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192B1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0192B1 KR100700192B1 KR1020040086584A KR20040086584A KR100700192B1 KR 100700192 B1 KR100700192 B1 KR 100700192B1 KR 1020040086584 A KR1020040086584 A KR 1020040086584A KR 20040086584 A KR20040086584 A KR 20040086584A KR 100700192 B1 KR100700192 B1 KR 1007001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door
- passage
- heat exchanger
- flow p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2—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 F04D17/04—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of transverse-flow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8—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cyclic routing supply and exhaus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이 횡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환기 및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급기유로의 유입 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유입구,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유입구,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내배출구를 포함하고, 실외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유입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으로 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실내유입구와 상기 실내배출구가 상기 원호형 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유입구와 실외배출구가 상기 건물의 두 벽과 인접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호 구획상태로 교차하는 제1공기통로와 제2공기통로를 구비하는 전열교환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를 거쳐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실내순환유로 내에 설치된 정화필터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거나 상기 실내순환유로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이 횡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배기유로의 실외 쪽 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배출구,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배출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내유입구를 포함하고, 실외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유입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으로 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유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실내 배출구가 상기 원호형 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유입구와 실외배출구가 상기 건물의 두 벽과 인접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호 구획상태로 교차하는 제1공기통로와 제2공기통로를 구비하는 전열교환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를 거쳐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의 상기 급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 내에 설치된 정화필터와;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된 가습장치와;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의 공기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전열교환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제1유로전환장치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거나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제2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이 횡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환기 및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유로전환장치가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 쪽 유입 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2유로전환장치가 상기 배기유로의 실외 쪽 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유입구,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유입구,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배출구,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배출구를 포함하고, 실외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유입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으로 된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실내유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실내 배출구가 상기 원호형 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유입구와 실외배출구가 상기 건물의 두 벽과 인접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유로전환장치가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 쪽 유입 측을 폐쇄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장치가 상기 배기유로의 실외 쪽 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없이 실내공기의 가습 및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Claims (28)
-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호 구획상태로 교차하는 제1공기통로와 제2공기통로를 구비하는 전열교환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를 거쳐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의 상기 급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순환유로와;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된 가습장치와;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상기 실내순환유로의 공기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전열교환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급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이 횡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환기 및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급기유로의 유입 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유입구,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유입구,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내배출구를 포함하고,실외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유입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으로 된 곡면을 포함하고,상기 제1 및 제2실내유입구와 상기 실내배출구가 상기 원호형 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유입구와 실외배출구가 상기 건물의 두 벽과 인접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호 구획상태로 교차하는 제1공기통로와 제2공기통로를 구비하는 전열교환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를 거쳐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실내순환유로 내에 설치된 정화필터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거나 상기 실내순환유로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급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이 횡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유로전환장치가 상기 배기유로의 실외 쪽 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배출구, 상기 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배출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내유입구를 포함하고,실외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유입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으로 된 곡면을 포함하고,상기 실내유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실내 배출구가 상기 원호형 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유입구와 실외배출구가 상기 건물의 두 벽과 인접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호 구획상태로 교차하는 제1공기통로와 제2공기통로를 구비하는 전열교환기와;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를 거쳐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급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유로와; 실내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의 상기 급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 내에 설치된 정화필터와;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된 가습장치와; 상기 급기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의 공기 중 어느 한 쪽이 상기 전열교환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제1유로전환장치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친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상기 배기유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거나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제2유로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급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하류에 설치되는 제1송풍팬과,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제2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삭제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이 횡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장치가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환기 및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유로전환장치가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 쪽 유입 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1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2유로전환장치가 상기 배기유로의 실외 쪽 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와 상기 전열교환기의 제2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실내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유입구, 상기 제1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유입구,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제1실내배출구, 상기 제2실내순환유로와 연통하는 제2실내배출구를 포함하고,실외공간과 연통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유입구,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하는 실외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 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으로 된 곡면을 포함하고,상기 제1 및 제2실내유입구와 상기 제1 및 제2실내 배출구가 상기 원호형 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실외유입구와 실외배출구가 상기 건물의 두 벽과 인접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제1유로전환장치가 상기 급기유로의 실외 쪽 유입 측을 폐쇄하고 상기 제2유로전환장치가 상기 배기유로의 실외 쪽 출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송풍팬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도입없이 실내공기의 가습 및 청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6584A KR100700192B1 (ko) | 2004-10-28 | 2004-10-28 | 환기장치 |
JP2005064257A JP2006125826A (ja) | 2004-10-28 | 2005-03-08 | 換気装置 |
CN2005100541499A CN1766439B (zh) | 2004-10-28 | 2005-03-09 | 换气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6584A KR100700192B1 (ko) | 2004-10-28 | 2004-10-28 | 환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7585A KR20060037585A (ko) | 2006-05-03 |
KR100700192B1 true KR100700192B1 (ko) | 2007-03-27 |
Family
ID=3672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65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0192B1 (ko) | 2004-10-28 | 2004-10-28 |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6125826A (ko) |
KR (1) | KR100700192B1 (ko) |
CN (1) | CN176643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0999B1 (ko) * | 2005-10-24 | 2008-06-24 | 허지웅 | 외기흡입장치가 구비된 코너 스탠드형 에어컨 |
KR100698909B1 (ko) * | 2005-11-28 | 2007-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환기장치 |
JP5288776B2 (ja) * | 2007-11-26 | 2013-09-11 | 株式会社クボタ | 空気調和機 |
JP5382154B2 (ja) * | 2012-02-10 | 2014-01-0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換気装置 |
CN104006481B (zh) * | 2014-04-25 | 2016-06-01 | 河南科技大学 | 一种冬季用具有加湿功能的换气扇 |
CN105066252A (zh) * | 2015-08-17 | 2015-11-1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新风机 |
CN108302688B (zh) * | 2018-04-28 | 2024-01-02 | 上海威豪医疗科技有限公司 | 净化风机以及空气处理系统 |
CN108800522B (zh) * | 2018-09-03 | 2024-01-12 |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 一种双通双滤换热模块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7402A (ja) * | 1999-10-08 | 2001-04-17 | Ebara Corp | 給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14220B2 (ja) * | 1990-03-31 | 1998-02-16 | 株式会社東芝 | 換気装置 |
JP3980215B2 (ja) * | 1999-04-23 | 2007-09-26 |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 熱交換換気装置 |
JP4656357B2 (ja) * | 2001-01-12 | 2011-03-2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
2004
- 2004-10-28 KR KR1020040086584A patent/KR10070019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3-08 JP JP2005064257A patent/JP2006125826A/ja active Pending
- 2005-03-09 CN CN2005100541499A patent/CN176643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7402A (ja) * | 1999-10-08 | 2001-04-17 | Ebara Corp | 給水装置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공개특허공보 제2001-107402호 |
공개특허공보 제2002-89421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125826A (ja) | 2006-05-18 |
CN1766439A (zh) | 2006-05-03 |
KR20060037585A (ko) | 2006-05-03 |
CN1766439B (zh) | 2010-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1879B1 (ko) | 환기시스템 | |
KR101560192B1 (ko) | 바이패스 운전이 가능한 열회수 환기장치 | |
KR100617078B1 (ko) | 콤팩트형 환기시스템 | |
KR102319066B1 (ko) | 건물 실내 환기와 냉난방 통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0577205B1 (ko) | 환기시스템 | |
KR100700192B1 (ko) | 환기장치 | |
US20070119586A1 (en) | Ventil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0700454B1 (ko) | 환기장치 | |
KR101459218B1 (ko) | 대향류형 열교환기를 장착한 열회수 환기시스템 | |
KR100601220B1 (ko) |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 |
KR102105026B1 (ko) |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 |
CN105066252A (zh) | 新风机 | |
JP2925916B2 (ja) | 空気調和機 | |
KR100627878B1 (ko) |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 |
KR100601219B1 (ko) | 폐열회수 환기장치 | |
KR102445933B1 (ko) | 배기바이패스 무덕트 환기장치 | |
KR102799796B1 (ko) | 병렬구조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전열교환모듈을 구비한 스탠드형 전열교환 환기장치 | |
JPH10141705A (ja) | 換気機能を有する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 |
KR100532351B1 (ko) | 환기장치 | |
KR100565834B1 (ko) |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 |
KR20110087894A (ko) | 열교환 환기 장치 | |
KR100577253B1 (ko) | 환기시스템 | |
JP2002181353A (ja) | 空調設備 | |
KR100750730B1 (ko) | 제연기능을 갖는 열교환기 | |
KR100532350B1 (ko) | 환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0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