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873B1 -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FLP plate fixing device - Google Patents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FLP plate fix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3873B1 KR100693873B1 KR1020060039792A KR20060039792A KR100693873B1 KR 100693873 B1 KR100693873 B1 KR 100693873B1 KR 1020060039792 A KR1020060039792 A KR 1020060039792A KR 20060039792 A KR20060039792 A KR 20060039792A KR 100693873 B1 KR100693873 B1 KR 1006938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body
- anchor
- lower body
- frp plate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31 aramid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6 corros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085—Tensile members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04G2023/0262—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anchoring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e.g. to avoid peeling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1e 및 도 1f는 종래의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A, 1B, 1C, 1D, 1E, and 1F illustrate a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a conventional FRP plate fixing apparatu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의 조립상세도 및 조립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s 2a and 2b shows the assembly detail and assembly state of 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를 구조물에 설치한 상태를 긴장장치의 일예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state with the FRP plat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structure with an example of the tension device.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방법을 공종 순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s 4a, 4b and 4c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 reinforcement method of the structure using 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상부바디 110:전면단차부100: upper body 110: front stepped portion
120:하부바디정착부 130:후면단차부120: bottom body fixing part 130: rear step
140:앵커공 150:위치조절수단140: anchor ball 150: position adjusting means
160:앵커 200:하부바디160: anchor 200: bottom body
300:FRP 판 400:구조물300: FRP plate 400: structure
500:긴장장치500: tension device
본 발명은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보수/보강이 필요한 구조물 저면에 FRP판 정착장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FRP판 정착장치에 비부착 FRP판을 정착시킨 후 FRP판을 긴장시켜 구조물을 보수 또는 보강할 수 있는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FRP plate fix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FRP plate fixing device which can fix the FRP plate fixing device on the bottom of the structure that needs repair / reinforcement, fix the non-attached FRP plate to the FRP plate fixing device, and then tighten or repair the structure by tensioning the FRP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airing / reinforcing a structure using a.
본 발명의 출원인은 비부착식 에폭시 FRP판을 기계적 정착장치에 의하여 비부착식으로 구조물에 정착시킴으로써, 시공을 대폭적으로 간소하게 할 수 있고, 시공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부착식 에폭시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시트 정착장치를 출원하여 등록(특허 제 10-489373호)받은 바 있으며, 도 1a는 이러한 종래 시트 정착장치(FRP판 정착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에폭시 사전함침시트는 넓은 의미에서 판 형상의 FRP를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non-adhesive epoxy FRP plate to the structure non-adhesive by a mechanical fixing device, can greatly simplify the construction, non-adhesive epoxy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struction quality The method for repairing / reinforcing a structure using a sheet and a sheet fixing device used therein have been applied and registered (Patent No. 10-489373), and FIG. 1A show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sheet fixing device (FRP plate fixing device). Here, the epoxy pre-impregnated sheet may b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a plate-shaped FRP.
상기 종래의 FRP판 정착장치(10)는 동일한 크기의 직육면체 블록형태의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로 크게 구분되며,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에 각각 경사진 웨지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지홈(11)에 장착되는 상부웨지(20a)와 하부웨지(20b)에 의하여 FRP판(30)이 물려져 정착된다.The conventional FRP
이에 도 1a 및 도 1b와 같이 하부바디(10b)에는 체결구(40)가 관통되도록 하부나사공(41)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체결구(40)는 하부바디(10a)를 관통하여 상부바디(10a)에 형성시킨 상부나사공(42)에 선단부가 체결됨으로써 상부바디(10a)와 하부바디(10b)는 서로 밀착되어 사이에 위치한 FRP판(30)은 압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plurality of
상기 상부바디(10a)의 상부나사공(42)에는 구조물(60)에 미리 형성시킨 앵커홀(61)에 삽입되는 앵커(50)가 체결되어 상부바디(10a)가 구조물(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n
즉, 도 1c와 같이 구조물(60)에는 앵커홀(61)과 정착홀(62)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상부바디(10a)와 앵커(50)가 각각 앵커홀(61)과 정착홀(62)에 삽입 장착되고 에폭시와 같은 케미칼 앵커체(63)에 의하여 구조물(60)에 상부바디(10a)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며, FRP판(30)은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사이에 상부웨지(20a)와 하부웨지(20b)에 의하여 물려져 그 단부가 정착되도록 하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C, th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FRP판 정착장치(10)는 앵커(50)가 한곳에 집중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d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파괴가 집중되어 정착하고자 하는 힘에 비해 과도하게 직경이 크고 길이가 긴 앵커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RP
이에 도 1d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50)를 분산시켜 효율적인 정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앵커의 설치간격을 넓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바디(10a) 및 하부바디(10b)의 상부 및 하부 나사공(41,42)이 서로 공유됨에 따라 별수 없이 상부바디(10a)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 상부나사공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 고, 상부바디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는 하부바디도 함께 크게 제작할 수밖에 없어 결국 정착장치의 제작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widen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anchor in order to secure the anchoring force by dispersing the
또한, 앵커의 설치간격을 넓히고자 상부 및 하부나사공의 간격이 넓어지면 도 1c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판(30)에 하중이 작용했을 때, 상하부 웨지(20a, 20b)의 웨지 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인장력(P)에 의한 하부바디의 변형(점선 10b)도 커지게 되므로 하부바디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hreaded holes is widened to widen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anchor,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앵커공의 간격을 넓게 하면 상부 및 하부 나사공도 함께 넓어져서 인장응력에 불리한 구조가 되고 인장응력에 대응하여 상부 및 하부 바디를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나사공(41,42)을 최대한 웨지홈(11)에 가깝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앵커(50)가 한 곳에 집중되어 과도하게 큰 앵커가 필요하게 되는 기술적 모순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art, when the space between the anchor holes is widened, the upper and lower screw holes are also widened, which is a structure that is disadvantageous to the tensile stress, and the upper and
또한, 상부 및 하부 나사공(41,42)을 공유함에 따라 FRP판(30)에 의한 전단력 및 인장응력 모두가 체결구와 앵커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그 각각의 크기(직경 및 길이)를 결정함에 있어 최대 크기의 전단력 또는 도 1b와 같이 인장응력(P)을 기준으로 설계할 수밖에 없으므로 필요 이상으로 체결구, 앵커, 앵커홀, 나사공의 크기를 크게 설계하는 일이 많아져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hear and tensile stresses by the
또한 구조물에 따라 내부에 배근된 철근에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앵커의 설치 위치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부 및 하부나사공(41,42)을 공유함에 따라 상부바디에 형성시킨 상부나사공 형성위치를 변경시켜야 할 경우 하부바디에 형성시킨 하부나사공의 형성위치도 함께 변경될 수밖에 없으므로 정착장치 자체를 다시 제작해야 하므로 FRP판 정착장치의 표준화 제작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nchor in order to avoid damage to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depending on the structure, the upper screw hole formed on the upper body by sharing the upper and lower screw holes (41, 42) If the position should be change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lower screw hole formed in the lower body can also be changed together, so that the fixing apparatus itself needs to be manufactured again, which hinders the standard production of 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또한, FRP판 정착장치에 FRP판을 긴장시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FRP판을 긴장시킬 수 있는 긴장장치를 정착장치 후방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긴장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착홀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e와 같이, FRP판(30)이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연장시켜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FRP판을 긴장시키는 방법이 소개된 바 있는데, 이러한 긴장장치는 먼저, 지지대(70)를 별도로 구조물 표면에 앵커를 이용하여 먼저 설치한 뒤, 연장된 FRP판 선단에 스토퍼(80)를 설치하고, 지지대와 스토퍼 사이에 유압잭(90)을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FRP판(30)을 긴장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지지대(70)의 설치를 위한 공종이 추가됨으로서 FRP판 긴장작업이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tension and fix the FRP plate to the FRP plate fixing device, a tension device for tensioning the FRP plate should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ixing device.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tensioning device, a large size of the fixing hole is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to be formed. Thus, as shown in Figure 1e, the
또한, 상부바디를 수평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f와 같이 구조물(60)의 정착홈(62)의 내측 표면은 균일한 콘크리트 면(B)으로 절취되어야 하나, 상향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절취 작업 특성상, 균일한 절취면 가공을 위해서는 상부바디 설치에 필요한 면적보다 큰 면적을 절취하고 세밀한 가공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시공성, 경제성이 모두 불리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upper body horizont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정착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시공이 간단하고, 구조물에 따른 정착장치의 설치 및 변경에 있어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정착장치의 표준화 제작이 용이하여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한 FRP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a more efficient fixing ability and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in the install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P plate fixing device and a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be economically manufactured due to easy manufacturing of the fixing device.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첫째, FRP판 정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바디(100)와 하부바디(200)를 분리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하되, 상부바디(100)의 하부바디정착부(120)에 볼트공(122)을 형성시키고, 상기 볼트공(122)에 체결볼트(123)에 의하여 하부바디(200)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부바디(100)에 별도로 형성시킨 앵커공(140)에 의하여 상부바디(100)가 구조물(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First, while separating the
둘째, FRP판 정착장치의 정착력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바디(100)는 면적이 하부바디(200)보다 크도록 하여, 상부바디(100)에 형성된 앵커공(140)이 최대한 이격되어 상기 앵커공(140)에 앵커(160)가 설치될 때 앵커로 전달되는 전단력이 최대한 분산되어 작용되도록 하여 앵커의 전단파괴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하였다.Second, in order to ensure the fixing force of the FRP plate fixing device efficiently, the
이에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는 종래의 정착장치와는 달리 상부바디(100)와 구조물(400)의 고정과, 하부바디(200)와 상부바디(100)의 체결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The FRP plat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fixing device, so that the fixing of the
상부바디(100)의 하면에 단차를 두되, 전면단차부(110)는 하부바디(200)로부 터 전달되는 전단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바디와 접하여 돌출되도록 하고, 후면단차부(130)는 FRP판(300)을 긴장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파여진 상태로 하부바디(200) 후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면단차부(110) 및 후면단차부(130)에는 웨지홈(121) 및 볼트공(122) 이 형성된 하부바디정착부(120)를 두어 하부바디(200)에 형성된 관통공(22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23)에 의하여 하부바디(200)가 하부바디정착부(1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Place a step on the bottom of the
넷째, FRP판 정착장치를 구조물(400)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구조물 표면을 절취함에 따라 절취면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종의 간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부바디의 상면에 회전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수단(150)을 형성시켜, 상부바디의 수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Fourth, in order to fix the FRP plate fixing device to the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and easily, the following describes the be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도 2a는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의 조립상세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상기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a shows a detailed assembly view of the FRP plat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state showing the assembled FRP plat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ructure of the FRP plat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installed state.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크게 상부바디(100) 및 하부바디(200)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이러한 상부, 하부바디(100,200)는 FRP판(300)의 단부가 물려 고정되는 상, 하부웨지(310a,310b)를 수용하도록 분할된 상부 및 하부웨지홈(121,210)이 각각 형성된 정착판으로서, 상부바디(100)는 도 3과 같이 구조물(400)에 매입되며, 상기 상부바디(100)와 결합되는 하부바디(200)는 상부바디(10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upper and
이때 상부바디(100)는 하부바디(200)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정착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바디는 FRP판의 설치개수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가지도록 제작되는데 알루미늄으로써 제작함으로서 부식방지 및 중량감소로 인한 시공성 증진이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부바디(100)는 그 하면에 있어 전면단차부(110), 하부바디 정착부(120) 및 후면단차부(130)에 의하여 서로 단차가 지도록 형성되며, 도 2b 및 도 3과 같이 상면에는 상부바디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회전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수단(150)이 형성된다.The
먼저, 상부바디(100)의 하면 개략 중앙부는 상부웨지홈(121)이 경사져 형성되어, 하부바디(200)의 하부웨지홈(210)과 더불어 FRP판(300)의 단부가 상부 및 하부웨지(310a, 310b)에 의하여 물려 정착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러한 상부웨지홈(121)이 형성된 주위에는 하부바디(2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122)이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볼트공(122)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볼트공은 상부, 하부 웨지홈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여 정착력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A
상기 상부웨지홈(121) 및 볼트공(122)이 형성된 부위를 본 발명에서는 상부 바디에 형성된 하부바디 정착부(120)로 지칭하도록 한다.The portion where the
이에 하부바디(200)의 횡방향 폭은 하부바디 정착부(120)의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마치 상부바디에 하부바디가 얹어져 있는 것처럼 설치되며, 하부바디(200)가 하부바디 정착부(120)에 체결볼트(123)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123)를 풀면 하부바디(200)가 상부바디(100)로부터 분리되어 서로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The width of the
따라서 상부바디(100)가 파손될 경우 그 교체 시 하부바디(200)는 체결볼트(123)를 풀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또한 상부바디(100)의 네 모서리부에는 앵커공(140)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공(140)에 앵커(160)가 설치됨으로써, 상부바디(100)가 구조물(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our corners of the
하부바디(200)에는 개략 중앙부에 경사진 하부웨지홈(210)이 형성되며, 상부바디(100)의 볼트공(122)에 대응하여 하부바디(200)를 관통하는 관통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체결볼트(123)는 상기 관통홀(220)을 관통하여 상부바디(100)의 볼트공(122)에 삽입체결 됨으로써, 상부바디(100)의 하부바디 정착부(120)에 하부바디(200)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The
위에서 살펴본 상부, 하부바디에 형성된 상부웨지홈(121)과 하부웨지홈(210)에는 상부 및 하부웨지(310a, 310b)가 물려져 정착되는데, 이러한 상부 및 하부웨지부(310a, 310b) 사이에는 FRP판(300)의 단부가 정착된다. FRP판(300)의 확실한 고정을 위하여 상부 및 하부웨지(310a, 310b)의 FRP판(300)과의 접면에는 요철 부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Upper and
이러한 FRP판(300)이 상부 및 하부웨지부(310a, 310b)가 물려져 정착되면 도 2b와 같이 FRP판(300)에 의하여 체결볼트(123)에는 FRP판(300)이 설치방향으로 체결볼트가 끊어지도록 하는 전단력(V)이 발생함과 더불어 체결볼트(123)를 인발시키려는 인장응력(P)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전단력(V)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부바디 정착부(120)의 전면에는 전면단차부(110)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에 상기 전면단차부(110)는 하부바디(200)와 접하여 상부바디(100) 전면에 형성되며, 이는 상부바디(100)의 하면을 단차져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전면단차부(12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stepped
이때, 전면단차부(110)는 FRP판(300)이 중앙에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블록 아웃되어 두 개의 블록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블록 각각에는 블록을 관통하는 앵커공(140)이 형성되어 앵커(1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결국, 상기 FRP판(300)에 의하여 작용하는 전단력(V)은 하부바디(200)에 전달되고, 이러한 하부바디(200)는 전면단차부(110)에 지지되어 위치가 구속되므로 전단력(V)은 전면단차부(110)에 의하여 상부바디(100)에 전달된다.As a result, the shear force (V) acting by the
이로써, 체결볼트(123)는 하부바디(200)를 상부바디(100)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할뿐 전단력은 거의 분담하지 않으므로, 보다 작은 직경 및 깊이를 가진 볼트공(122) 및 체결볼트(123)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즉, 본 발명의 체결볼트(123)는 주로 체결볼트를 인발시키려는 인장응력(P)에 저항하도록 설계됨으로서 보다 경제적인 정착장치 설계가 가능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앵커공(140)에 설치되는 앵커(160)도 전단력을 부담하되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전단력을 분담할 수 있고, That is, the
후술되는 바와 같이 후면단차부(130)에도 앵커공(140) 및 앵커(160)가 설치되어 더욱더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분담할 수 있으므로 앵커공(140)의 직경 및 사용되는 앵커(160)의 길이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RP판(300)은 하부바디 정착부(120)에서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에 의하여 단부가 고정되는데, FRP판(300)에 의한 구조물 보수/보강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FRP판(300)을 긴장 시킨 후, FRP판(300)의 단부가 상부 및 하부바디에 정착되도록 한다.The
이러한 FRP판(300) 긴장작업은 긴장장치(500)를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This
이러한 긴장장치(500)는 지지대 및 유압잭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긴장작업을 위해서는 하부바디정착부(120)의 후면에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FRP판 긴장장치가 매입되는 정착홀의 크기를 후방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였는바 이는 시공성 및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된 바는 살펴본 바와 같아,The
본 발명에서는 상부바디(100)의 후면이 파여져 블록 아웃된 후면단차부(1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긴장장치(500)를 통한 긴장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예컨대, 도 3과 같이 FRP판(300)의 후단부를 스토퍼(510)에 의하여 마감처리 하고, 상기 스토퍼(510)와 하부바디(200) 사이에 유압잭(520)을 위치시켜 작동하여 간단하게 FRP판(300)에 긴장력을 도입시킬 수 있게 되며, 기타 다른 긴장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rear end of the
또한 후면단차부(130)에는 전면단차부와 같이 앵커공(140)이 다수 형성되어 상부바디(100)가 구조물(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앵커공(140)의 이격에 의한 앵커가 분담하는 전단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하부바디정착부(120)의 표면이 구조물 표면과 서로 일치하도록 정착장치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구조물(400)에 비부착식으로 설치된 FRP판이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할 때 FRP판이 구조물과 일체로 함께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nchor holes 140 are formed in the
이러한 FRP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등을 시트형태로 제작하되, 에폭시 수지로 함침 적층하여 일체화된 에폭시사전함침시트를 이용하게 되며, 구조물 표면에 직접 접하여 설치되며 다른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은 비 부착식으로 설치되게 된다.The FRP plate is made of carbon fiber, glass fiber, aramid fiber, etc., which are generally used in sheet form, and uses an epoxy pre-impregnated sheet that is integrated by impregnating with epoxy resin and install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will be installed non-adhesive without using an adhesive such as.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방법을 살펴본다.Next, look at the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가 고정되는 구조물(400)은 통상 교량 및 건축용 거더, 슬래브가 될 수 있으며 휨 보강 또는 전단 등 보강이 요하는 구조물이면 달리 제한되지는 않는다.First, the
이러한 구조물(400)의 저면에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가 설치 한다. 이에 먼저, 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도 4a와 같이 상기 정착장치가 앵커(16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저면을 절취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A,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ucture is cut away so that the fixing device can be fixed by the
이는 상부바디(100)에 형성된 앵커공(140)에 앵커(160)가 구조물(4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앵커홀(410)과 상부바디(100)가 구조물(400)에 매립될 수 있도록 하는 정착홀(4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바디(100)의 상면에 형성시킨 회전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수단(150)을 조절하여 정착홀(420)에 상부바디(1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Figure 4b by adjusting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150 including a rotation adjusting screw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앵커홀(410)과 상부바디(100)의 앵커공(140)이 대응되도록 위치를 세팅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다음으로는 앵커(160)를 앵커공(140)과 앵커홀(410)에 삽입시켜 상부바디(100)를 구조물(400)에 고정시키게 된다.Next, the
이러한 앵커(160)로써 영구 앵커볼트를 사용해도 되고, 도 4c와 같이 케미컬 앵크를 이용하여 케미칼 앵커체(S)가 앵커홀 및 정착홀에 충진되어 경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Permanent anchor bolts may be used as the
이로써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는 상부 및 하부바디로써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앵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발휘된다.As a result, 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advantage of using various anchors while using 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as the upper and lower bodies.
위와 같이 상부바디(100)를 구조물(400)에 고정시킨 이후 FRP판(300)의 단부를 상부 및 하부웨지(310a,310b)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FRP판(300) 의 단부가 물려진 상부 및 하부웨지(310a,310b)를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의 웨지홈(121,210)에 걸려 지도록 한다.After the
다음으로는 도 4c와 같이 하부바디(200)를 상부바디(100)의 하부바디정착부(120)에 형성된 볼트공(122)에 체결구(123)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체결시킴으로서 최종 정착장치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성될 수 있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4c, the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는 상부바디가 FRP판에 의한 전단력을 분담하고, 하부바디는 상부바디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제작, 설치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고 정착장치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며,The FRP plate fix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shares the shear force by the FRP plate, and the lower body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in a manner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body is more efficient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fixing device,
하부바디에만 앵커공을 설치하기 때문에 구조물에 따른 앵커공의 위치만을 바꾼 상부바디를 제작하고 하부바디는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표준제작화가 가능하여 정착장치 제작비용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며,Since the anchor body is installed only in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can be manufactured by changing only the position of the anchor hol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the lower body can be used as it is, so that the overall standard production can be made, there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ixing device.
상부바디의 후면에 긴장작업이 용이하도록 후면단차부가 형성되어 FRP판의 긴장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매우 증진될 뿐만 아니라,The rear step part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upper body to facilitate the tensioning, so that the work of the FRP plate is easy, and the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정착장치의 재질을 강재로 하여도 되나, 부식되지 않고, 가벼운 알루미늄재질로 제작하여 미관 및 내구성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매우 증진될 수 있으며,Although the material of the fixing device may be made of steel, it is not corroded and is made of a light aluminum material, so that aesthetics and durability as well as work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상부바디를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를 사용함에 있어 상부바디에 장착된 회전조절수단에 의하여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시공 및 정착장치의 구조물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In using the anchor for fixing the upper body to the structure can be easily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by the rotation control means mounted to the upper body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 construction and fixing of the fixing devic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 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9792A KR100693873B1 (en) | 2006-05-03 | 2006-05-03 |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FLP plate fix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9792A KR100693873B1 (en) | 2006-05-03 | 2006-05-03 |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FLP plate fix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93873B1 true KR100693873B1 (en) | 2007-03-12 |
Family
ID=3810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97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873B1 (en) | 2006-05-03 | 2006-05-03 |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FLP plate fix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387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81842A (en) * | 2019-03-08 | 2019-06-14 | 北京工业大学 | A FRP sheet variable clamping force wave splint anchor |
CN112857984A (en) * | 2021-01-26 | 2021-05-28 | 郑州大学 |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anchoring end part of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bar test piece |
US20220186759A1 (en) * | 2020-10-21 | 2022-06-16 | Kulstoff Composite Products, LLC | Fiber-Reinforced Polymer Anchors and Connectors For Repair and Strengthening of Structures Configured for Field Testing, and Assemblies for Field Testing the Same |
CN116815995A (en) * | 2023-06-20 | 2023-09-29 | 东南大学 | Multi-layer FRP board anchoring device and anchoring method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3097Y1 (en) | 2002-04-15 | 2002-07-26 | (주)씨씨엘 코리아 | Externally prestressing strengthening structure of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s using flat tension jack & steel anchorage with formed shear key |
US6584738B1 (en) | 1998-10-28 | 2003-07-01 | Leonhardt Andrä und Partner Beratende Ingenieure VBI GmbH | Clamping device for a band-shaped tensional member |
JP2003328561A (en) | 2002-05-14 | 2003-11-19 | Dps Bridge Works Co Ltd |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member and tensioning device for tension member used for the method |
KR20040079129A (en) * | 2003-03-06 | 2004-09-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ethod for repairing 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non-adhesion type epoxy sheet and fixing apparatus therefor |
KR20040080388A (en) * | 2004-07-15 | 2004-09-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nchoring system of fiber composite plate to strengthen RC structures |
KR20050073060A (en) * | 2004-01-08 | 2005-07-13 | 주식회사 엠텍 | The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ber and steel composite panel and the reinforc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and steel structures by anchoring the above panel after tensioning |
JP2005240406A (en) | 2004-02-26 | 2005-09-08 | Dps Bridge Works Co Ltd | Fixing device and fixing structure for tension member for reinforcing structural member |
KR20050114302A (en) * | 2004-06-01 | 2005-12-06 | (주)엠프로 | Steel anchor, thermoset anchor and tensioning equipment, and the method to reinforce the concrete structure with the fiber panel tensioned by them |
-
2006
- 2006-05-03 KR KR1020060039792A patent/KR10069387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84738B1 (en) | 1998-10-28 | 2003-07-01 | Leonhardt Andrä und Partner Beratende Ingenieure VBI GmbH | Clamping device for a band-shaped tensional member |
KR200283097Y1 (en) | 2002-04-15 | 2002-07-26 | (주)씨씨엘 코리아 | Externally prestressing strengthening structure of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s using flat tension jack & steel anchorage with formed shear key |
JP2003328561A (en) | 2002-05-14 | 2003-11-19 | Dps Bridge Works Co Ltd |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member and tensioning device for tension member used for the method |
KR20040079129A (en) * | 2003-03-06 | 2004-09-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ethod for repairing 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non-adhesion type epoxy sheet and fixing apparatus therefor |
KR20050073060A (en) * | 2004-01-08 | 2005-07-13 | 주식회사 엠텍 | The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ber and steel composite panel and the reinforc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and steel structures by anchoring the above panel after tensioning |
JP2005240406A (en) | 2004-02-26 | 2005-09-08 | Dps Bridge Works Co Ltd | Fixing device and fixing structure for tension member for reinforcing structural member |
KR20050114302A (en) * | 2004-06-01 | 2005-12-06 | (주)엠프로 | Steel anchor, thermoset anchor and tensioning equipment, and the method to reinforce the concrete structure with the fiber panel tensioned by them |
KR20040080388A (en) * | 2004-07-15 | 2004-09-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nchoring system of fiber composite plate to strengthen RC structures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81842A (en) * | 2019-03-08 | 2019-06-14 | 北京工业大学 | A FRP sheet variable clamping force wave splint anchor |
CN109881842B (en) * | 2019-03-08 | 2021-09-17 | 北京工业大学 | FRP sheet becomes clamping-force ripples clamp plate anchor |
US20220186759A1 (en) * | 2020-10-21 | 2022-06-16 | Kulstoff Composite Products, LLC | Fiber-Reinforced Polymer Anchors and Connectors For Repair and Strengthening of Structures Configured for Field Testing, and Assemblies for Field Testing the Same |
CN112857984A (en) * | 2021-01-26 | 2021-05-28 | 郑州大学 |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anchoring end part of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bar test piece |
CN112857984B (en) * | 2021-01-26 | 2022-09-23 | 郑州大学 |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anchoring end part of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bar test piece |
CN116815995A (en) * | 2023-06-20 | 2023-09-29 | 东南大学 | Multi-layer FRP board anchoring device and ancho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04636B2 (en) | Deck-to-girder connections for precast or prefabricated bridge decks | |
US7874035B2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ecast deck slab with a beam on a bridge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lab with the beam using the same | |
KR100834021B1 (en) | Retension Anchor System | |
US11326345B2 (en) | Hollow composite beam using dual-we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19959B1 (en) |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ension device for structure reinforcement | |
KR101170956B1 (en) | Reinforcing assembly and method of structure using micro pile and hydraulic system | |
KR100693873B1 (en) | Structure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FLP plate fixing device | |
KR100671429B1 (en) | Shear wall horizontal support structure | |
KR100748079B1 (en) | Structural repair / reinforcement method using multiple FRP strip fixing device | |
JP4625763B2 (en) | Composite structure of main girder and precast slab | |
CN111749352A (en) | An energy dissipation connection device for prefabricated shear walls | |
KR101060940B1 (en) | Anchor member for bridge device with increased horizontal rigidity and easy maintenance | |
KR20070027432A (en) | Binding holes for fixing reinforcing bar assemblies, formwork and ceiling panels with fastening pins | |
KR100769222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hollow FRP bottom plate and mold | |
KR100750762B1 (en) | Jacking unit and post-tensioning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296797B1 (en) | Near-surface mounted anchorage for minimizing damage of the base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06233498A (en) | Bridge-fall prevention equipment | |
KR200298117Y1 (en) | framable set mold for construction | |
KR200241299Y1 (en) | External steel wire reinforcement anchoring apparatus for concrete structure | |
KR100516769B1 (en) | A reinforcement method by anchoring & tensioning steel strand. | |
KR100344236B1 (en) | Method for establishing and repairing a bridge bearing device using anchorbolt which is composed of a lower anchorbolt and a upper anchorbolt | |
JP3810759B2 (en) | Edge widening structure of existing substructure by precas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12613144U (en) | An energy dissipation connection device for prefabricated shear walls | |
KR200439750Y1 (en) | FT beam fixing fixture and formwork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2014070467A (en) | Fixing device for outer cable for prestress introduction in bridge gir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5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