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584B1 - Car Office System - Google Patents
Car Offic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8584B1 KR100698584B1 KR1020040061320A KR20040061320A KR100698584B1 KR 100698584 B1 KR100698584 B1 KR 100698584B1 KR 1020040061320 A KR1020040061320 A KR 1020040061320A KR 20040061320 A KR20040061320 A KR 20040061320A KR 100698584 B1 KR100698584 B1 KR 100698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vehicle
- holder
- sun visor
- office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오피스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오피스장치는 키조작으로 발생된 입력신호의 통전회로를 포함하면서 가요성을 지니는 자판패널을 구비한 키보드;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 및 상기 키보드가 삽입 보호되며 힌지체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1키보드거치대 및 제 2키보드거치대와, 상기 본체를 감싸 보호하며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키보드거치대가 상면 절곡부의 일단부가 소정 길이로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는 2가지 방식으로 제공되는데 그 첫째는 키보드,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와 상기 키보드와 본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된 오피스장치; 상기 오피스장치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회동가동하도록 연결되며 자동차의 핸들에 걸칠 수 있는 걸림레버를 포함하는 안착틀; 및 상기 안착틀을 차량 내부의 천장으로 회동가능하게 탈부착시키는 천장고정구를 포함하며 그 둘째는 키보드,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와 상기 키보드와 본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된 오피스장치; 및 상기 오피스장치가 장착되는 선바이저로 이루어진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가 상기 오피스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오피스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오피스장치를 포함한다.A vehicle office apparatus and a sun visor comprising the same, the vehicle office apparatus comprising: a keyboard having a keyboard panel having flexibility while including an energization circuit of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a key operation; A main body for calculating and outputting data input through the keyboard; And a first keyboard holder and a second keyboard holder pivotally connected to the keyboard and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body, and a body holder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main body a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keyboard holder and a hinge. It comprises a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keyboard cradle has an incision that the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is bent in a predetermined length, the sun visor including the office device is provided in two ways, the first is the keyboard An office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for arithmetic processing of the input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and a case protecting the keyboard and the main body; A seating frame including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office device is seated, and a locking lever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le of the vehicle; And a ceiling fixture configured to detachably attach the seat frame to the ceiling of the vehicle, and a second apparatus includes a keyboard, a body configured to process and output input data, and a case protecting the keyboard and the body. And an office device comprising a sun visor on which the office device is mounted, wherein the sun visor includes an office device includ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office device is mounted and a support jaw for supporting the office device. .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1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구의 작동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보드와, 이 키보드를 조적 보호하는 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sing for protecting the keyboard;
도 4는 도 3에 따라 구성된 키보드와 케이스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and the cas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Figure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1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와 안착틀 간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sea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ocking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1실시예가 핸들과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handl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2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보드와, 이 키보드를 조적 보호하는 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sing for protecting the keyboar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실시예에 보조거치대가 더 구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is further configured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상기 고정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xtur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상기 제3실시예에 상기 보조거치대가 더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er is further included in the third embodiment;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실시예에 타이벨트가 더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ie belt is further included 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오피스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ffice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Explanation of terms for main parts of attached drawings-
100 ; 오피스장치 110 ; 본체100;
120 ; 키보드 121 ; 자판패널 120;
130 ; 케이스 130; case
130a ; 제 1키보드거치대 130b ; 제 2키보드거치대130a;
131 ; 걸림홈 132 ; 안착부 131;
137 ; 홈 138 ; 힌지체137;
200, 200' ; 선바이저 201 ; 걸림구200, 200 '; Sun
201a ; 돌기 210, 210'; 안착틀201a;
211, 211': 지지턱 213; 지지판211 and 211 ': support
214 ; 고정홈 214a ; 삽입홈214;
214b ; 걸림홈 217, 217': 안착홈214b; Jam Groove 217, 217 ': Settling Groove
220, 220'; 천장고정구 221 ; 고정체220, 220 '; Ceiling fixtures 221; Fixture
221a ; 회동홈 221b ; 회동구멍221a; Revolving Groove 221b; Rotating hole
222 ; 연결체 222a ; 회동구멍222;
222b ; 걸림돌기 223 ; 회동축222b;
230 ; 제1 걸림레버 240 ; 제2 걸림레버230; First locking lever 240; 2nd latch lever
H ; 핸들 S ; 스티어링 휠 허브H; Handle S; Steering wheel hub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사무가 가능하도록 핸들에 걸쳐 편안하게 사용가능하며 선바이저에 장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오피스장치 및 이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ice device that can be comfortably used over a handle to enable office work in a vehicle and can be mounted and stored in a sun visor and a sun visor including the office device.
차량 내에서 각종 사무는 물론 무선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까지 가능하게 하는 오피스장치들은 종래에 많이 발명되었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본원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었다.(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20-1999-0003877,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20-1999-0006371, 특허 출원번호 10-1999-0027706, 특허 출원번호 10-2000-0039035)Office devices that enable various types of office work as well as Internet acces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vehicle have been invented in the past, and many of them have been fil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1999-0003877, Utility Patent Registration No. 20-1999-0006371, Patent Application No. 10-1999-0027706,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39035)
특히, 오피스장치를 소형화 및 경량화시킴으로서, 차량 내에서의 점유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선바이저와 결합시키는 기술 또한 안출되었으며, 이는 특허(출원번호 10-2002-0025760)를 통해 이미 공개되었다.In particular, by miniaturizing and lightening the office device, a technology for combining with a sun visor to minimize the occupied space in the vehicle has also been devised, which has already been disclosed in the patent (application number 10-2002-0025760).
한편, 상기 오피스장치를 갖춘 선바이저는 선바이저로써의 기능수행을 위해 운전석 천장에 배치되고 정지 시 오피스 업무 목적을 위하여 선바이저 위치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기존의 선바이저를 새로운 오피스장치가 포함된 새로운 선바이저로 교체 하는 착탁 기술의 출원내용이 본원 발명자에 의하여 기존 출원 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sun visor equipped with the office device is placed on the ceiling of the driver's seat for functioning as a sun visor and a new ship including the new office device to separate the existing sun visor from the sun visor position for the purpose of office work when stopped. The application of the depositing technique to replace the visor has been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오피스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해 운전석의 핸들 상면으로 오피스장치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요한 오피스장치와 핸들 간의 다양한 고정수단들이 이미 안출되었다.In this way, the user can seat the office devi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driver's seat for convenient operation of the office device, and thus various fixing means between the necessary office device and the handle have already been devised.
하지만, 종래 선바이저 고정을 통한 카오피스 수단들은 선바이저 자체를 오피스를 포함한 선바이저 착탈 장치로 기존의 선바이저 전체를 변경, 교체 해야 하는데 필요한 시간적, 경제적, 기술적, 공정적 곤란 등의 어렴움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r visor means through the fixing of the sun visor, the sun visor itself, the sun visor detachment device including the office, there was a dimness, such as the time, economic, technical, and process difficulties required to change and replace the entire existing sun visor. ,
그리고 핸들 거치시에는 R 집게 형태 또는 양측면에서 핸들에 압박을 가하는 방식으로 되어,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였고 그 크기 또한 작지 않아 상기 고정수단들을 구비시켜 선바이저로 활용하기에는 거추장스러운 면이 있었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을 이루는 구조의 복잡성은 선바이저의 제조과정을 곤란하게 하였다.When the handle is mounted, the R-clamp is applied to the handle in the form or on both sides, and its structure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its size is not small, so it is difficult to use the fixing means as a sun visor. Of course,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of the fixing means mad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n visor difficult.
또한, 종래 오피스장치를 차량 내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컴팩트한 형상으로 제작하여야 할 필요성과, 또한 오피스 장치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핸들에 용이하게 걸쳐 사용할 수 있으면서 종래의 선바이저에 결합시켜서 보관을 용이하게 하여야 할 필요성 등이 대두되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들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the necessity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office device in a compact shap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vehicle, and also to improve the office device to be easily spread over the handle while being combined with a conventional sun visor for easy storage There is a need to make this happen, but there are no means to solve i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정의 무게를 갖는 오피스장치가 차량 내 선바이저와 일체 되면서 차량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선바이저의 고정부가 헐거워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오피스장치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차량의 핸들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컴팩트하게 변형하여 운반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된 차량용 오피스 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ffice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integrated with the sun visor in the vehicle while minimizing the loosening of the fixed part of the sun visor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driving the vehicle, the office The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vehicle office system that can be easily fixed to the handle of the vehicle for convenient use of the device, and is compactly modified to be easy to carry and carry.
삭제dele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키조작으로 발생된 입력신호의 통전회로를 포함하면서 가요성을 지니는 자판패널을 구비한 키보드; A keyboard having a keyboard panel having flexibility while including an energization circuit of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a key operation;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 및 A main body for calculating and outputting data input through the keyboard; And
상기 키보드가 삽입 보호되며 힌지체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1키보드거치대 및 제 2키보드거치대와, 상기 본체를 감싸 보호하며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거치대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오피스장치를 제공한다.A first keyboard holder and a second keyboard holder pivotally connected to the keyboard and rotatably connected via a hinge body, and a main body holder wrapped around the main body and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keyboard holder and a hinge; It provides an office device including a case containing.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키보드,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와 상기 키보드와 본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된 오피스장치; An office device comprising a keyboard, a body configured to process and output input data, and a case protecting the keyboard and the body;
상기 오피스장치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회동가동하도록 연결되며 자동차의 핸들에 걸칠 수 있는 걸림레버를 포함하는 안착틀; 및A seating frame including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office device is seated, and a locking lever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le of the vehicle; And
상기 안착틀을 차량 내부의 천장으로 회동가능하게 탈부착시키는 천장고정구를 포함하는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sun visor comprising an office device including a ceiling fixtur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seating frame to a ceiling inside the vehicle.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키보드,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와 상기 키보드와 본체를 보호하는 케이스로 된 오피스장치; 및 상기 오피스장치가 장착되는 선바이저로 이루어진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An office device comprising a keyboard, a body configured to process and output input data, and a case protecting the keyboard and the body; And a sun visor comprising a sun visor on which the office device is mounted.
상기 선바이저가 상기 오피스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오피스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를 제공한다.The sun visor provides a sun visor including an office device includ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office device is seated and a support jaw supporting the office devic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1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구의 작동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장치를 포함하는 선바이저는 숫자키 및 문자키 등이 배열된 키보드(120)와,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110)와, 상기 키보드(120)와 본체(110)를 덮어 보호하는 케이스(130)로 된 오피스장치(100)와, 상기 오피스장치(100)가 안착되는 지지판(213)을 포함하는 안착틀(210)과, 상기 안착틀(210)을 차량 내부의 천장으로 회동가능하게 탈부착시키는 천장고정구(220)로 된 선바이저(2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sun visor including the off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키보드(120)는 숫자키 및 문자키 등이 규격에 따라 배열 되어 있으며, 키보드(12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The
상기 본체(110)는 상기 키보드(12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는 제어기(112 ; 도 5 참조)와, 연산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모니터(111 ; 도 5 참조)를 포함하며, 오피스장치(100)의 소형화를 위해 상기 케이스(130)와 상호 접철가능하게 되었다.The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키보드(120) 및 본체(110)를 수용하는 한편 이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이 또한 키보드(120)를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상기 선바이저(200)는 상기 오피스장치(100)가 안착되어 결합되어지는 한편, 차량 내 운전석의 천장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오피스장치(100)와 결합되는 안착틀(210)과, 이 안착틀(210)을 천장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천장고정구(220)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안착틀(210)은 상기 오피스장치(100)의 저면과 맞닿아 이를 지지하는 지지판(213)을 포함하며, 오피스장치(100)와의 탈부착가능한 결합을 위해 상기 지지판(213)의 전단을 개방시켜서 오피스장치(100)가 슬라이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지지판(213)의 양측단에는 오피스장치(100)의 양측부가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11, 212)을 형성시켜서 지지판(213)의 전단을 통해 삽입된 오피스장치(100)가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감싼다.In this case, the
그런데, 상기 오피스장치(100)의 양측부가 상기 끼움홈(211, 212)으로 삽입된다 함은 역으로 상기 끼움홈(211, 212)으로부터 상기 오피스장치(100)가 미끄러져 쉽게 분리될 수도 있음을 뜻하므로, 일단 상기 오피스장치(100)가 선바이저(200)와 결합되면 자연적으로는 분리되지 못하도록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끼움홈(211, 212)을 따라 수평하게 절개된 회동홈(203)이 형성되고, 이 회동홈(203)으로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201a)를 구비한 걸림구(201)가 회동축(20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오피스장치(100)의 측면에는 상기 돌기(201a)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걸림홈(131)이 형성되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틀(210) 안으로 오피스장치(10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돌기(201a)와 걸림홈(131) 간의 위치가 상응되어서 상호 맞물리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오피스장치(100)는 안착틀(2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구(201)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회동축(20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돌기(201a) 또한 걸림홈(131)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오피스장치(100)는 안착틀(210)과의 결합력을 상실하게 된다.However, both sides of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201)는 끼움홈(212) 안쪽에 배치되어서 오피스장치(100)에 형성된 걸림홈(131)과 맞물리도록 되는 것이 그 사용상 유리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한 실시예일 뿐이며, 돌기(201a)가 형성되고 안착틀(21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걸림구(201)가 오피스장치(131)에 형성된 걸림홈(131)과 대응하여 오피스장치(100)와 안착틀(210) 간의 결합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catching
절개부(213a)는 상기 지지판(213)에 의해 오피스장치(100)의 저면이 완전히 가려지면 지지판(213)의 전단을 통해 오피스장치(100)를 빼내기 곤란하므로, 오피스장치(100)를 손으로 잡아쥘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의 역할을 한다.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보드와, 이 키보드를 조적 보호하는 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라 구성된 키보드와 케이스의 작동모습을 보인 정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se for the protective protection of the keyboard,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and the cas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FIG.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상기 오피스장치(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키보드(120)는 가요성을 지닌 자판패널(121)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30)는 상호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로 구성된다.In the
상기 자판패널(121)은 키조작으로 발생된 입력신호의 통전회로를 포함하면서 가요성을 지니는 것으로서, 연성의 실리콘으로 제작되므로 쉽게 구부리거나 말 수 있도록 된다. The
한편, 상기 자판패널(121)의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110)와 통전되는 접속케이블(122)이 배치되는데, 상기 접속케이블(122)은 상기 케이스(130)의 내측을 통해 본체(110)와 접속됨은 당연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일부 생략하였다.On the other hand, at one end of the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자판패널(121)이 상방으로 조적되는 안착부(132)를 가지면서 힌지체(138)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로 된다. 이때 본원발명에서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의 경계부가 상기 자판패널(121)의 하방에 위치되고, 이 를 중심으로 케이스(130)가 접철되는데 상기 자판패널(121)은 가요성을 지니므로 숫자키 및 문자키의 배열을 깨지 않으면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될 수 있다.The
이러한 특성을 지닌 케이스(13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상기 케이스(130)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및, 상기 제1ㆍ2키보드거치대(130a, 130b)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체(13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ㆍ2키보드거치대(130a, 130b)의 상면에는 상기 키보드(120)가 조적되는 안착부(132)가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에는 키보드(12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홈(고정홈, 끼움홈, 삽입홈 ; 133, 134, 13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홈(133, 134, 135)은 키보드(120)가 단순히 안착부(132) 상면으로 조적되면 쉽게 이탈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싸 지지한다. The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0)가 접철되면 그 외곽에 위치되는 키보드(120)의 곡률은 케이스(130)의 접철곡률에 비해 작아지므로 키보드(120)의 테두리 전체가 상기 홈(133, 134, 135) 안으로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면 케이스(130) 접철 시 키보드(120)가 늘어나면서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키보드(120)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 또는 제 2키보드거치대(130b) 중 한 곳에만 단단히 고정되고 나머지 다른 한곳에서는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속케이블(122)이 위치하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에서 단단히 고정되고, 키보드(120)가 단순히 조적되기만 하는 제 2키보드거치대(130b)는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면 될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when the
계속해서,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가 상호 맞닿는 측면부에 각각 홈(137)이 형성되고, 이 홈(137)의 내측면으로는 회동축(136)이 삽입되는 회동구멍(136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체(138)는 그 양측면부가 상기 홈(137)에 각각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회동축(136) 각각에 상응하는 회동구멍(136a)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동축(136)을 매개로 제 1키보드거치대(130a) 및 제 2키보드거치대(130b)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힌지체(138)는 제1ㆍ2편(130a, 130b) 각각에 형성된 홈(137) 안에 배치되면서 외관상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깔끔한 미관을 보이게 된다.Subsequently,
미설명부호 "139"는 본체안착부를 인출한 것이고, "139a"는 본체(110)를 단단히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인출한 것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39" is to pull out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39a" is to pull out the fixing hole for fastening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1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와 안착틀 간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상기 안착틀(210)은 선바이저 기능 및 오피스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천장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천장고정구(220)를 매개로 체결된다. Since the
이러한 상기 천장고정구(220)는 천장과 직접 체결되는 고정체(221)와, 상기 안착틀(210)과 고정체(221)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체(222)로 된다.The
상기 고정체(221)는 회동구멍(221b)이 양쪽 내측면부에 각각 형성된 회동홈(221a)을 갖추며, 체결구멍(221c)을 통해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됨)로 천장과 단단히 체결된다. 이때, 상기 회동홈(221a)은 하나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body 221 has a
상기 연결체(222)는 상기 회동홈(221a)으로 삽입되며, 그 양측면에는 상기 회동구멍(221b)에 상응하는 회동구멍(222a)이 각각 형성되어서 회동축(22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맞물린다. 한편, 상기 연결체(222)에는 상기 회동홈(221a)과의 맞물림방향과 대향하게 걸림돌기(222b)가 형성되는데, 이 걸림돌기(222b)는 종부가 확대된 형상을 갖는다.The connecting
한편, 상기 안착틀(210)의 상면에는 상기 확대된 걸림돌기(222b)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개구된 삽입홈(214a)과,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222b)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는 폭으로 개구된 걸림홈(214b)이 상호 연통되어 이루는 고정홈(214)이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돌기(222b)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222b)가 상기 삽입홈(214a)을 통해 삽입되면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해 걸림홈(214b) 쪽으로 슬라이딩시켜 수직방향으로는 상기 걸림돌기(222b)가 고정홈(214)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안착틀(210)은 천장에 단단히 체결된 고정체(221)와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오피스장치가 필요할 때마다 천장에서 쉽게 떼어낸 후 사용할 수 있고, 햇빛을 가려야 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재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본체(110)는 케이스(130)의 상면 즉, 본체안착부(139) 상에 조적되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113)에는 그 상면에 회동돌기(113a)가 형성되고 이 회동돌기(113a)의 양측면에는 축구멍(113b)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회동돌기(113a)와 맞물리는 회동홈(114)이 형성되어서 회동축(115)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키보드(120) 및 케이스(130)의 접철과 더불어 본체(110) 또한 케이스(130)와 접철되므로, 상기 안착틀(210)로부터 오피스장치(100)을 따로 분리시켜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점유공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미설명부호 "112a"는 본체를 조작하는 조작부이다.Reference numeral "112a" is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main bod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1실시예가 핸들과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ocking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andle with reference to this.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는 선바이저로의 기능과 오피스장치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천장에서의 탈부착이 가능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천장에서 분리된 오피스장치(100)를 핸들에 거치시켜 좁은 공간 내에서도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as a sun visor and an office device, it should be obvious that the sun visor should be detachable from the ceiling. In addition, it is also an important par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mount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10)는 운전석 핸들(H) 상에 상기 오피스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조작할 수 있도록 된다.Accordingly, the sun vis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ount and operate the
이를 위해 고정수단이 요구되며,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10)에서는 상기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안착틀(210)의 배면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레버(230, 240)가 적용된다. To this end, a fixing means is required, and in the sun vis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상기 걸림레버(230, 240)는 일단이 핸들(H)의 스티어링 휠 허브(S) 상에 걸리도록 돌출되며, 선바이저로써의 기능 수행을 위해 천장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행거(230, 240)를 접어 안착틀(210) 안으로 넣을 수 있도록 되었다.The locking levers 230 and 240 protrude so that one end is caught on the steering wheel hub S of the handle H, and the
이를 위해 상기 걸림레버(230, 240)는 안착틀(210)의 중앙부에서 오피스장치(100)를 지지하는 바아형상의 제1 걸림레버(230)와, 제1 걸림레버(230)를 보조하여 핸들(H)에 걸린 오피스장치(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바아형상의 제2 걸림레버(240)로 된다. 또한, 각 걸림레버(230, 240)의 타단은 상기 안착틀(210)과 회동축(233, 215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To this end, the locking
한편, 안착틀(210)이 선바이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천장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제1 걸림레버(230)가 접혀 거치되는 걸림레버안착홈(216)이 안착틀(210)의 배면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레버안착홈(216)에는 끼움관(216a)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걸림레버(230)의 타단에는 끼움구(232)가 형성되어서 상기 끼움관(216a) 안으로 삽입되며 회동축(23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상기 제2 걸림레버(240)는 상기 제1 걸림레버(230)의 우측 또는 좌측 중 한 곳, 또는 양측 모두에 하나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걸림레버(240)가 접혀 거치되는 거치홈(215)이 안측틀(210)의 배면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레버(230)의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방식으로 되었으나, 상기 제2 걸림레버(240)의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되는 방식으로 되었다.In addition,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2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제2실시예는 앞서 기술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종래의 선바이저를 그대로 이용하여 오피스장치를 장착하는 방식이다.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diment is a method of mounting an office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sun visor as it is.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2실시예 또한, 숫자키 및 문자키 등이 배열된 키보드(120')와, 입력된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이를 출력하는 본체(110')와, 상기 키보드(120')와 본체(110')를 덮어 보호하는 케이스(130')로 된 오피스장치(100')와, 상기 오피스장치(100') 중 본체를 안착하기 위한 본체안착홈(217)과 본체지지턱(211), 키보드를 안착시키기 위한 키보드안착홈(217')과 키보드지지턱(211') 및 차량 내부의 천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천장고정구(220')로 된 선바이저(200')를 포함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keyboard 120 'having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arranged therein, a main body 110'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input data, and the
상기 키보드(120')와 본체(110')에 대한 설명은 상술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며, 상기 케이스(130')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Since the keyboard 120 'and the main body 110'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y will be omitted here, and the case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선바이저(200')는 상기 오피스장치(100')가 안착되어 결합되어지는 한편, 차량 내 운전석의 천장에서 햇빛 가리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오피스장치(100')가 안착되는 안착홈(217, 217')과 이탈을 지지하는 지지턱(211, 211') 및 천장에 연결하는 천장고정구(220')로 구성된다.The
상기 안착홈(217, 217')은 상부와 하부에 나누어져 있는데 상부의 안착홈(217)은 본체가 안착되는 본체안착홈이고, 하부의 넓은 안착홈(217')은 키보드가 안착되는 키보드안착홈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안착홈(217)의 하단에는 선바이저가 세우져 있을 때 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지지턱(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키보드안착홈(217')에는 키보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방 절곡된 키보드지지턱(211')가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본체안착홈(217)과 본체지지턱(211)은 본체를 세워서 선바이저에 안착시킬 때 이용되는 것이며, 본체를 접어둘 때는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main
상기 천장고정구(220')는 선바이저를 차량의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종래부터 사용하던 것을 의미하며,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이 운전석 천장과 분리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보드와, 이 키보드를 조적 보호하는 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실시예에 보조거치대가 더 구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se for masonry protection of the keyboard, and FIG. 11 is further configured as an auxiliary cradle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상기 오피스장치(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키보드(120')는 가요성을 지닌 자판패널(121)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30')는 상호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및 본체거치대(130a)로 구성된다.In the
상기 자판패널(121)은 키조작으로 발생된 입력신호의 통전회로(미도시됨)를 포함하면서 가요성을 지니는 것으로서, 앞서 기술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한편, 상기 자판패널(121)의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110')와 통전되는 접속케이블(122)이 배치되는데, 상기 접속케이블(122)은 상기 케이스(130')의 내측을 통해 본체(110')와 접속됨은 당연하므로, 이에 대한 도시는 일부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제어부(123)는 자판조작을 통해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하고 그 결과데이터를 상기 본체(110')로 발신하는 곳으로서, 제1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을 뿐이며, 제1실시예에서의 자판패널(121)과 제2실시예에서의 자판패널(121)은 동일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t one side end of the
상기 케이스(130')는 상기 자판패널(121)이 상방으로 조적되는 안착부(132')를 가지면서 힌지체(138')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로 된다. 이때, 본원발명에서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의 경계부가 상기 자판패널(121)의 하방에 위치되고, 이를 중심으로 케이스(130')가 접철되는데 상기 자판패널(121)은 가요성을 지니므로 숫자키 및 문자키의 배열을 깨지 않으면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될 수 있다. 이 때 자판패널(121)이 원활하게 접철되고, 다시 펼때 제 2키보드거치대(130b')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키보드거치대(130b')의 상면 절곡부(160) 일단부가 소정 길이로 절개되어 있어 절개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특성을 지닌 케이스(13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case 130 'having this characteristic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케이스(130')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및, 상기 제1ㆍ2키보드거치대(130a', 130b')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체(13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ㆍ2키보드거치대(130a', 130b')의 상면에는 상기 키보드(120')가 조적되는 안착부(132')가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에는 키보드(12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35)은 키보드(120')가 단순히 안착부(132') 상면으로 조적되면 쉽게 이탈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싸 지지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0')가 접철되면 키보드(120')와 케이스(130')의 곡률이 달라지므로 키보드(120')의 테두리가 상기 삽입홈 (135) 안으로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면 케이스(130') 접철시 키보드(120')가 늘어나면서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키보드(120')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 또는 제 2키보드거치대(130b')와 삽입홈(135')을 통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130 'is a
계속해서, 상기 힌지체(138')는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에 각각 서로 상응하게 형성되며, 회동축(136')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제 2키보드거치대(130b')를 연결한다.Subsequently, the hinge body 138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한편,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에는 상기 제어부(123)가 맞물려 조적되는 고정홈(1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123)가 자판패널(121) 전체형상과 일반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준하여 형성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에는 상기 본체(110')와 연결되는 본체안착부(139')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본체(110')의 분리가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거치대(130a)와 결합되는데, 이 본체거치대(130a)가 상기 본체안착부(139')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거치대(130a)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와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본체안착부(139')는 힌지형태를 이루며, 상기 본체거치대(130a)에는 상기 힌지형태의 본체안착부(139')와 회동축(115')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지는 힌지연결부(130c)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거치대(130a)는 본체(110')가 정면으로 맞물려 탈부착되어야 하므로, 본체거치대(130a)의 상ㆍ하부에는 각각 만곡부(130b)가 형성된다. 이러한 만곡부(130b)은 어느정도의 가요성과 탄발력을 지니므로 본체(110')가 본체거치대(130a)에 밀착되는 동안에는 본체(110')가 상기 본체거치대(130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110')의 상ㆍ하부를 잡아쥐게 된다.The
계속해서, 상기 본체거치대(130a)의 측방으로 보조거치대(130f)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거치대(130f)는 네비게이션, 핸즈프리와 같은 휴대이동통신기기 등의 휴대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된 거치면(130g)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거치대(130a)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Subsequently, the
이를 위해 상기 본체거치대(130a)의 측면에는 힌지연결부(130d)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보조거치대(130f)의 측면에도 힌지연결부(130h)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연결부(130d, 130h)는 힌지축(130e)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To this end, a
따라서, 상기 오피스장치(100')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본체거치대(130a) 및 보조거치대(130f) 모두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자판패널(121) 또한 가요성을 지니므로, 오피스장치(100')를 사용하려면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본체거치대(130a) 및 보조거치대(130f)를 모두 펼치면 되고, 보관 또는 이동을 위해 휴대가 필요할 경우 상기 제 1키보드거치대(130a'),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본체거치대(130a) 및 보조거치대(130f)를 모두 4단으로 접어 컴팩트하게 만들면 된다.Accordingly, the offic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고정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fixing stand.
본 발명에 따른 오피스장치는 자동차의 핸들 또는 선바이저 상에 안정되게 오피스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ffi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상기 고정대(140)는 케이스(130')의 배면에 배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30')를 구성하는 요소는 제 1키보드거치대(130a'),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본체거치대(130a) 및 보조거치대(130f)이므로, 이들의 각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오피스장치(10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부에 한쌍 하부에 한쌍으로 해서 모두 4개의 고정대(140)가 배치되었으며, 도 12에서는 상기 보조거치대(130f)가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로 하여 두 개의 고정대(140)가 본체거치대(130a)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four fixing stands 140 are arranged in pairs at the bottom and one pair at the top for stable fixing of the office apparatus 100 ', and in FIG. 12, the
이러한 상기 고정대(140)는 실린더(141)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141) 안으로 삽입되고 타단에는 고리 형상의 걸이부(144)가 형성된 피스톤(143)과, 상기 피스톤(143)의 수직이동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145)으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 스프링(145)은 상기 실린더(141) 안으로 삽입되어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43)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145)이 탄발력을 가지며, 이러한 탄발력이 피스톤(143)에 가해지도록 피스톤의 일단에는 스프링(145)과 맞물리는 걸림대(146)가 구성되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피스톤(143)은 실린더(14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선바이저(200)에 조적될 때는 상기 걸이부(144)의 돌출부분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측방으로 회전시켜 오피스장치(100')의 배면과 상기 지지판(213') 간의 이격거리를 좁힐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상술된 구조로 된 상기 고정대(140)는 핸들(H)의 휠 부분 또는 스티어링 휠 허브(S)에 걸려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145)에 의해 걸이부(14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휠의 직경 또는 스티어링 휠 허브(S)의 두께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어 그 호환성을 높이게 된다.The
한편, 상기 스프링(145)에 의해 케이스(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대(140)와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대(140)의 각 걸이부(144)가 안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오피스장치(100')와 핸들(H) 간의 고정성이 높아진다.On the other hand, by the
또한 체결부재(142)는 상기 고정대(140)와 케이스(130')간의 견고한 결합을 매개한다.In addition, th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제3실시예에 상기 보조거치대가 더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un vi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is further included in the thir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의 오피스장치(100')와 함께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선바이저로써 구성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as a sun visor attached to a vehicle together with the office apparatus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즉, 기존에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선바이저를 교체할 필요없이 이를 그대로 선바이저로 활용하여 상기 제2실시예의 오피스장치(100')를 상기 고정대(140)를 매개로 선바이저에 탈부착시키도록 된 것이다.That is, the office device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n visor via the fixing
도 14와 도 15는 앞서 보인 오피스장치(100')의 실시예 모두가 기존 선바이저에 고정대(140)를 매개로 고정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오피스장치(100')에 대한 중복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대(140)는 케이스 (130')의 상부에 배치된 두 개와 하부에 배치된 두 대가 선바이저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감싸쥐면서 상기 오피스장치(100')를 선바이저에 고정시킨다.14 and 15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office device 100 'is fixed to the existing sun visor through the fixing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실시예에 타이벨트가 더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e belt is further included 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대(140)의 걸이부(144)에 돌부(144a)가 형성되고, 인장력을 갖는 탄성재질의 인장부재(153)와 이 인장부재(153)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돌부(144a)에 걸리는 고리(151, 152)로 이루어진 타이벨트(150)가 더 포함된다.The
상기 타이벨트(150)는 상기 고정대(140) 만으로 된 오피스장치(100')에서 핸들(H) 또는 종래 선바이저와의 결합에 있어 다소 부족할 수 있는 결합력을 보완하기 위해 더 포함되는 것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대(140)의 걸이부(144)와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대(140)의 걸이부(144)를 각각 상호 타이트하게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걸이부(144)가 가지는 고정성을 향상시킨다.The
도 17은 제 1키보드거치대(130a'),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본체거치대(130a) 및 보조거치대(130f) 모두가 가죽 내지 천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죽 내지 천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회동부재는 필요가 없으며, 제 1키보드거치대(130a')의 하단 방향으로 제 2키보드거치대(130b')를 접고 다시 제1키보드(130a') 위로 본체거치대(130a)를 접은 다음 보조거치대(130f)를 감싸듯이 접으면 가죽 내지 천 또는 가죽, 천 내에 지지력이 있는 얇은 판이 포함된 것으로 이루어진 지갑 내지 가방의 형태로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어 오피스 장치의 휴대시에 매우 편리하고 미관성 아름다움을 줄 수 있다.FIG. 1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제 1키보드거치대(130a'), 제 2키보드거치대(130b'), 본체거치대(130a) 및 보조거치대(130f)의 배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핸들 내지 선바이저에 걸기 위한 고정대와 타이벨트이다.Shown on the rear of the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피스장치에 불필요한 장치 또는 부분을 추가로 첨부 또는 확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크기를 더 작게 할 수 있는 한편, 이렇게 소형화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접어 그 크기를 더욱 줄일 수도 있어, 휴대 및 보관에 있어 그 편리성이 증대되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attach or expand the unnecessary device or part to the office device, the size can be made smaller, and in addition, in this compact state can be further folded to further reduce the size Its convenience in carrying and storing has increased.
또한, 오피스장치를 운전석 핸들에 안착시키기 위해 적용되던 비교적 부피가 크고 복잡한 구조의 고정수단을 대신하여 깔끔하고 조작이 쉬운 행거를 이용함으로서 선바이저의 미관이 개선되는 한편 사용이 용이해졌다.In addition, the aesthetics of the sun visor are improved while using the hanger which is clean and easy to replace in place of the relatively bulky and complicated fixing means used for seating the office device on the driver's handle.
또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선바이저를 교체할 필요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어, 실시를 위한 초기 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sun visor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replac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itial input cost for implementation.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1320A KR100698584B1 (en) | 2004-08-04 | 2004-08-04 | Car Offic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1320A KR100698584B1 (en) | 2004-08-04 | 2004-08-04 | Car Offic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2712A KR20060012712A (en) | 2006-02-09 |
KR100698584B1 true KR100698584B1 (en) | 2007-03-21 |
Family
ID=3712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13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8584B1 (en) | 2004-08-04 | 2004-08-04 | Car Offic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858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03856A (en) * | 2019-07-16 | 2019-10-08 | 太仓富宇塑胶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unshading board with smart machin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94575U (en) | 1984-06-01 | 1985-12-25 | 田辺 博樹 | Backing of calendar case attached to sun visor |
JPS63149315U (en) | 1987-03-23 | 1988-09-30 | ||
KR970035002A (en) * | 1995-12-30 | 1997-07-22 | 전성원 | Sun visor |
JPH10297380A (en) | 1997-04-25 | 1998-11-10 |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 Control structure of on-board electrical components |
KR20010009364A (en) * | 1999-07-09 | 2001-02-05 | 김보연 | Business system of an indoor car use of notebook |
-
2004
- 2004-08-04 KR KR1020040061320A patent/KR1006985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94575U (en) | 1984-06-01 | 1985-12-25 | 田辺 博樹 | Backing of calendar case attached to sun visor |
JPS63149315U (en) | 1987-03-23 | 1988-09-30 | ||
KR970035002A (en) * | 1995-12-30 | 1997-07-22 | 전성원 | Sun visor |
JPH10297380A (en) | 1997-04-25 | 1998-11-10 |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 Control structure of on-board electrical components |
KR20010009364A (en) * | 1999-07-09 | 2001-02-05 | 김보연 | Business system of an indoor car use of noteboo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03856A (en) * | 2019-07-16 | 2019-10-08 | 太仓富宇塑胶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unshading board with smart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2712A (en) | 2006-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152990A1 (en) | Wearable Body Supported Computer | |
US5692605A (en) | Jewelry box with a linking assembly which permits hanging of jewelry thereon | |
US6206530B1 (en) | Collapsible frame | |
WO2008056640A1 (en) | Desk top panel and desk with the desk top panel attached thereon | |
KR20070082792A (en) | Display stand | |
CN202533832U (en) | Accommodating and storing sleev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WO1998033084A1 (en) | Computer screen privacy and light shade accessory | |
WO2012139198A1 (en)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JP2009520565A (en) | Washing machine | |
KR100698584B1 (en) | Car Office System | |
KR200369181Y1 (en) | Office-machine for car and sun-bisor comprising it | |
WO2013115545A1 (en) | Musical instrument case having music stand | |
JP4031974B2 (en) | Motorcycle seat mounting structure | |
KR101545907B1 (en) | Storage bag for use with a bookstand and desk | |
KR200447150Y1 (en) | Case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 | |
GB2312160A (en) | Carrying case for computer equipment | |
KR20170112430A (en) | Vehicle console arm rest | |
CN213322908U (en) | Handrail box and automobile comprising same | |
JPH07257285A (en) | Roof rack for vehicle | |
JP4659011B2 (en) | Motorcycle seat mounting structure | |
JPH092113A (en) | Vehicle seat | |
JP4061469B2 (en) | Car system armrest | |
JP2010136995A (en) | Folding table | |
TW201248367A (en) | Portable computer support | |
JP3347094B2 (en) | t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