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05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2050B1 KR100702050B1 KR1020050037674A KR20050037674A KR100702050B1 KR 100702050 B1 KR100702050 B1 KR 100702050B1 KR 1020050037674 A KR1020050037674 A KR 1020050037674A KR 20050037674 A KR20050037674 A KR 20050037674A KR 100702050 B1 KR100702050 B1 KR 1007020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sub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 1 바디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가 내장되며 윈도우 부착부가 형성된 제 2 바디와; 상기 윈도우 부착부에 접착 테잎으로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정보가 투과되는 윈도우와; 상기 제 2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윈도우를 둘러싸는 윈도우 홀이 형성된 데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윈도우 부착부는 상기 윈도우 홀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윈도우가 부착되는 접착 테잎이 최대한 넓게 부착될 수 있으므로, 윈도우 부착 작업의 작업성 및 조립성을 향상되고, 데코의 폭을 줄일 필요가 없으므로, 미감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 display embedded therein, and a window attachment part formed; A window attached to the window attachment part by an adhesive tape to transmit information of the displa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co mount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window hole surrounding the window, the window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wider than the window hole, since the adhesive tape to which the window is attached can be attached as wide as possible, Since the workability and assemblability of the attaching work is improved, and the width of the decor does not need to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aesthetics.
이동 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 윈도우, 데코, 윈도우 부착부 Mobile terminal, display, window, deco, window attachment
Description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펼쳐졌을 때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when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도 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접혀졌을 때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ld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윈도우의 장착 전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ndow shown in FIG. 4 before mount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제 2 바디 52: 로우어 폴더50: second body 52: the lower folder
53: 개구홀 54: 어퍼 폴더53: opening hole 54: upper folder
55: 개구홀 62: 메인 디스플레이55: opening hole 62: main display
64: 서브 디스플레이 72: 메인 윈도우64: sub display 72: main window
73: 접착 테잎 74: 서브 디스플레이73: adhesive tape 74: sub display
75: 접착 테잎 80: 윈도우 홀75: adhesive tape 80: window hole
82: 데코 90: 윈도우 부착부82: deco 90: window attachment
90A: 윈도우 부착부의 저면부 90B: 윈도우 부착부의 측벽부90A: bottom part of
92: 공간 D′: 접착 테잎의 폭92: space D ′: width of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의 정보가 투과되는 윈도우의 접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ncrease the adhesive area of the window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display is transmitte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Bar) 타입, 폴더(Floder) 타입,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으로 구분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서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 보다 다양한 기능 구현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lassified into a bar type, a folder type, a slide type, and the like, and amo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lizes more various functions than other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t is applied to a lot.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펼쳐졌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접혀졌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nfold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lded,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2)와; 상기 제 1 바디(2)에 연결된 제 2 바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상기 제 1 바디(2)에는 숫자 키와 통화 키 등의 각종 기능 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4)와, 송화부(6)와, 안테나(8) 등이 구비된다.The
상기 제 2 바디(20)는 상기 제 1 바디(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 1 바디(2)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폴더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상기 폴더(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12)와 서브 디스플레이(14)가 내장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폴더(20)는 로우어 폴더(22)와 어퍼 폴더(32)로 구성된다.The
상기 로우어 폴더(22)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12)의 정보가 투과되는 메인 윈도우(24)가 설치되고, 송화부(26)가 설치된다.The
상기 어퍼 폴더(32)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4)의 정보가 통과하는 개구부(33)가 형성된다.The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4)의 정보가 투과되는 서브 윈도우(34)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 윈도우(34)의 둘레측에 감싸는 데코(40)가 설치된다.A
상기 어퍼 폴더(3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윈도우(34)가 접착 테잎(36)으로 부착되는 윈도우 부착부(38)가 단턱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데코(40)에는 상기 윈도우 부착부(36)와 같은 형상 및 면적의 홀(42)이 형성된다.The
상기 접착 테잎(36)은 상기 윈도우 부착부(38)의 측벽(38A)에 가깝게 부착되는데 한계가 따르므로, 상기 윈도우 부착부(38) 측벽(38A)과 상기 접착 테잎(36)의 사이에 갭(B)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개구부(33)측으로 나오지 않기 위해 상기 개구부(33)측과도 갭(C=B + 0.0~0.1mm)이 존재하게 된다.Since the
참조 부호 D는 상기 접착 테잎(36)의 폭으로서, 작업성 확보를 위해 최소 1mm 정도 요구된다.Reference numeral D is a width of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갭(B,C) 때문에, 상기 접 착 테잎(36)의 폭(D)이 짧을 경우, 상기 서브 윈도우(34)의 부착/조립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상기 접착 테잎(36)의 폭(D)을 길게 할 경우, 상기 갭(B,C) 때문에, 데코(40)의 폭(E)이 줄거나, 데코(40)의 외곽 라인(F)이 확대되어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width D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윈도우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의 폭을 확보하여 작업성 및 조립성을 향상되고, 데코의 폭을 유지할 수 있어 미감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secure the width of the adhesive tape for attaching the window to improve workability and assembly, and to maintain the width of the decor can prevent aesthetic degrad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바디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가 내장되며 윈도우 부착부가 형성된 제 2 바디와; 상기 윈도우 부착부에 접착 테잎으로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정보가 투과되는 윈도우와; 상기 제 2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윈도우를 둘러싸는 윈도우 홀이 형성된 데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윈도우 부착부는 상기 윈도우 홀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body connected to a first body, a display embedded therein, and a window attachment portion formed; A window attached to the window attachment part by an adhesive tape to transmit information of the display; And a deco mounted to the second body and formed with a window hole surrounding the window, wherein the window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wider than the window hole.
상기 윈도우 부착부는 상기 윈도우가 삽입되어 올려지도록 상기 제 2 바디 일면에 단턱지게 형성된 단턱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ow attachment part may be a stepped part formed to be stepp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so that the window is inserted and lifted up.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우어 폴더와 어퍼 폴더로 이루어지며, 메인 디스플레이 및 서브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제 2 바디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정보가 투과되는 메인 윈도우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의 정보가 투과되는 서브 윈도우와; 상기 서브 윈도우를 상기 어퍼 폴더에 부착시키는 접착 테잎과; 상기 어퍼 폴더에 장착되고 상기 서브 윈도우를 둘러싸는 윈도우 홀이 형성된 데코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어퍼 폴더는 상기 서브 윈도우가 상기 접착 테잎으로 부착되는 단턱부가 상기 윈도우 홀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body rotatably connected to a first body, comprising a lower folder and an upper folder, and including a main display and a sub display; A main window through which information of the main display is transmitted; A sub window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sub display is transmitted; An adhesive tape attaching the sub window to the upper fold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eco mounted on the upper folder and having a window hole surrounding the sub window, wherein the upper folder has a step portion in which the sub window is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to be wider than the window hole. It is don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one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윈도우의 장착 전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fore mounting of the window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2)에 연결된 제 2 바디(50)가 로우어 폴더(52)와 어퍼 폴더(54)로 이루어진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제 2 바디(50)에는 메인 디스플레이(62) 및 서브 디스플레이(64)가 내장된다. The
상기 로우어 폴더(52)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62)의 정보가 통과하는 개구홀(53)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62)의 정보가 투과되는 메인 윈도우 (72)가 상기 개구홀(53)을 덮도록 장착된다.An
상기 메인 윈도우(72)는 접착 테잎(73)으로 부착되어 장착된다.The
상기 어퍼 폴더(54)에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64)의 정보과 통과하는 개구홀(55)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64)의 정보가 투과되는 서브 윈도우(74)가 상기 개구홀(55)을 덮도록 장착된다.The
상기 서브 윈도우(74)는 접착 테잎(75)으로 부착되어 장착된다.The
상기 어퍼 폴더(54)에는 상기 서브 윈도우(74)를 둘러싸는 윈도우 홀(80)이 형성된 데코(82)가 장착된다.The
상기 데코(82)는 상기 윈도우 홀(80)이 상기 서브 윈도우(74)와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된다.The
상기 어퍼 폴더(54)에는 상기 서브 윈도우(74)가 상기 접착 테잎(75)으로 부착되는 윈도우 부착부(90)가 형성된다.The
상기 윈도우 부착부(90)는 상기 서브 윈도우(74)가 삽입되어 올려지도록 상기 어퍼 폴더(54)의 상면(54A)에 주변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 단턱부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윈도우 부착부(9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홀(80)보다 넓게 형성된다.The
상기 윈도우 부착부(90)는 그 좌우 폭(L2)이 상기 윈도우 홀(80) 혹은 서브 윈도우(74)의 좌우 폭(L1) 보다 크고, 그 상하 폭(H2)이 상기 윈도우 홀(80) 혹은 서브 윈도우(74)의 상하 폭(H1) 보다 크도록 형성된다.The left and right width L2 of the
즉, 상기 윈도우 부착부(90)는 상기 데코(82)와의 사이에 접착 테잎(75)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는 공간(92)이 형성된다.That is, the
상기 접착 테잎(75)은 상기 윈도우 부착부(90)의 측벽부(90B)와의 사이에 갭(B)이 존재하고, 상기 어퍼 폴더(54)의 개구홀(55) 측으로 나오지 않기 위해 상기 개구홀(55)과의 사이에 갭(C=B + 0.0~0.1mm)이 존재하는 한도 내에서 그 폭(D′)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윈도우 부착부(90)의 저면부(90A)에 최대한 넓게 부착된다.The
상기 접착 테잎(7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9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넓게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데코(82)의 일부와 상하 겹치는 위치까지 넓게 부착된다.As shown in FIG. 4, since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62)와 메인 윈도우(72) 없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64)와 데코(82)와 서브 윈도우(74)만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로우어 폴더(52)에도 별도의 데코가 설치되됨과 아울러 로우어 데코(52)에 상기와 같은 넓은 윈도우 부착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가 아닌 슬라이더 형 이동통신기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는 등,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also appli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바디에 연결되는 제 2 바디에 데코의 윈도우 홀 보다 큰 윈도우 부착부가 형성되어, 윈도우가 부착되는 접착 테잎이 최대한 넓게 부착될 수 있으므로, 윈도우 부착 작업의 작업성 및 조립성을 향상되고, 데코의 폭을 줄일 필요가 없으므로, 미감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window attachment portion larger than the window hole of the decor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so that the adhesive tape to which the window is attached can be attached as wide as possible. Since the workability and assemblability of the attaching work is improved, and the width of the decor does not need to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aesthetic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7674A KR100702050B1 (en) | 2005-05-04 | 2005-05-04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7674A KR100702050B1 (en) | 2005-05-04 | 2005-05-04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5233A KR20060115233A (en) | 2006-11-08 |
KR100702050B1 true KR100702050B1 (en) | 2007-03-30 |
Family
ID=3765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76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2050B1 (en) | 2005-05-04 | 2005-05-04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205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004A (en) * | 1996-06-17 | 1998-01-06 | Sekisui House Ltd | How to place horizontal brace in house |
KR20040020671A (en) * | 2002-08-31 | 2004-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cd fixing structure discharging static electricity for electronic equipment |
-
2005
- 2005-05-04 KR KR1020050037674A patent/KR10070205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004A (en) * | 1996-06-17 | 1998-01-06 | Sekisui House Ltd | How to place horizontal brace in house |
KR20040020671A (en) * | 2002-08-31 | 2004-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cd fixing structure discharging static electricity for electronic equipmen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2004-2067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5233A (en) | 2006-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5287305C1 (en) | Interconnect assembly for a clam sty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20040044213A (en) |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9990000037A (en) | Portable terminal with flip cover in both directions | |
JP2003234809A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EP1946416B1 (en) | Translucent or transparent cover and device with such a cover | |
KR10070205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6093999A (en) | Slidable portable telephone | |
CN101500025A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US8724299B2 (en) | Exter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2006227627A (en) | Dual LCD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JP4662243B2 (en) | Portable wireless device | |
JP2007033658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JP4822717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JP4429147B2 (en) | Li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KR100557166B1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628166B1 (en) | Case of mobile terminal | |
CN217159802U (en) | Folding protective sleeve | |
US8583196B2 (en) | Slide-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608716B1 (en) | Antenn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322271B1 (en) | Slide ke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200183196Y1 (en) | Assembly for mobile phone type | |
JP4747086B2 (en) | Portable terminal | |
KR100810295B1 (en) | LCD module of mobile terminal | |
KR200258180Y1 (en) | A folder cellular phone with mirror | |
KR200241098Y1 (en) | A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