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403B1 - Shutter for Cover - Google Patents
Shutter for Co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1403B1 KR100701403B1 KR1020050110763A KR20050110763A KR100701403B1 KR 100701403 B1 KR100701403 B1 KR 100701403B1 KR 1020050110763 A KR1020050110763 A KR 1020050110763A KR 20050110763 A KR20050110763 A KR 20050110763A KR 100701403 B1 KR100701403 B1 KR 1007014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core material
- core
- guide groove
- surface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8744 Fear of fal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표면재와 심재를 경연(硬軟)에 따라서 별체로 성형함과 아울러, 양자를 접합하는 데 있어서의 강도향상을 도모하였다.(Problem) The surface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were mol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ompetition, and the strength was improved in joining the two.
(해결수단) 장치측의 수용부의 개구(1a) 양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a)에 끼워맞춰지며, 가이드홈(3a)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1a)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2)에 있어서, 상기 셔터(2)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된 연질수지제의 표면재(4)와, 표면재(4)의 이면에 있어서 양측의 가이드홈(3a)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며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복수 병설된 경질수지제의 심재(5)와, 표면재(4)의 이면에 돌출형성되어 심재(5)의 대응부에 결합됨으로써 표면재(4)와 심재(5)를 조립하는 경질수지제의 부착부(8)로 이루어진다.(Solution means) The cover shutter 2 which fits into the guide groove 3a formed on both edge portions of the opening 1a of the receiving portion on the apparatus side,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a by sliding along the guide groove 3a. In the above, the shutter 2 constitute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and is formed to be bendable along the sliding direction, and the guide material 3a on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material 4. The core material 5 made of hard resin and arranged along the sliding direction and protru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material 4 and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5 are disposed over the surface material 4 and the core material ( 5) is made of a hard resin attachment portion (8) for assembl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을 장치측 수용부의 상면 개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는 셔터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편측)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incipal part (one side)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1st Embodiment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to the shutter which slidably covers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an apparatus side accommodating part.
도 2는 도 1과 동일한 개소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me location as in FIG. 1.
도 3은 상기 셔터에 있어서의 표면재 및 심재의 이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in the shutter;
도 4는 상기 표면재 및 심재의 조립상태를 이면에서 본 모식 사시도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surface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from the back side;
도 5의 (a)∼(c)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Fig.5 (a)-(c) is sectional drawing of the principal part which shows the assembly procedure in 2nd Embodiment.
도 6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showing a third embodiment;
도 7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the fourth embodiment;
도 8은 도 1∼도 4의 걸어맞춤구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ngagement structure of FIGS. 1 to 4.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캐비닛(장치측 수용부에 상당) 1a - 개구1-Cabinet (equivalent to the device-side receptacle) 1a-Opening
2 - 셔터 3a - 가이드홈2-Shutter 3a-Guide Groove
4 - 표면재 6 - 덮개부
6a - 힌지홈 7 - 돌기부4-Surface material 6-Cover
6a-hinge groove 7-protrusion
5 - 심재 9 - 지지보부5-Heartwood 9-Support Support
10 - 축지지부 9b - 구멍10-
8 - 클립(부착부에 상당) 8a - 기판
8b - 걸어맞춤 돌조 18 - 클립(부착부에 상당)8-Clip (equivalent to attachment) 8a-Board
8b-engagement protrusion 18-clip (equivalent to attachment)
18a - 기판 18b - 걸어맞춤 돌조18a-
20,30 - 포스트(부착부에 상당) 20a - 기판
20b - 빠짐방지용 플랜지 31 - E-링(리테이닝 링)20,30-Post (corresponding to attachment) 20a-Board
20b-Flanged flange 31-E-ring (retaining ring)
40 - 푸시 너트(리테이닝 링) 40-push nut (retaining ring)
본 발명은 슬라이딩방향으로 굴곡 가능한 수지제의 덮개용 셔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shutter which can be bent in the sliding direction.
덮개용 셔터 중, 금속제의 셔터에서는 복수의 좁은 폭형상의 슬랫을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고, 각 슬랫의 양단부를 장치측 수용부의 개구 폭방향 양가장자리부에 형성한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개폐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것에 대해서, 수지제의 셔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슬랫의 연결방식을 취하지 않고, 연질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수용부 개구측의 만곡형상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1장의 표면재를 사용하되, 이 표면재의 폭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힌지홈을 형성하고, 이 힌지홈을 굴곡점으로 하여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굴곡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후자의 구조에서는 셔터의 메인부를 구성하고 있는 표면재가 연질이기 때문에, 폭방향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재의 이면에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부설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일체화한 구조로서는, 특허문헌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개별로 성형함과 아울러, 표면재 및 심재에 각각 형성된 부착부와 피부착부 등의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과, 특허문헌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2색성형(double injection)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하는 구성이 있다.Among the shutters for the cover, the metal shutters can bend and connect a plurality of narrow width slats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grooves formed in the opening width direction edges of the device-side accommodating portion at both ends of each slat. This is the way to do it. On the other hand, in the shutter made of resin, one surface material which is slidable along the curved shape on the opening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soft resin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slats as described above is used. A plurality of hinge grooves may be form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inge grooves may be bent along the sliding direction using the hinge grooves as bending points. In the latter structure, since the surface material constituting the main part of the shutter is soft, the core material made of hard resin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material for the purpose of securing rigidity in the width direction. In this case, 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material of the soft resin and the core material of the hard resin are integrated, as illustrated in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311960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119602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90186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90186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적어도 걸어맞춤수단 중의 일측이 연질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결합력이 작으며,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걸어맞춤상태가 부주의하게 해제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있었다. 또 경질수지제의 심재가 셔터의 이동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의 굴곡성을 손상시킬 염려도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특허문헌 2의 구조에서는 미리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일체로 성형하기 때문에 조립의 수고 등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이 구조를 수용부의 개구치수가 큰 장치에 적용하면, 셔터의 폭방향도 커지기 때문에 경질수지부분의 강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서 연질수지부분과 경질수지부분의 열수축률이나 선팽창계수의 차이가 커지게 되어, 성형시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셔터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의장성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별체로 성형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양자를 접합함에 있어서의 결합강도의 향상을 도모한 덮개용 셔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emise that the surface material made of soft resin and the core material made of hard resin are formed separately, and the cover is designed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in joining the two. It is in providing a shut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장치측의 수용부의 개구 양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용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적어도 외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된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상기 표면재의 이면에 있어서 상기 개구 양가장자리부의 가이드홈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며 또한 슬라이딩방향을 따라서 복수 병설된 경질수지제의 심재와, 상기 표면재의 이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심재의 대응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표면재와 상기 심재를 조립하는 경질수지제의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d shutter that fits into a guide groove formed on both edges of an opening of a receiving portion on the apparatus side,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by sliding along the guide groove. Is form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and formed between the surface material of the soft resin material formed to be bendable along the sliding direction and the guide grooves of the opening edg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rface material, And a hard resin core and a hard resin attaching portion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material and are join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ore material to assemble the surface material and the core material.
이상과 같은 구조는, 수지제의 셔터로서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따로따로 형성하는 점에서는 특허문헌 1과 같지만, 특히 표면재와 심재의 결합력을 비교적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강화할 수 있는 것과, 설계상의 강성을 충족시키면서 만곡한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할 때의 굴곡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또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재측의 부착부로서는 '상기 표면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구성',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조인 구성',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서 통과시키고, 그 돌출단부를 심재측에 용착(溶着)고정하는 용착부인 구성', '상기 심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서 통과시키고, 그 돌출단부를 코킹(caulking)고정하는 코킹부인 구성'의 어느 것이든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는 상기 표면재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의해서 덮여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에 대하여 항시 비접촉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of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제 2 실시형태, 도 6은 제 3 실시형태, 도 7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해서 발명의 특징을 명백히 한 후, 제 2 실시형태∼제 4 실시형태에 의해서 변경례에 대하여 언급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1 to 4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econd embodiment, FIG. 6 shows a third embodiment, and FIG. 7 shows a fourth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fter clarifying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modification examples will be referred to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캐비닛(장치측의 수용부)의 상면 개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는 셔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1은 캐비닛, 부호 2는 캐비닛(1)의 개구(1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는 셔터이다. 이 캐비닛(1)은 수용부의 상면측이 개구(1a)되어 있다. 개구(1a)의 양측(도면에서는 편측만 나타낸다)에는, 예를 들면 L자형의 가이드 커버(3)에 의해서 덮여진 가이드홈(3a)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3a)은 셔터(2)가 개구(1a)를 폐쇄한 폐쇄위치에서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슬라이딩될 때에 셔터(2)를 안내하는 단면 대략 ㄷ자형의 홈이며, 상기 셔터(2)가 개구(1a)를 개방한 개방위치에서 이 셔터(2)를 넣어두는 격납측과 연속되어 있다.(1st Embodiment) FIG.1 and FIG.2 has shown the case where this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hutter which slidably covers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a cabinet (the accommodating part on the apparatus side).
또한, 본 발명의 셔터(2)는 덮개용이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용의 각종 박스의 슬라이드식 덮개, 드럼식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의 개구부에 사용되는 슬라이드식 덮개, 주택설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드식 덮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도 2의 가이드홈(3a)은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만곡형상이어도 된다. 셔터(2)의 격납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개구(1a)를 완전히 개방한 시점에서 캐비닛(1)의 개방 단부측에 연속되어 있는 만곡상 등의 격납부에 격납되는 태양(특허문헌 1이나 2를 참조)이나, 개방 단부측에 설치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 등과 같은 감는 장치에 감기식으로 격납되는 태양 등도 채용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의 셔터(2)는 캐비닛(1)의 개구(1a)를 완전히 덮는 크기로 형성되며 또한 폭방향 양측에 상기한 가이드홈(3a)에 끼워맞춰지는 돌기부(7)를 가진 연질수지제의 표면재(4)와, 표면재(4)의 이면(하면)측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질수지제의 심재(5)와, 표면재(4)의 이면에 돌출형성되어 심재(5)의 대응부에 결합됨으로써 표면재(4)와 심재(5)를 조립하는 경질수지제의 클립(8)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여기서, 표면재(4)는 예를 들면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수지소재로 성형한 탄성이 있고 또한 부드럽고 표면활성이 풍부한 수지성형체로서, 캐비닛(1)의 개구(1a)에 대응하는 1장의 평판상의 덮개부(6)와, 이 덮개부(6)의 폭방향 양측에서 하측으로 대략 L자형의 단차를 두고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돌기부(7)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6)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또한 슬라이딩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힌지홈(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힌지홈(6a)을 굴곡점으로 하여 가이드홈(3a)을 따라서 굴곡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6)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개폐단부측에 손잡이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7)는 상기 덮개부(6)의 양측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연장되어 있으며, 수평선단부가 상기 가이드홈(3a)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Here, the
또, 상기한 클립(8)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경질수지성형체로 이루어지고, 도 3에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묻혀지는 기판(8a)상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이 클립(8)은 선단부가 좁게 형성되며 또한 내측의 공간부에 돌출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걸어맞춤 돌조(8b)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돌조(8b)는 후술하는 심재측의 걸어맞춤용 구멍(9b)에 대하여 압입에 의해서 걸어맞춰지는 구성이면 된다. 물론, 이상의 클립(8)은 덮개부(6)의 이면에 있어서, 덮개부(6)의 폭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거나, 심재(5)의 부착 간격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방향으로 복수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심재(5)는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GF(유리섬유)를 15∼40질량%를 배합한 경질수지소재로 성형한 단단하고 강성이 풍부한 수지성형체로서, 다수의 리브(9a)에 의해서 보강된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하면이 개구된 지지보부(9)와, 이 지지보부(9)의 좌우측에서 하측으로 대략 L자형의 단차를 두고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축지지부(10)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보부(9)의 바닥면에는 도 4에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8)의 배열 간격에 대응한 개소에 긴 구멍형상의 걸어맞춤용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축지지부(10)는 그 상면 및 선단면이 표면재(4)의 돌기부(7)의 대응부에 의해서 덮여짐과 아울러, 가이드홈(3a)에 대해서 항시 비접촉상태로 끼워지며(도 1 참조), 이것에 의해서 진동 등에 의한 반복 접촉에 수반되는 저급 잡음이 방지된다.The
따라서, 이상의 구조에서는 도 3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재(4)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심재(5)의 지지보부(9)를 이것을 놓을 위치를 정한 덮개부(6)에 눌러 붙임으로써, 각 클립(8)이 그 걸어맞춤 돌조(8b)의 탄성변형과 탄성복원에 의해서 걸어맞춤용 구멍(9b)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걸어맞춤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돌조(8b)가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빠짐방지가 이루어지며(도 4의 확대도 참조), 이것에 의해서 표면재(4)에 대한 심재(5)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고정상태에서는 심재(5)의 축지지부(10)의 상면 및 선단면이 돌기부(7)의 대응부에 의해서 포위된다.Therefore, in the above structure, as shown in Figs. 3 and 4 by pressing the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설계 개수의 지지보부(9)를 이것들을 놓을 위치를 정한 덮개부(6)상에 순서대로 눌러 붙이는 누름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심재(5)가 표면재(4)에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셔터(2)로서 완성된다.
심재(5)와 표면재(4)는 열수축이나 선팽창률의 차이에 의해서 서로 다르게 신축(伸縮)하게 되지만, 상기 심재(5)와 표면재(4)가 서로 접합되는 부분이 클립(8)과 구멍(9b)이 걸어맞춰지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이 걸어맞춤부분에서 서로 다르게 신축되는 신축량의 차이가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6)의 휘어짐이나 변형 등이 없어 외관 의장성이 장기간 유지됨과 아울러, 경질수지끼리의 걸어맞춤이기 때문에 그 결합강도가 크며, 따라서 과대한 외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탈락될 염려가 없어진다. 또, 덮개부(6)에 하향 하중이 가해지면, 축지지부(10)의 바닥면이 가이드홈(3a)의 바닥부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하향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덮개부(6)의 변형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용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심재(5)의 두께나 판폭을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설계상의 강성을 간단하게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도 우수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The
또한,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 도 3과 도 4에서는 덮개부(6)의 폭방향 길이와 지지보부(9)의 길이 및 덮개부(6)에 대한 지지보부(9)의 배열 간격을 간략화해서 나타내었으나, 실제로는 용도에 따른 필요 치수나 요구강도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도 같다. 또 이상의 클립(8)과 구멍(9b)의 걸어맞춤구조로서는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도 8의 (a),(b)에 나타낸 각 클립(18)은 경질수지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묻혀지는 기판(18a)상에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양면에 걸어맞춤 돌조(18b)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돌조(18b)는 상기한 걸어맞춤 돌조(8b)에 비해서 거의 탄성변형되지 않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8(a)의 경우에는 지지보부(9)측에 대하여 클립(18)이 관통가능한 크기의 관통용 구멍(9c)과, 이 구멍(9c)에 연속하며 또한 구멍(9c)보다 폭치수가 작은 걸어맞춤용 구멍(9d)을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클립(18)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9c)에 삽입한 후 수평이동시킴으로써 구멍(9d)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한편, 도 8(b)의 경우에는 지지보부(9)측에 대하여 걸어맞춤용 구멍(9e)과, 이 구멍(9e)이 넓게 벌어지기 쉽게 하기 위한 좁은 관통구멍(9f)을 구멍(9e)의 양측에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클립(18)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9f)의 존재에 의해서 구멍(9e)을 넓게 벌리면서 끼워짐으로써 상기 구멍(9e)에 걸어맞춰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structure, in FIG. 3 and FIG. 4,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5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재(4)에 대하여 상기한 걸어맞춤용 클립(8) 대신에 용착용의 원기둥형상 포스트(20)를 부설한 예이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개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개소 또는 새로이 부가된 개소에만 다른 부호를 사용해서 변경점만을 설명한다.(2nd Embodiment) This embodiment is a
포스트(20)는 예를 들면 ABS수지 등의 열가소성이며, 일체로 형성된 좁은 평판상의 기판(20a)상에 세워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포스트(20)는 표면재(4)를 성형할 때,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0a)이 덮개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일체화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심재(5)에는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포스트 관통용의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보부(9)를 이것을 놓을 위치를 정한 덮개부(6)에 설치함으로써, 포스트(20)가 구멍(9b)을 통과하여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되게 된다. 그 후에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용 펀치(21)를 포스트(20)의 머리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가열 가압하여 포스트(20)의 머리부를 열용융함에 의해서 펀치(21)의 선단부형상에 대응한 면형상의 빠짐방지용 플랜지(20b)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빠짐방지상태로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포스트(20)의 원기둥형상에 대응하여 표면재(4)와 포스트(20)의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성형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재(4)에 대하여 상기한 용착용 포스트(20) 대신에 코킹(caulking)고정용 포스트(30)를 부설한 예이다. 또한, 포스트(30)는 경질수지제이고, 상기한 포스트(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기판이 덮개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다만, 포스트(30)는 포스트(20)와는 달리 선단부 주위에 형성된 홈(30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지지보부(9)를 이것을 놓을 위치를 정한 덮개부(6)에 설치함으로써, 포스트(30)가 구멍(9b)을 통과하여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되게 된다. 그 후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스트(30)의 홈(30a)에 대하여 리테이닝 링인 E-링(31)을 이 포스트(30)의 지름방향에서 걸어맞춤으로써 포스트(30)를 빠짐방지상태로 고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포스트(30)의 원기둥형상에 대응하여 표면재(4)와 포스트(20)의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성형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3rd Embodiment)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which provided the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재(4)에 대하여 상기한 포스트(30) 대신에 코킹(caulking)고정용 포스트(20)를 부설한 예이다. 또한, 포스트(20)는 형상적으로 제 2 실시형태의 포스트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단순한 원기둥형상이다. 또 포스트(20)는 제 3 실시형태의 포스트(30)와 마찬가지로 경질수지제이고, 도시하지 않은 기판이 덮개부(6)의 두께 내에 삽입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지지보부(9)를 이것을 놓을 위치를 정한 덮개부(6)에 설치함으로써, 코킹고정용 포스트(20)가 구멍(9b)을 통과하여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되게 된다. 그 후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닝 링인 푸시 너트(40)를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되어 있는 포스트(20)의 상부측에서부터 걸어맞추되 그 내주에 형성된 내측 톱니(40a)가 코킹고정용 포스트(20)의 외주에 박히도록 하면서 지지보부(9)의 내측 바닥면에 눌러 붙임으로써, 코킹고정용 포스트(20)를 빠짐방지상태로 고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이점에 더하여, 제 3 실시형태에 비해서 푸시 너트(40)가 코킹고정용 포스트(20)의 축방향으로의 압입작업을 이루기 때문에,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4th Embodiment)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which provided the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하등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특정하는 요건을 제외하고, 예를 들면, 장치측의 수용부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이나 2 등을 참조해서 여러 가지로 변형가능한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 does not restrict this invention at all. Except for the requirements specified in
본 발명에 관한 제 1 발명에서는, 특허문헌 1의 구조에 비하여 연질수지제의 표면재와 경질수지제의 심재를 성형 후에 확실한 또한 강고한 결합력에 의해서 조립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슬라이딩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심재에 의해서 설계상의 강성을 충족시키기 쉽고, 복수 구성의 심재와 외면(표면과 동일)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재에 의해서 수용부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할 때의 굴곡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쉽다. 또, 특허문헌 2의 구조에 비하여 2색성형에 수반되는 팽창수축 및 이것에 수반되는 휘어짐 등의 발생이 없어 의장성을 손상시킬 염려가 없다.In the firs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material made of soft resin and the core material made of hard resin can be assembled by a reliable and firm bonding force after molding,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provided in the sliding direction in parallel to the structure of
본 발명에 관한 제 2 발명에서는, 표면재의 성형과 동시에 경질수지제의 부착부를 표면재에 일체화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ttaching part of the hard resin agent is integrated with the surface material simultaneously with the molding of the surface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by reducing the number of assembly steps.
본 발명에 관한 제 3 발명에서는, 심재를 이것을 놓을 위치를 정한 표면재의 이면에 눌러 붙임으로써 결합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In the 3rd inventi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since a joining operation is completed by pressing a core material to the back surface of the surface material which set the position to place this, assembly can be made quick.
본 발명에 관한 제 4 발명에서는, 경질수지제의 부착부가 포스트형상이기 때문에, 표면재와의 일체성형이 간단하고 또한 열코킹 등의 작업에 의해서 심재에 간단하게 용융 일체화할 수 있다.In the fourth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hard resin is in the form of a post, the integral molding with the surface material is simple, and the melt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core material by operations such as thermal caulking.
본 발명에 관한 제 5 발명에서는, 제 4 발명과 마찬가지로 표면재와의 일체성형이 간단하다.In the fifth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l molding with the surface material is simple as in the fourth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제 6 발명에서는, 상기 심재의 좌우측부가 가이드홈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 등에 수반되는 저급 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양호한 슬라이딩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the six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e material do not directly contact the guide grooves, generation of lower noise accompanying vibration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and good sliding characteristics can be provided.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343974 | 2004-11-29 | ||
JP2004343974A JP4498110B2 (en) | 2004-11-29 | 2004-11-29 | Door shut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9813A KR20060059813A (en) | 2006-06-02 |
KR100701403B1 true KR100701403B1 (en) | 2007-03-28 |
Family
ID=3663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07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1403B1 (en) | 2004-11-29 | 2005-11-18 | Shutter for Cov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498110B2 (en) |
KR (1) | KR10070140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32541A1 (en) * | 2006-09-12 | 2008-03-20 | Sugatsune Kogyo Co., Ltd. | Shutter device and hardware for shutter device |
JP5031331B2 (en) * | 2006-11-15 | 2012-09-1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Storage device |
JP5967123B2 (en) * | 2010-07-30 | 2016-08-10 | 豊田合成株式会社 | Shutter case |
JP5706124B2 (en) * | 2010-09-29 | 2015-04-22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Lid device and storage device |
JP5800623B2 (en) * | 2011-07-27 | 2015-10-28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Lid device and storage device |
CN104743235B (en) * | 2013-12-31 | 2017-01-25 | 张煜爽 | Slide rail structure |
KR102052925B1 (en) * | 2017-11-09 | 2019-12-11 | 주식회사 서연이화 | Cover of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
FR3118742B1 (en) * | 2021-01-14 | 2023-11-10 | Faurecia Interieur Ind | Closing curtain of a receptac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62593U (en) * | 1986-10-13 | 1988-04-25 | ||
JPH0492989U (en) * | 1990-12-27 | 1992-08-12 | ||
JPH05280266A (en) * | 1992-03-31 | 1993-10-26 | Sanwa Shutter Corp | Locking structure for shutter curtains for buildings |
JPH06248856A (en) * | 1993-02-23 | 1994-09-06 | Tokai Kogyo Kk | Shutter slats |
JPH08243038A (en) * | 1995-03-07 | 1996-09-24 | Sakama Toshiaki | Recyclable plastic shutter-type bathtub lid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5800U (en) * | 1981-07-22 | 1983-01-31 |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 shutter |
JPH072955Y2 (en) * | 1988-08-25 | 1995-01-30 |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 Structure of the skylight |
JPH0586777A (en) * | 1991-09-27 | 1993-04-06 | Kentosu:Kk | Shutter base material, manufacture of shutter base material and storage incorporating shutter |
JP2587007Y2 (en) * | 1992-12-28 | 1998-12-14 |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 Lighting structure of shutter |
JP2911759B2 (en) * | 1994-09-13 | 1999-06-23 | レーアウ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 Molded member |
JP4680452B2 (en) * | 2001-09-19 | 2011-05-11 | 株式会社ニフコ | Door shutter |
-
2004
- 2004-11-29 JP JP2004343974A patent/JP449811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11-18 KR KR1020050110763A patent/KR1007014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62593U (en) * | 1986-10-13 | 1988-04-25 | ||
JPH0492989U (en) * | 1990-12-27 | 1992-08-12 | ||
JPH05280266A (en) * | 1992-03-31 | 1993-10-26 | Sanwa Shutter Corp | Locking structure for shutter curtains for buildings |
JPH06248856A (en) * | 1993-02-23 | 1994-09-06 | Tokai Kogyo Kk | Shutter slats |
JPH08243038A (en) * | 1995-03-07 | 1996-09-24 | Sakama Toshiaki | Recyclable plastic shutter-type bathtub l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498110B2 (en) | 2010-07-07 |
JP2006152654A (en) | 2006-06-15 |
KR20060059813A (en) | 2006-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11277B2 (en) | Antivibration clamp for elongated objects | |
JP2021515148A (en) | 2 component U-shaped based fastener | |
KR100701403B1 (en) | Shutter for Cover | |
US20090007498A1 (en) | Weather strip | |
JP2006019580A (en) |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equipment | |
JPH0795714A (en) | Locking structure of band clamp to protector | |
JP2745855B2 (en) |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085427B2 (en) | clip | |
CN109664840B (en) | Grommet | |
JP2002331838A (en) | Weather strip fitting structure | |
US20040045734A1 (en) | Structure for attaching a harness protector used in supplying electricity | |
KR200493096Y1 (en) | Assembling structure of clip | |
US6070930A (en) | Structure for positioning window shield panel for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window shield panel | |
JP6082599B2 (en) |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 |
JP4652154B2 (en) | Binding and filing tools | |
JPH019178Y2 (en) | ||
JP2592523Y2 (en) | Code holding structure | |
JP2008248966A (en) | Fixing device | |
KR102763561B1 (en) | Fastner | |
JP3733877B2 (en) | Pulling device | |
JPH08135645A (en) | Terminal member and its attaching method | |
KR200257011Y1 (en) | clamper for holding specifics-card of parts box | |
JP4493244B2 (en) | Method and fixture for attaching panel to box | |
JP7629191B2 (en) | Noise Absorber | |
JP4419196B2 (en) | Assembly structure in instrumen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