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2414B1 -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414B1
KR100702414B1 KR1020057002362A KR20057002362A KR100702414B1 KR 100702414 B1 KR100702414 B1 KR 100702414B1 KR 1020057002362 A KR1020057002362 A KR 1020057002362A KR 20057002362 A KR20057002362 A KR 20057002362A KR 100702414 B1 KR100702414 B1 KR 10070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input
area
normalized
coordinate 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9848A (en
Inventor
겐지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414B1/en
Publication of KR2005003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414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입력 영역에 물리적인 제약이 있을 경우라도 문자나 도형이 혼재하는 내용에 대해서 위화감 없이 입력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표시 화면상에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하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정규화하지 않은 필적을 입력하는 동시에 필적을 정규화하여 표시하는 필적 배치 영역을 구비한 수기 입력 장치로서,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된 좌표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좌표 입력 수단과, 좌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필적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 및 필적 배치 영역 중 어디에 입력될 것인지 판단하는 입력 영역 판정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고, 입력 영역 판정 수단에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필적을 입력한다.Provided are a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a method capable of inputting content in which characters or figures are mixed even when there are physical limitations in the input area. A handwriting input device having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for inputting a handwriting to be normalized and input on a display screen, and a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for inputting non-normalized handwriting and normalizing and displaying the handwriting, wherei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is inputted by an input medium. At least a coordinate input means for acquiring coordinate position information, and input reg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ich of the handwriting is to be input based on the coordinate position information; Enter handwriting based on the results.

입력 영역, 물리적인 제약, 문자, 도형, 혼재, scribe, 정규화, 좌표, 필적 Input area, physical constraints, characters, shapes, blends, scribe, normalization, coordinates, handwriting

Description

수기 입력 장치 및 방법{HANDWRITING-INPUT DEVICE AND METHOD}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HANDWRITING-INPU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표시 영역이 좁은 휴대형 단말에서, 좌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문자나 도형 등의 필적(筆跡)을 입력하는 수기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handwriting such as letters and figures using coordinate input means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narrow display area.

최근, CPU의 소형화와 고속화 및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소형 또는 경량인 표시 장치에서의 화면 표시 속도 및 정밀도의 향상에 따라, 휴대 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휴대 단말에서도 소형화와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형 휴대 단말 등에서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를 설치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어려운 동시에, 휴대 전화와 같은 엄지 손가락 입력 인터페이스에서는 입력 시간의 단축화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수기(handwriting) 문자나 수기 도형을 입력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miniaturization and high speed of the CPU and the improvement of the screen display speed and precision in the small or light display device represented b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miniaturization and the light w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t's going on. In such a small portable terminal, it is physically difficult to provide an input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and in the thumb input interface such as a cellular phone, there is a limit in shortening the input time.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where an input interface for inputting text and handwritten figures is provided.

그러나, 일반적으로 소형 휴대 단말 등에서는 그 물리적인 제약으로부터 표시 화면이 상당히 작은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작은 표시 화면에서 수기 문자나 도형을 입력할 경우, 입력해야 할 표시 영역 면적은 반드시 충분한 공간을 갖고 있지 않고, 표시 영역의 물리적인 제약으로부터 표시 화면의 해상도를 높이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However, in general, in a small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the display screen is quite small due to its physical limitations. In the case of inputting handwritten characters or figures on such a small display screen, the display area area to be input does not necessarily have sufficient space, and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screen due to physical limitations of the display area.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기 입력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2939119호 공보에서는 입력 표시 영역 내에서 펜(pen)의 거동에 의해 입력 모드와 표시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스크롤(scroll) 등에 의해 비교적 넓은 입력 표시 영역을 확보한 후에 입력 모드로 수기 문자 등을 입력하고, 표시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표시 영역에 지정되어 있는 위치 또는 사이즈에 합치하도록 입력된 수기 문자 등에 관한 스트로크 데이터(stroke data)를 정규화하고, 원하는 위치에 수기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수기 입력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입력된 수기 문자를 정규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허 제3268029호 공보 또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0-91346호 공보 등에서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모드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입력시에는 입력하기 위해 충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표시시에는 적절한 사이즈로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 화면의 물리적 제약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handwriting input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2939119 discloses a relatively wide input display area by scrolling, or the like, by switching between the input mode and the display mode by the behavior of a pen in the input display area. By inputting handwritten characters and the like, switching to the display mode, normalizes stroke data related to the inputted handwritten characters and the like to match the position or size specified in the display area, and inputs handwritten characters and the like at desired positions. A handwriting input method is disclosed. The method of normalizing the input handwritten character is disclosed in detail in Japanese Patent No. 3268029,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91346, and the like. By performing the mode switching in this way, a sufficient area for input can be secured at the time of input, a proper size can be displayed at the time of display, and the physical constraints of the display screen can be solved.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8-185266호 공보에서는 스트로크 데이터와 비트 이미지(bit image)를 혼재시키면서 그 표시시의 문자의 편차를 조정하는 방법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124164호 공보에서는 수기 입력시는,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화면에서 입력하고, 열람시에는 표시 화면에 대응한 사이즈로 축소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어떤 방법에서도 입력시에는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입력하고, 표시 영역의 제약에 따라 표시 문자를 정규화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물리적 제약을 해결하는 것이다.Furth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185266 discloses a method of adjusting the deviation of characters during display while mixing stroke data and a bit image. In th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a method of inputting a handwritten input on an enlarged screen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nd when reading is reduced and display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screen, is disclosed.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display screen are solved by normalizing the display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onstraints of the display area.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서는 입력한 필적을 축소하는 것이 되므로, 표시 영역이 작아도 비교적 많은 필적을 기입할 수 있지만, 미리 필적의 기입 위치를 지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도형으로서 입력한 경우라도 문자로 간주되고, 정해진 크기로 정규화되어 버려서 도형을 입력할 수 없다. 따라서, 문자나 도형이 혼재하는 입력이 필요해질 경우에는, 다음에 문자를 입력할 것인지 도형을 입력할 것인지를 이용자가 입력 모드를 지정함으로써 의식하여 입력할 필요가 있고, 이른바 자유로운 수기 메모로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since the input handwriting is reduced, relatively many handwriting can be written even if the display area is small, but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e writing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 advance. In addition, even when input as a figure, it is regarded as a character, it is normaliz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a figure cannot be input. Therefore, when input in which characters or figures are mixed is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characters consciously by inputting the input mode in order to input characters or figures later, so that they can be used as free handwritten memos. There was no problem.

또한, 입력 영역에 입력한 후에 표시 영역에 입력된 문자나 도형이 표시될 때까지 타임 래그(time lag)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위치에 입력될 때까지 이용자가 대기 상태가 되어 버린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time lag until a character or a figure inputted in the display area is displayed after the input in the input area. In some cases, the user does not wait until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becoming.

또한, 입력시에는 확대한 입력 화면에 기입할 수 있지만 표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로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다량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스크롤 등을 빈번하게 수행함으로써, 미기입인 입력 영역을 표시할 필요가 있고, 조작 자체가 번거로워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put can be written on the enlarged input screen at the time of input, the area that can be actually input is relatively small, and scrolling is frequently performed to input a large amount of characters.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an input area that is not filled in needs to be displayed, and the operation itself becomes cumbersom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영역에 물리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라도 문자나 도형이 혼재하는 내용에 대해서 위화감 없이 입력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a method capable of inputting content in which characters and figures are mixed without discomfort even when there are physical restrictions in the input are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는, 표시 화면 상에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하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정규화하지 않은 필적을 입력하는 동시에 필적을 정규화하여 표시하는 필적 배치 영역을 구비한 수기 입력 장치로서,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된 좌표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좌표 입력 수단과, 좌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필적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 및 필적 배치 영역 중 어디에 입력될 것인지를 판단하는 입력 영역 판정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고, 입력 영역 판정 수단에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필적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for inputting a handwriting to be normalized and input on a display screen, and a handwriting arrangement for normalizing and displaying handwriting while inputting an unqualified handwriting A handwriting input device having an area, comprising: coordinate input means for acquiring coordinate position information input by an input medium, and determining whether a handwriting is to be input from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or a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based on the coordinate position information At least the input area determination means is provided, and the handwriting can be inpu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by the input area determination means.

이러한 구성에 의해, 펜 등의 입력 매체에 의한 조작 상황에 따라 정규화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할 것인지, 정규화하고 싶지 않은 필적을 입력할 것인지 제어 가능하고, 유저(user)가 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와 비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를 의식적으로 전환하는 일 없이, 유저의 의도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a handwriting to be normalized or a handwriting not to be normalized is input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tuation by an input medium such as a pen, and a user can input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mode and denormalization.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onsciously switching the handwriting input m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는 입력 영역 판정 수단에서, 필적 배치 영역에 입력된다고 판단된 경우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입력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필적 배치 영역의 지정 위치에서 직접 필적을 입력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area determination means is input to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whe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is not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is directly input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는 입력 영역 판정 수단에서, 필적 배치 영역에 입력된다고 판단된 경우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입력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을, 필적 배치 영역의 지정 위치에서 정규화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area determination means is input to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whe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is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the handwriting inputted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is compared. It is preferable to normalize and display at the designated position of the arrangement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는 좌표 입력 수단에서, 드래그(drag) 조작에 의한 연속된 좌표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입력 영역 판정 수단에서, 연속된 좌표 위치 정보의 시작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와 최종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를 검출하여, 시작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와 최종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가 각각 어느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입력 영역 판정 수단에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시작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에 존재하는 필적을 최종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continuous coordinate position information by a drag operation from the coordinate input means, and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sition of the continuous coordinat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 area determination means. And detecting the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position, and determining in which region the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sition and the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position exist, respectively,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input region determination means,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writing existing at the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an be moved to the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필적 배치 영역의 면적 비율을 지정하고, 지정된 면적 비율에 따라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필적 배치 영역의 표시 면적 비율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황에 따라 수기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designates the area ratio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region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region, and changes the display area ratio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region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region according to the specified area ratio. This is to facilitate input of handwritte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필적 배치 영역의 사이에 가로 스크롤(horizontal scroll) 영역을 설치하고, 가로 스크롤 영역에 의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할 문장 길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apable of providing a horizontal scroll region betwee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region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region and enlarging or reducing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region by the horizontal scroll region. desirable. This is because it can flexibly respond to the sentence length to be input.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기 입력 장치의 기능을 컴퓨터의 처리 스텝으로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표시 화면상에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하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정규화하지 않은 필적을 입력하는 동시에 필적을 정규화하여 표시하는 필적 배치 영역을 구비한 수기 입력 장치에서의 수기 입력 방법으로서,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된 좌표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좌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필적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 및 필적 배치 영역 중 어디에 입력될 것인지 판단하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고,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 및 필적 배치 영역 중 어디에 입력될 것인지 판단된 결과에 의거하여, 필적을 입력할 수 있는 수기 입력 방법 및 그러한 공정을 구현화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oftware for executing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handwriting input device as a processing step of a computer, specifically,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for inputting a handwriting to be normalized and input on a display screen; A handwriting input method in a handwriting input device having a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for inputting a handwriting that is not normalized and normalizing and displaying the handwriting,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coordinate position information input by an input medium; And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handwriting is to be inpu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Handwriting input methods and computer implementations of such proces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gram as possibl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컴퓨터 상에 상기 프로그램을 로드시켜 실행함으로써 펜 등의 입력 매체에 의한 조작 상황에 따라 정규화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할 것인지 정규화하고 싶지 않은 필적을 입력할 것인지 제어 가능하게 되고, 유저가 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와 비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를 의식적으로 전환하는 일 없이, 유저의 의도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by loading and executing the above program on a computer, it become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to input the handwriting which is to be normalized or the handwriting which is not to be norm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tuation by an input medium such as a pe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andwriting inpu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ithout consciously switching betwee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mode and the denormalized handwriting input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화면 구성 예시도.2 is an exemplary screen configuration in an embodiment using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 입력 조작의 설명도.3A to 3C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handwriting input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 입력 조작의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handwriting input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 재배치 조작의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handwriting reloca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 수정 조작의 설명도.6 (a) to 6 (c)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handwriting correc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 수정 조작의 설명도.7 (a) to 7 (c)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handwriting correc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의 다른 구성도.8 is another configuration diagram of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에서의 처리의 플로차트.9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i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컴퓨터 환경의 예시도.10 is an illustration of a computer environment.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다.Hereinafter,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of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1은 좌표 입력 수단을 나타내고 있고, 유저가 입력 가능한 화면 표시 영역에서, 펜 등의 입력 매체가 탭(tap)한 위치의 좌표를 입력하는 것이다. 여기에서,「탭한다」라는 것은 입력 매체가 표시 화면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In FIG. 1, 1 represents coordinate input means, and inputs the coordinate of the position which the input medium, such as a pen, tapped in the screen display area which a user can input. Here, "tap" means that the input medium contacts the display screen.

또한, 유저가 입력 가능한 화면 표시 영역으로서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과 필적 배치 영역(22)을 생각할 수 있고,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서는 정규화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할 수 있고, 필적 배치 영역(22)에서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서 입력된 필적을 정규화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정규화가 불필요한 필적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creen display area which a user can input,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 region 22 can be considered. In the normalization handwriting input area | region 21, the handwriting to be normalized can be input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is carried out. In the area 22, the handwriting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can be normalized and arranged, and input can be made for handwriting that does not require normalization.

또한, 2는 입력 영역 판정 수단을 나타내고 있고, 좌표 입력 수단(1)으로부터 입력된 좌표 위치가 상술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 또는 필적 배치 영역 (22)의 어느 영역에 상당할 것인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입력된 좌표가 위치하는 영역 및 다른 조건에 의거하여, 펜 등의 입력 매체에 의한 조작의 종류를 특정하게 된다. 다른 조건으로서는,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 또는 필적 배치 영역(22)에서의 좌표 위치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문자나 도형이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 등을 생각할 수 있다.2 indicates the input area determining means, which determines which area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or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coordinate position input from the coordinate input means 1. will be. Then, the type of operation by the input medium such as a pen is specified based on the area where the input coordinate is located and other conditions. As another condition,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racter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whether or not there is a character or a figure already arranged at a coordinate position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or the like can be considered. have.

우선, 입력된 좌표 위치가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일 경우에는, 정규화를 수행하고 싶은 필적의 입력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정규화 필적 입력 수단(3)에 의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정규화의 대상이 되는 필적이 입력된다. 입력된 필적은, 표시 수단(4)에 의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표시된다.First, when the input coordinate position is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t is judged that the handwriting input operation to be normalized is performed, and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means 3 performs normalization o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Target handwriting is entered. The input handwriting is displayed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by the display means 4.

다음에, 입력된 좌표 위치가 필적 배치 영역(22)으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이 없는 경우이고, 또한 입력된 좌표 위치에 이미 입력된 필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규한 정규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필적을 입력하는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정규화 불필요(不必要) 필적 입력 수단(5)에서 정규화 불필요의 필적 데이터로서 필적이 입력된다. 이 경우도, 입력된 필적은 표시 수단(4)에 의해 필적 배치 영역(22)에 표시된다.Next, when the input coordinate position is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and there is no handwriting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and when there is no handwriting already entered at the input coordinate pos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an operation for inputting a handwriting that does not require new normalization, and the handwriting is input by the normalization unnecessary handwriting input means 5 as handwriting data that does not require normalization. Also in this case, the input handwriting is displayed o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by the display means 4.

또한, 입력된 좌표 위치가 필적 배치 영역(22)으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이 있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필적을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하기 위한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필적 배치 수단(6)에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을 소정의 크기로 정규화하여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하게 된다. 즉,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서 일련의 필적을 입력 한 후에 펜 등의 입력 매체를 필적 배치 영역(22)으로 이동하고, 다시 표시 화면을 탭하면, 입력하고 있던 필적이 표시에 적당한 사이즈로 정규화된 후, 탭된 위치에 표시되게 된다. 이 경우,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된 필적은 표시 수단(4)에 의해 표시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coordinate position is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and there is a handwriting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t is judged that it is an operation for arrange | positioning the input handwriting to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 region 22. FIG. Then, the handwriting inputted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by the handwriting arranging means 6 is normaliz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placed in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22. That is, after inputting a series of handwriting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moving an input medium such as a pen to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22, and tapping the display screen again, the input handwriting has a size suitable for display. After normalization, it is displayed in the tapped position. In this case, the handwriting arrang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is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4.

또한, 탭된 좌표 위치가 필적 배치 영역(22)으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이 없고, 또한 입력된 좌표 위치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필적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미 배치되어 있는 필적을 필적 배치 영역(22)에서 재배치하기 위한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필적 배치 수단(6)에서 필적을 드래그하는 조작 등에 의해 이미 배치되어 있는 필적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미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되어 있는 필적을 탭 또는 드래그한 경우, 입력 영역 판정 수단(2)을 재배치하기 위한 조작이라고 판단하고, 지정된 필적이 펜의 드래그에 추종하여 이동하게 된다.If the tapped coordinate position is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and there is no handwriting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and there is a handwriting already arranged at the inputted coordinate position, the handwriting already arranged Is determined to be an operation for rearranging in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22, and the handwriting already arranged by the handwriting dragging means 6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at is, when tapping or dragging the handwriting already arranged in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22,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area determining means 2 is an operation for repositioning, and the designated handwriting follows the drag of the pen to move.

또한, 상술한 재배치하기 위한 조작에서, 이동 후의 지정 위치를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으로 한 경우에는, 입력 영역 판정 수단(2)에 의해 탭하여 선택된 필적에 대한 내용의 추가 등을 수행하는 편집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필적 배치 영역(22)에 있던 필적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으로 전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이한 편집의 수행도 가능해진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relocation operation, when the designated position after the movement is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the editing is performed by tapping by the input area determining means 2 to add content to the selected handwriting, and the like. It is judged that it is operation, and the handwriting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is transmitted to the normalization handwriting input area 21. By doing so, easy editing can be performed.

이상과 같이, 펜 등의 입력 매체에 의한 조작 상황에 따라 정규화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할 것인지 정규화 불필요의 필적을 입력할 것인지에 대해서 판단하면서 수기 입력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유저는 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와 비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를 의식적으로 전환하는 일 없이, 유저의 의도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perform normal handwriting input mode and denormalization by performing handwriting processing while judging whether to input the handwriting that is to be normalized or the handwriting that is not required for normaliz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us by an input medium such as a pen.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onsciously switching the handwriting input mode.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휴대 단말에 일체로 구성했을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화면 구성 예시도이다.Next,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in an embodiment using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구성은 대별(大別)하여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과 필적 배치 영역(22)의 2개로 대별되고, 그 경계에는 화면 비율 변경 바(bar)를 겸한 가로 스크롤 영역(23)이 존재한다. 또한, 24는 기입 모드와 소거 모드를 전환하는 소거 버튼 등으로 대표되는 조작용 메뉴가 배치되어 있는 조작용 메뉴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creen configuration is roughly divided into two,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and a handwriting arranging area 22, and a horizontal scroll having a screen ratio changing bar at the boundary thereof. Region 23 is present. 24 denotes an operation menu area in which an operation menu represented by an erase button or the like for switching between the write mode and the erase mode is arranged.

도 3의 (a) 내지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수기 문자 입력 조작의 설명도이다. 우선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축소하여」라는 수기 문자를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기입한다. 그리고, 필적 배치 영역(22)에서의 배치하고 싶은 위치를 펜 등에 의해 탭함으로써,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정규화 절차에 따라 수기 문자가 축소되고, 탭된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정규화의 수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Fig.3 (a)-(c)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input operation in the Example using the handwriting inpu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First, as shown in Fig. 3A, a handwritten character of "collapse" is written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Then, by tapping the position to be plac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with a pen or the like, as shown in Fig. 3B, the handwritten characters are reduced in size according to the set normalization procedure and arranged at the tapped position. Will be displayed. The means for normal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method may be used.

또한, 수기 문자의 입력이「축소하여 배치」라고 하는 긴 수기 문자가 되어버리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스크롤 영역(23)을 드래그하여 좌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 으로써, 현재 표시되어 있는 필적을 좌방향으로 이동시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서의 미기입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가로 스크롤 영역(23)을 드래그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는 필적도 이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긴 문장이라도 수기 문자로서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the case where the input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becomes a long handwritten character called "reduction and arrangement" is also conceivable.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case, as shown in FIG. 3C, by dragging the horizontal scroll region 23 to the left, the currently displayed handwriting is moved to the left to normalize the handwriting input region ( The unfilled area in 21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the handwriting display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croll region 23 is dragged also moves.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input long sentences as handwritten characters.

또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서 문자를 크게 쓰고 싶을 경우, 예를 들면 획수가 많은 복잡한 한자를 쓰고 싶을 경우 등에서는, 가로 스크롤 영역(23)을 상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의 폭도 크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a large character is to be written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for example, a complicated Chinese character with a large number of strokes is to be used,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 The width of 21 can also be increased.

이 경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의 폭을 확대한 자체로는 수기 문자를 배치할 때에 필적 배치 영역(22)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져 있다는 점에서 배치의 자유도가 상실된다. 여기에서, 필적 배치 수단(6)에서 필적 배치 영역(22)이 소정의 면적보다 협소한지 아닌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하고, 협소해져 있을 경우, 즉 가로 스크롤 영역(23)이 상한을 초과하여 상방으로 시프트하고 있을 경우에는 필적의 배치가 용이해지도록 필적 배치 영역(22)을 소정의 크기까지 확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규화하고 싶은 필적을 입력할 때에 크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경우라도 필적을 배치할 때에 물리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배치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width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tself is enlarged, the degree of freedom of placement is lost in that the handwriting placement area 22 is relatively narrowed when placing handwritten characters. Here, the handwriting arranging means 6 also judges whether or not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22 is narrower than a predetermined area, and if it is narrow, that is, the horizontal scroll area 23 exceeds the upper limit and moves upwards. When shifting, the handwriting placement area 22 is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handwriting can be easily arranged. In this way, even when the handwriting to be normalized is largely inputted,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handwriting without any physical constraints.

또한, 필적 배치 영역(22) 크기의 기정값은, 미리 적절한 값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정 화면을 준비해 두고, 유저의 선호에 따라 갱신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oreover,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reset value of the handwriting area | region 22 size to an appropriate value previously, it is more preferable to prepare a setting screen and to update it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다음에,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정규화 불필요 필적을 입력하는 조작의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도형은 정규화 조작 이 불필요해질 경우가 많고, 입력한 필적을 그대로 표시하면 될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 도 4에서는, 필적으로서 도형을 입력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operation for inputting normalization unnecessary handwriting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general, figures are often not required for normalization operations, and the handwriting input is often displayed as it is. Here, in FIG. 4, the case where a figure is input by hand is demonstrated.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규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도형 등의 필적을 입력할 경우, 필적 배치 영역(22)에 직접 필적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수기 입력 장치에서는, 상술한 정규화 불필요 필적 입력 처리가 실행되고, 표시 수단(4)에 의해 처리 결과가 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inputting a handwriting such as a figure that does not require normalization, the handwriting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At this time, in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the above-mentioned normalization unnecessary handwriting input process is executed, and the processing result is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4.

또한, 수기 도형을 입력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정규화된 도형을 입력하고 싶을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수기 도형을 입력하여 펜 조작에 의해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입력한 수기 도형의 크기에 대하여 축소 등의 정규화 처리된 것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반대로 수기 문자라도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싶지 않을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수기 도형의 입력과 같이 필적 배치 영역(22)에 직접 수기 문자를 쓰면 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a handwritten figure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shown in FIG. 4, and there is a case where a normalized figure is desired. In this case, for example, a method of inputting a handwritten figure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and arranging it in the handwriting placement area 22 by a pen operation may be used. In this case, normalized processing such as reduction is displayed on the size of the input handwritten figure. On the contrary, it may be considered that even handwritten characters do not want to be normalized and input. In this case as well, the handwriting character may be directly written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as in the input of the handwriting figure.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의 재배치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이미 배치되어 있던 수기 문자「잉크」를 펜 등의 입력 매체로 탭하고, 임의의 위치까지 드래그하여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필적 배치 영역(22)에 있는 수기 문자 또는 수기 도형을 펜 등으로 탭하고, 그대로 드래그함으로써 필적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handwriting rearrangement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handwritten character " ink " already arranged in FIG. 4 is tapped by an input medium such as a pen and dragged to an arbitrary position. That is, the arrangement of the handwriting can be freely changed by tapping the handwritten character or the handwritten figure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with a pen and dragging it as it is.

구체적으로는, 연속하여 입력한 복수의 필적 전체를 스트로크 데이터의 집합으로서 관리해 두고, 스트로크 데이터의 집합에 대한 외접 사각형의 내부 영역이 탭된 경우에 상기 스트로크 데이터의 집합이 이동 대상이 된다. 외접 사각형의 내부 영역은, 상기 외접 사각형의 좌상(左上) 좌표를 시작 위치, 우하(右下) 좌표를 종료 위치로서 특정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consecutive handwritings are all managed as a set of stroke data, and the set of stroke data becomes a moving object when the inner area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with respect to the set of stroke data is tapp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the upper left coordinate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can be specified as the start position and the lower right coordinate as the end position.

다음에,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필적을 입력하고 있는 경우에서, 필적의 입력 조작 자체를 잘못하여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하기 전에 내용을 수정하고 싶을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의 수정 조작의 설명도이다.Next, in the case where the handwriting is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contents need to be corrected before the handwriting input operation itself is incorrectly arrang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6 (a) to 6 (c) are explanatory views of a handwriting correc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우선 도 6의 (a)에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서 필적을 수정할 경우에는, 잘못한 부분을 소거하기 위하여 소거 모드로 변경하는 소거 버튼(61)을 선택한다. 소거 버튼(61)은 조작용 메뉴 영역(24)에 배치되어 있다.First, in Fig. 6A, when correcting the handwriting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the erase button 61 for changing to the erase mode is selected to erase the wrong part. The erase button 61 is arranged in the operation menu area 24.

그리고, 소거 모드에 들어가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 등을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탭하면, 지우개 아이콘(63)이 표시되고, 상기 지우개 아이콘(63)을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 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우개 아이콘(63)이 통과한 부분에서의 스트로크 데이터또는 비트 맵 데이터가 소거되게 된다.When the erase mode is entered, as shown in FIG. 6B, when a pen or the like is tapped o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an eraser icon 63 is displayed and the eraser icon 63 is normalized. By moving onto the input area 21, as shown in Fig. 6C, the stroke data or the bit map data at the portion where the eraser icon 63 has passed is erased.

물론, 필적의 소거 방법으로서는, 지우개 아이콘(63)이 통과한 부분만을 소거하는 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지우개 아이콘(63)이 일부라도 통과한 스트로크 데이터는 전부 소거하는 것일 수도 있고, 소거하고 싶은 필적을 「○」또는「□」등의 수기 폐쇄 영역으로 둘러싸는 방법일 수도 있다.Of course, the handwriting eras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erasing only the portion where the eraser icon 63 has passed, and for example, the stroke data passed even a part of the eraser icon 63 may be deleted. It may be a method of enclosing the handwriting desired to be erased by a handwritten closed area such as "○" or "□".

또한, 소거 모드로부터 일반적인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는, 소거 모드를 해제하는 입력 버튼(62)을 선택하는 방법일 수도 있고, 소거 모드에서 최초로 펜 업(up)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입력 모드로 복귀하는 설정으로 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witching from the erase mode to the normal input mode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an input button 62 for canceling the erase mode, and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input mode at the first pen-up time in the erase mode. It may also be a method of setting.

입력 버튼을 사용할 경우에는 필적을 연속하여 소거할 수는 있지만, 소거 모드를 해제하지 않으면 필적의 입력으로 옮겨질 수가 없다. 한편, 자동적으로 입력 모드로 복귀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필적의 복수 부분에 대해서 연속하여 소거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인 입력 조작은 금방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input button is used, the handwriting can be erased continuously, but cannot be transferred to the handwriting input unless the erase mode is released.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method of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 input mode, it is not possible to continuously erase a plurality of parts of the handwriting, but a general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다음에, 필적을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한 후에 그 내용을 수정한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사용한 실시예에서의 필적의 수정 조작의 설명도이다.Next,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corrected after arranging the handwriting in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22 can also be considered. 7 (a) to 7 (c)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handwriting correc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us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의 (a)에서도, 도 6의 (a)의 경우와 같이 잘못한 부분을 소거하기 위하여 소거 모드로 변경하는 소거 버튼(71)을 선택한다. 소거 버튼(71)은 조작용 메뉴 영역(24)에 배치되어 있다.Also in Fig. 7A, in order to erase the wrong part as in the case of Fig. 6A, the erase button 71 for changing to the erase mode is selected. The erase button 71 is disposed in the operation menu area 24.

그리고, 소거 모드에 들어가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 등을 필적 배치 영역(22)에 탭하면, 지우개 아이콘(73)이 표시되고, 상기 지우개 아이콘(73)을 필적 배치 영역(22) 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우개 아이콘(73)이 통과한 부분에서의 스트로크 데이터 또는 비트 맵 데이터(bit map data)가 소거되게 된다.Then, in the erase mode, as shown in FIG. 7B, when a pen or the like is tapped on the handwriting placement area 22, an eraser icon 73 is displayed, and the eraser icon 73 is placed in the handwriting placement area. By moving to (22), as shown in Fig. 7C, the stroke data or bit map data at the portion where the eraser icon 73 has passed is erased.

물론, 필적의 소거 방법으로서는, 지우개 아이콘(73)이 통과한 부분만을 소거하는 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지우개 아이콘(73)이 일부라도 통 과한 스트로크 데이터는 전부 소거하는 것일 수도 있고, 소거하고 싶은 필적을「○」또는「□」등의 수기 폐영역으로 둘러싸는 방법일 수도 있다.Of course, the handwriting eras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erasing only the portion where the eraser icon 73 has passed, and for example, the stroke data passed even if part of the eraser icon 73 is partially erased, The handwriting to be erased may be surrounded by a handwritten closed area such as "O" or "".

또한, 소거 모드로부터 일반적인 입력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는, 소거 모드를 해제하는 입력 버튼(72)을 선택하는 방법일 수도 있고, 소거 모드에서 최초로 펜 업(pen-up)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입력 모드로 복귀하는 설정으로 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witching from the erase mode to the general input mode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an input button 72 for releasing the erase mode, and automatically enters the input mode at the first pen-up time in the erase mode. The method may be set to return to.

또한, 입력 모드와 소거 모드의 전환 조작이 필요해진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의 수기 입력 장치 상당 부분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도 8에서는, 메뉴 지시 해석 수단(81)을 새롭게 설치하고 있고, 소거 모드에 들어가는 지시가 내려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witching operation of an input mode and an erase mode is required, the structure of the substantial part of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becomes as shown in FIG. In Fig. 8, the menu instruction analyzing means 81 is newly provid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instruction to enter the erase mode has been issued.

구체적으로는, 메뉴 지시 해석 수단(81)에서, 소거 버튼(61, (71))과 입력 버튼(62, (72))의 어느 것이 마지막으로 눌러졌는지, 즉 마지막으로 송신된 신호가 소거 모드 전환 신호인지 입력 모드 전환 신호인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지우개 아이콘(63, (73))의 표시와 비표시를 제어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menu instruction analyzing means 81, which of the erasing buttons 61, 71 and the input buttons 62, 72 was pressed last, that is, the last transmitted signal switches the erasing mode. It determines whether it is a signal or an input mode switching signal, and controls the display and non-display of the eraser icons 63 and 73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이미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되어 있는 필적에 대하여 추가 등의 재편집을 하고 싶을 경우에는, 필적 배치 영역(22)에 표시되어 있는 필적을 탭하고, 그 직후에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을 탭함으로써, 선택된 필적의 스트로크 데이터군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으로 전송되어 편집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re-edit the handwriting which is already arrang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the handwriting display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is tapped, and immediately after that,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 By tapping 21), the stroke data group of the selected handwriting is transferred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to be in an editable state.

데이터 전송 조작으로서는, 탭 조작 이외에 재편집의 대상이 되는 필적을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까지 드래그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방법 등도 생각할 수 있다.As the data transfer operation, a method of moving the handwriting to be re-edited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by a drag operation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tap operation.

또한, 정규화한 필적을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으로 이동하면, 정규화하기 전 상태의 필적으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규화 처리에 의해 필적이 축소되어 있을 경우에서는, 축소한 필적의 스트로크 데이터를 확대해도 원상태로는 복귀할 수 없다. 따라서, 원상태에서의 필적의 스트로크 데이터와 정규화 처리후의 스트로크 데이터를 한쌍으로 하여 보존해 둠으로써, 정규화한 필적을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으로 이동한 경우에 확실하게 정규화 처리전의 필적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s moved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t is necessary to return the handwriting of the state before normalization. However, when the handwriting is reduced by the normalization process, even if the stroke data of the reduced handwriting is enlarged, the original state cannot be returned. Therefore, by storing the stroke data of the handwriting in the original state and the stroke data after the normalization processing as a pair,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turn to the handwriting before the normalization processing whe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s moved to the normalization handwriting input area 21. Will be.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처리의 플로차트를 나타낸다.Next, a flow of program processing for realizing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9 is a flowchart of program processing for realizing a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우선 유저가 입력 가능한 화면 표시 영역에서, 펜 등의 입력 매체가 탭한 위치의 좌표를 입력한다(스텝 S901). 그리고, 입력된 좌표 위치가 상술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 또는 필적 배치 영역(22)의 어느 영역에 상당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 판정한다(스텝 S902).In FIG. 9, first, in the screen display area which a user can input, the coordinate of the position which the input medium, such as a pen, tapped was input (step S901). Then, it is judged which area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or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input coordinate position (step S902).

다음에, 좌표 위치가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일 경우에는(스텝 S903: 예), 정규화를 수행하고 싶은 필적의 입력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필적을 입력한다(스텝 S904). 또한, 좌표 위치가 필적 배치 영역(22)일 경우에는(스텝 S903: 아니오),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이 표시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05).Next, when the coordinate position is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step S903: YES),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writing is to be normalized, and the handwriting is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step). S904). When the coordinate position is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step S903: NO),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handwriting inputted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s displayed (step S905).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 S905: 예), 입력된 필적을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하기 위한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표시되어 있는 필적을 소정의 크기로 정규화하여 필적 배치 영역(22)에 배치한다(스텝 S906).When the handwriting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s displayed (step S905: YES),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handwriting is an operation for arranging the input handwriting in the handwriting placement area 22, and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The handwriting shown in the figure) is normaliz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plac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22 (step S906).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21)에 입력되어 있는 필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905: 아니오), 입력된 좌표 위치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필적이 존재하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07). 입력된 좌표 위치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필적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S907: 아니오), 신규한 정규화가 불필요한 필적을 입력하는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정규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필적을 입력한다(스텝 S908).If the handwriting inputted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1 is not displayed (step S905: NO),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handwriting already inputted at the inputted coordinate position exists (step S907). If there is no handwriting already arranged at the input coordinate position (step S907: NO),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writing does not require new normalization, and a handwriting that does not require normalization is input (step S908). ).

입력된 좌표 위치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필적이 존재할 경우에는(스텝 S907: 예), 이미 배치되어 있는 필적을 필적 배치 영역(22)에서 재배치하기 위한 조작이라고 판단되고, 이미 배치되어 있는 필적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스텝 S909).If the handwriting already arranged at the input coordinate position exists (step S907: YES),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writing already arranged is relocated in the handwriting placement area 22, and the desired handwriting position is desired. It moves to (step S909).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펜 등의 입력 매체에 의한 조작 상황에 따라 필적을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싶은지 또는 정규화하지 않고 그대로 입력하고 싶은지가 제어 가능하게 되고, 유저가 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와 비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를 의식적으로 전환하는 일 없이, 유저의 의도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handwriting is to be normalized and input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state by an input medium such as a pen, or to be input as it is without normalization.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onsciously switching the handwriting input mode.

또한, 휴대 단말 등을 사용할 경우와 같이 표시 화면 자체가 좁고, 해상도가 낮을 경우라도 필적의 입력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정규화 처리를 수행함으 로써 입력한 필적이 클 경우라도 입력 결과를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display screen itself is narrow and the resolution is low as in the case of using a portable terminal, the input area of the handwriting can be secured widely, and the input result is easy to see even when the handwriting is large by performing the normalization process.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ROM(102-1) 또는 플로피 디스크([flexible disk])(102-2) 등의 가반형(可搬型) 기록 매체(102) 뿐만 아니라, 통신 회선의 끝에 구비된 다른 기억 장치(101) 또는 컴퓨터(103)의 하드 디스크나 RAM 등의 기록 매체(104) 중 어느 하나에 기억되는 것일 수도 있고, 프로그램 실행시에는 프로그램은 로딩되어 주메모리 상에서 실행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program which implements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which concerns on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carries a CD-ROM 102-1, a floppy disk 102-2, etc. In addition to the type recording medium 102, it may be stored in any one of the other storage device 101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line, or the recording medium 104 such as a hard disk or RAM of the computer 103. When a program is executed, the program is loaded and executed on main memo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에 의하면, 펜 등의 입력 매체에 의한 조작 상황에 따라 필적을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싶은지 또는 정규화하지 않고 그대로 입력하고 싶은지가 제어 가능하게 되고, 유저가 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와 비정규화 필적 입력 모드를 의식적으로 전환하는 일 없이, 유저의 의도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handwriting is to be normalized and input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situation by an input medium such as a pen, or to be input as it is without normalization. Handwriting inpu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can be performed without consciously switching between the mode and the denormalized handwriting input m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 등을 사용할 경우와 같이 표시 화면 자체가 좁고, 해상도가 낮을 경우라도 필적의 입력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정규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입력된 필적이 클 경우라도 입력 결과를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isplay screen itself is narrow and the resolution is low as in the case of using a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a handwriting input area can be secured widely, and the handwriting input by performing normaliz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Even if this is large, the input result can be displayed easily.

Claims (8)

표시 화면상에, 필적을 입력하고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필적 배치 영역을 구비하는 수기(handwriting) 입력 장치로서,A handwriting input device having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a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s an area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handwriting on a display screen,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좌표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좌표 입력 수단을 포함하며,Coordinate input means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그대로 계속하여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필적을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표시하고,If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if the handwriting is continuously input in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by the input medium, the inputted handwriting is recalled. Display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되어 있지 않고, 또한, 그대로 계속하여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필적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필적을 그대로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표시하고,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ted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no handwriting is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is continued by the input medium as it is. If the handwriting is entered in the area, the input handwriting is display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s it is,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이미 입력된 필적군(群)을 축소하여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표시하고,If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if a handwriting is already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the handwriting group already input is reduced to Mark in the handwriting layout area,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되어 있지 않고, 또한, 입력된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에 필적 또는 필적군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서 이미 입력된 필적 또는 필적군을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 입력 장치.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no handwriting is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handwriting or And a handwriting group or a handwriting group which is already input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when the handwriting group is already in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좌표 입력 수단이, 상기 입력 매체의 드래그(drag) 조작에 의한 연속된 좌표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고,The coordinate input means acquires information of a continuous coordinate position by a drag operation of the input medium, 상기 입력 영역 판정 수단이, 상기 드래그 조작의 시작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와 최종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시작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와 상기 최종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의 각각이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 및 필적 배치 영역의 어느 영역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The input area determining means detects a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sition of the drag operation and a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position, so that each of the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sition and the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position is determined. Determine in which region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region and handwriting placement region, 상기 입력 영역 판정 수단에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시작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필적을 상기 최종 위치에 상당하는 좌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And a handwriting input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handwriting existing at a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sition to a coordin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posi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input area determining means.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상기 필적 배치 영역의 면적 비율을 지정하고, 지정된 면적 비율에 따라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상기 필적 배치 영역의 표시 면적 비율을 변경하는 수기 입력 장치.A handwriting input device for designating an area ratio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and changing a display area ratio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handwriting arranging area according to a specified area ratio.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상기 필적 배치 영역 사이에 가로 스크롤(scroll) 영역을 설치하고, 상기 가로 스크롤 영역에 의해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And a horizontal scroll region provided betwee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region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region, and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region can be enlarged or reduced by the horizontal scroll region. 표시 화면상에, 필적을 입력하고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필적 배치 영역을 구비한 수기 입력 장치에서의 수기 입력 방법으로서,As an area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handwriting on a display screen, as a handwriting input method in a handwriting input device having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a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좌표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Obtaining information of the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와,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 및 상기 필적 배치 영역의 각각으로의 필적의 입력 상황에 따라, 이하의 (1) 내지 (4)의 어느 하나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 입력 방법.A step of performing any one of the following (1) to (4) according to the initial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and the input situation of the handwriting into each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Handwriting input method comprising a. (1)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그대로 계속하여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필적을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표시한다.(1) when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further handwriting is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by the input medium as it is, The handwriting is displayed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되어 있지 않고, 또한, 그대로 계속하여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필적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필적을 그대로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표시한다.(2)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ted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no handwriting is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is continued by the input medium as it is. When a handwriting is input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the input handwriting is displayed o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s it is. (3)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이미 입력된 필적군(群)을 축소하여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표시한다.(3) When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a handwriting is already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the handwriting group already inputted is selected. It is reduced and displayed o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4)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되어 있지 않고, 또한, 입력된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에 필적 또는 필적군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서 이미 입력된 필적 또는 필적군을 재배치한다.(4)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ted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no handwriting is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inputted handwriting. If a handwriting or handwriting group has already been inputted in, the handwriting or handwriting group already input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is rearranged. 표시 화면상에, 필적을 입력하고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과, 필적 배치 영역을 구비한 수기 입력 장치에서의 수기 입력 방법을 컴퓨터 프로세서(computer processor)가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program)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A program for allowing a computer processor to execute a handwriting input method in a handwriting input device having a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a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s an area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handwriting on a display screen. As a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좌표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Obtaining information of coordinate positions of the handwriting inputted by the input medium;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와,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 및 상기 필적 배치 영역의 각각으로의 필적의 입력 상황에 따라, 이하의 (1) 내지 (4)의 어느 하나를 행하는 스텝을 컴퓨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A step of performing any one of the following (1) to (4) according to the initial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and the input situation of the handwriting into each of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processor to execute the program. (1)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그대로 계속하여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필적을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표시한다.(1) when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further handwriting is input to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by the input medium as it is, The handwriting is displayed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2)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되어 있지 않고, 또한, 그대로 계속하여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필적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필적을 그대로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표시한다.(2)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ted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no handwriting is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is continued by the input medium as it is. When a handwriting is input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the input handwriting is displayed o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s it is. (3)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이미 입력된 필적군(群)을 축소하여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표시한다.(3) When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a handwriting is already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the handwriting group already inputted is selected. It is reduced and displayed o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4) 상기 입력 매체에 의해 입력되는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가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정규화 필적 입력 영역에 필적이 입력되어 있지 않고, 또한, 입력된 필적의 최초의 좌표 위치에 필적 또는 필적군이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필적 배치 영역에서 이미 입력된 필적 또는 필적군을 재배치한다.(4)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handwriting inputted by the input medium is included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and no handwriting is input in the normalized handwriting input area, and the first coordinate position of the inputted handwriting. If a handwriting or handwriting group has already been inputted in, the handwriting or handwriting group already input in the handwriting arrangement area is rearranged.
KR1020057002362A 2005-02-11 2003-01-30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7024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362A KR100702414B1 (en) 2005-02-11 2003-01-30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362A KR100702414B1 (en) 2005-02-11 2003-01-30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848A KR20050039848A (en) 2005-04-29
KR100702414B1 true KR100702414B1 (en) 2007-04-02

Family

ID=3724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3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2414B1 (en) 2005-02-11 2003-01-30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41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305A (en) * 1994-01-17 1995-08-11 Hitachi Ltd Handwriting input device
JPH10105364A (en) * 1996-06-26 1998-04-24 Xerox Corp Operation method for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and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305A (en) * 1994-01-17 1995-08-11 Hitachi Ltd Handwriting input device
JPH10105364A (en) * 1996-06-26 1998-04-24 Xerox Corp Operation method for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and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210305 *
1010536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848A (en)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1031B2 (en)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JP4863211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919645B1 (en) Explicit touch selection and cursor placement
US9292161B2 (en)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JP2648558B2 (en) Information sel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selection method
US7737954B2 (en) Pointing device for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823083B1 (en) Document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cument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US7165217B1 (en) Electronic book display device and its display method
EP3220252A1 (en) Gesture based document editor
US7409090B2 (en)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processing method
JP499505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20120102262A (en) The method for selecting a desired contents from text in portable terminal and device thererof
US20130002575A1 (en) Character input device
JP6043221B2 (en) Information terminal, operation area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area control program
KR100702414B1 (en)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JP7238314B2 (en) Electronics, text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4399238B2 (en) INPUT GUIDE DEVIC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MPUT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JP2013033553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3961174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character input program
JP5270729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630335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H1185733A (en) Document editing device and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11154150A (en) Pen input document edit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en input document editing program
JP2009098173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