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3990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990B1
KR100693990B1 KR1020050059507A KR20050059507A KR100693990B1 KR 100693990 B1 KR100693990 B1 KR 100693990B1 KR 1020050059507 A KR1020050059507 A KR 1020050059507A KR 20050059507 A KR20050059507 A KR 20050059507A KR 100693990 B1 KR100693990 B1 KR 10069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air
supply
fan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787A (ko
Inventor
야스히로 모떼기
고오조오 니노미야
겐이찌 나까지마
마스유끼 하시모또
미끼야스 신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9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동일 모터로 배기 팬과 흡기 팬을 동시 구동하여, 동시에 배기와 흡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내의 열 교환기의 측방 공간에 수납 배치한 것이 있지만, 배기만 또는 흡기만을 행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모터의 좌우 양측에 상기 팬을 부착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환기 장치가 되고, 실내 유닛을 약간 가로 길이 타입으로 개선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급기 및 배기의 동작이 선택 가능해지고, 공기 조화기 내의 열 교환기의 측방이 좁은 공간에 수납 가능한 박형의 환기 유닛을 제공한다.
한 방향 회전의 급배기 겸용 팬을 구비하고, 급기 모드 및 배기 모드가 선택가능하고, 공기 통로를 절환 밸브에 의한 절환에 의해 급기 모드와 배기 모드에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통로 구조의 박형화를 달성하여 열 교환기 측방의 협소 공간으로의 수납에 적합한 환기 유닛으로 한다.
공기 조화기, 열 교환기, 송풍기, 필터, 실외기, 급배기부, 덕트부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와 실외기의 세트인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제1 실시예).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종단 측면도(제1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환기 유닛 수납부의 정면 사시도(제1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우측 사시도(제1 실시예).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기 모드를 설명하는 좌측 사시도(제1 실시예).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배기 모드를 설명하는 좌측 사시도(제1 실시예).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배기부의 단면도(제1 실시예).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절환 밸브(A)의 상태 설명도(제1 실시예).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2 절환 밸브(B)의 상태 설명도(제1 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배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절환 밸브(A) 의 상태 설명도(제1 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배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2 절환 밸브(B)의 상태 설명도(제1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2 : 공기 조화기 본체
3 : 열 교환기
4 : 송풍기
5A : 상면측 공기 흡입구
5B : 전방면측 공기 흡입구
5C : 전방면측 공기 흡입구
6 : 필터
7 : 전방면 패널
10 : 실외기
11 : 공기 취출구
20 : 환기 유닛
21 : 급배기부
22 : 배기 전용부
23 : 급배기 겸용 팬
24 : 배기 전용 팬
25 : 실내 공기 흡입구
26 : 실외 급기 관로
27 : 실외 배기 관로
28 : 급배기 겸용 팬의 팬 케이싱
29 : 배기 전용 팬의 팬 케이싱
32 : 덕트부
33 : 실외 공기의 흡입구
36 : 실내 공기의 토출구
37 : 실외 공기의 급기구
40 : 전동기
41 : 감속 기어 기구
50 : 자외선 램프 장치
50 : 자외선 램프
51 : 커버
53 : 덕트
55 : 전동기
56 : 댐퍼
A : 제1 절환 밸브
B : 제2 절환 밸브
P : 실내 공기 흡입 경로
Q : 실외 공기 흡입 경로
R : 실외 배기 경로
S : 실내 공급 경로
[문헌 1] JP 제2002-005472 A
본 발명은, 환기 장치를 조립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기와 배기의 동작시에 절환 밸브의 작동에 의해 공기 통로를 절환하는 방식의 환기 유닛을 조립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동일 모터로 배기 팬과 흡기 팬을 동시 구동하여, 동시에 배기와 흡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내에 수납한 열 교환기의 측방 공간에 수납 배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문헌 1 참조).
문헌 1의 것에서는, 동일 모터로 배기 팬과 흡기 팬을 동시 구동하기 위해, 배기와 흡기를 동시에 행하는 환기 장치로서의 기능은 완수할 수 있지만, 배기만 또는 흡기만을 행하는 것만은 구성되어 있지 않다. 또, 모터의 좌우 양측에 각각 시로코 타입의 팬이 부착되고, 각각의 팬 케이싱에 배기 호스와 흡기 호스가 부착된 구성이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환기 장치가 되어 공기 조화기의 실 내 유닛을 가로로 매우 긴 타입으로 개선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급기와 배기의 동작이 선택 가능한 환기 유닛을 실내 설치의 공기 조화기 내에 수납하여 절환 밸브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효과적인 환기를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실내 설치의 공기 조화기 내의 열 교환기의 측방 공간에 수납 배치하는 경우에도, 공기 조화기가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로 그리 길게 하지 않아도 충분히 수납 가능하도록, 환기 유닛을 박형화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은,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도록 내부에 열 교환기와 송풍기가 배치된 공기 조화기 본체에 상기 실내의 급기와 배기를 행하는 환기 유닛이 조립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닛은 한 방향 회전의 급배기 겸용 팬과 이에 관련되는 급배기 통로를 갖는 급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배기 통로는 절환 밸브의 절환 제어로 급기 모드에 있어서 실외 공기를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 흡입하여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 경로를 형성하고, 배기 모드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공기를 실내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급기 모드에서는 상기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에 의해 상기 급기 통로를 통해 실외 공기가 상기 실내로 공급되고, 상기 배기 모드에서는 상기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 경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은,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도록 내부에 열 교환기와 송풍기가 배 치된 공기 조화기 본체에 상기 실내의 급기와 배기를 행하는 환기 유닛이 조립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닛은 한 방향 회전의 급배기 겸용 팬과 이에 관련되는 급배기 통로를 갖는 급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배기 통로는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를 실내 공기 흡입구(25)로부터의 실내 공기 흡입 경로와 실외 공기의 흡입구(33)로부터의 실외 공기 흡입 경로로 절환하는 제1 절환 밸브(A)와,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부터의 공기 토출 경로를 실내 공기의 토출구(36)로부터 실외로 배기하는 실외 배기 경로와 실외 공기의 급기구(37)로부터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 공급 경로로 절환하는 제2 절환 밸브(B)를 구비하고, 급기 모드에 있어서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공기 흡입 경로로부터 흡입 실내 공급 경로로부터 상기 실내로 공급하고, 상기 배기 모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공기 흡입 경로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실외 배기 경로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절환 밸브와 상기 팬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 겸용 팬은 시로코 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급배기 겸용 팬의 회전 주연부에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와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부터의 공기 토출 경로를 중합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항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경로 중에 자외선 램프가 수납된 자외선 램프 장치가 상기 환기 유닛과 일체화되어 상기 열 교환기의 전방면측에서 필터의 전방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제2 절환 밸브를 단일의 전동기와 이에 의해 회전하는 감속 기어 기구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환기 유닛은 급기 모드 및 배기 모드가 선택 가능하고, 배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ON)에 의해, 실내의 배기를 행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의 배기를 행하고, 급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의 교체를 행하고, 급기와 배기의 선택에 의해 실내의 공기 교체를 촉진하는 것이며,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기재한다.
<제1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와 실외기의 세트인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환기 유닛 수납부의 정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우측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기 모드를 설명하는 좌측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배기 모드를 설명하는 좌측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배기부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절환 밸브(A)의 상태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급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2 절환 밸브(B)의 상태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닛의 배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절환 밸브(A)의 상태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유 닛의 배기 모드에 있어서의 제2 절환 밸브(B)의 상태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벽에 걸쳐진 타입의 벽걸이식 실내용 공기 조화기이며, 냉매의 압축기와 응축기와 이러한 열 교환용 송풍기(8) 등을 수납한 실외기(10)로 1 세트의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며, 공기 조화기(1)와 실외기(10)는 냉매 회로(18)와 전기 회로(19)로 연결된 상태이다. 공기 조화기(1)는 내부에 열 교환기(3)와 송풍기(4) 등이 배치되고, 상면과 전방면에 공기 흡입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조화기(1)에 의해서 가옥의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기 위해, 냉방 동작, 난방 동작, 제습 동작, 환기 동작, 실내 공기 순환 동작을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 스위치는, 사용성의 향상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원격 조작 가능한 리모트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기 조화기(1)는 공기 조화기 본체(2)와 전방면 패널(7)로 구성된 가로 길이 형상을 이루고, 공기 조화기 본체(2)는 공기 조화기(1)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기체부(2A)와, 그 기체부(2A)의 전방면측에 조합된 커버부(2B)로 구성되고, 커버부(2B)는 전후에 개구하여 공기 조화기(1)의 외형 형상을 한 프레임형을 이루고, 이 커버부(2B)의 전방면 개구를 덮도록 전방면 패널(7)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기체부(2A)의 전방면측에는 열 교환기(3)와 송풍기(4)와 전기 장착 상자 등이 부착되고, 커버부(2B)가 이러한 주위를 덮고, 전방면을 전방면 패널(7)이 덮는 상태이다. 공기 조화기(1)는 가옥의 실내 벽에 나사 고정한 고정판(16)에 대해, 기체부(2A)의 배면의 걸침부를 걸침으로써 부착된다.
열 교환기(3)와 송풍기(4)는 공기 조화기 본체(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열 교환기(3)는 약 역 V자 형상으로 배치한 전방면측 열 교환부(3A)와 후방면측 열 교환부(3B)로 구성되고, 전방면측 열 교환부(3A)는 하부가 후방으로 굴곡진 부분(3A1)을 형성한 형상을 이룬다. 열 교환기(3)는 병렬 배치의 다수의 알루미늄 박판(P)을 냉매 파이프(Q)가 관통 배치된 플레이트 핀형 열 교환기의 구성이다. 송풍기(4)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블레이드(4A)가 원주로 배치되어 횡축(4B)을 전동기로 회전하는 횡류식 팬이며, 열 교환기(3)의 내측에 배치되어 대략 열 교환기(3)의 좌우 전체 폭에 걸치는 길이를 갖는다.
송풍기(4)의 운전에 의해 공기 흡입부로부터 공기 조화기(1) 내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 조화기 본체(2)의 상면과 전방면으로부터 열 교환기(3)를 향해 유입하도록, 가로 길이의 공기 조화기 본체(2)의 상면과 전방면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공기 흡입구(5A, 5B, 5C)를 형성하고 있다. 상면 공기 흡입구(5A)는 공기 조화기 본체(2)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공기 조화기 본체(2)의 전방면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전방면 공기 흡입구(5B, 5C)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흡입구(5A, 5B, 5C)의 이면측에는 메쉬형의 필터(6)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6)는 필터망을 그 주위에 형성되는 합성 수지제 프레임을 사출 성형하는 동시에 일체화한 것이며, 좌우 각 1매를 1 세트로 하고, 전방면 패널(7)을 개방한 상태에서 공기 조화기 본체(2)의 좌우 양측부와 그 중간부로 형성한 필터 지지 레일부(9)에 대해, 커버부(2B)의 전방면 개구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슬라이드식 삽입에 의해, 좌우의 필터(6)가 착탈 가능하다. 필터(6)를 필터 지지 레일부(9)에 슬라이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와, 필터(6)의 중간부가 열 교환기(3)측으로 저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터(6)의 이면측의 지지부로서 좌우의 필터 지지 레일부(9, 9) 사이에 걸치는 가로살(9A)과, 이 가로살(9A) 서로 상하로 걸치는 세로살을 두고 격자형의 창살을 형성하고 있다.
송풍기(4)의 운전에 의해 열 교환기(3A, 3B)와 열 교환한 공기는, 공기 조화기(1)의 전방면 하부에 형성한 가로 길이 직사각형의 공기 취출구(11)로부터 전방으로 취출한다. 공기 취출구(11)에는 축(12A)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피봇 지지된 상하 이동 풍향판(12)과, 취출하는 공기류를 좌우의 복수류로 분할하는 좌우 이동 풍향판(13)을 구비하고 있다. 열 교환기(3A, 3B)로부터 유화하는 액적은 그 하방의 액적 받이(14, 15)로 받아져 드래인 파이프(17)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공기 조화 중 하나로서, 가옥의 실내의 급기와 배기를 행하는 환기 유닛(20)이 공기 조화기(1) 내에 조립되어 있다. 환기 유닛(20)은 열 교환기(3)와 송풍기(4)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이며, 도면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환기 유닛(20)은, 적어도 하나의 팬과 그에 관련된 공기 통로부를 구비한 급배기부(21)를 갖는 것이고, 급기 모드 및 배기 모드에 따라서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와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와 절환 밸브를 절환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선택 스위치에 의해 급기 모드 및 배기 모드로 절환 제어 가능한 형태이며, 공기 조화기(1) 내의 열 교환기(3)의 측방의 공간에 조립되는 박형 형태이다. 실시예의 것은, 본 발명의 급배기부(21)에 배기 전용부(22)를 조합시킨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선택 스위치에 의해 급기 모드, 배기 모드 및 급배기 모드로 절환 제어 가능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환기 유닛(20)은 급배기부(21)와 배기 전용부(22)가 일체화된 구성이며, 공기 조화기(1) 내의 열 교환기(3)의 측방의 공간에 조립된 상태에서, 후술의 실외 급기 관로(26)와 실외 배기 관로(27)가 접속되는 구성이다.
급배기부(21)는 한 방향 회전의 급배기 겸용 팬(23)과 이에 관련되는 급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부(32)를 구비하고, 배기 전용부(22)는 배기 전용 팬(24)과 이에 관련되는 배기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급배기 겸용 팬과 배기 전용 팬과는 일평면 형상이 되도록 배치하여 급배기부(21)와 배기 전용부(22)가 일평면 형상의 배치이다. 도면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과 배기 전용 팬이 일평면적인 상하 관계가 되도록, 급배기부(21)와 배기 전용부(22)가 일평면적인 상하 관계의 배치이다. 이에 의해, 환기 유닛 전체가 박형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것이 되고, 공기 조화기(1) 내에서 열 교환기(3)의 측방의 작은 공간으로 조립되는 데 적합한 것이 된다.
상기 급배기 통로는 급배기 겸용 팬(23)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를 실내 공기 흡입구(25)로부터의 실내 공기 흡입 경로(P)와 실외 급기 관로(26)로부터의 실외 공기 흡입 경로(Q)로 절환하는 제1 절환 밸브(A)와, 급배기 겸용 팬(23)으로부터의 공기 토출 경로를 실외 배기 관로(27)로부터 실외로 배기하는 실외 배기 경로(R)와 가옥의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 공급 경로(S)로 절환하는 제2 절환 밸브(B)를 구비하고 있다.
급배기 겸용 팬(23)과 배기 전용 팬(24)은 충분한 송풍량을 얻기 위해 원심 송풍 팬으로 구성되고, 실시예로서는 그 하나인 시로코 팬으로 구성하고 있다. 시 로코 팬(23)은 원반형의 단부판(23B)의 중심은 구동용 전동기(23A)의 회전축으로 부착되고, 단부판(23B)의 주연부에는 단부판(23B)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블레이드(23C)가 부착되고, 단부판(23B)의 대향면이 흡입측(23D)이 되고, 흡입된 공기는 블레이드(23C)로부터 주변으로 토출되는 동작을 한다. 시로코 팬(24)도 시로코 팬(23)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배기 전용부(22)는 배기 전용 팬(24)과 이에 관련되는 배기 통로를 구비한다. 배기 전용 시로코 팬(24)과 그 구동용 전동기(24A)가 팬 케이싱(28) 내에 수납되고, 팬 케이싱(28)의 일측면에는 시로코 팬(24)의 흡입측에 대면하여 흡입구(28A)가 형성되고, 시로코 팬(24)의 주변에 대응한 팬 케이싱(28)의 주위벽의 일부에는 토출구(2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흡입구(28A)로부터 토출구(28B)로 이루는 공기 통로가 배기 전용부(22)의 배기 통로를 형성한다. 토출구(28B)는 실외 배기 관로(27)에 연통해도 좋지만, 실외로 연장되는 별개의 배기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해도 좋다.
급배기부(21)는 급배기 겸용 팬(23)과 그 구동용 전동기(23A)가 팬 케이싱(29) 내에 수납되고, 팬 케이싱(29)의 일측면에는 시로코 팬(23)의 흡입측에 대면하여 흡입구(29A)가 형성되고, 시로코 팬(23)의 주변의 토출 공간(30B)에 대응한 팬 케이싱(29)의 주위벽의 일부에는 토출구(29B)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29A)의 전체 주위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구(29A)의 주연부에 넓어진 흡입 공간(30C)을 형성한다. 이 흡입 공간(30C)은 팬 케이싱(29)을 연장하여 그 단부를 측판(31)으로 덮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 공간(30C)의 주위벽의 일부에 는, 토출구(29B)와 동일측에 토출구(29B)와 구획하여 흡입구(30A)가 형성되어 있다.
급배기부(21)는 이 외에 덕트부(32)가 팬 케이싱(29)에 연결된 구성이다. 덕트부(32)는 실외 급기 관로(26)로부터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3)와, 흡입구(30A)와 연결되는 흡입구(34)와, 실외 공기를 가옥의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구(37)를 흡입 공간(30C)과 동일측에 일평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이 실외 공기 흡입 경로(Q)의 일부 통로(Q1)를 구성하고 있다. 실내 공기 흡입구(25)는 이 실외 공기 흡입 경로(Q)의 일부 통로(Q1)의 측면에 열 교환기(3)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측판(31)에 걸리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덕트부(32)는 토출구(29B)와 연결되는 토출구(35)와, 실외 배기 관로(27)로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36)와, 실외 공기를 가옥의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구(37)를 토출 공간(30B)과 동일한 측에 일평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이 실외 배기 경로(R)의 일부 통로(R1)와 실내 공급 경로(S)의 일부 통로(S1)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실외 배기 경로(R)의 일부 통로(R1)와 실내 공급 경로(S)의 일부 통로(S1)는 실외 공기 흡입 경로(Q)의 일부 통로(Q1)에 중합 상태의 배치가 된다.
또, 덕트부(32)에는 제1 절환 밸브(A)와 제2 절환 밸브(B)가 설치되고, 제1 절환 밸브(A)와 제2 절환 밸브(B)는 덕트부(32)에 부착한 단일의 전동기(40)와 이에 의해 회전하는 감속 기어 기구(41)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1 절환 밸브(A)는 실내 공기 흡입 경로(P)의 개폐와 실외 공기 흡입 경로(Q)의 개폐를 행한다. 또한, 제2 절환 밸브(B)는 실외 배기 경로(R)의 개폐와 실내 공급 경로(S)의 개폐를 행한다. 이러한 절환 제어는 상기 리모트 제어기의 스위치에 의해 급기 모드와 배기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행해진다.
가옥의 실내로 공급하는 실외 공기의 살균 또는 감균하기 위해, 자외선 램프 장치(50)가 환기 유닛(20)과 일체화되어 공기 조화기(1) 내에서 열 교환기(3)의 전방면측에서 필터(6)의 전방면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 자외선 램프 장치(5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자외선 램프(52)의 주위에 가옥의 실내로 공급하는 실외 공기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부에 공기의 취출구(51A)를 형성한 덕트 구성의 커버(51)로 자외선 램프(52)를 덮은 구성이며, 급기구(37)에 일단부가 연통하여 타단부가 커버(51)의 일단부 개구에 연통한 덕트 부재(53)에 의해, 자외선 램프 장치(50)와 덕트부(32)가 연결되어 있다.
덕트 부재(53)에는 덕트 부재(53) 내를 흐르는 실외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필터(54)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환기 유닛(20)이 급기 모드로 종료된 상태에서는, 제2 절환 밸브(B)가 급기구(37)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가옥의 실내와 실외가 환기 유닛(20) 내를 통해 연통 상태가 되므로, 이 연통을 차단하기 위해 덕트 부재(53)에는 전동기(55)에서 작동하는 댐퍼(56)를 설치하고 있다. 이 댐퍼(56)는 급기 모드와 배기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덕트 부재(53) 내의 공기 통로를 개방하고, 급기 모드와 배기 모드와 급배기 모드 중 모두 종료되었을 때 덕트 부재(53) 내의 공기 통로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환기 유닛(20)은 급배기부(21)와 배기 전용부(22)를 구비 하고, 급배기부(21)는 한 방향 회전의 급배기 겸용 팬(23)과 이에 관련되는 급배기 통로로서, 실내 공기 흡입 경로(P), 실외 공기 흡입 경로(Q), 실외 배기 경로(R), 실내 공급 경로(S)를 구비한다. 또한, 배기 전용부(22)는 배기 전용 팬(24)과 이를 둘러싸는 팬 케이싱(28)에 의해 관련되는 배기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급배기부(21)의 상기 급배기 통로는 급배기 겸용 팬(23)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를 실내 공기 흡입구(25)로부터의 실내 공기 흡입 경로(P)와 실외 급기 관로(26)로부터의 실외 공기 흡입 경로(Q)로 절환하는 제1 절환 밸브(A)와, 급배기 겸용 팬(23)으로부터의 공기 토출 경로를 실외 배기 관로(27)로부터 실외로 배기하는 실외 배기 경로(R)와 가옥의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 공급 경로(S)로 절환하는 제2 절환 밸브(B)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환기 유닛(20)에 의한 급기 모드, 배기 모드 및 급배기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의 선택 스위치에 의해 환기 유닛(20)이 급기 모드에 선택되었을 때는 배기 전용 팬(24)은 정지 상태(OFF)이며 급배기 겸용 팬(23)의 운전(ON)에 의해 상기 급배기 통로 중 급기 경로인 실외 공기 흡입 경로(Q)와 실내 공급 경로(S)를 통해 실외 공기가 가옥 실내로 공급된다. 또, 상기의 선택 스위치에 의해 환기 유닛(20)이 배기 모드에 선택되었을 때는, 배기 전용 팬(24)의 운전에 의해 가옥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동시에, 급배기 겸용 팬(23)의 운전에 의해 가옥 실내의 공기가 상기 급배기 통로 중 배기 경로인 실내 공기 흡입 경로(P)와 실외 배기 경로(R)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이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기 모드는 공기의 흐름을 도5, 도8 및 도9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환 밸브(A)가 실외 공기의 흡입구(33)를 개방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 흡입구(25)를 폐쇄하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환 밸브(B)가 실외 공기의 급기구(37)를 개방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의 토출구(36)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급배기 겸용 팬(23)의 운전(ON)에 의해, 실외 공기는 실외 급기 관로(26)로부터 흡입되어 실외 공기 흡입 경로(Q)와 실내 공급 경로(S)를 통해, 또 급기구(37)로부터 덕트(53)로 들어와 자외선 램프 장치(50)의 커버(51) 내를 흐르고, 자외선 램프(52)로 살균 또는 감균시킨 상태에서 취출구(51A)로부터 공기 조화기(1) 내로 유출한다. 공기 조화기(1) 내로 유출한 실외 공기는 공기 조화기(1) 내의 송풍기(4)에 의해 가옥 실내로 순환된다.
또한 배기 모드는 공기의 흐름을 도6, 도10 및 도11에 도시하고 있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환 밸브(A)가 실외 공기의 흡입구(33)를 폐쇄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 흡입구(25)를 개방하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환 밸브(B)가 실외 공기의 급기구(37)를 폐쇄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의 토출구(36)를 개방한다. 이로 인해, 급배기 겸용 팬(23)의 운전(ON)에 의해, 공기 조화기(1) 내에 들어 간 실내 공기는 실내 공기 흡입구(25)로부터 흡입되어 실내 공기 흡입 경로(P)와 실외 배기 경로(R)를 통해, 실내 공기의 토출구(36)로부터 실외 배기 관로(27) 내를 흘러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기 모드에서는 배기 전용 팬(24)의 운전에 의해 가옥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급배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23)의 운전(ON)에 의해 상기 급배기 통로 중의 급기 경로를 통해 실외 공기가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 전용 팬의 운전(ON)에 의해 상기 실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 통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즉, 제1 절환 밸브(A)가 실외 공기의 흡입구(33)를 개방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 흡입구(25)를 폐쇄하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환 밸브(B)가 실외 공기의 급기구(37)를 개방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의 토출구(36)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급배기 겸용 팬(23)의 운전(ON)에 의해, 실외 공기는 실외 급기 관로(26)로부터 흡입되어 실외 공기 흡입 경로(Q)와 실내 공급 경로(S)를 통해, 또한 급기구(37)로부터 덕트(53)로 들어와 자외선 램프 장치(50)의 커버(51) 내를 흘러, 자외선 램프(52)로 살균 또는 감균시킨 상태에서 취출구(51A)로부터 공기 조화기(1) 내로 유출한다. 공기 조화기(1) 내로 유출한 실외 공기는 공기 조화기(1) 내의 송풍기(4)에 의해 가옥 실내로 순환된다. 이와 함께, 배기 전용 팬(24)의 운전(ON)에 의해 가옥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23)과 배기 전용 팬(24)의 운전(ON)에 의해, 실내의 배기를 빠르게 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경우에는 효과적이다. 그리고, 급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23)의 운전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화를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그리고, 급배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23)과 배기 전용 팬(24)의 운전(ON)에 의해, 급기와 배기가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 정화 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제1 절환 밸브(A)와 제2 절환 밸브(B)에 의한 통로 절환과, 급배기 겸용 팬(23)과 배기 전용 팬(24)의 운전(ON)에 의해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용이하고 확실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환기 유닛(20)은 급배기부(21)와 배기 전용부(22)를 일체화한 구성이지만, 배기 전용부(22)를 별개로 공기 조화기(1) 내에 조립하는 방식이라도 좋고, 또한 배기 전용부(22)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이라도 좋다. 또, 실외 급기 관로(26)와 실외 배기 관로(27)는, 도면과 같이 2개의 관이 아니라, 실외 공기의 흡입구(33)와 실내 공기의 토출구(36)와 연통하는 1개의 관(파이프)으로 급기와 배기를 겸용하도록 구성하면, 공기 조화기(1)로부터 실외로 연장되는 파이프는 이 1개의 관(파이프)과 배기 전용부(22)의 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토출구(28B)에 접속된 파이프의 2개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기(1) 및 환기 유닛(20)의 형태 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의 공기 조화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발명은 급기 모드 및 배기 모드가 선택 가능하고, 배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ON)에 의해, 실내의 배기를 빠르게 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경우에는 효과적이다. 그리고, 급기 모드에서는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 공기의 교체를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그리고, 급기 모드 및 배기 모드에 있어서의 이러한 제어는 절환 밸브에 의한 통로 절환하면,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ON)에 의해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용이하고 확실해진다.
제2 발명에서는, 제1 발명의 효과 외에 급기 모드 및 배기 모드에 있어서의 이러한 제어는 제1 절환 밸브와 제2 절환 밸브에 의한 통로 절환과, 급배기 겸용 팬의 운전(ON)에 의해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용이하고 확실해진다.
제3 발명에서는, 제2 발명의 효과 외에 급배기 겸용 팬과 배기 전용 팬은 시로코 팬으로 구성됨으로써, 소형이라도 충분한 송풍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환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급배기 겸용 팬의 회전 주연부에 있어서의 급배기 겸용 팬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와 급배기 겸용 팬으로부터의 공기 토출 경로를 중합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환기 유닛의 소형화와 박형화가 도모되게 되고, 공기 조화기 내에서 열 교환기 측방의 소공간에 조립되는 데 적합한 것이 된다.
제4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발명의 효과 외에 흡입한 실외기가 자외선 램프의 주위를 통과함으로써 청정화되는 동시에, 자외선 램프 장치는 환기 유닛과 일체화되어 열 교환기의 전방면측에 배치함으로써, 공기 조화기 내로의 수납 배치가 양호해진다.
제5 발명에서는, 제2 발명의 효과 외에 제1 절환 밸브와 제2 절환 밸브를 단일의 전동기와 이에 의해 회전하는 감속 기어 기구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도록 내부에 열 교환기와 송풍기가 배치된 공기 조화기 본체에 상기 실내의 급기와 배기를 행하는 환기 유닛이 조립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닛은 배기 전용 팬과 이에 관련되는 배기 통로를 갖는 배기 전용부와, 한 방향 회전의 급배기 겸용 팬과 이에 관련되는 급배기 통로를 갖는 급배기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 배기 전용부와 급배기부를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 내의 일측부에 평면적인 상하 관계로 하여 일체화하고, 또한 상기 배기 전용 팬 및 급배기 겸용 팬을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급배기 통로는 절환 밸브의 절환 제어로 급기 모드에 있어서 실외 공기를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 흡입하여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 경로를 형성하고, 배기 모드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공기를 실내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경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도록 내부에 열 교환기와 송풍기가 배치된 공기 조화기 본체에 상기 실내의 급기와 배기를 행하는 환기 유닛이 조립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닛은 배기 전용 팬과 이에 관련되는 배기 통로를 갖는 배기 전용부와, 한 방향 회전의 급배기 겸용 팬과 이에 관련되는 급배기 통로를 갖는 급배기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 배기 전용부와 급배기부를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 내의 일측부에 평면적인 상하 관계로 하여 일체화하고, 또한 상기 배기 전용 팬 및 급배기 겸용 팬을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급배기 통로는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를 실내 공기 흡입구로부터의 실내 공기 흡입 경로와 실외 공기의 흡입구로부터의 실외 공기 흡입 경로로 절환하는 제1 절환 밸브(A)와,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부터의 공기 토출 경로를 실내 공기의 토출구로부터 실외로 배기하는 실외 배기 경로와 실외 공기의 급기구로부터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 공급 경로로 절환하는 제2 절환 밸브(B)를 구비하고, 급기 모드에 있어서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공기 흡입 경로로부터 흡입하여 실내 공급 경로로부터 상기 실내로 공급하고, 상기 배기 모드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공기 흡입 경로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실외 배기 경로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절환 밸브와 상기 팬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 겸용 팬은 시로코 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급배기 겸용 팬의 회전 주연부에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의 공기 흡입 경로와 상기 급배기 겸용 팬으로부터의 공기 토출 경로를 중합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경로 중에 자외선 램프가 수납된 자외선 램프 장치가 상기 환기 유닛과 일체화되어 상기 열 교환기의 전방면측에서 필터의 전방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환 밸브와 상기 제2 절환 밸브를 단일의 전동기와 이에 의해 회전하는 감속 기어 기구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50059507A 2004-09-10 2005-07-04 공기 조화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3891A JP4592368B2 (ja) 2004-09-10 2004-09-10 空気調和機
JPJP-P-2004-00263891 2004-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787A KR20060049787A (ko) 2006-05-19
KR100693990B1 true KR100693990B1 (ko) 2007-03-13

Family

ID=3615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5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990B1 (ko) 2004-09-10 2005-07-0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92368B2 (ko)
KR (1) KR100693990B1 (ko)
CN (1) CN100340812C (ko)
TW (1) TWI2910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2056B (zh) * 2013-09-10 2017-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换气装置
KR102756985B1 (ko) * 2019-10-11 202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환기 장치
CN114427726B (zh) * 2020-10-29 2025-04-22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新风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7436897B1 (ja) * 2022-09-09 2024-0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WO2024195465A1 (ja) * 2023-03-17 2024-09-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425A (ja) * 1997-03-31 1998-10-13 Daikin Ind Ltd 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及びその空気調和機を用いた換気空調システム
JP2000146219A (ja) 1998-11-16 2000-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及び換気装置付空気調和機
JP2000249365A (ja)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2005472A (ja) 2000-06-16 2002-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換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020026725A (ko) * 2000-10-02 2002-04-12 구자홍 환기 장치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30087315A (ko) * 2002-05-08 2003-1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KR20050049944A (ko) * 2003-11-24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7633B (sv) * 1990-11-09 1992-08-17 Volvo Ab Ljuddaempare foer motorfordon
JPH0772622B2 (ja) * 1990-12-21 1995-08-02 木村工機株式会社 冷温水用空調機の温度制御方法とその装置
CN2624101Y (zh) * 2003-05-20 2004-07-07 中山深宝电器制造有限公司 带空气杀菌消毒装置的分体挂壁式空调器
JP2005172280A (ja) * 2003-12-09 2005-06-3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425A (ja) * 1997-03-31 1998-10-13 Daikin Ind Ltd 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及びその空気調和機を用いた換気空調システム
JP2000146219A (ja) 1998-11-16 2000-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及び換気装置付空気調和機
JP2000249365A (ja)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2005472A (ja) 2000-06-16 2002-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換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020026725A (ko) * 2000-10-02 2002-04-12 구자홍 환기 장치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30087315A (ko) * 2002-05-08 2003-1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KR20050049944A (ko) * 2003-11-24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2368B2 (ja) 2010-12-01
CN1746576A (zh) 2006-03-15
JP2006078113A (ja) 2006-03-23
CN100340812C (zh) 2007-10-03
TWI291006B (en) 2007-12-11
KR20060049787A (ko) 2006-05-19
TW200619566A (en)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CN100532967C (zh) 空气调和机
KR10255194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5414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362390B1 (ko) 공기조화기
KR100693989B1 (ko) 공기 조화기
JP459977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693990B1 (ko) 공기 조화기
JP2011127894A (ja) 空気調和機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KR100470483B1 (ko)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JP2006078159A (ja) 空気調和機
JP2006078160A (ja) 空気調和機
JP2006078158A (ja) 空気調和機
JP2006078161A (ja) 空気調和機
KR100554283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JP2006153446A (ja) 空気調和機
KR100541476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240057085A (ko) 환기 장치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KR100484936B1 (ko) 공기조화기
KR10054147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넷구조
KR2005002764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구조
KR20050027641A (ko) 공기청정 기능이 겸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