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949B1 -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2949B1 KR100702949B1 KR1020040110206A KR20040110206A KR100702949B1 KR 100702949 B1 KR100702949 B1 KR 100702949B1 KR 1020040110206 A KR1020040110206 A KR 1020040110206A KR 20040110206 A KR20040110206 A KR 20040110206A KR 100702949 B1 KR100702949 B1 KR 100702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camera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Disclosed is a vehicular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The surveillance camera device for a vehicl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start photographing the camera unit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unit, and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널리 보급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required for a vehicular surveillance camera device can be reduced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that is widely used.
감시 카메라Security camera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차량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monitoring system having a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제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devi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in the manu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devi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in the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camer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veillance camera device for a vehicl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도난을 방지하거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이 개인의 집뿐만 아니 라 은행이나 공공 건물 등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Security systems to prevent theft or to monitor the surroundings are installed in banks and public buildings as well as private homes. Such a security system is provided with a surveillance camera for monitoring a person.
최근에는 감시 카메라를 건물들 뿐만 아니라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 절도 또는 주차된 차량을 훼손하는 범인을 색출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Recently, surveillance cameras are installed in vehicles as well as buildings, and are used for theft of vehicles or for finding out who is damaging a parked vehicle.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는, 대부분 별도의 카메라를 장착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 등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영상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형태이다.BACKGROUND ART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es for vehicles in accordance with the related art are equipped with mostly separate cameras and display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on a monitor, or by using a separate imaging system.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는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감시 카메라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나 통신장치가 필요로 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감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vehicle surveillanc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requires a separate software or communication device for driving the surveillance camera device, there is a limit to anyone using the surveillance camera device convenient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최근 널리 보급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veillance camera device that can monitor the state of a vehicl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that has been widely spread recently. hav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센서부가 구비된 차량을 감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촬영을 개시하는 자동모드와, 외부로부터의 촬영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을 개시하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원격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onitoring camera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nitoring a vehicl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ensor unit, th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start photographing the camera unit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put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n automatic mode which starts shooting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and a manual mode that starts shooting according to a shooting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and wherei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shooting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mote location,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a vehicle monitoring camera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shooting control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 입력 전에는 최소한의 소비 전류만으로 동작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을 때 정상 상태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operates with a minimum current consumption before inputt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operates in a normal state when there is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상기 카메라부가 팬,틸트,줌 중 적어도 어느 한 동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amera unit is capable of operating at least one of pan, tilt and zoo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촬영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monitoring camera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a shooting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by receiving a photograph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여기서, 본 발명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vehicle surveillance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는 팬,틸트,줌 중 적어도 어느 한 동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amera unit is preferably at least any one of the pan, tilt, zoo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차량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monitoring system having a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으로 영상 압축 및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PDA 폰 등을 포함하며, 감시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카메라장치를 구비하고 있거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press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obile phone, a PDA phone, and the like, and should be equipped with at least a camera device or a camera module to perform a surveillance camera func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이하, "제 1 이동통신 단말기"라 한다.)(100)는 차량에 구비된 센서부(200)에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촬영을 개시하며, 촬영된 영상을 기지국(210,230)을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제 2 이동통신 단말기"라 한다.)(300) 등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충격의 원인을 감시할 수 있는 차량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Referring to FIG. 1, a vehicle monitoring camera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act a vehicle by the
여기서, 차량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200)는 외부 충격에 따른 진동, 외부 충격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 및 외부 충격에 따른 위치 변화를 감지하도록 진동센서, 압력센서 및 위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는 외부 충격에 의해 차량이 훼손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적절한 위치, 예를 들면 범퍼, 도어, 윈도우, 루프 등에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한편, 상기 센서부(200)는 차량에 구비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 자체가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기지국(210,230)은 제 1, 2 이동통신 단말기(100,3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기 상호간 무선 신호의 송수신과 통신 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한다.The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220)은 상기 제 1,2 이동통신 단말기(100,300)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고, 그에 따른 통화 처리 및 호 처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In addition, the mobi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차량에 센서부(20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차량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사용자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촬영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감시 카메라 기능이 동작되도록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감시 카메라 기능이 동작되도록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부를 통해 설정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TV와 같은 영상 표시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도 2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ular surveillance camera devic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코덱(115), 카메라부(120), 카메라구동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입력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2, the first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 통화와 피사체 촬영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차량에 설치된 센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200)에서 충격에 의한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카메라부(120)를 동작시켜 촬영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차량에 충격 감지 등을 위한 센서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하는 설정옵션에 의해서 미리 정하여진 시각에 소정 시간동안 차량의 주변을 감시하도록 상기 카메라부(120)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120)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센서부(200)는 차량에 구비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포함시키고, 상기 센서부(200)를 차량의 소정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 자체가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카메라부(12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촬영이 개시되면 정지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코덱 (115)으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부(120)는 미도시된 렌즈, CMOS 센서 또는 CCD 센서,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등을 포함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코덱(115)으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부(120)의 구성 및 동작 등에 관한 사항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사실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 코덱(115)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JPEG 또는 MPEG 등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소정 비율로 압축한다.The
상기 카메라 구동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상기 카메라부(120)가 팬(pan), 틸트(tilt), 주밍(zooming)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20)를 기구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When the
상기 팬 기능은 미도시된 팬모터에 의해 카메라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이며, 틸트 기능은 미도시된 틸트모터에 의해 카메라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으로서, 팬/틸트 기능에 의해 감시영역은 확장가능하다. 또한 주밍 기능은 초점거리의 변화에 따라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확대/축소하여 촬영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팬모터 및 틸트모터는 속도 가변이 가능한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하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스텝(구동펄스)에 따라 모터의 회전방향, 속도의 가감 등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pan function is a function in which the camera is rotated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fan motor not shown, and the tilt function is a function in which the camera is rotated vertically and vertically by a tilt motor not shown, and is monitored by the pan / tilt function. The area is expandable. In addition, zooming is a function of zooming in and out of an image by adjusting a magnific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focal length. The fan motor and the tilt motor may use a stepping motor having a variable speed, and may adjust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speed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step (drive pulse) output from the controller.
상기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구현되며, 상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11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The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구현된다.The
상기 입력부(160)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60)를 통해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자동모드/수동모드를 전환하거나, 수동모드시 알람시계를 맞추는 것처럼 상기 카메라부(120)가 소정의 시각에 온(On)되어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상기 통신부(170)는 원격지의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통해 전송되는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거나, 상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70)에서 무선신호의 형태로 송신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220)의 제어하에 상기 기지국(210,230)을 거쳐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촬영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감시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300)에서 송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만,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이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이동통 신 단말기(100) 자체가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상기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코덱(325), 표시부(330), 저장부(340), 입력부(350)를 포함한다.The second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촬영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상기 코덱(325)에서 디코딩되어 표시부(33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코덱(325)에서 디코딩된 영상신호는 저장부(340)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vide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상기 입력부(350)는 원격지의 사용자가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곳으로, 예를 들어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기능 등을 제어하기 위한 키와, 수동모드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촬영을 개시하기 위한 촬영 제어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키 등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한 제어 명령은 상기 제어부(320)를 거쳐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송신된다.The
상기한 바와 같은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거나, 상기 입력부(350)를 통한 키 조작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120)의 촬영 개시, 팬/틸 트/줌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e second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vehicular surveillance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devi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manual mode.
여기서, 수동 모드란 상기 센서부(200)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120)가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의 소정의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카메라부(120)가 동작하는 모드를 말한다.Here, the manual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부(160)를 통해서 수동모드를 설정한다(단계 400). 상기 제어부(110)는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장치 전반을 제어하여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한다(단계 405). 여기서, 상기 대기모드 상태는 전원 절약을 위해서 최소한의 소비 전류만으로 작동이 되도록, 상기 표시부(140)의 전원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의 기동전류가 수 ㎂ ~ 수십 ㎂ 만 흐르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감시 카메라 작동을 하기 위한 정상적인 동작 소비전류가 흐르도록 한다(단계 410).First, the user sets the manual mode through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촬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신호가 이용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단계 415). 휴대폰의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한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이용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hotographing control signal is received in the standby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who has permission to use (step 415).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e
상기 촬영 제어신호가 정당한 이용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20)를 동작시켜 촬영을 개시한다(단계 420).If the photographing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who has a right to use, the
상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코덱(115)에 의하여 압축되어,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단계 425).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송신된 영상신호를 수신한 제 2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차량의 감시가 가능하다.The image captured by the
상기 수동 모드는 차량에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이용될 수 있다.The manual mode may be used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n impac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devi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automatic mode.
여기서, 자동 모드란 상기 센서부(200)에 의하여 소정의 충격이 차량에 가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센서부(2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한 제어부(110)가 상기 카메라부(120)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촬영을 개시하는 모드를 말한다.In the automatic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redetermined shock is applied to the vehicle by the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부(160)를 통해서 자동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500). 상기 제어부(110)는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장치 전반을 제어하여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단계 505). 여기서, 상기 대기모드 상태는 상기 수동모드에서와 같이 최소한의 소비 전류만으로 작동이 되는 상태이거나,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인 전원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200)에서 충격에 의한 신호가 감지된 경우 소정의 스위치의 작동으로 메인 전원을 온시켜 카메라가 동작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First, the user sets the automatic mode through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충격에 의한 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510),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충격에 의한 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20)를 작동시켜 촬영을 개시한다(단계 515).As described above, in the standby mode state, the
상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코덱(115)에 의하여 압축되어,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되어, 사용자는 원격지에서도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 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The image captured by the
상기 자동 모드는 적어도 상기 센서부(200)를 구비한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100)를 연결함으로써 동작가능하다.The automatic mode is operable by connect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널리 보급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a vehicle surveillance camera devic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that is widely sprea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차량 주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며, 차량 손상 및 도난 등의 사고 내용을 차량 소유자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차량 소유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monitor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from a remote location, and can inform the vehicle owner of accidents such as vehicle damage and theft, thereby preventing economic loss of the vehicle owner. Can b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0206A KR100702949B1 (en) | 2004-12-22 | 2004-12-22 |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0206A KR100702949B1 (en) | 2004-12-22 | 2004-12-22 |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1582A KR20060071582A (en) | 2006-06-27 |
KR100702949B1 true KR100702949B1 (en) | 2007-04-03 |
Family
ID=3716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02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2949B1 (en) | 2004-12-22 | 2004-12-22 |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29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823B1 (en) | 2008-08-25 | 2010-08-20 | (주)텔레비트 | Real time video remote control device using video pho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7157B1 (en) * | 2006-08-29 | 2008-09-05 |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 Vehicle home security system using interpho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9951A (en) * | 1997-12-16 | 1999-07-05 | 박호영 | Multifunctional device of car and its control method |
KR20040093223A (en) * | 2003-04-22 | 2004-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dio/Video System with Car Sentr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KR20060030773A (en) * | 2004-10-06 | 2006-04-11 | 정연규 |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camera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
KR20060058904A (en) * | 2004-11-26 | 2006-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implement black box function using a mobile phone |
-
2004
- 2004-12-22 KR KR1020040110206A patent/KR1007029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9951A (en) * | 1997-12-16 | 1999-07-05 | 박호영 | Multifunctional device of car and its control method |
KR20040093223A (en) * | 2003-04-22 | 2004-11-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dio/Video System with Car Sentr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KR20060030773A (en) * | 2004-10-06 | 2006-04-11 | 정연규 |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camera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
KR20060058904A (en) * | 2004-11-26 | 2006-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implement black box function using a mobile phon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823B1 (en) | 2008-08-25 | 2010-08-20 | (주)텔레비트 | Real time video remote control device using video 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1582A (en) | 2006-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37141B2 (en) | Car control system an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 |
US20050128314A1 (en) |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system | |
JP5525903B2 (en) | Security system | |
US10846954B2 (en) |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 |
JP3870779B2 (en) | Car monitoring system | |
KR100702949B1 (en) | Vehicle monitoring camera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140136278A (en) | PTZ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 |
KR20040022124A (en) | System and the method for mobile burglar prevention | |
JP2001036879A (en) | Wireles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KR101449477B1 (en) | Security system using video door phone | |
KR100323651B1 (en) | Monitoring System using a network | |
KR101259797B1 (en) | An car alarm system that transmit motion image and the operating methode of the same | |
JP4180262B2 (en) | In-vehicle camera device | |
KR101066339B1 (en) | Wired and wireless terminal with remote monitoring function and method | |
KR20100056696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surveillance in car | |
JP2005217549A (en) | Portable telephone with camera control function | |
KR100571876B1 (en) | Security system using computer camera | |
KR20040093223A (en) | Audio/Video System with Car Sentr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
JP2003023564A (en) | Imaging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 |
KR20060071584A (en) | Surveillance camera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4095171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2305742A (en) |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 |
JP2001275105A (en) | Image compression transmission system | |
JP2009290305A (en) | Visitor monitoring system | |
KR100481004B1 (en) | Home monitoring device of a LCD TV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3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329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