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1442B1 -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442B1
KR100701442B1 KR1020010025388A KR20010025388A KR100701442B1 KR 100701442 B1 KR100701442 B1 KR 100701442B1 KR 1020010025388 A KR1020010025388 A KR 1020010025388A KR 20010025388 A KR20010025388 A KR 20010025388A KR 100701442 B1 KR100701442 B1 KR 10070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
inkjet
preparing
oscill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758A (ko
Inventor
변용상
박무열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442B1/ko
Priority to US10/028,433 priority patent/US7522253B2/en
Publication of KR2002008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4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진공챔버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챔버 내에 장착되며, 전압인가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진자(resonator)와, 상기 발진자와 연결되어 일정 진동을 가지는 발진판과,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발진판의 진동에 의해 일정량의 액정을 분사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잉크젯(ink jet)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젯 장치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씰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젯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을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을 일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액정을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을 제공하므로써, 첫째, 기판 상에 도포되는 액정입자의 표면적이 넓어져, 액정의 탈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둘째, 배향막 얼룩이나 표면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째, 합착공정에 따른 가압속도를 증가시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네째, 씰패턴의 경화전 대기시간의 단축 및 이에 수반되는 공정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다섯째, 합착공정에서 합착평탄도를 향상시켜, 균일한 셀갭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Application Method of Liquid Crystal using ink jet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액정셀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일반적인 디스펜서 방식 액정 도포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진공챔버 101 : 배기구
110 : 기판 112 : 씰패턴
114 : 액정 120 : 잉크젯 장치
120a : 발진자 120b : 발진판
120c : 토출부 120ca : 액정 인/아웃부
120cb : 노즐 플레이트(nozzle plate) 120cc : 오리피스(orifice)
120 : 잉크젯 장치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를 이루는 구성부품인 액정셀의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한 기술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display)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여, 상기 액정의 이방성에 따른 빛의 굴절률의 차이를 이용해 영상효과를 얻는 비발광 소자를 뜻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셀의 간략한 제조공정과 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 및 어레이 기판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각각 공통전극및 화소전극이 형성되고, 이 두 전극상에 각각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고, 이 액정 주입구를 봉합한다. 그리고 상기 두 기판의 각각의 외측면에 편광판을 부착함으로써, 액정셀은 완성된다.
상기 액정셀의 광 투과량은 각 전극(화소전극, 공통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으로 제어하고, 광 셔터(Shutter) 효과에 의해 문자/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셀 공정은 박막 트랜지스터 공정이나 컬러필터 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복되는 공정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공정은 액정 분자의 배향을 위한 배향막 형성공정과 셀 갭(cell gap) 형성공정, 액정 주입공정, 셀 컷팅(cutting) 공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셀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ST1은, 컬러필터 기판인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인 하부 기판을 각각 초기세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배향막을 도포하기 전에 기판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고, 이때 상부 및 하부 기판 상에는 각각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셀이 형성되어 있다.
ST2는, 상기 ST1 단계를 거친 상부 및 하부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상부 및 하부 기판의 액정과 접촉되는 전극부 상에 각각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배향막의 도포 및 경화 그리고, 러빙처리 공정이 포함된다.
이 배향막 물질로는 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가 이용되는데, 이 폴리이미드 수지는 대부분의 액정 물질에 양호한 배향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러빙처리 공정은 경화처리한 배향막의 표면을 러빙(rubbing)포를 이용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문질러서 배향막 표면에 일정한 방향의 홈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공정이다.
상기 배향막 형성단계는 액정 분자의 균일한 배향을 형성하여, 정상적인 액정구동이 가능하게 하고, 균일한 디스플레이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단 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넓은 면적에 일정하고 균일하게 배향막을 도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ST3은, 상기 ST2 단계를 거친 기판 상에 씰패턴(seal pattern) 인쇄 및 스페이서(spacer)를 산포하는 단계이다.
액정셀에서 씰패턴은 액정 주입을 위한 갭을 형성하고, 주입된 액정의 누설을 방지하는 두 가지 기능을 한다.
이 씰패턴은 유리섬유(glass fiber)가 섞인 열경화성 수지를 일정하게 원하는 패턴으로 형성시키는 공정으로써, 스크린 인쇄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씰패턴은 추후 액정 주입공정을 위한 액정 주입용 개방부를 일측에 포함하며, 단위셀 별로 셀 표시영역(display area)의 테두리를 두르며 형성된다.
다음은, 스페이서(spacer)를 산포하는 단계로서, 액정셀의 제조공정에서 상, 하부 기판 사이의 갭을 정밀하고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의 스페이서가 사용된다.
ST4는, 상기 ST3을 거친 상, 하부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로서, 두 기판의 얼라인먼트(alignment) 정도는 두 기판의 설계시 주어지는 마진(margin)에 의해 결정되는데 보통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두 기판의 얼라인먼트가 주어지는 마진을 벗어나면 빛이 새어 나오게 되어 구동시 원하는 특성을 가지지 못한다.
ST5는 상기 ST1 내지 ST4 단계에서 제작된 액정셀을 단위 셀로 절단하는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셀은 대면적의 유리기판에 다수의 셀을 형성한 후, 각각 하나의 셀로 분리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공정이 셀 절단 공정이다.
셀 절단 공정은 유리보다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재질의 펜으로 유리기판 표면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scribe) 공정과 힘을 가하여 절단하는 브레이크(break)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ST6은, 절단 공정을 거친 후, 셀 단위로 액정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단위 셀은 수백 ㎠의 면적에 수 ㎛의 갭(gap)을 갖는다. 이런 구조의 셀에 효과적으로 액정을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셀 내외의 압력차를 이용한 진공 주입법이 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차를 이용한 액정 주입방법은 액정셀 공정에서 가장 긴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성 측면에서 최적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액정 주입공정을 마친 후에 이어지는 봉합 공정은 액정 주입이 완료된 후, 액정셀의 주입구에서 액정이 흘러나오지 않게 막아주는 공정이다.
이러한 액정 주입 및 봉합공정을 마친 액정셀은 검사공정 및 그라인딩(grinding) 공정을 거쳐 양쪽 바깥면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것으로 공정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정셀 공정에서는 상기 액정 주입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전체 TAT(Turn around time)가 길어져 공정효율 및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사기(syringe)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액 정을 적하(滴下)하는 디스펜서(dispenser) 방식에 의해 액정을 도포하는 방법이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디스펜서 방식 액정 도포공정은 상기 도 1의 ST1 내지 ST3 공정 후, 합착공정을 진행하기 전 단계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방식 액정 도포공정에서는 액정을 기판 상에 바로 적하하는 방식이므로, 액정 도포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이므로써, 전체 TAT도 낮출 수 있다.
이하, 상기 디스펜서 방식 액정 도포공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디스펜서 방식 액정 도포공정에 대한 도면으로서, 액정 도포 기판으로 하부 기판을 이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씰패턴(10)이 형성된 하부 기판(12)과, 이 하부 기판(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 액정(14)이 충진된 주사기(16 ; syringe)를 이용하여 액정(14)을 씰패턴(10) 내부영역에 포인트 도팅(point dotting)방식으로 적하한다.
다음으로 이어지는 공정은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액정(14)이 도포된 하부 기판(12) 상에 상부 기판(미도시)을 어셈블리(assembly)로 임시고정시킨 다음, 적하된 액정(14)이 기판 전면에 퍼지도록 가압시키고, UV 및 열처리 공정을 통해 씰패턴(10)을 경화시켜 상부 및 하부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이다.
기존의 진공주입방식 액정 주입공정에서는, 공정 전에 액정 주입구를 별도로 형성하고, 액정 주입 후 액정 주입구를 봉합하는 공정이 포함되었으나, 상기 디스 펜서 방식에서는 기판 상에 액정을 직접 적하시키므로, 액정 주입구의 형성이나 봉합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포인트 단위로 액정을 적하하는 디스펜서 방식 액정 도포공정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대면적 기판에 적용시에는 포인트 수의 증가로 도포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둘째, 도포시간을 줄이기 위해 1회 적하용량을 늘릴 경우, 도포되는 액정용량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포인트 사이즈를 크게 할 경우, 이는 상부 및 하부 기판의 합착공정시 합착 평탄도를 저하시켜 셀갭을 불균일하게 하고, 배향막의 러빙처리에 손상을 주어 화면얼룩을 발생시킨다.
세째, 액정 도포공정 전에 액정이나 기판 상에 이물질이 존재할 경우, 이는 액정이 적하된 영역과 그외 영역간에 부분적인 표면얼룩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액정을 포인트 단위로 적하시키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액정을 빠른 시간에 넓은 면적에 동시에 도포할 수 있는 액정 도포장치를 제공하여 공정수율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진공챔버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챔버 내에 장착되며, 전압인가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진자(resonator)와, 상기 발진자와 연결되어 일정 진동을 가지는 발진판과, 다수의 오리피스(orifice) 갖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잉크젯(ink jet)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젯 장치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씰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을 일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발진자의 진동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orifice)를 통해 일정량의 액정을 상기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토출부는, 액정이 주입되는 액정 인/아웃(in/out)부와, 상기 액정의 분사압력을 조정하는 노즐 플레이트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는 상기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기판의 씰패턴 하부에는 블랙매트릭스가 더욱 형성되며, 상기 액정 도포의 시작 및 끝단계는 상기 블랙매트릭스 영역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액정 도포 기판으로 하부 기판을 이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구(101)를 포함하는 진공챔버(10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진공챔버(100) 내에는 기판(110)과 잉크젯 장치(12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 되어 있다.
상기 기판(110)은 진공챔버(100)의 하부에 안착되어 있으며, 이 기판(110)의 테두리부에는 씰패턴(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젯 장치(120)에는 전압인가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진자(120a ; resonator)와, 이 발진자(120a)의 하부에 위치하여 발진자(120a)와 연결되어 일정하게 진동하는 발진판(120b)과, 이 발진판(120b)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정량의 액정(114)을 포함하며, 상기 발진판(120b)의 진동에 의해 일정량의 액정(114)을 분사시키는 토출부(120c)로 구성된다.
상기 토출부(120c)에는 액정을 가지는 액정 인/아웃(in/out)부(120ca)와, 이 액정 인/아웃부(120ca)의 하부에 위치하며, 다수 개의 오리피스(120cc ; orifice)를 가지는 노즐 플레이트(120cb ; nozzle plate)로 구성된다.
상기 오리피스(120cc)는 노즐 플레이트(120cb)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오리피스(120cc)를 통하여 액정(114)이 기판 상에 고루 분사된다.
상기 잉크젯 장치(120)에 인가되는 전압의 온/오프(on/off)는, 상기 기판(110)의 이동위치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110)의 씰패턴(112) 내부영역인 액정 도포부(116)의 상단을 제 1 위치, 하단을 제 2 위치로 하며, 이하 상기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도포공정에서는, 상기 기판(110)의 제 1 위치에서 잉크젯 장치(120)의 발진자(120a)에 전압을 온(on)시키면, 이 발진자(120a)는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 주파수에 의해 발진판(120b)은 일정한 진동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토출부(120c)에서는 일정한 분사압력을 유지하며, 노즐 플레이트(120cb)에 형성된 다수 개의 오리피스(120cc)를 통해, 상기 액정 도포부(116) 상에 액정(114)을 분사하게 된다.
상기 액정(114)이 분사되기 시작하면, 상기 기판(110)은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이 기판(110)의 이동에 따라 액정(114)은 일정면적에 균일하게 도포되며, 상기 잉크젯 장치(120)에 걸리는 전압을 오프(off) 상태로 하는 것으로 해당 면적의 도포공정을 완성하고, 이러한 일련의 도포공정은 상기 액정 도포부의 미도포 영역에 대해서도 연속해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기판(110)은 어레이 공정을 거쳐 상기 도 1의 ST1 내지 ST3 단계를 마친 액정셀용 하부 기판으로, 상기 기판(110) 상의 씰패턴(112)부 하부에는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정이 구동되지 않는 영역 상의 빛이 화면 상으로 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욱 포함하는데, 이 블랙매트릭스는 씰패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이 블랙매트릭스의 차단기능에 의해 액정 도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얼룩이 화면 상에 드러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잉크젯 장치의 발진자에 인가되는 전압량에 따라 진동세기를 조절하므로써, 액정 분사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셀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으로 제시된 방법 이외에도, 기판 사이즈에 따라 노즐 플레이트의 크기나, 오리피스의 갯수 등을 조절하여, 한번의 잉크젯 공정으로 액정 도포부의 전면을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공정에 의하면, 액정을 기판 전면에 도포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기판 상에 도포되는 액정입자의 표면적이 넓어져, 액정의 탈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배향막 얼룩이나 표면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세째, 합착공정에 따른 가압속도를 증가시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네째, 씰패턴의 경화전 대기시간의 단축 및 이에 수반되는 공정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섯째, 합착공정에서 합착평탄도를 향상시켜, 균일한 셀갭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진공챔버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챔버 내에 장착되며, 전압인가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진자(resonator)와, 상기 발진자와 연결되어 일정 진동을 가지는 발진판과, 다수의 오리피스(orifice) 갖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잉크젯(ink jet)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젯 장치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씰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을 일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상기 발진자의 진동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orifice)를 통해 일정량의 액정을 상기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액정이 주입되는 액정 인/아웃(in/out)부와, 상기 액정의 분사압력을 조정하는 노즐 플레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씰패턴 하부에는 블랙매트릭스가 더욱 형성된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도포의 시작 및 끝단계는 상기 블랙매트릭스 영역 상에서 이루어지는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orifice)는 상기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노즐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성된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KR1020010025388A 2001-05-10 2001-05-10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01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88A KR100701442B1 (ko) 2001-05-10 2001-05-10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US10/028,433 US7522253B2 (en) 2001-05-10 2001-12-28 Method of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using an ink je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388A KR100701442B1 (ko) 2001-05-10 2001-05-10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758A KR20020086758A (ko) 2002-11-20
KR100701442B1 true KR100701442B1 (ko) 2007-03-30

Family

ID=1970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3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1442B1 (ko) 2001-05-10 2001-05-10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22253B2 (ko)
KR (1) KR100701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347B1 (ko) * 2002-12-04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4107248B2 (ja) 2003-03-12 2008-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膜形成方法、膜形成装置、液晶の配置方法、液晶の配置装置、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SE0303604L (sv) * 2003-12-30 2005-11-18 Swedish Lcd Ct Ab En process för tillverkning av LCD
FR2872590B1 (fr) * 2004-07-02 2006-10-27 Essilor Int Procede de realisation d'un verre ophtalmique et composant optique adapt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4996462B2 (ja) * 2004-07-02 2012-08-08 エシロ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コンパニー ジェネラル ドプティック) 透明な光学素子の製造方法、この製造方法に関わる光学部品および得られた光学素子
US20060139529A1 (en) * 2004-08-31 2006-06-29 Shie-Chang Jeng Manufacturing method for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R2879757B1 (fr) * 2004-12-17 2007-07-13 Essilor Int Procede de realisation d'un element optique transparent, composant optique intervenant dans ce procede et element optique ainsi obtenu
FR2888950B1 (fr) * 2005-07-20 2007-10-12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pixellise a parois absordant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rication d'un element optique transparent
FR2888951B1 (fr) * 2005-07-20 2008-02-08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pixellise aleatoiremen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un element optique transparent
FR2888948B1 (fr) 2005-07-20 2007-10-12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pixellise comprenant un revetement absorbant, son procede de realis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un element optique
FR2888947B1 (fr) * 2005-07-20 2007-10-12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a cellules
FR2907559B1 (fr) * 2006-10-19 2009-02-13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elecro-commandable comprenant un ensemble de cellules
FR2910642B1 (fr) * 2006-12-26 2009-03-06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a deux ensembles de cellules
FR2911404B1 (fr) * 2007-01-17 2009-04-10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a cellules remplies de materiau optique
CN102049365B (zh) * 2010-11-01 2013-03-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喷液器、喷液装置以及液晶喷液方法
CN102643018B (zh) * 2012-02-29 2014-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裂片分离设备及方法
EP3201686B9 (en) 2014-09-29 2022-01-12 Magic Leap, Inc.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outputting different wavelength light out of waveguides
NZ773845A (en) 2015-03-16 2022-07-01 Magic Lea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health ailments
JP6851992B2 (ja) 2015-06-15 2021-03-31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agic Leap,Inc. 多重化された光流を内部結合するための光学要素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379691B1 (ko) 2016-04-08 2022-03-25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가변 포커스 렌즈 엘리먼트들을 가진 증강 현실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9416432A (zh) 2016-05-12 2019-03-01 奇跃公司 成像波导上的分布式光操纵
KR102639600B1 (ko) 2016-11-18 2024-02-2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넓은 입사 각도 범위들의 광을 방향전환시키기 위한 다중층 액정 회절 격자들
EP4152085A1 (en) 2016-11-18 2023-03-22 Magic Leap, Inc. Spatially variable liquid crystal diffraction gratings
US11067860B2 (en) 2016-11-18 2021-07-20 Magic Leap, Inc. Liquid crystal diffractive devices with nano-scale patter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199220B (zh) 2016-11-18 2022-11-01 奇跃公司 使用交叉光栅的波导光复用器
CN108146068B (zh) * 2016-12-05 2021-07-06 塔工程有限公司 喷墨型液体涂布模块及其除气方法
CN110249256B (zh) 2016-12-08 2023-03-03 奇跃公司 基于胆甾型液晶的衍射装置
US10895784B2 (en) 2016-12-14 2021-01-19 Magic Leap, Inc. Patterning of liquid crystals using soft-imprint replication of surface alignment patterns
US10371896B2 (en) 2016-12-22 2019-08-06 Magic Leap, Inc. Color separation in planar waveguides using dichroic filters
IL307783A (en) 2017-01-23 2023-12-01 Magic Leap Inc Eyepiece for virtual, augmented, or mixed reality systems
IL268427B2 (en) 2017-02-23 2024-03-01 Magic Leap Inc Variable focus virtual imagers based on polarization conversion
AU2018239264B2 (en) 2017-03-21 2023-05-18 Magic Leap, Inc. Eye-imaging apparatus using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US11841481B2 (en) 2017-09-21 2023-12-12 Magic Leap, Inc. Augmented reality display with waveguide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of eye and/or environment
KR102716968B1 (ko) 2017-12-15 2024-10-11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접안렌즈들
JP2022509083A (ja) 2018-11-20 2022-01-20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拡張現実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ための接眼レンズ
EP3987343A4 (en) 2019-06-20 2023-07-19 Magic Leap, Inc. EYEWEAR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6514A (ja) * 1990-02-26 1991-11-01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素子用基板への液晶供給方法
JPH05158007A (ja) * 1991-12-11 1993-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注入装置
JPH0651256A (ja) * 1992-07-30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吐出装置
JPH08171094A (ja) * 1994-12-19 1996-07-02 Nippon Soken Inc 液晶表示器への液晶注入方法及び注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173A (en) * 1967-12-28 1970-05-12 Xerox Corp Alphanumeric ink droplet recorder
GB1500908A (en) * 1974-06-05 1978-02-15 Ici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drop streams
US5619234A (en) * 1993-03-15 1997-04-08 Kabushiki Kaisha Toshiba Ink-jet recording apparatus which allows shifting or changing of ink position or direction
US5978065A (en) * 1996-11-08 1999-11-02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H1138393A (ja) * 1997-07-18 1999-02-12 Minolta Co Ltd 液晶素子の製造方法
US6055035A (en) * 1998-05-11 2000-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s
US6459467B1 (en) * 1998-05-15 2002-10-01 Minolta Co., Ltd. Liquid crystal light modulat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JP2001312214A (ja) * 2000-04-27 2001-11-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シール材圧着硬化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6514A (ja) * 1990-02-26 1991-11-01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素子用基板への液晶供給方法
JPH05158007A (ja) * 1991-12-11 1993-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注入装置
JPH0651256A (ja) * 1992-07-30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吐出装置
JPH08171094A (ja) * 1994-12-19 1996-07-02 Nippon Soken Inc 液晶表示器への液晶注入方法及び注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22253B2 (en) 2009-04-21
KR20020086758A (ko) 2002-11-20
US20020167638A1 (en)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442B1 (ko)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방법
KR100493870B1 (ko) 액정 표시장치의 씰 패턴 형성방법
KR19990068245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0347436B1 (ko) 액정 표시장치의 씰 패턴 형성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씰 패턴
KR20030054141A (ko) 액정표시장치용 얼라인 키
KR10063087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씰 프린트 장치.
KR100627650B1 (ko) 다수 개의 리브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및 그 액정패널에 액정물질을 주입하는 방법
KR100533661B1 (ko) 액정셀 제조방법
KR100493868B1 (ko) 액정주입방법
KR100499583B1 (ko) 액정 주입장치와 액정주입방법
KR100841612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씰 패턴 및 그 형성 방법
KR20030010135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26601B1 (ko)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KR101276748B1 (ko) 액정표시장치용 액정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층형성방법
KR100760475B1 (ko) 액정표시장치용 이온 블로워
KR100862074B1 (ko) 역사다리꼴 액정주입구가 형성된 씰 패턴을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KR10090656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씰 패턴 스크린 인쇄장치
KR200378833Y1 (ko) 포토레지스트 도포용 슬릿노즐
KR101018650B1 (ko) 씰 도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씰 패턴 형성 방법
KR100798310B1 (ko) 액정 표시장치의 실 패터닝방법 및 실패턴
KR100691317B1 (ko) 액정 주입장치와 액정주입방법
KR20070002145A (ko) 액정표시장치
KR100650341B1 (ko) 합착 장치
KR20050021836A (ko)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의 봉지 공정
JP2007310313A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5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