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4160B1 -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160B1
KR100694160B1 KR1020050133157A KR20050133157A KR100694160B1 KR 100694160 B1 KR100694160 B1 KR 100694160B1 KR 1020050133157 A KR1020050133157 A KR 1020050133157A KR 20050133157 A KR20050133157 A KR 20050133157A KR 100694160 B1 KR100694160 B1 KR 10069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duct
housing
electroacoustic transducer
out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160B1/ko
Priority to US11/586,531 priority patent/US8055007B2/en
Priority to CN2006101636289A priority patent/CN199298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폰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켜주며 전기 음향 변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신호에 인덕턴스 성분을 인가하는 덕트를 가지는 개방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전기음향 변환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어폰을 외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에서 발생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인덕턴스 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용 홈들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덕트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용 홈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용 돌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어폰은 하우징의 일단에 길이 혹은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는 덕트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 청취하는 음악의 장르 등에 따라 용이하게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 특히 저역 특성을 가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Ear-phone having variable duct unit}
도 1은 종래의 개방형 이어폰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개방형 이어폰의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
도 3은 개방형 이어폰의 음향학적 분석 모델을 보이는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 폼 커버의 유무에 따른 응답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이어폰의 착용 상태(fitting)에 따른 응답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 상태들을 위쪽에서 본 것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개방형 이어폰의 헤름홀쯔 공진기(Helmholtz resonator) 모델과 이에 상응하는 음향학적 모델 및 상사 회로를 보이는 것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절 상태들 각각에 상응하는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들을 보이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장치에서 가동 슬릿에 의해 서브 덕트들을 선택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폰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켜주며 전기 음향 변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신호에 인덕턴스 성분을 인가하는 덕트를 가지는 개방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ear-phone)은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전기음향변환기를 가지는 일종의 스피커로서 그것의 크기가 귀속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이어폰은 전기음향 변환기를 내장한 하우징의 형태에 따라 밀폐형과 개방형으로 나누어진다. 밀폐형(closed air type)은 하우징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것을 말하며 개방형(opened air type)은 하우징의 뒤쪽 가장자리에 작은 구멍(백홀(back hole)이라 함)을 설치하여 하우징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한 것을 말한다.
밀폐형의 경우에 있어서 이어폰의 삽입 상태에 따라 귀 내부의 음압이 달라지기 때문에 청취시의 음질이 이어폰의 삽입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개방형 이어폰의 경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저역으로부터 고역까지에 걸쳐 귀 내부의 음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개방 형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에 설치된 백홀들에 우레탄 발포체 등을 이용한 통기 저항체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음향이 혼입되는 것을 막는다.
한편,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 백홀의 크기에 따라 음향 신호의 중역과 고역 사이에서 공진이 발생되고, 이 공진에 의해 중역과 고역 사이에서 음압의 피크가 발생하여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덕트를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덕트를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은 미합중국 공개특허 US 4,742,887호에 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개방형 이어폰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기본적으로 영구 자석, 보이스 코일,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전기음향 변환기(102)와 이를 내장하는 하우징(104)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의 뒤쪽 가장 자리에는 부직포 등의 통기 저항체가 붙여진 백홀(106)들이 설치되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덕트(108)를 구비한다.
백홀을 가지는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는 보이스 코일과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응답이 감소하므로, 저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음향 변환기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음향 변환기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전기음향 변환기의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혹은 등가 질량(equivalent mass)을 증가시켜야 한다. 컴플라이언스는 움직임에 대한 가동체의 유연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이 컴플라이언스 스피커(high compliance speaker)란 콘(cone)의 지지부분이 매우 부드러운 스피커를 말한다.
특히, 변환기의 컴플라이언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동판의 특성이 하이 컴플라이언스가 되도록 하거나 진동판의 두께를 얇게 해야 하는 데, 이것들은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또한, 전기음향 변환기의 등가 질량을 높일 경우 민감도(sensitivity)가 낮아지므로 고역에서의 특성이 나빠지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하우징(104)의 일부를 연장하여 연장부에 덕트(108)를 설치함으로써 전기음향 변환기(102)의 컴플라이언스 및 등가 질량을 개선하는 구조를 가진다. 덕트(108)는 진동계에 대하여 등가 질량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므로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는 덕트에 의한 등가 질량만큼 낮아지게 된다. 즉, 진동계의 컴플라이언스나 등가 질량에 관계없이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덕트(108)에 의해 이어폰의 저역 특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어폰의 저역 특성은 기본적으로 덕트의 등가 질량 및 진동계의 공진 주파수 에 의해 결정되지만, 이외에도 이어폰과 귀와의 결합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즉, 이어폰에서 발생된 음향 신호가 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누설되는 정도에 따라 저역 특성이 달라진다. 누설이 많을 경우 음향 신호의 저역 성분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마다의 서로 다른 귀 구조에 따라 누설의 정도가 다른 것도 이어폰의 저역 특성을 결정하는 한 요소가 된다.
한편, 사용자 측면에 있어서 청취하는 음악의 장르에 따라 이어폰의 저역 특성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요청될 수 있다. 음향 신호에 있어서 저역은 20~200Hz 정도를 말하며, 이 저역은 다시 20~40Hz의 낮은 저역(deep bass), 40~100Hz의 중간 저역(middle bass), 그리고 100~200Hz의 높은 저역(upper bass)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래식 음악은 낮은 저역까지 충실히 재현될 것을 요구하는 반면에 힙합(hip-hop), 댄스 음악 등은 낮은 저역보다는 높은 저역 성분이 강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어폰에 있어서 사용자마다의 신체적 특성, 사용자의 기호, 청취하는 음악의 장르 등에 따라 저역 특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적 특성, 기호, 청취하는 음악의 장르 등에 따라 저역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전기음향 변환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어폰을 외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에서 발생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인덕턴스 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덕트부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용 홈들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덕트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용 홈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용 돌기들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변 덕트부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서브 덕트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덕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구성, 동작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개방형 이어폰의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방형 이어폰의 하우징(202)에는 소정의 길이 LBack _Hole를 가지며, 총단면적이 ΣSBack _Hole인 백홀들(204)과 소정의 단면적 Sduct 및 소정의 길이 Lduct를 가지는 덕트(206)를 구비한다.
도 3은 개방형 이어폰의 음향학적 분석 모델을 보이는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첨자의 a는 acoustical 즉 음향학적인 파라메터임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Ca_box는 하우징(202)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 Ma_duct는 덕트(206)의 인덕턴스(inductance), Ra_loss는 하우징(202), 덕트(206) 그리고 기타 직렬 성분의 저항들을 통합한 것이고, R_Hole은 백홀들(204)을 막는 소재 예를 들면, 부직포에 의한 통기 저항이고, Ma_Hole은 백홀들에 의한 인덕턴스이다.
이들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Ca_box = Vbox / ρ·c2
Ma_duct = ρ·c2 / Sduct
R_Hole ; 실험에 의한 측정값
Ma_Hole = ρLBack _Hole / ΣSBack _Hole
여기서, Vbox는 하우징(202)의 부피이고, ρ는 공기 밀도이고, c는 공기 속도(345m/s)이며,
Ravc는 보이스코일의 인덕턴스이고, Ras는 서스펜션 저항이고, Cas는 서스펜션 컴플라이언스이고 그리고 Mad는 진동판의 질량이다.
이들 변수들은 Thiele & Small Parameter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i = Eg / Revc; 보이스 코일 전류
F = BL·I = (Eg·BL)/(Revc·Sd) ;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힘
Pag = F / Sd = (Eg·BL) / (Revc·Sd) ; 진동판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Figure 112005077702710-pat00001
; 보이스 코일의 저항
Mad = Mmd / Sd2 ; 진동판의 질량
Mas(ω) = Mad + Mar(ω) ; 진동판의 질량 + 방사 질량
Mas~ = Mad + Mar~ ; Mas(ω)의 근사값
Cas = Cms·Sd2 ; 서스펜션 컴플라이언스
Figure 112005077702710-pat00002
; 서스펜션 저항
Ra_loss는 하우징(202), 덕트(206) 그리고 기타 직렬 성분의 저항들을 통합한 것으로서 아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5077702710-pat00003
여기서, Qloss는 하우징(202)의 총손실(total box loss)로서 하우징의 댐핑정도에 따라 3~7 사이의 값을 갖는다. ωbox는 2*π*(duct의 공진주파수)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 폼 커버(foam cover)의 유무에 따른 응답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이어폰의 착용 상태(fitting)에 따른 응답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폼 커버는 이어폰과 귀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예를 들면, 스펀지 재질의 이어폰 커버이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는 인공 귀(Head and Torso system)에 적용하여 실제 측정한 결과를 보이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는 그래프(402)는 폼 커버를 미장착하였을 때의 특성을 보이는 것이고 가는 실선으로 도시되는 그래프(404)는 폼 커버를 장착하였을 때의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도 5에 있어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는 그래프(502)는 이어폰을 귀에 느슨하게(loose) 착용하였을 때의 응답 특성을 보이는 것이고 가는 실선으로 도시되는 그래프(504)는 이어폰을 귀에 단단하게(tight) 착용하였을 때의 응답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폼 커버의 유무 및 이어폰의 착용 상태에 따라 다른 주파수 대역에 비해 저역 특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이어폰 사용 상태에 따라 응답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역 특성을 조절할 필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청취하는 음악의 장르에 따라 저역 특성을 조절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어폰은 하우징에 설치되는 덕트의 길이, 단면적 등을 사용자가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어폰의 사용 상태, 자신의 기호, 청취하는 음악 등에 따라 이어폰의 저역 특성을 조절하여 최적의 음질을 누릴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장치는 하우징과 덕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형태를 보이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602)의 일측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 형태의 연장부(extended portion, 604)를 구비한다. 연장부(604)는 그 내부에 덕트(606)를 수용하며, 덕트(606)는 연장부(604)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다. 덕트(606)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602) 쪽으로 난 하나의 구멍과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난 다른 하나의 구멍을 가진다. 이들 구멍들을 통하여 하우징(60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게 된다.
또한, 덕트(606)의 바깥 면에는 고정용 홈들(606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여 연장부(604)의 안쪽 면에는 고정용 돌기들(604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홈들(606a)과 고정용 돌기들(604a)의 작용에 의해 덕트(606)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덕트(606)의 위쪽 구멍이 설치되는 부분(606b)은 연장부(604)의 표면보다 약간 위쪽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덕트(60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덕트(606)의 아래쪽은 막혀서 위쪽 구멍으로만 연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덕트(606)의 위치는 3단계로 조절된다. 각 단계에 따라 덕트(606)와 하우징(60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상측, 가운데 그리고 하측은 덕트(606)와 하우징(602) 사이의 거리가 각각 12mm, 8mm 그리고 4mm로 조절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 상태들을 위쪽에서 본 것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왼쪽, 가운데 그리고 오른쪽에 도시된 것들은 도 6의 상측, 가운데 그리고 하측에 도시된 것들에 각각 상응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606)와 하우징(60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이 달라진다.
도 8은 개방형 이어폰의 헤름홀쯔 공진기(Helmholtz resonator) 모델과 이에 상응하는 음향학적 모델 및 상사 회로를 보이는 것이다. 개방형 이어폰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름홀쯔 공진기(802)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헤름홀쯔 공진기(802)는 체적 V의 박스 (802a)과 이에 연결되는 길이 L 및 단면적 S의 덕트(802b)를 포함한다. 헤름홀쯔 공진기(802)의 박스는 개방형 이어폰의 하우징에 상응하고, 덕트는 개방형 이어폰의 덕트에 상응한다.
헤름홀쯔 공진기(802)는 가운데 도시된 바와 같은 음향학적 임피이던스 Z 즉, 저항 R, 인덕턴스 M 그리고 캐패시턴스 C를 가지는 음향학적 모델 및 오른쪽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음향학적 상사 회로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여기서, P는 헤름홀쯔 공진기(802)에 입력되는 음압이고, U는 헤름홀쯔 공진기(802) 내부의 체적 속도(Volume Velocity)이다.
Figure 112005077702710-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05077702710-pat00005
이고,
Figure 112005077702710-pat00006
이다.
또한, L'는 유효 거리(effective length)로서 air radiation-mass loading의 영향에 의해 물리적인 길이보다 더 길어진다.
L'= L + 0.85·d ; 덕트의 입구측에 프랜지(flange)가 있을 경우
L'= L + 0.725·d ; 덕트의 입구측에 프랜지(flange)가 없을 경우
여기서, d는 덕트(802b)의 지름이다.
즉, 덕트(802b)의 단면적이 늘어나거나 길이가 짧아지면 헤름홀쯔 공진기(802)의 인덕턴스 M은 감소하게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증가한다. 즉, 개방형 이어폰에 있어서 덕트의 단면적 및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절 상태들 각각에 상응하는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들을 보이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은 이어폰이 무한 배플(bapple) 상에 놓여져 있는 경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의 변화를 보이는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902, 904 그리고 906은 각각 도 6에 있어서 상측, 가운데 그리고 하측 즉, 덕트(606)와 하우징(602) 사이의 거리가 12mm, 8mm 그리고 4mm인 경우에 상응하는 것들이다. 특성곡선(906)은 비트가 강한 음악인 힙합, 댄스 음악 등에 적합하며, 특성곡선(902)는 비트보다는 Deep Bass가 요구되는 대편성 클래식, 스케일이 큰 Rock, Jazz 음악에 보다 적합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606)와 하우징(60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 특히 저역 특성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3개의 고정된 서브 덕트들(102a, 102b, 102c)을 구비하며, 가동 슬릿(slit, 104a)에 의해 서브 덕트들(sub-duct, 102a, 102b, 102c)의 구멍을 여닫는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장치에서 가동 슬릿(104a)에 의해 서브 덕트들(102a, 102b, 102c)을 선택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가동 슬릿(104a)는 회전 그립(104) 상에 설치되며, 회전 그립(104)을 회전시킴에 의해 서브 덕트들(102a, 102b, 102c)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것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3개의 서브 덕트들(122a, 122b, 122c)과 이들의 개폐할 수 있는 슬릿(124a)을 가지는 회전 커버(124)를 구비한다. 회전 커버(124)를 회전시킴에 따라 서브 덕트들(122a, 122b, 122c)의 가능한 조합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즉, 개폐될 수 있는 서브 덕트들(122a, 122b, 122c)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이어폰은 하우징의 일단에 길이 혹은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는 덕트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 청취하는 음악의 장르 그리고 폼 커버(Foam Cover) 유무 혹은 귀에 착용한 상태(타이트함의 정도) 등에 따라 용이하게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 특히 저역 특성을 가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구적인 요소들에 의해 음향학적인 인덕턴스를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이어폰의 주파수 특성을 변경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전기음향 변환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어폰을 외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에서 발생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인덕턴스 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덕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용 홈들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덕트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용 홈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용 돌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삭제
  3. 삭제
  4.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전기음향 변환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어폰을 외부와 연통시키며,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에서 발생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인덕턴스 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덕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서브 덕트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덕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덕트들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서브 덕트들을 수용하며, 상기 서브 덕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개폐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 덕트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그립은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상으로 형성된 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덕트들의 길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덕트들의 가능한 조합들 중의 하나를 개폐하는 회전 커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050133157A 2005-12-29 2005-12-29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Expired - Fee Related KR10069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157A KR100694160B1 (ko) 2005-12-29 2005-12-29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US11/586,531 US8055007B2 (en) 2005-12-29 2006-10-26 Earphone having variable duct unit
CN2006101636289A CN1992989B (zh) 2005-12-29 2006-12-01 具有可变管道单元的耳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157A KR100694160B1 (ko) 2005-12-29 2005-12-29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160B1 true KR100694160B1 (ko) 2007-03-12

Family

ID=3810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1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4160B1 (ko) 2005-12-29 2005-12-29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55007B2 (ko)
KR (1) KR100694160B1 (ko)
CN (1) CN1992989B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406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웨이브가이더가 장착된 헤드폰
KR100968407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노이즈제거 헤드폰
KR101091560B1 (ko) 2011-11-04 2011-12-13 필스전자 주식회사 외부음 유입형 이어폰
KR101152652B1 (ko) 2010-12-06 2012-06-07 삼본정밀전자(주) 고음질 이어폰
KR101519201B1 (ko) * 2012-06-20 2015-05-11 애플 인크. 음향 튜닝 메커니즘을 갖는 이어폰
KR101644738B1 (ko) 2015-02-12 2016-08-01 부전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WO2017116023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어쿠스틱 필터를 갖는 소음 차폐 이어셋
KR101756653B1 (ko) * 2015-12-30 2017-07-17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어쿠스틱 필터를 갖는 소음 차폐 이어셋
WO2018034438A1 (ko) * 2016-08-19 2018-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KR102167470B1 (ko) 2019-08-19 2020-10-19 주식회사 이엠텍 관로 형성용 브라켓을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
KR102227138B1 (ko) 2019-11-01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KR102252020B1 (ko) 2019-11-19 2021-05-14 주식회사 이엠텍 체적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음향 재생 장치
KR102442961B1 (ko)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홀와 백홀을 구획하는 덕트 유닛을 구비하는 이어폰
KR20220151933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이엠텍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KR20230053077A (ko)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 구조를 구비하는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리시버
US12133041B2 (en) 2021-02-10 2024-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9845A2 (en) * 2006-01-30 2007-08-09 Etymotic Research, Inc. Insert earphone using a moving coil driver
UA99649C2 (ru) 2008-04-07 2012-09-10 Косс Корпорейшн Беспроводной наушник, осуществляющий переход между беспроводными сетями,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20090296971A1 (en) * 2008-05-29 2009-12-03 Siemens Hearing Instruments, Inc. Hearing Instrument Receiver With Improved Low-Frequency Efficiency
WO2009152442A1 (en) * 2008-06-14 2009-12-17 Michael Petroff Hearing aid with anti-occlusion effect techniques and ultra-low frequency response
WO2010072027A1 (zh) * 2008-12-24 2010-07-01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活动式推杆结构的耳机
US8311258B2 (en) * 2009-03-11 2012-11-1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eadset
US8467561B2 (en) * 2010-06-14 2013-06-18 Merry Electronics Co., Ltd. Earphone device with a function of sound quality regulation and regulating method thereof
US8401218B2 (en) 2010-07-29 2013-03-19 Microsoft Corporation Adjustable earphone and earphone set
US9451351B2 (en) * 2011-06-16 2016-09-20 Sony Corporation In-ear headphone
JP4953490B1 (ja) * 2011-09-12 2012-06-13 音茶楽株式会社 ツィンドライバーイヤホン
CN202535503U (zh) * 2012-01-10 2012-11-14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耳机
US9456266B2 (en) * 2012-04-27 2016-09-27 Brül & Kjær Sound & Vibration Measurement A/S Human like ear simulator
US8983101B2 (en) 2012-05-22 2015-03-1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arphone assembly
US9712905B2 (en) * 2012-06-20 2017-07-18 Apple Inc. Headsets with non-occluding earbuds
US8971561B2 (en) 2012-06-20 2015-03-03 Apple Inc.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US9258663B2 (en) 2012-09-07 2016-02-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non-occluding earbuds
TW201440542A (zh) * 2013-04-03 2014-10-16 Cotron Corp 耳機
CN103475968B (zh) * 2013-08-26 2016-12-28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CN104735569A (zh) * 2013-12-19 2015-06-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耳机装置
US9854345B2 (en) * 2014-06-03 2017-12-26 Bose Corporation In-ear headphone with cable exit positioned for improved stability
USD746268S1 (en) * 2014-06-26 2015-12-2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arphone
US9578412B2 (en) * 2014-06-27 2017-02-21 Apple Inc. Mass loaded earbud with vent chamber
KR101767467B1 (ko) * 2016-04-19 2017-08-11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02260B2 (en) 2016-04-19 2020-03-24 Orfeo Soundworks Corporation Noise blocking bluetooth earset with integrated in-ear microphone
ES2941666T3 (es) * 2016-05-06 2023-05-24 Huawei Tech Co Ltd Dispositivo que se puede llevar puesto
CN107613418B (zh) * 2016-07-11 2019-10-15 Jvc 建伍株式会社 耳机
JP1573559S (ko) * 2016-08-02 2017-04-10
CN106375899B (zh) * 2016-08-30 2019-08-2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耳机
CN106254994B (zh) * 2016-09-27 2023-04-07 歌尔股份有限公司 耳机
CN108574893B (zh) * 2017-03-09 2025-06-03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耳机
RU2707905C2 (ru) * 2018-04-02 2019-12-03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Савин 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 щелевым настраиваемым резонатором гельмгольца
JP1620654S (ko) * 2018-06-19 2018-12-17
CN109936791B (zh) * 2019-02-15 2021-07-27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
USD1060313S1 (en) * 2022-12-16 2025-02-0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591A (ja) * 1994-10-20 1995-07-04 Sony Corp ヘッドホン
KR19980059795U (ko) * 1997-03-04 1998-11-05 김광호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20040088128A (ko) * 2003-04-09 2004-10-16 엠엠기어 주식회사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283A (ja) 1984-09-27 1986-04-24 Mitsubishi Heavy Ind Ltd 摩擦抵抗軽減型船舶
JPH0450718Y2 (ko) * 1986-02-28 1992-11-30
US4852177A (en) * 1986-08-28 1989-07-25 Sensesonics, Inc. High fidelity earphone and hearing aid
CA1336295C (en) * 1988-09-21 1995-07-11 Masayoshi Miura Sound reproducing apparatus
KR910006587A (ko) 1989-09-11 1991-04-29 배효경 조명열쇠
KR950014809B1 (ko) 1991-08-31 1995-12-15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도장결함부위 연마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0149600B1 (ko) 1995-11-22 1998-11-02 김광호 위상 반전형 스피커 덕트의 길이 조정장치
KR0124822Y1 (ko) 1995-12-15 1998-10-01 김광호 스피커 시스템
EP1032243A3 (en) * 1999-02-25 2007-03-14 Koss Corporation A stereophonic earphone apparatus
JP4151157B2 (ja) 1999-05-31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
CN2450845Y (zh) * 2000-10-30 2001-09-26 王宇航 动态平衡耳机
KR20030077735A (ko) 2002-03-26 2003-10-04 이동기 밀폐형 이어폰
US7079664B2 (en) * 2003-01-30 2006-07-18 Shary Nassimi Wireless ear-piece with conductive case
KR200337668Y1 (ko) 2003-10-16 2004-01-03 유성우 외이도 삽입형 이어폰
KR200377735Y1 (ko) 2004-12-14 2005-03-11 이봉주 실내용 야채재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591A (ja) * 1994-10-20 1995-07-04 Sony Corp ヘッドホン
KR19980059795U (ko) * 1997-03-04 1998-11-05 김광호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20040088128A (ko) * 2003-04-09 2004-10-16 엠엠기어 주식회사 헤드폰의 음파 개폐형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170591
1020040088128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407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노이즈제거 헤드폰
KR100968406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웨이브가이더가 장착된 헤드폰
KR101152652B1 (ko) 2010-12-06 2012-06-07 삼본정밀전자(주) 고음질 이어폰
KR101091560B1 (ko) 2011-11-04 2011-12-13 필스전자 주식회사 외부음 유입형 이어폰
DE102012220096B4 (de) * 2011-11-04 2016-01-21 Feel's Electronics Co., Ltd. Außengeräusche einleitender Ohrhörer
US9936284B2 (en) 2012-06-20 2018-04-03 Apple Inc.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KR101519201B1 (ko) * 2012-06-20 2015-05-11 애플 인크. 음향 튜닝 메커니즘을 갖는 이어폰
US9510086B2 (en) 2012-06-20 2016-11-29 Apple Inc.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KR101644738B1 (ko) 2015-02-12 2016-08-01 부전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이어폰
US10764673B2 (en) 2015-12-30 2020-09-01 Orfeo Soundworks Corporation Noise cancelling earset having acoustic filter
KR101756653B1 (ko) * 2015-12-30 2017-07-17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어쿠스틱 필터를 갖는 소음 차폐 이어셋
WO2017116023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어쿠스틱 필터를 갖는 소음 차폐 이어셋
WO2018034438A1 (ko) * 2016-08-19 2018-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US10785556B2 (en) 2016-08-19 2020-09-22 Lg Electronics Inc. Earphone with a pipeline damper
US11206480B2 (en) 2019-08-19 2021-12-21 Em-Tech Co., Ltd. Open-air type earphone with bracket forming bass pipe
KR102167470B1 (ko) 2019-08-19 2020-10-19 주식회사 이엠텍 관로 형성용 브라켓을 구비하는 개방형 이어폰
KR102227138B1 (ko) 2019-11-01 2021-03-15 주식회사 이엠텍 관로 일체형 리시버 모듈
CN112788459A (zh) * 2019-11-01 2021-05-11 易音特电子株式会社 与管道结合成一体的接收器模块
US11363370B2 (en) 2019-11-01 2022-06-14 Em-Tech Co., Ltd. Receiver module integrated with duct
CN112788459B (zh) * 2019-11-01 2023-07-21 易音特电子株式会社 与管道结合成一体的接收器模块
KR102252020B1 (ko) 2019-11-19 2021-05-14 주식회사 이엠텍 체적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음향 재생 장치
US12133041B2 (en) 2021-02-10 2024-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KR102442961B1 (ko) 2021-04-09 2022-09-15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홀와 백홀을 구획하는 덕트 유닛을 구비하는 이어폰
US12137311B2 (en) 2021-04-09 2024-11-05 Em-Tech Co., Ltd. Earphone with duct unit dividing pressure equilibrium hole and back hole
KR20220151933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이엠텍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KR20230053077A (ko)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텍 기압 평형 구조를 구비하는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리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5007B2 (en) 2011-11-08
CN1992989A (zh) 2007-07-04
CN1992989B (zh) 2011-08-03
US20070154050A1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160B1 (ko) 가변 덕트부를 가지는 이어폰
US11026016B2 (en) Tubular passive acoustic radiator module
US4160135A (en) Closed earphone construction
JP3815513B2 (ja) イヤホン
EP3516883B1 (en) In-ear active noise reduction earphone
CN107690102A (zh) 用于噪声消除的头戴式受话器和耳机的声耦合装置
JP2002522992A (ja) ヘッドホン
US10721549B2 (en) Direct-radiating earphone drivers
EP4115625B1 (en) In-ear headphone device with active noise control
JP2867899B2 (ja)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US20070121986A1 (en) Virtual multi-channel speaker unit
WO2023163804A1 (en) Metamaterial acoustic impedance matching device for headphone-type devices
CN113810813B (zh) 耳机本体、耳机及使用耳机本体调整声压级的方法
US20250097647A1 (en) Hearing aid configured to perform a recd measurement
JP7544829B2 (ja) 音響フィルターを用いた音声変換のための装置
US20080199035A1 (en) In-Ear Phone
CN112470488B (zh) 用于开放式耳机的电声耳罩
JP6508687B1 (ja) 密閉型イヤホン
US20240314487A1 (en) Audio headset with active noise reduction
TWI825641B (zh) 耳機裝置
JP2940418B2 (ja) インナーイヤ型ヘッドホン
HK40044489A (en) Apparatus with acoustic enhancement and method for the same
WO2024162885A1 (en) Personalized ambient sound playback
CN116055941A (zh) 音频输出模块和开放式耳机
Fulop et al. REVIEWS OF ACOUSTICAL PA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