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8959B1 -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959B1
KR100698959B1 KR1020060055199A KR20060055199A KR100698959B1 KR 100698959 B1 KR100698959 B1 KR 100698959B1 KR 1020060055199 A KR1020060055199 A KR 1020060055199A KR 20060055199 A KR20060055199 A KR 20060055199A KR 100698959 B1 KR100698959 B1 KR 10069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buffer
air
sheet
protrus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Priority to KR102006005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959B1/ko
Priority to JP2009516396A priority patent/JP2009540916A/ja
Priority to PCT/KR2007/002969 priority patent/WO2007148910A1/en
Priority to US12/085,278 priority patent/US20090282704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이나 구보 시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걷거나 뛸 때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신발을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시트(10)와 상부시트(20)로 이루어진 깔창(A)에 있어서, 하부시트(10)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통로(11)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제1,제2공기실(12)(13); 하부시트(10)의 상면 중앙부 내측과 제1공기실(13)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홈(14); 상부시트(20)에 형성되어 제1공기실(12)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흡입공(21); 요홈(14)에 끼워지도록 상부시트(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수직으로 매입된 스프링(22a)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완충돌기(22); 완충돌기(2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22a)의 탄성을 받는 지압돌기(23); 상부시트(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쿠션돌기(24); 상기 제2공기실(13)에 내장되는 완충부재(30); 제2공기실(13)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1,제2첵밸브(40)(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지압돌기, 스프링, 완충돌기

Description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air circulate type an impact of shock-absorbing sole of shoes}
도 1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시트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시트의 완충돌기와 지압돌기를 보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단면도.
도 6a,6b,6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단면도.
도 8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14a,14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구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5a,15b는 본 발명에 따른 캡나사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6a,16b,16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하부시트 11 : 통로
12 : 제1공기실 13 : 제2공기실
14 : 요홈 20 : 상부시트
21 : 흡입공 22a : 스프링
23 : 지압돌기 24 : 쿠션돌기
30 : 완충부재 40 : 제1첵밸브
50 : 제2첵밸브 A : 깔창
100 : 하부시트 110 : 완충공간
200 : 상부시트 210 : 흡입공
220 : 돌기 300 : 쿠션부재
310 : 삽입홀 320 : 전방파형홈
321 : 연결홈 330 : 후방파형홈
331 : 연결홈 340 : 통로
400 : 너트 500 : 완충구
510 : 스프링 620,530 : 요홈
600 : 캡나사 700 : 제1첵밸브
800 : 제2첵밸브 B : 깔창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행이나 구보 시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걷거나 뛸 때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깔창은 신발의 내부에 끼워 넣고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신발 깔창은 발을 편안하게 하여 신발을 신고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업무를 보더라도 발이 편안하게 유지되게 하고, 걷거나 뛰기에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발의 보조기구이다.
최근 들어서는 각종 기능을 추가하여 편안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신발 깔창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교통수단 등과 같이 과학의 발달에 의하여 운동부족 및 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하여 비만 등의 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하여 아침에 공원 등에서 조깅 등의 운동을 많이 하고 있는 바, 상기한 조깅을 하는 사람은 비교적 가벼운 신발과 트레이닝을 착용하고 달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 깔창은 보행이나 조깅 등을 할 때 다리 관절에 무리한 충격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능이 미흡하여 관절의 연골과 척추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신발 깔창은 구조적으로 쿠션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의 피로가 빨리 오고 운동량을 높일 수 없으므로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걷거나 뛸 때에 착용자의 체중에서 오는 충격이 여과 없이 발로 전달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피로감을 더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신발 깔창은 구조적으로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금새 땀이 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발에 찬 땀을 건조시킬 수 없으므로 곰팡이 등의 세균번식을 막을 수 없고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발 냄새 및 무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보행이나 조깅 등을 할 때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의 피로를 줄이는 동시에 운동량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걷거나 뛸 때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무좀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착용자가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신발을 보다 편안하게 착 용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하부시트의 상부 전후방에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제1,제2공기실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시트의 상면 중앙부 내측과 제1공기실에 다수개의 요홈을 형성하며, 상부시트에 제1공기실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흡입공을 천공하고,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는 요홈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완충돌기를 돌출시키며, 상기 완충돌기에는 스프링을 일체로 매입하고, 상기 완충돌기의 상측으로 스프링의 탄성을 받는 지압돌기를 각각 돌출시키며, 상기 상부시트의 후방 상부에 다수개의 쿠션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공기실에 완충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제2공기실의 전방에 통로를 개폐시키는 제1첵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제2공기실의 후방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첵밸브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하부시트의 상부에 쿠션부재가 끼워지는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공간의 전방과 후방에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너트를 각각 매입하며, 상기 너트와 마주하도록 쿠션부재에 다수개의 삽입홀을 수직으로 천공하고, 상기 삽입홀에 수직으로 스프링이 매입된 완충구를 각각 내장하며, 상기 너트에 캡나사를 각각 체결하고, 상기 쿠션부재의 전방과 후방에 연결홈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후방파형홈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전방파형홈과 후방파형홈을 통로로 연결시키고, 상기 통로와 하부시트의 후방에 제1,제2첵밸브를 각각 설치하며, 상부시트의 전방에 전방파형홈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흡입공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은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시트(10)와 상부시트(20)로 이루어진 신발 깔창(A)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10)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통로(11)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제1,제2공기실(12)(13); 상기 하부시트(10)의 상면 중앙부 내측과 제1공기실(13)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홈(14); 상기 상부시트(20)에 형성되어 제1공기실(12)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흡입공(21); 상기 요홈(14)에 끼워지도록 상부시트(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수직으로 매입된 스프링(22a)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완충돌기(22); 상기 완충돌기(2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22a)의 탄성을 받는 지압돌기(23); 상기 상부시트(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쿠션돌기(24); 상기 제2공기실(13)에 내장되는 완충부재(30); 상기 제2공기실(13)의 전방에 설치되어 통로(11)를 개폐시키는 제1첵밸브(40); 상기 제2공기실(13)의 후방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2첵밸브(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깔창(A)은 운동화,구두,슬리퍼,농구화,축구화,골프화,군화,등산화 등의 각종 신발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깔창(A)은 하부시트(10)와 상부시트(20)로 이루어지고, 깔창(A)은 연령별,성별 또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로(11)는 하부시트(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로(11)의 양단은 제1공기실(12)과 제2공기실(13)에 각각 연통된다.
상기 제1공기실(12)은 하부시트(1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공기실(12)에는 상부시트(20)의 완충돌기(22)가 내장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공기실(12)에는 다수개의 파형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공기실(13)은 하부시트(10)의 상부 후방에 형성되어 통로(11)를 통해 제1공기실(12)과 연통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공기실(13)의 전방에는 보행 시 통로(11)를 개폐시키는 제1첵밸브(40)가 설치되고, 또한 제2공기실(13)의 후방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첵밸브(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공기실(13)에는 완충부재(30)가 내장된다.
상기 요홈(14)은 하부시트(10)의 상면 중앙부 내측과 제1공기실(13)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요홈(14)에는 완충돌기(22)의 하단부가 각각 끼워진다.
상기 파형홈(15)은 제1공기실(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파형홈(15)은 하부시트(10)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보행 시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흡입공(21)은 상부시트(20)의 전방에 천공되는 것으로, 이러한 흡입공(21)은 하부시트(10)에 형성된 제1공기실(12)과 서로 연통된다. 이때, 상기 상부시트(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입공(21)으로는 보행 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된 다.
상기 완충돌기(22)는 상부시트(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요홈(14)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완충돌기(22)는 제1공기실(12)에 내장되어 보행 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보행 중 발바닥의 앞부분이 상부시트(20)를 누르면 그 압력에 의해 완충돌기(22)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상기 스프링(22a)은 완충돌기(22)에 일체로 각각 매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22a)은 완충돌기(22)에 탄성을 부여하여 반발력을 높인다. 이때, 상기 스프링(22a)은 완충돌기(22)에 매입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압돌기(23)는 완충돌기(2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22a)의 탄성을 받는 것으로, 이러한 지압돌기(23)는 스프링(22a)의 텐션을 받으면서 탄력적으로 발바닥에 지압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쿠션돌기(24)는 상부시트(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쿠션돌기(24)는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상기 완충부재(30)는 제2공기실(13)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부재(30)는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공기를 순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3과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30)는 2개의 주름관(31)이 일체로 형성된 한조로 이루어져 제2공기실(1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31)의 내부에는 스프링(32)이 내장되어 진공상태로 밀봉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32)은 주름관(31)에 진공상태로 매입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반발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30)는 상부시트(20)의 후방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완충돌기(33)와, 상기 완충돌기(33)에 각각 매입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34)은 완충돌기(33)에 일체로 매입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반발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첵밸브(40)는 제2공기실(13)의 전방에 설치되어 보행 시 통로(11)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1첵밸브(40)는 제2공기실(13)의 압축 시 통로(11)를 폐쇄시키고, 한편 제1첵밸브(40)는 제2공기실(13)의 팽창 시 통로(11)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2첵밸브(50)는 제2공기실(13)의 후방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2첵밸브(50)는 제2공기실(13)의 압축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한편 제2첵밸브(50)는 제2공기실(13)의 팽창 시 폐쇄되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때, 도면에서는 제2첵밸브(50)가 제2공기실(13)의 후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첵밸브(50)를 제2공기실(13)의 일측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깔창(A)을 신발에 끼우고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의 평상시에 는 완충돌기(22)와 완충부재(30)의 탄력에 의해 제1,제2공기실(12)(13)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깔창(A)을 신발에 끼우고 신발을 신고 걷거나 뛰면 제1,제2공기실(12)(13)과 완충돌기(22) 및 완충부재(30)가 탄력적으로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과 공기순환작용을 부여하게 된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보행 중 발바닥의 뒷부분이 상부시트(20)를 누르면 그 압력에 의해 제2공기실(13)이 압축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완충부재(30)의 주름관(31)과 스프링(32)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며, 이와 동시에 제2공기실(13)내에서 압축된 공기는 제2첵밸브(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한편 제2공기실(13)내에서 압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1첵밸브(40)가 통로(11)에 밀착되므로 통로(11)는 닫히게 된다.
다음, 도 6b에서와 같이 보행 중 발바닥의 앞부분이 상부시트(20)를 누르면 그 압력에 의해 제1공기실(12)이 압축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완충돌기(22)와 스프링(22a)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며, 이와 동시에 제1공기실(12)내에서 압축된 공기가 통로(11)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1첵밸브(50)는 열리게 된다.
한편, 도 6c에서와 같이 보행 중 지면으로부터 발을 떼면 제1,제2공기실(12)(13)은 완충돌기(22)와 완충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완충부재(30)의 주름관(31)과 스프링(32)이 팽창되기 때문에 제2공기실(13)내에는 흡입력이 발생되며, 이와 동시에 제2공기실(13)내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제1첵밸브(40)가 자동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통로(11)를 통해 제2공기실(13)과 제1공기실(12)은 서로 연통되고, 한편 제2첵밸브(5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공기실(12)과 완충돌기(22),스프링(22a)이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부시트(20)의 흡입공(21)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제1공기실(12)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제1공기실(12)내로 유입된 신선한 공기는 통로(11)를 통해 제2공기실(13)내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보행 시 신선한 공기가 깔창(A)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A)은 완충작용이 부여되어 쿠션이 매우 좋기 때문에 걷거나 뛸 때 발의 피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높여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운동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성인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A)은 걷거나 뛸 때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무좀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착용자가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신발을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공기실(12)에 다수개의 파형홈(15)이 형성되므로 하부시트(1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스프링(22a)(32)이 완충돌기(22)와 주름관(31)에 각각 내장된 상태로 밀봉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반발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부시트(20)에 다수개의 지압돌기(23)가 형성되므로 보행 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은 도 8 내지 도 16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시트(100)와 상부시트(200)로 이루어진 깔창(B)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쿠션부재(300)를 수용하는 완충공간(110); 상기 완충공간(110)의 전방과 후방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매입되는 다수개의 너트(400); 상기 너트(400)와 마주하도록 쿠션부재(300)에 수직으로 천공되는 다수개의 삽입홀(310); 상기 삽입홀(310)에 각각 내장되어 수직으로 매입된 스프링(510)을 구비하는 완충구(500); 상기 너트(400)에 각각 체결되는 캡나사(600); 상기 쿠션부재(3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홈(321)(331)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후방파형홈(320)(330); 상기 전방파형홈(320)과 후방파형홈(330)을 연결시키는 통로(340); 상기 통로(340)와 하부시트(10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1,제2첵밸브(700)(800); 상기 상부시트(200)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방파형홈(320)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흡입공(2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깔창(B)은 운동화,구두,슬리퍼,농구화,축구화,골프화,군화,등산화 등의 각종 신발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깔창(B)은 하부시트(100)와 상부시트(200)로 이루어지고, 깔창(B)은 연령별,성별 또는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공간(110)은 도 9에서와 같이 하부시트(100)의 상부 전방에서 후방 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공간(110)에는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쿠션부재(300)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완충공간(110)의 전방과 후방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너트(400)가 각각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압출성형된다.
상기 흡입공(210)은 상부시트(20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흡입공(210)은 쿠션부재(300)에 형성된 전방파형홈(320)과 서로 연통된다. 이때, 상기 상부시트(200)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입공(210)으로는 보행 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쿠션부재(300)는 하부시트(100)의 완충공간(110)에 내장되어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쿠션부재(300)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지고, 쿠션부재(300)에는 다수개의 삽입홀(310)과 다수개의 전,후방파형홈(320)(330) 및 통로(3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공간(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310)은 너트(400)와 마주하도록 쿠션부재(300)에 수직으로 각각 천공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삽입홀(310)에는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완충구(500)가 각각 내장된다.
상기 전방파형홈(320)과 후방파형홈(330)은 도 12에서와 같이 쿠션부재(300)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전,후방파형홈(320)(330)은 연결홈(321)(331)으로 연결되고, 또한 전방파형홈(320)과 후방파형 홈(330)은 통로(340)를 통해 서로 연통되며, 그리고 후방파형홈(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첵밸브(8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파형홈(320)(330)은 보행 시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쿠션부재(300)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통로(340)는 도 12에서와 같이 쿠션부재(3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로(340)의 양단은 전방파형홈(320)과 후방파형홈(330)에 각각 연통된다. 이때, 상기 통로(340)에는 제1첵밸브(700)가 설치된다.
상기 너트(400)는 완충공간(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를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매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너트(400)에는 캡나사(600)가 각각 나사결합으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너트(400)는 완충공간(110)에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압출성형된다.
상기 완충구(500)는 쿠션부재(300)의 삽입홀(310)에 각각 내장되어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구(500)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소재로 이루어지고, 완충구(500)에는 도 14a,14b에서와 같이 탄성을 부여하여 반발력을 높이는 스프링(510)이 수직으로 매입되며, 이때 스프링(510)은 완충구(500)에 매입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구(500)의 상부와 하부 중앙에는 요홈(520)(5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시트(200)의 하부와 캡나사(600)의 상부에는 요홈(520)(530)에 각각 끼워지는 돌기(220)(610)가 돌출된다.
상기 캡나사(600)는 너트(400)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조립되어 완충구(5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캡나사(600)는 필요 시 완충구(5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너트(400)에 나사결합으로 조립되고, 이때 캡나사(600)의 저면에는 도 15b에서와 같이 조립 및 분해 시 캡나사(600)를 용이하게 조이고 풀 수 있도록 도구가 끼워지는 홈(6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나사(600)가 너트(40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나사조립으로 체결되어 필요 시 완충구(5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즉 완충구(500)의 파손 시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적정한 강도를 가지는 완충구(5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특히 지면을 밟았을 때 무게가 많이 나가는 쪽 완충구(500)의 강도를 부분적으로 또는 일률적으로 달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텐션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첵밸브(700)는 쿠션부재(300)의 통로(340)에 설치되어 보행 시 통로(34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1첵밸브(700)는 쿠션부재(300)의 후방파형홈(330) 부위 압축 시 통로(340)를 폐쇄시키고, 한편 제1첵밸브(700)는 쿠션부재(300)의 후방파형홈(330) 부위 팽창 시 통로(340)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300)의 통로(340)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제1첵밸브(700)가 끼워지는 밸브설치홈(34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첵밸브(800)는 하부시트(100)의 후방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2첵밸브(800)는 쿠션부재(300)의 후방파형홈(330) 부위 압축 시 개방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한편 제2첵밸브(800)는 쿠션부재(300)의 후방파형홈(330) 부위 팽창 시 폐쇄되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시트(100)의 후방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제2첵밸브(800)가 끼워지는 밸브설치홈(1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깔창(B)을 신발에 끼우고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의 평상시에는 완충구(500)의 탄력에 의해 쿠션부재(300)와 전,후방파형홈(320)(330) 부위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깔창(B)을 신발에 끼우고 신발을 신고 걷거나 뛰면 쿠션부재(300)와 전,후방파형홈(320)(330) 및 완충구(500)가 탄력적으로 압축 및 팽창하면서 완충작용과 공기순환작용을 부여하게 된다.
먼저, 도 16a에서와 같이 보행 중 발바닥의 뒷부분이 상부시트(200)를 누르면 그 압력에 의해 쿠션부재(300)의 후방파형홈(330) 부위가 압축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쿠션부재(300)의 후방에 설치된 완충구(500)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며, 이와 동시에 후방파형홈(330) 부위에서 압축된 공기는 제2첵밸브(8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한편 후방파형홈(330) 부위에서 압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1첵밸브(700)가 닫히므로 쿠션부재(300)의 통로(340)는 폐쇄된다.
다음, 도 16b에서와 같이 보행 중 발바닥의 앞부분이 상부시트(200)를 누르면 그 압력에 의해 쿠션부재(300)의 전방파형홈(320) 부위가 압축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쿠션부재(300)의 전방에 설치된 완충구(500)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며, 이와 동시에 전방파형홈(320) 부위에서 압축된 공기가 쿠션부 재(300)의 통로(340)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1첵밸브(700)는 열리게 된다.
한편, 도 16c에서와 같이 보행 중 지면으로부터 발을 떼면 쿠션부재(300)의 전,후방파형홈(320)(330) 부위는 완충구(500)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완충구(500)가 팽창되기 때문에 후방파형홈(330)내에는 흡입력이 발생되며, 또한 전방파형홈(320)과 완충구(500)가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부시트(200)의 흡입공(210)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전방파형홈(320)으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전방파형홈(320)내로 유입된 신선한 공기는 통로(340)와 제1첵밸브(700)를 통해 후방파형홈(330)내로 자연스럽게 유입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보행 시 신선한 공기가 깔창(B)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B)은 완충작용이 부여되어 쿠션이 매우 좋기 때문에 걷거나 뛸 때 발의 피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높여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운동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성인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B)은 걷거나 뛸 때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무좀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착용자가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신발을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캡나사(600)가 너트(40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나사조립으로 체결되어 필요 시 완충구(5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즉 완충구(500)의 파손 시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적정한 강도를 가지는 완충구(5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지면을 밟았을 때 무게가 많이 나가는 쪽 완충구(500)의 강도를 부분적으로 또는 일률적으로 달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텐션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510)이 완충구(500)에 내장된 상태로 밀봉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은 보행이나 조깅 등을 할 때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운동량을 배가시켜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리고 걷거나 뛸 때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발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무좀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착용자가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신발을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하부시트(10)와 상부시트(20)로 이루어진 깔창(A)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10)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통로(11)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 제1공기실(12), 제2공기실(13); 상기 하부시트(10)의 상면 중앙부 내측과 제1공기실(1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홈(14); 상기 상부시트(20)에 형성되어 제1공기실(12)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흡입공(21); 상기 요홈(14)에 끼워지도록 상부시트(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수직으로 매입된 스프링(22a)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완충돌기(22); 상기 완충돌기(2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22a)의 탄성을 받는 지압돌기(23); 상기 상부시트(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쿠션돌기(24); 상기 제2공기실(13)에 내장되는 완충부재(30); 상기 제2공기실(13)의 전방에 설치되어 통로(11)를 개폐시키는 제1첵밸브(40); 상기 제2공기실(13)의 후방에 외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2첵밸브(50)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실(12)에는 다수개의 파형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2개의 주름관(31)이 일체로 형성된 한조로 이루어져 제2공기실(1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31)의 내부에는 스프링(32)이 내장되어 밀봉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상부시트(20)의 후방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완충돌기(33)와, 상기 완충돌기(33)에 각각 매입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5. 하부시트(100)와 상부시트(200)로 이루어진 깔창(B)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쿠션부재(300)를 수용하는 완충공간(110); 상기 완충공간(110)의 전방과 후방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매입되는 다수개의 너트(400); 상기 너트(400)와 마주하도록 쿠션부재(300)에 수직으로 천공되는 다수개의 삽입홀(310); 상기 삽입홀(310)에 각각 내장되어 수직으로 매입된 스프링(510)을 구비하는 완충구(500); 상기 너트(400)에 각각 체결되는 캡나사(600); 상기 쿠션부재(3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홈(321)(331)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후방파형홈(320)(330); 상기 전방파형홈(320)과 후방파형홈(330)을 연결시키는 통로(340); 상기 통로(340)와 하부시트(10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1,제2첵밸브(700)(800); 상기 상부시트(200)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방파형홈(320)과 연통하는 다수개의 흡입공(210)을 포함하는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500)의 상부와 하부 중앙에는 요 홈(520)(5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시트(200)의 하부와 캡나사(600)의 상부에는 요홈(520)(530)에 각각 끼워지는 돌기(220)(61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KR1020060055199A 2006-06-20 2006-06-20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Expired - Fee Related KR10069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199A KR100698959B1 (ko) 2006-06-20 2006-06-20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JP2009516396A JP2009540916A (ja) 2006-06-20 2007-06-19 空気循環式衝撃緩和靴及び靴の中敷
PCT/KR2007/002969 WO2007148910A1 (en) 2006-06-20 2007-06-19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US12/085,278 US20090282704A1 (en) 2006-06-20 2007-06-19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199A KR100698959B1 (ko) 2006-06-20 2006-06-20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959B1 true KR100698959B1 (ko) 2007-03-26

Family

ID=4156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1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8959B1 (ko) 2006-06-20 2006-06-20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95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740B1 (ko) * 2007-03-28 2009-07-14 주식회사우영제화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200448648Y1 (ko) 2007-12-13 2010-05-0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충격완충용 신발깔창
KR100996559B1 (ko) * 2008-04-03 2010-11-24 주식회사 엠에스존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1130826B1 (ko) * 2009-01-12 2012-04-19 주식회사 삼일통상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KR101123478B1 (ko) 2009-07-21 2012-04-30 (주)크렉스 공기 순환식 충격흡수 구두
KR101318696B1 (ko) 2009-01-22 2013-10-16 주식회사 풋바란스 공기순환 및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IT201800005052A1 (it) * 2018-05-03 2019-11-03 Stefano Francesco Di Intersuola mobile, che facilita il movimento in avanti sul piano sagittale e ammortizza l’impatto con il suolo, con cuscinetti ad aria.
CN111432686A (zh) * 2017-12-15 2020-07-17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缓冲承载表面及其制造方法
CN112244431A (zh) * 2020-11-03 2021-01-22 泉州量子密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鞋垫
CN112244422A (zh) * 2020-11-03 2021-01-22 泉州量子密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93A (ko) * 1994-11-23 1996-06-17 임성조 완충효과와 외관이 개선된 신발용중창
KR20010073281A (ko) * 2000-01-13 2001-08-01 김갑진 신발의 환기장치
KR200361990Y1 (ko) 2004-06-17 2004-09-13 (주) 스트라스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100464618B1 (ko)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481701B1 (ko) 2004-06-07 2005-04-14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93A (ko) * 1994-11-23 1996-06-17 임성조 완충효과와 외관이 개선된 신발용중창
KR20010073281A (ko) * 2000-01-13 2001-08-01 김갑진 신발의 환기장치
KR100481701B1 (ko) 2004-06-07 2005-04-14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0361990Y1 (ko) 2004-06-17 2004-09-13 (주) 스트라스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100464618B1 (ko)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740B1 (ko) * 2007-03-28 2009-07-14 주식회사우영제화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200448648Y1 (ko) 2007-12-13 2010-05-0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충격완충용 신발깔창
KR100996559B1 (ko) * 2008-04-03 2010-11-24 주식회사 엠에스존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1130826B1 (ko) * 2009-01-12 2012-04-19 주식회사 삼일통상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KR101318696B1 (ko) 2009-01-22 2013-10-16 주식회사 풋바란스 공기순환 및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123478B1 (ko) 2009-07-21 2012-04-30 (주)크렉스 공기 순환식 충격흡수 구두
CN111432686A (zh) * 2017-12-15 2020-07-17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缓冲承载表面及其制造方法
CN111432686B (zh) * 2017-12-15 2024-05-10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缓冲承载表面及其制造方法
IT201800005052A1 (it) * 2018-05-03 2019-11-03 Stefano Francesco Di Intersuola mobile, che facilita il movimento in avanti sul piano sagittale e ammortizza l’impatto con il suolo, con cuscinetti ad aria.
CN112244431A (zh) * 2020-11-03 2021-01-22 泉州量子密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鞋垫
CN112244422A (zh) * 2020-11-03 2021-01-22 泉州量子密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鞋
CN112244431B (zh) * 2020-11-03 2021-09-21 泉州量子密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鞋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959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KR200426095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JP2009540916A (ja) 空気循環式衝撃緩和靴及び靴の中敷
JP4988565B2 (ja) 空気循環による衝撃緩和可能な靴
US20100139127A1 (en) Shoe sole with air ventilation device
US8307569B2 (en) Training footwear
US20080189986A1 (en) Ventilated and resilient shoe apparatus and system
JP2008188409A (ja) 空気循環式衝撃緩衝靴(Impactofshock−absorbingshoesofcircularair)
KR100464618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481701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688389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0448648Y1 (ko) 충격완충용 신발깔창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101139441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090127843A (ko) 충격흡수형 신발창
KR200360286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100083692A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200440536Y1 (ko) 신발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0259679Y1 (ko) 신발의 구조
KR200365883Y1 (ko) 통풍구조를 구비한 신발
KR200360291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0183118Y1 (ko) 신발의 완충 및 환기장치
EP2189075A1 (en) Shoe sole with air ventilation device
KR100756413B1 (ko) 충격완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2-X000 Request for substantive examination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2-exm-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S20-X000 Security interest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20-lic-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3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31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