02-10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디바이스용 업링크 스케줄링에서 이용되는 버퍼점유율
KR20040110044A (ko) * 2003-06-20 2004-12-29 김영용 CDMA2000 1x EV-DO 시스템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러(BBS:Buffer BasedScheduler)개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44B1 (ko) * 2007-12-14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공통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540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322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上りリンクパケットの伝送の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割当方法及び装置
KR100828800B1 (ko) 하이브리드 tdm/ofdm/cdm 역방향 링크 전송
JP5265502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832117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3895361B2 (ja) 通信方法
EP150901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1024568A1 (en) Closed loop resource allocation in a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07500477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チャネルへの出力割当ての方法及び装置
EP1526670A1 (en) Radio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KR101042814B1 (ko) 향상된 역방향 전용전송채널을 서비스하는 비동기 방식의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전송시구간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031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할당 방법 및 장치
JP5007329B2 (ja) 通信モード制御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端末
KR1006449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할당 방법 및 장치
JP3895364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828801B1 (ko) 하이브리드 tdm/ofdm/cdm 역방향 링크 전송
JP4437798B2 (ja) 通信モード制御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基地局及び移動通信端末
HK1081787B (en)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50107280A (ko) 상향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전송상태정보의 통지장치 및 방법
MXPA06005177A (en) Hybrid tdm/ofdm/cdm reverse link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0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