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3657B1 - 액체 수용체와, 액체 수용 팩과,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체와, 액체 수용 팩과,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657B1
KR100693657B1 KR1020040061963A KR20040061963A KR100693657B1 KR 100693657 B1 KR100693657 B1 KR 100693657B1 KR 1020040061963 A KR1020040061963 A KR 1020040061963A KR 20040061963 A KR20040061963 A KR 20040061963A KR 100693657 B1 KR100693657 B1 KR 100693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ack
receiving
bag
sea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018A (ko
Inventor
이시자와다쿠
세이노다케오
기무라히토토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908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598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908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59320A/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6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9Cartridge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20)에 수용된 잉크 팩(24)에 있어서, 제 1 용착 부분은 한 장의 시트의 양 단부 부분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튜브 형상 백 부분(31)은 제 1 용착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백 부분(31)의 하나의 개구는, 공급 부재(27)가 필름내로 삽입되어 제 2 용착 부분(38)을 형성한 상태에서 열적으로 용착된다. 백 부분의 다른 개구는 열 접착을 통해 밀봉되어 제 3 용착 부분(39)을 형성한다.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에 수용될 수 있는 잉크 체적은 잉크 팩(24)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26c)내의 체적보다 크다.

Description

액체 수용체와, 액체 수용 팩과,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LIQUID CONTAINER}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프린터의 주요 요소의 사시도,
도 3은 프린터에 제공된 잉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팩의 사시도,
도 5는 잉크 팩의 저면도,
도 6은 잉크 팩의 측면도,
도 7은 잉크 팩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잉크 팩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잉크 팩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잉크 팩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잉크 팩의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잉크 팩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린터 12 : 프레임
15 : 캐리지 16 : 기록 헤드
20 : 잉크 카트리지 21 : 연결부
22 : 공급 튜브 23 : 케이스
24 : 잉크 팩 26 : 메인 본체 케이스
27 : 공급 부재 28 : 지지 슬롯
31 : 백 부분 32 : 밀봉 부재
33 : 스프링 시트 34 : 코일 스프링
36 : 거싯 부분 37 : 제 1 용착 부분
38 : 제 2 용착 부분 39 : 제 2 용착 부분
42a, 42b, 43a, 43b : 리브
본 발명은 액체 수용체(liquid container)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액체 분사 장치는 액체 수용체 및 액체 분사 헤드를 포함하며, 액체 분사 헤드를 통해 액체 수용체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분사하고, 대응하는 액체 분사 헤드에 대향하는 타겟으로 토출한다. 이러한 액체 분사 장치의 예로는 잉크젯식 기록 장치가 있다.
잉크젯식 기록 장치는 캐리지와, 이 캐리지상에 장착된 액체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와, 액체 수용체로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고, 기록 헤드에 형성된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동시에 타겟으로서 기록 매체에 대해서 캐리지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록 매체에 대해서 인쇄가 실행된다.
캐리지의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장치의 사이즈 또는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에 장착하지 않는 잉크젯식 기록 장치(소위 오프 캐리지 타입)가 있다. 이러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팩(ink pack)과, 잉크 팩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잉크 팩의 예로는 도 13에 도시된 잉크 팩(50)이 있다. 잉크 팩(50)은 2장의 필름(51, 52)의 4개 변을 서로 열적으로 용착함으로써 백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잉크 팩의 예로는 도 14에 도시된 잉크 팩(53)이 있다. 잉크 팩(53)은 4장의 필름(54 내지 57)의 각 변을 서로 열적으로 용착함으로써 백 형상으로 형성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0-238291 호 참조). 잉크 팩(50, 53)은 각 변이 서로 열적으로 용착된 용착 부분(E)을 구비하며, 용착 부분(E)에 의해 백 형상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잉크 팩(50, 53)에 있어서, 용착 부분(E)은 잉크가 수용되는 백 형상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예를 들면 4장의 필름(54 내지 57)으로 형성된 잉크 팩(53)에 있어서, 도 14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된 용착 부분(E)은 백 형상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각 용착 부분(E)은 공급 포트 측 및 바닥 부분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잉크 팩의 길이, 폭 또는 높이가 증가되며, 그 결과 케이스내에 용착 부분(E)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선택적으로, 잉크 수용 체적은 케이스 자체의 사이즈가 제한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최근에, 장치의 감소된 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잉크 카트리지의 사이즈의 감소가 요구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체적을 증가시키면서 케이스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체적에 의해 차지하는 케이스의 비율을 개선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된 액체의 체적을 감소시킴이 없이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는 액체 수용 백과, 액체 수용 백을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체와, 액체 수용 백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로서, 액체 수용 팩은 케이스의 팩 수용 부분내에 수용되며, 액체 수용 팩에 수용할 수 있는 액체의 체적이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체적보다 큰,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에 수용할 수 있는 액체의 체적이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체적보다 크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의 내부 압력이, 액체가 팩 수용 부분의 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체적을 갖고 있을지라도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은 굽혀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 수용 팩은 팩 수용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팩 수용 부분내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가 액체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액체 수용 팩이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된 후에 액체 수용 팩이 액체로 충전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은 액체의 충전에 따라 팩 수용 부분의 형상에 신축적으로 대응하도록 팽창되어, 팩 수용 부분의 체적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출구 부분은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의 체적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백 수용 부분의 체적보다 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 체적이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백 수용 부분의 체적보다 크기 때문에, 액체가 백 수용 부분의 체적과 거의 동일한 체적을 갖고 있을지라도 액체 수용 백 부분의 내부 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액체 수용 백 부분은 굽혀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 수용 백 부분은 백 수용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백 수용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백 수용 부분 내측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가 액체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수용 팩의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밀봉 부분은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상기 제 2 밀봉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의 액체 수용 백 부분은 필름의 양 단부가 서로 접착된 제 1 밀봉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액체 수용 백 부분은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과,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더 포함한다. 즉, 액체 수용 백 부분이, 백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수의 필름의 단부를 서로 접착하는 대신에, 한 장의 필름을 튜브 형상으로 굽히고, 다음에 2개의 개구를 밀봉하여 백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케이스에 있어서 밀봉 부분을 위해 확보해야 할 체적이 감소될 수 있고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혀질 수 있는 부분(바람직하게, 거싯 부분)은 튜브 형상 본체 부분의 측면으로서 제 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의 본체 부분에 제공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 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다른 필름을 본체 부분에 접착시킴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이 새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로서, 액체 수용 팩이 케이스의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되며, 액체 수용 팩의 길이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길이보다 큰,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의 길이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된 액체 수용 팩이 팩 수용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액체 수용 팩은 팩 수용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팩 수용 부분내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출구 부분은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액체 수용 백 부분의 길이는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백 수용 부분의 길이보다 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백 부분의 길이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백 수용 부분의 길이보다 크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백 수용 부분에 수용된 액체 수용 백 부분은 백 수용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 수용 백 부분은 백 수용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게 백 수용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백 수용 부분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제공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 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다른 필름을 본체 부분에 접착시킴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이 새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로서, 액체 수용 팩은 케이스의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되며, 액체 수용 팩의 폭이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폭보다 크게 될 수 있는,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의 폭이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폭보다 크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된 액체 수용 팩이 팩 수용 부분에서 횡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 수용 팩은 팩 수용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게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팩 수용 부분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수용 팩의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횡방향으로 굽혀지고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제 2 밀봉 부분은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제 2 밀봉 부분과,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백 부분은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액체 수용 백 부분은 횡방향으로 굽혀지고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과,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더 포함한다. 즉,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필름을 튜브 형상을 굽히고 2개의 개구를 밀봉함으로써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백 수용 부분의 횡방향으로 밀봉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케이스내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혀질 수 있는 부분(바람직하게, 거싯 부분)은 튜브 형상 본체 부분의 측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의 본체 부분에 제공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 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다른 필름을 본체 부분에 접착시킴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본체 부분을 종방향을 따라 접음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이 새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로서, 액체 수용 팩은 케이스의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되며, 액체 수용 팩의 높이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높이보다 크게 될 수 있는,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의 높이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팩 수용 부분의 높이보다 크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된 액체 수용 팩이 팩 수용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 수용 팩은 팩 수용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게 팩 수용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팩 수용 부분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출구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액체 수용 백 부분의 최대 높이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된 백 수용 부분의 높이보다 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백 부분의 최대 높이가 케이스 내측에 제 공된 백 수용 부분의 높이보다 크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액체 수용 부분에 수용된 액체 수용 백 부분이 백 수용 부분내에서 수직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 수용 백 부분은 백 수용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게 백 수용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백 수용 부분내의 불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종방향을 따라 액체 수용 백의 측면을 접음으로써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고 전개될 수 있는 접혀질 수 있는 부분(바람직하게, 거싯 부분)은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고 전개될 수 있는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제공되기 때문에, 백 수용 부분에 수용된 액체 수용 백 부분이 백 수용 부분에서 그 높이가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 백 부분의 높이가 백 수용 부분의 높이에 대응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수용 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케이스의 내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케이스의 내면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 팩이 팩 수용 부분내에서 굽혀지거나 휘어질 때 조차도, 액체 수용 팩은 불안정되게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 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으로서,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제 2 밀봉 부분은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제 2 밀봉 부분과,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 팩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은 액체 수용 백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밀봉되어 있는 제 2 밀봉 부분과,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되어 있는 제 3 밀봉 부분은 액체 수용 백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 백 부분은 백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필름의 단부를 서로 접착하는 대신에 필름을 튜브 형상으로 굽히고 2개의 개구를 밀봉함으로써 백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본체 부분에 제공된 밀봉 부분은 다수의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백의 밀봉 부분보다 작게 될 수 있다. 즉,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체적을 감소시킴이 없이 액체 수용 팩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부분이 감소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 백 부분의 단부 부분을 밀봉하는 프로세스를 간략화할 수 있다.
액체 수용 팩에 있어서,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혀질 수 있는 부분(바람직하게, 거싯 부분)은 튜브 형상 본체 부분의 측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튜브 형상 본체 부분에 제공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 백 부분의 액체 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다른 필름을 본체 부분에 접착시킴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이 새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액체 수용 팩에 있어서, 제 1 밀봉 부분은 접혀질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밀봉 부분이 접혀질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필름이 여러번 중첩되는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제 1 밀봉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 2 밀봉 부분 및 제 3 밀봉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밀봉 부분이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의 단부와 중첩되어 밀봉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액체 수용 팩에 있어서, 필름의 내부 부분과 액체 출구 부분은 서로 열적으로 용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는 액체 출구 부분의 일부분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필름의 내부 부분과 액체 출구 부분이 서로 열적으로 용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는 액체 출구 부분의 일부분에 대향된다. 그 결과, 제 2 밀봉 부분 및 제 2 밀봉 부분을 열 용착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액체 출구 부분을 갭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제 1 밀 봉 부분의 기부 단부에 열적으로 용착시킴으로써 갭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측의 밀봉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로서, 액체 수용 팩의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제 2 밀봉 부분은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제 2 밀봉 부분과,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은 케이스에 수용될 액체 수용 팩의 액체 수용 백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되며,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은 액체 수용 백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 백 부분은, 백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필름의 단부를 서로 접착시키는 대신에, 필름을 튜브 형상으로 굽히고,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을 밀봉하고, 개구를 밀봉함으로써 백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체적을 감소시킴이 없이 액체 수용 팩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부분을 케이스내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액체 수용 팩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혀질 수 있는 부분(바람직하게, 거싯 부분)은 튜브 형상 본체 부분의 측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의 본체 부분에 제공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 백 부분의 액체 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다른 필름을 본체 부분에 접착시킴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돌출된 밀봉 부분이 새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가압하는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가압 유체 입구 포트가 케이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체는 케이스내의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가압하는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가압 유체 입구 포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가압 유체 입구 포트를 통해 유체를 도입함으로써, 액체 수용 백 부분이 가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체를 외측으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 수용 팩은 제 1 밀봉 부분이 케이스의 저면을 향한 상태에서 케이스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이 제 1 밀봉 부분이 케이스의 저면을 향한 상태에서 케이스에 수용되기 때문에, 제 1 밀봉 부분이 케이스내의 액체 수용 팩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케이스내에 밀봉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필름의 양 단 부분을 접착하여 제 1 밀봉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튜브 형상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외측에 배치되어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상태에서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를 밀봉하는 제 2 단계와,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를 밀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할 때, 본체 부분은 필름을 튜브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는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외측에 배치되고 다른 개구가 밀봉된 상태에서 밀봉되며, 이에 의해 필름을 백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필름이 백 형상을 형성하도록 서로 밀봉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밀봉 부분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밀봉 프로세스를 간략화할 수 있다.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밀봉 부분 및 본체 부분의 개구의 각각은 접착되고 열 용착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제 1 밀봉 부분 및 본체 부분의 개구의 각각이 접착되고 열 용착에 의해 밀봉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및 밀봉이 보다 간단하게 실행 될 수 있으며,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본체 부분의 측면에 접혀질 수 있는 부분(바람직하게, 거싯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할 때,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실행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새로운 필름을 본체 부분에 부착시킴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종방향을 따라 본체 부분을 접음으로써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보다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밀봉 부분은 제 1 단계에서 접혀질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할 때, 제 1 밀봉 부분은 접혀질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접혀질 수 있는 부분 및 제 1 밀봉 부분이 중첩되지 않는다. 즉, 제 2 단계 또는 제 3 단계에서,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이 제공되어, 필름이 몇 번 중첩되는 단부 부분이 밀봉될 때 단부 부분이 제 1 밀봉 부분과 중첩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밀봉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에 위치된 필름의 내부 부분과, 이 내부 부분에 열 용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 액체 출구 부분은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열적으로 용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에 위치된 필름의 내부 부분과, 액체 출구 부분이 서로 열적으로 용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며, 이들은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가 액체 출구 부분의 일부분과 대향된 상태에서 열적으로 용착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열 용착에 의해 개구를 밀봉함으로써, 갭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에 위치된 필름 내부 부분에 액체 출구 부분을 열적으로 용착함으로써 갭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측의 밀봉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잉크젯식 기록 장치(이하에는 프린터(11)라고 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프린터(11)의 중요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린터(11)에 제공된 잉크 카트리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1)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인 프레임(1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14), 캐리지(15) 및 액체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16)가 프레임(12) 내측에 제공된다.
가이드 샤프트(14)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12)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15)는 가이드 샤프트(14)에 대해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샤프트(14)에 의해 관통 삽입되어 있고, 왕복이동가능하다. 캐리지(15)는 타이밍 벨 트를 거쳐서 캐리지 모터(모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캐리지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왕복이동한다.
기록 헤드(16)는 캐리지(15)의 저면상에 제공되며, 액체로서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기록 헤드(16)는 도시하지 않은 종이 공급 수단에 의해 반송된 타겟으로서의 기록 매체(P)상으로 노즐의 구멍으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12a)는 프레임(12)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홀더(12a)에는 액체 수용체로서 잉크 카트리지(20)가 탈착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할 잉크의 종류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카트리지 홀더(12a)에는 6개의 잉크 카트리지(20)가 제공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잉크 카트리지(20)는 케이스(23)내에 액체로서의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액체 수용 팩으로서의 잉크 팩(24)을 포함하고 있다. 잉크 팩(24)은 액체 출구 부분으로서의 공급 부재(27)와, 가요성 필름으로 제조된 액체 수용 부분으로서의 백 부분(31)(잉크 수용부)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홀더(12a)상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20)는 프린터(11)에 제공된 판형 연결부(21)에 연결된다.
연결부(21)에는, 공기 유로 및 공급 부재(27)내로 삽입될 액체 도입 부재로서의 6개의 잉크 공급 니들과, 이 잉크 공급 니들에 연결된 6개의 잉크 경로가 종방향을 따라 잉크 카트리지(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이들중 어느 것도 도시되지 않음). 연결부(21)의 각 잉크 유로는 프린터(11)에 제공된 가압 수단으로서의 공기 압축 펌프(17)를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20)에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공기 압축 펌프(17)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각 잉크 카트리지(20)내로 분배한다. 연결부(21)로부터 각 잉크 카트리지(20)내로 도입된 가압 유체로서의 공기는 케이스(23)와 잉크 팩(24) 사이의 갭내로 유동한다. 케이스(23)와 잉크 팩(24) 사이의 갭의 압력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증가되며, 그 결과 잉크 팩(24)이 압축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잉크가 잉크 팩(24)으로부터 추출되고, 추출된 잉크는 연결부(21)(도 1 참조)에 형성된 각 잉크 공급 니들로 공급된다.
연결부(21)에 형성된 각 잉크 유로는 연결부(21)에 연결된 공급 튜브(22)(도 2 참조)와 연통된다. 연결부(21)에 형성된 각 잉크 유로에 대응하도록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공급 튜브(22)에는 6개의 잉크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잉크 유로는 연결부(21)의 잉크 유로를 기록 헤드(16)에 연결한다. 따라서, 각 잉크 카트리지(20)로부터 연결부(21)에 공급된 잉크는 공급 튜브(22)를 통해 기록 헤드(16)에 공급된다.
다음에, 잉크 카트리지(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3) 내측에 위치된 잉크 팩(24)은 액체 수용 부분을 구성하는 본체 부분으로서의 백 부분(31)을 포함하며, 액체 출구 부분으로서의 공급 부재(27)는 백 부분(31)의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부재(27)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수지로 제조된 본체(27a)를 포함하며,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으로서의 공급 구멍(27b)은 본체(27a)를 관통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27a)에서, 하나의 단부가 백 부분(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다른 단부에 형성된 잉크 출구(도시하지 않음)는 백 부분(31) 내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백 부분(31)의 면 방향에서 평탄화된 공급 부재 용착 부분(27d)(도 8 참조)은 백 부분(31)에 부착되어 있다.
밀봉 부재(32)는 백 부분(31)으로부터 돌출된 본체(27a)의 정면 단부에 끼워맞춰져 있다. 잉크를 유출하기 위한 공급 구멍(32a)은 밀봉 부재(32)의 중앙을 관통해 통과된다. 스프링 시트(33)(spring seat) 및 코일 스프링(34)은 밀봉 부재(32)의 다른 내측의 위치인, 본체(27a)의 공급 구멍(27b) 내측에 제공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34)은 스프링 시트(33)를 밀봉 부재(32)를 향해서 가압하며, 그 결과 스프링 시트(32)는 밀봉 부재(32)의 공급 구멍(32a)을 밀폐한다. 잉크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홀더(12a)에 제공되는 경우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부(21)에 제공되는 잉크 공급 니들은 공급 부재(27)내의 밀봉 부재(32)를 관통해 통과되며, 코일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백 부분(31)을 향해 스프링 시트(33)를 가압한다. 스프링 시트(33)가 가압되어 밀봉 부재(32)로부터 분리된다면, 백 부분(31)내의 잉크는 밀봉 부재(32)와 스프링 시트(33) 사이의 갭을 통해 유출된다.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부재(27)를 구비한 백 부분(31)은 다수의 층이 적층된 한 장의 필름(F)으로 제조된다. 필름(F)은 나일론, 알루미늄 등과 같은 다수의 층이 적층된 가스 배리어 층(S1)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다수의 열가소성 수지 층이 적층된 수지 층(S2)을 포함한다. 수지 층(S2)은 공급 부재(27)의 본체(27a)에 열적으로 용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부분(31)은 제 1 용착 부분(37)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착 부분(37)은 필름(F)을 가스 배리어 층(S1)과 함께 외측을 향해 튜브 형상으로 굽히고, 양 단부 부분(F1, F2)의 내부 표면[수지 층(S2)]을 서로 열적으로 용착함으로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착 부분(37)은 백 부분(31)의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기부 단부로부터 접혀진다. 잉크 팩(24)이 케이스(23)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제 1 용착 부분(37)은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을 향하게 된다. 제 1 용착 부분(37)은 특허청구범위의 제 1 밀봉 부분에 대응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부분(31)은 튜브 형상으로 굽혀진 필름(F)의 하나의 개구에, 공급 부재(27)가 하나의 개구내로 삽입된 상태로 밀봉한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된 제 2 용착 부분(38)을 포함한다. 또한, 백 부분(31)은 백 부분(31)의 바닥 부분을 밀봉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된 제 3 용착 부분(39)을 포함한다. 제 2 용착 부분(38) 및 제 3 용착 부분(39)은 각각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제 2 밀봉 부분 및 제 3 밀봉 부분에 대응한다.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의 길이, 즉 제 2 용착 부분(38)의 정면 단부로부터 제 3 용착 부분(39)의 정면 단부까지의 길이는 길이(L1)로 표시되어 있다. 잉크 팩(24)의 폭은 폭(W1)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팩(24)은 제 2 용착 부분(38) 및 제 3 용착 부분(39)을 형성하기 전에 백 부분(31)의 양 측면상으로 필름(F)을 접음으로써 형성된 거싯 부분(gusset portion)을 구비한다. 거싯 부분(36)은 백 부분(31)의 종방향을 따라 다수의 접힘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고, 거의 M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거싯 부분이 팽창될 때 백 부분(31)의 높이(최대 높이), 즉 잉크 팩(24)의 높이는 H1로 표시되어 있다. 잉크 팩(24)[백 부분(31)]에 수용될 수 있는 잉크의 체적은 체적(V1)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체적(V1)보다 적은 체적을 가진 잉크가 사용전에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에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팩(24)은 비교적 낮은 내부 압력을 갖고 있으며, 그 결과 필름(F)은 느슨한 상태이다. 환언하면, 필름은 잉크 팩(24)내의 잉크를 한계까지(체적 V1까지) 수용함으로써 꽉찬 상태로 될 때까지 팽창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필름(F)을 백 형상으로 형성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필름(F)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때, 필름은 가스 배리어 층(S1)과 함께 외측을 향해 튜브 형상으로 굽혀지며, 다음에 가스 배리어 층(S1)은 필름의 양 단부 부분(F1, F2)이 압착된 상태에서 가압 도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우선 가열된다. 다음에, 양 단부 부분(F1, F2)의 수지 층(S2)은 용융 및 고화되며, 그 결과 단부 부분(F1, F2)이 접착되어 제 1 용착 부분(37)을 형성한다.
튜브 형상의 필름(F)은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접되며, 이에 의해 종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접힘 라인이 형성된다. 그 결과, 2개의 거싯 부분(36)이 튜브 형상을 가진 필름(F)에 형성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싯 부분(36)은 거의 M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거싯 부분(36)은, 제 1 용착 부분(37)이 거싯 부분(36)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1 용착 부분(37)은 거싯 부분(36)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필름(F)의 하나의 개구의 단부 부분(도 7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단부 부분)은, 밀봉 부재(32)측의 공급 부재(27)의 일 단부 부분이 백 부분(31)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단부 부분이 백 부분(31)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열적으로 용착된다. 이 때에, 거싯 부분(36)이 형성되는 측면 부분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은 4중으로 되고, 코너 부분(C)의 수지 층(S2)은 압착 기구로 화살표 방향으로 필름(F)을 압착 및 가열함으로써 열적으로 용착된다. 이 때에, 거싯 부분(36)의 단부 부분이 제 1 용착 부분(3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거싯 부분(36)상에 제 1 용착 부분(37)을 중첩시킴이 없이 열적 접착이 실행되어 필름(F)을 6중으로 형성한다.
공급 부재(27)의 개구를 열적으로 용착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용착 부분(37)의 기부 단부에 형성된 갭(S)이 공급 부재(27)의 공급 부재 용착 부분(27d)에 대향된 상태에서, 압착 도구로 화살표 방향으로 필름을 압착 및 가열함으로써 열적 접착이 실행된다. 갭(S)은, 단부 부분(F1, F2)의 내면을 서로 접착하고, 백 부분(31)의 측면을 따라 제 1 용착 부분(37)을 접고, 다른 단부 부분(F1)상에 하나의 단부 부분(F2)을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갭(S)이 공급 부재 용착 부분(27d)에 대향되기 때문에, 공급 부재 용착 부분(27d)의 일부분을 용융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가 열적 접착 동안에 갭(S)내로 유동한다. 그 결과, 갭내로 유동된 수지는 냉각 및 고화되며, 이에 의해 갭(S)을 폐쇄한다. 또한, 도 9는 잉크 팩의 저면측으로부터 본 잉크 팩(24)의 측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튜브 형상 필름(F)의 다른 개구는 잉크로 내부를 충전한 후에 압착 도구로 가열 및 밀봉되며, 이에 의해 제 3 용착 부분(39)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열적 접착을 이용하여 밀봉된 잉크 팩(24)은, 제 1 용착 부분(37)이 아래를 향하고 그리고 공급 부재(27)가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지지 슬롯(28)을 관통해 통과한 상태에서 메인 본체 케이스(26)내에 수용된다. 다음에, 메인 본체 케이스(26)는, 필름이 프레임(26c)에 접착된 상태에서 메인 본체 케이스(26)에 뚜껑 부분(25)을 로킹함으로써 밀봉된다.
선택적으로, 튜브 형상 필름(F)의 다른 개구는 잉크로 내부를 충전하기 전에 밀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3 용착 부분(39)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잉크로 충전되지 않은 밀봉된 잉크 팩(24)은 메인 본체 케이스(26)에 수용되고, 필름(30)이 프레임(26c)에 접착되며, 뚜껑 부분(25)은 메인 본체 케이스(26)에 로킹되고, 다음에 잉크 팩(24)은 잉크 공급 부재(27)를 통해 잉크로 충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34) 및 스프링 시트(33)를 포함하는 밸브 구조체가 잉크 공급 부재(27)에 제공되기 때문에, 공급 구멍(32a)은, 밀봉 부재(32)의 공급 구멍(32a)내로 잉크 공급 니들을 삽입하고 그리고 코일 스프링(3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스프링 시트(33)를 이동시킴으로써 잉크 팩(24)의 내부와 연통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스(23)에 수용된 잉크 팩(24)은 잉크 공급 구멍(32a)내로 삽입된 잉크 공급 니들을 통해 잉크가 충전될 수 있다.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이, 잉크 팩(24)이 케이스(23)에 수용된 상태에서 잉크로 잉크 팩(24)을 충전함으로써 잉크의 충전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20)의 수용 부분[프레임(26c),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 및 밀봉 필름(30)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신축적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수용 부분의 체적에 대한 잉크 체적의 비율, 즉 체적 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잉크 팩(24)은 공기 입구(29)를 통해 폐쇄된 공간에 음압을 가하는 동안에 잉크로 충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팩(24)을 수용하는 케이스(23)는 뚜껑 부분(25) 및 메인 본체 케이스(26)를 포함한다. 메인 본체 케이스(26)는 박스 형상을 형성하며, 그 상면은 개방된다. 수용 부분을 구성하는 지지 슬롯(28)은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정면(26a)에 형성된다. 지지 슬롯(28)은 내부를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외측에 연결한다.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정면(26a)에 형성된 지지 슬롯(28)의 우측에서, 공기 압축 펌프(17)에 연결된 압축 유체 입구인 공기 입구(29)는 케이스(23)와 잉크 팩(24) 사이의 갭내로 공기를 도입하도록 형성된다. 공기 입구(29)는 내부를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외측에 연결한다. 공기 입구(29)는 유로로서 작용하며, 이 유로는 연결부(21)에 형성된 공기 유로와 연통되고, 잉크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홀더(12a)에 배치될 때 케이스(23)와 잉크 팩(24) 사이의 갭내로 공기를 도입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 홀더(12a)에 배치되지 않을 때, 공기 입구는 대기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며, 이에 의해 케이스(23)의 내부 압력의 변화로 인해서 잉크 팩(24)을 압축하지 않는다.
수용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26c)은 메인 본체 케이스(26) 내측에 제공된다. 잉크 팩(24)을 압축하기 위해 폐쇄된 공간을 구성하는 프레임(26c)은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내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며, 개방된 상면과, 케이스(23)의 정면(26a)을 향해 돌출된 일부분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26c)은 그 내부에 수용된 잉크 팩(24)을 지지한다. 공기 입구(29)는 프레임(26c)의 내면에 개방되어 있다. 필름(도시하지 않음)은 잉크 팩(24)을 수용하는 프레임 (26c)의 상부 단부 표면에 접착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프레임(26c),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 및 필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폐쇄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밀봉된다. 공기 입구를 통해 공기 압축 펌프(17)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공간내로 도입된다.
홈 부분(26d)은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내면과 프레임(26c)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다. 다수의 제 1 로킹 부분(26e)은 홈 부분(26d)에 제공되어 있다. 제 1 로킹 부분(26e)은 프레임(26c)과 메인 본체 케이스(26) 사이에 설치된 로드 형상 또는 거의 U자형 형상을 가진 단면을 갖고 있으며, 뚜껑 부분(25)에 제공된 제 2 로킹 부분(25a)은 제 1 로킹 부분(26e)에 로킹된다.
메인 본체 케이스(26)내로 끼워맞춰진 뚜껑 부분(25)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이며, 제 2 로킹 부분(25a)은 에지에서 뚜껑 부분(25)으로부터 바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로킹 부분(25a)은 그 정면 단부에 갈고리(25b)를 포함하고 있다. 갈고리(25b)는 뚜껑 부분(25)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홈 부분(26d)에 제공된 제 1 로킹 부분(26e)내로 각각 로킹될 수 있다. 뚜껑 부분(25)은, 잉크 팩(24)이 프레임(26c)에 수용되고 그리고 필름이 프레임(26c)에 접착된 상태에서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개구를 밀봉한다.
프레임(26c)은 그 내부에 수용된 잉크 팩(24)을 지지한다. 한쌍의 리브(R1, R2)는 프레임(26c) 내측에서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분인 리브(R1, R2)는 판 형상이며, 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프레임(26c)에 수용된 잉크 팩(24)의 공급 부재(27)를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공급 부재(27)의 외측 원주상에 형성된 링형 돌기(27c)로부터 백 부분(31) 측에 위치된 공급 부재(27)는 리브(R1, R2)의 지지 슬롯(28) 측의 단부 부분 사이에 삽입 및 고정되며, 그에 따라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내측까지의 공급 부재(27)의 이동은 리브(R1, R2)와 링형 돌기(27c)에 의해 조절된다. 지지 부분(R3)은 리브(R1, R2) 사이에 제공된다. 지지 부분(R3)은 판 형상이며, 저면측으로부터 프레임(26c)에 수용된 잉크 팩(24)의 공급 부재(27)를 지지한다.
지지 부분으로서의 리브(R4)는 리브(R1, R2) 사이에 제공된다. 리브(R4)는 지지 부분(R3) 측으로부터 지지 슬롯(28) 측까지 연장되도록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상에 형성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링형 돌기(27c)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과 로킹된다. 리브(R4)와 오목한 부분의 로킹에 의해서, 공급 부재(27)를 중심으로 회전 위치가 결정되며, 이에 의해 케이스(23) 내측의 잉크 팩의 편향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밀봉 필름(30)(도 8 참조)은, 잉크 팩(24)이 그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프레임(26c)의 상면에 접착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프레임(26c),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 및 밀봉 필름(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실질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밀봉되며, 공기는 공기 입구(29)를 통해서 공간내로 도입된다.
폐쇄된 공간의 체적은 체적(V2)으로 표시되어 있다.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에 수용될 수 있는 잉크 체적(V1)은 폐쇄된 공간의 체적(V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프레임(26c)의 지지 슬롯(28) 측의 벽에 대향된 벽 부분(26f)의 내면으로부터 벽 부분(26g)의 내면까지의 길이는 길이(L2)로 표시되어 있다. 잉크 팩 (24)의 백 부분(31)의 길이(L1)는 길이(L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프레임(26c)의 폭은 폭(W2)으로 표시되고, 잉크 팩(24)의 폭(W1)은 폭(W2)보다 크다. 프레임(26c)의 높이, 특히 케이스(23)의 저면으로부터 프레임(26c)의 정면 단부까지의 높이는 높이(H2)로 표시되고,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의 높이는 높이(H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잉크 팩(24)은, 백 부분(31)이 길이(L2) 방향, 폭(W2) 방향, 및 프레임(26c)의 높이(H2)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굽혀진 상태에서 프레임(26c)에 수용된다. 이 때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팩(24)은, 제 3 용착 부분(39) 측이 백 부분(31)의 상면을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수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잉크 팩(24)이 케이스(23) 내측의 케이스(23)의 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잉크에 의해 차지되는 공간의 비율, 즉 체적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메인 본체 케이스(26)를 밀봉할 때, 잉크 팩(24)은, 제 1 용착 부분(37)이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을 향한 상태에서 프레임(26c)에 수용된다. 다음에, 밀봉 필름(30)은 프레임(26c)에 접착된다. 또한, 뚜껑 부분(25)의 제 2 로킹 부분(25a)을 홈 부분(26d)에 로킹함으로써, 뚜껑 부분(25)은 메인 본체 케이스(26)에 부착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장점이 얻어진다.
(1)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에 수용될 수 있는 잉크 체적(V1)이 프레임(26c),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 및 밀봉 필름(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체적(V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체적 (V2)과 거의 동일한 체적을 가진 잉크가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에 수용될 때 조차도, 잉크 팩(24)의 내부 압력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팩(24)은 굽혀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간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의 감소에 의해서 케이스(23)내의 체적(V2)에 대해서 잉크가 차지하는 체적의 비율이 크게 되어, 케이스(23)내에 잉크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F)의 양 단부 부분의 내면을 열적으로 용착함으로써 형성된 제 1 용착 부분이 잉크 팩(24)에 제공된다. 또한, 공급 부재(27)가 필름(F)에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 형상 필름(F)의 하나의 개구가 열적으로 밀봉되는 제 2 용착 부분(38)이 제공된다. 또한, 필름(F)의 다른 개구가 열적 접착을 통해 밀봉되는 제 3 용착 부분이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용착 부분이 다수의 필름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된 잉크 팩과 비교할 때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스(23)에서 용착 부분을 위해 확보될 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잉크 팩(24)이 케이스에 콤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에 의해 차지된 케이스(23)의 비율이 개선될 수 있다.
(3)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의 길이(L1)가 프레임(26c)의 지지 슬롯(28)의 벽에 대향된 벽 부분(26f)의 내면으로부터 벽 부분(26g)의 내면까지의 길이(L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의 폭(W1)은 프레임(26c)의 폭(W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잉크 팩(24)의 측면에 거싯 부분(36)을 제공함으로써,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의 높이(H1)가 케이스(23)의 저면으로부터 프레임(26c)의 정면 단부까지의 높이(H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프레임(26c)에 수용된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은 굽혀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뚜껑 부분(2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백 부분이 콤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3)내의 불필요한 공간이 제거되며, 이에 의해 잉크에 의해 차지된 케이스(23)의 비율이 개선될 수 있다.
(4)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26c) 내측에 그리고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저면상에 리브(R1, R2)가 제공된다. 또한, 지지 부분(R3) 및 리브(R4)가 리브(R1, R2)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프레임(26c)에 수용된 잉크 팩(24)의 공급 부재(27)가 리브(R1, R2, R4) 및 지지 부분(R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잉크 팩(24)이 편향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잉크가 잉크 팩(24)으로부터 안정되게 토출될 수 있다.
(5)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F)의 양 단부 부분(F1, F2)의 내면이 서로 열적으로 용착되어 있는 제 1 용착 부분(37)이 잉크 팩(24)에 제공된다. 또한, 공급 부재(27)가 필름(F)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튜브 형상 필름(F)의 하나의 개구가 열적으로 밀봉된 제 2 용착 부분(38)이 제공된다. 또한, 필름(F)의 다른 개구가 열적 접착을 통해 밀봉된 제 3 용착 부분(39)이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백 부분(31)에 3개의 용착 부분이 형성되며, 그 결과 다수의 필름을 서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잉크 팩과 비교할 때 용착 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백 부분(3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용착 부분이 감소되고, 수용할 잉크의 체적 이 가능한한 증가되기 때문에, 잉크 팩(24)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착 부분을 케이스(23) 내측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어서, 잉크 팩(24)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용착 부분이 감소되기 때문에, 필름(F)의 단부 부분을 열적으로 용착하는 프로세스를 간략화할 수 있다.
(6)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용착 부분(37)은 거싯 부분(36) 사이에 배치되며, 거싯 부분(36)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튜브 형상 필름(F)의 개구가 열적 접착을 통해 밀봉되어 제 2 밀봉 부분(38) 및 제 3 밀봉 부분(39)을 형성할 때, 제 1 용착 부분(37) 및 접혀진 거싯 부분(36)은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름(F)의 개구측의 측부[거싯 부분(36)]로 열이 쉽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열적 접착을 보다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7)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용착 부분(37)의 기부 단부가 공급 부재(27)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공급 부재(27)의 일부분을 용융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가 제 1 용착 부분(37)의 기부 단부 내측의 갭(S)내로 유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갭(S)을 폐쇄한다. 따라서, 제 2 용착 부분(38)의 밀봉성이 확보될 수 있다.
(8)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거싯 부분(36)이 잉크 팩(24)에 제공되기 때문에, 잉크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거싯 부분(36)이 다른 필름을 백 부분(31)에 접착함으로써 거싯 부분을 형성하는 대신에 필름(F)을 접음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돌출된 용착 부분이 새롭게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거싯 부분(36)은 잉크 팩(24)의 폭 또는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형성될 수 있 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케이스의 구조만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잉크 카트리지(40)의 종방향(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로서의 잉크 카트리지(40)는 케이스(41)를 포함한다. 케이스(41)는 상면이 개방된 메인 본체 케이스(42)와, 메인 본체 케이스(42)에 끼워맞춰진 뚜껑 부분(43)을 포함한다. 메인 본체 케이스(42)와 일체로 형성된 잉크 팩(24)을 압축하기 위한 폐쇄 공간을 구성하는 프레임(44)은 메인 본체 케이스(42) 내측에 형성되며, 잉크 팩(24)은 프레임(44)내에 수용된다.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의 체적(V1), 길이(L1), 폭(W1) 및 높이(H1)는 잉크 팩(24)을 수용하기 위한 폐쇄된 공간의 체적(V2), 길이(L2), 폭(W2) 및 높이(H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잉크 팩(24)은 굽혀질 수 있거나, 제 3 용착 부분(39)은 백 부분(31)의 상면을 향해 접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잉크 팩은 프레임(4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수용된다. 폐쇄 공간의 높이(H2)는 케이스(41)의 저면으로부터 프레임(44)의 정면 단부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지지 부분으로서의 2쌍의 리브(42a, 42b)는 메인 본체 케이스(42)의 바닥에 형성된다. 리브(42a, 42b)는 판 형상이며,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브(42a, 42b)는 바닥상에서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리브(42a, 42b)는 잉크 팩(24)의 백 부분(31)과 접촉하게 되며, 잉크 팩(24)을 지지한다. 편의상, 도 12에는 2쌍의 리브(42a, 42b)중 한쌍의 리브(42a, 42b)만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부분으로서의 2쌍의 리브(43a, 43b)는 뚜껑 부분(43)의 내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43a, 43b)는 판 형상이며,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브(43a, 43b)는 서로를 향해 있고, 뚜껑 부분(43)이 메인 본체 케이스(42)에 끼워맞춰질 때 프레임(44)에 수용된 잉크 팩(24)의 상면측을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공급 부재(27)를 고정하기 위한 리브(42a, 43a)는 공급 부재(27)를 압착하는 백 부분(31)의 단부 부분을 고정하기 때문에 공급 부재(27)의 편향을 억제한다. 또한, 편의상, 도 12에는 2쌍의 리브(43a, 43b)중 한쌍의 리브(43a, 43b)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리브(42a, 42b, 43a, 43b)는 각기 메인 본체 케이스(42) 및 뚜껑 부분(43)에 제공된다. 따라서, 잉크 팩(24)이 리브(42a, 42b, 43a, 43b)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백 부분(31)이 굽혀지거나 제 3 용착 부분(39)이 접혀질 때 조차도 잉크 팩은 케이스(41) 내측에서 이동함이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공급 부재(27) 측을 고정하기 위한 리브(42a, 43a)가 공급 부재(27)를 압착하는 백 부분(31)의 단부 부분을 지지하기 때문에, 공급 부재(27)의 편향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잉크가 잉크 팩(24)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 상기 실시예는 잉크 카트리지(20)로부터 기록 헤드(16)까지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방법으로서, 케이스(23)내로 도입된 공기로 잉크 팩(24)을 압축하는 공기 압축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다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23)내에 판 스프링을 제공하고, 제어 수단으로 판 스프링을 구동하고 그리고 판 스프링으로 잉크 팩(24)을 적절하게 압축함으로써 잉크를 잉크 팩(24)으로부터 공급할 수 있다.
·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용착 부분(37)은 수지 층(S2)을 서로 대향시켜서 열적으로 용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제 1 용착 부분(37)은 일 단부 부분(F1)의 가스 배리어 층(S1)을 다른 단부 부분(F2)의 수지 층(S2)상에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에, 일 단부 부분(F1)의 가스 배리어 층(S1)상에 새로운 수지 층(S2)이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대향된 다른 단부 부분(F2)의 수지 층(S2)에 열적 접착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일 단부 부분(F1)의 가스 배리어 층(S1)의 일부분은 절취될 수 있으며, 다음에 서로 중첩된 일 단부 부분(F1)의 수지 층(S2) 및 다른 단부 부분(F2)의 수지 층(S2)에 열적 접착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부분(F1, F2) 및 백 부분(31)의 개구를 고정할 때, 열적 접착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고정 방법, 고주파를 이용하는 접착 방법 등과 같은 다른 밀봉 방법이 이용되어 단부 부분(F1, F2) 및 개구를 밀봉할 수 있다.
·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부재(27)는 잉크 팩(24)의 백 부분(31)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잉크 팩(24)의 백 부분의 체적(V1), 길이(L1), 폭(W1) 및 높이(H1)는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프레임(44)내의 체적(V2), 길이(L2), 폭(W2) 및 높이(H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환언하면, 잉크 팩(24)의 전체 길이는 지지 슬롯(28)으로부터 벽 부분(26f)의 내면까지의 길이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잉크 팩은, 액체 출구 부분으로서의 공급 부재가 백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백 부분의 높이(전체 잉크 팩)는 잉크 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분의 체적, 길이, 폭 및 높이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요약하면, 필름으로 제조된 액체 수용 부분으로서의 백 부분의 체적, 길이, 폭, 및 높이중 적어도 하나가 케이스 내측에 제공되고 백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부분의 체적, 길이, 폭 및 높이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2쌍의 리브(42a, 42b)가 메인 본체 케이스(42)에 제공된다. 또한, 2쌍의 리브(43a, 43b)가 뚜껑 부분(43)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한쌍의 리브는 메인 본체 케이스(42)의 공급 부재(27) 측에 또는 그 대향 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리브가 뚜껑 부분(43)의 일 단부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리브가 각각 메인 본체 케이스(42) 및 뚜껑 부분(43)에 제공될 수 있으며, 리브의 개수는 2쌍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42a, 42b, 43a, 43b)가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지라도, 리브는 메인 본체 케이스(26)의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 잉크 분사 프린터(11)가 상기 실시예에서 액체 분사 장치로서 예시화되었 지만, 액체 분사 장치는 잉크 분사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액체 분사 장치로서 팩스, 복사기 등을 포함한 프린터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EL 디스플레이 장치, 면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전극재 또는 색재와 같은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 장치나, 바이오칩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생체유기물을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 장치나, 정밀 피펫으로서의 샘플 분사 장치 등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유체(액체)는 잉크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유체(액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 팩의 백 부분에 수용될 수 있는 잉크 체적(V1)이 프레임, 메인 본체 케이스의 저면 및 밀봉 필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체적(V2)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체적(V2)과 거의 동일한 체적을 가진 잉크가 잉크 팩의 백 부분에 수용될 때 조차도, 잉크 팩의 내부 압력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팩은 굽혀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간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의 감소에 의해서 케이스내의 체적(V2)에 대해서 잉크가 차지하는 체적의 비율이 크게 되어, 케이스내에 잉크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액체 수용체(a liquid container)에 있어서,
    액체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액체 수용 팩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은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액체 수용 팩과,
    팩 수용 부분이 그 내측에 제공된 케이스로서, 상기 팩 수용 부분은 상기 액체 수용 팩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팩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의 체적이 팩 수용 부분의 체적보다 큰
    액체 수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팩 수용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백 수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의 체적이 상기 백 수용 부분의 체적보다 큰
    액체 수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의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상기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밀봉 부분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상기 제 2 밀봉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의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상기 본체 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라인을 가진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의 측면을 형성하는
    액체 수용체.
  5.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액체 수용 팩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은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액체 수용 팩과,
    팩 수용 부분이 그 내측에 제공된 케이스로서, 상기 팩 수용 부분은 상기 액체 수용 팩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팩의 길이가 상기 팩 수용 부분의 길이보다 큰
    액체 수용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팩 수용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백 수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의 길이가 상기 백 수용 부분의 길이보다 큰
    액체 수용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의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상기 백 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라인을 가진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백 부분의 측면을 형성하는
    액체 수용체.
  8.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액체 수용 팩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은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액체 수용 팩과,
    팩 수용 부분이 그 내측에 제공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팩의 폭이 상기 팩 수용 부분의 폭보다 큰
    액체 수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의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횡방향으로 굽혀지고 상기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밀봉 부분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상기 제 2 밀봉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의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상기 백 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라인을 가진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의 측면을 형성하는
    액체 수용체.
  11.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액체 수용 팩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은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액체 수용 팩과,
    팩 수용 부분이 그 내측에 제공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팩의 높이가 상기 팩 수용 부분의 높이보다 큰
    액체 수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팩 수용 부분이 액체 수용 백 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백 수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의 최대 높이가 상기 백 수용 부분의 높이보다 큰
    액체 수용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의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상기 백 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라인을 가진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백 부분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높이 방향으로 접혀지고 전개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14. 제 1 항, 제 5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상에 제공되고, 상기 액체 수용 팩을 지지하는
    액체 수용체.
  15. 액체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액체 수용 팩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은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상기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밀봉 부분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상기 제 2 밀봉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 팩.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상기 본체 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라인을 가진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의 측면을 형성하는
    액체 수용 팩.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봉 부분이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액체 수용 팩.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내부 부분 및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서로 열적으로 용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는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의 일부분과 대향되도록 제공되는
    액체 수용 팩.
  19.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액체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액체 수용 팩으로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은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액체 수용 팩과,
    상기 액체 수용 팩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수용 팩의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한 장의 필름의 양 단부 부분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밀봉 부분과,
    상기 제 1 밀봉 부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밀봉된 제 2 밀봉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밀봉 부분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상기 제 2 밀봉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된 제 3 밀봉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수용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이 상기 본체 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라인을 가진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의 측면을 형성하는
    액체 수용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가압 유체 입구 포트를 구비하며, 가압 유체가 상기 가압 유체 입구 포트를 통해 도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 백 부분을 압축시키는
    액체 수용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팩은, 상기 제 1 밀봉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액체 수용체.
  23. 액체가 그를 통해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액체 출구 부분과,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액체 출구 부분과 유체 연통되는 액체 수용 백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장의 필름의 양 측면 단부 부분을 서로 접착하여 제 1 밀봉 부분을 형성 함으로써 튜브 형상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하나의 개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을 보유하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 부분의 하나의 개구를 밀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본체 부분의 다른 개구를 밀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의 제 1 밀봉 부분 및 개구의 각각이 열 용착에 의해 접착 및 밀봉되는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라인을 갖는 접혀질 수 있는 부분을 상기 본체 부분의 측면으로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1 밀봉 부분이 상기 접혀질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 1 밀봉 부분의 기부 단부에 위치된 필름의 내부 부분과, 상기 내부 부분에 열적으로 용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 상기 액체 출구 부분이, 이들 양자가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열적으로 용착되는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KR1020040061963A 2003-08-08 2004-08-06 액체 수용체와, 액체 수용 팩과,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0826 2003-08-08
JP2003290829A JP2005059874A (ja) 2003-08-08 2003-08-08 液体収容体
JP2003290826A JP2005059320A (ja) 2003-08-08 2003-08-08 液体収容袋、液体収容体及び液体収容袋の製造方法
JPJP-P-2003-00290829 2003-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018A KR20050019018A (ko) 2005-02-28
KR100693657B1 true KR100693657B1 (ko) 2007-03-14

Family

ID=3410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9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657B1 (ko) 2003-08-08 2004-08-06 액체 수용체와, 액체 수용 팩과,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77712B2 (ko)
EP (1) EP1510346B1 (ko)
KR (1) KR100693657B1 (ko)
CN (4) CN100341707C (ko)
AT (1) ATE446843T1 (ko)
CA (1) CA2476705C (ko)
DE (1) DE602004023797D1 (ko)
MY (1) MY157263A (ko)
SG (2) SG109016A1 (ko)
TW (1) TWI3329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529954S1 (en) * 2005-02-28 2006-10-1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for printer
US20060201050A1 (en) * 2005-03-09 2006-09-14 Troutman Conrad M Jig fishing lure
CA113044S (en) 2005-09-08 2007-02-15 Seiko Epson Corp Ink bag
US8025376B2 (en) 2005-09-29 2011-09-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682004B2 (en) 2005-09-29 2010-03-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810916B2 (en) 2005-09-29 2010-10-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775645B2 (en) 2005-09-29 2010-08-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s of forming cartridges, such as ink cartridges
US7837311B2 (en) 2005-09-29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828421B2 (en) 2005-09-29 2010-11-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rrangements
US7553007B2 (en) 2005-09-29 2009-06-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JP2008037015A (ja) * 2006-08-08 2008-02-21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D569421S1 (en) * 2006-08-22 2008-05-2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USD579491S1 (en) * 2006-08-22 2008-10-28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TWD123692S1 (zh) * 2006-08-22 2008-07-11 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墨水匣
TWD127752S1 (zh) * 2006-08-22 2009-03-11 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墨水匣
JP4806616B2 (ja) * 2006-09-29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412862B2 (ja) 2008-02-20 2014-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5176967B2 (ja) * 2009-01-06 2013-04-03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455755B2 (ja) * 2009-06-08 2014-03-26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480220B2 (en) 2010-12-28 2013-07-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2012210726A (ja)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2210728A (ja) *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2210729A (ja) *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ustries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2662218B1 (de) * 2012-05-08 2014-06-18 Hans-Joachim Weber Tintenkartusche für kompakte Tintenstrahldrucker
CN102991828B (zh) * 2012-12-12 2015-06-24 无锡市旗能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食品包装用桶中袋
US8608299B1 (en) * 2012-12-21 2013-12-17 Jetbest Corporation Ink cartridge with replaceable ink bag
CN104002560A (zh) * 2013-02-25 2014-08-27 泓瀚科技股份有限公司 墨盒开闭结构
JP5692265B2 (ja) * 2013-03-07 2015-04-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収容体
US9227418B1 (en) 2013-03-13 2016-01-05 Videojet Technologies Inc. Inkjet cartridge with barrier layer
US9132652B2 (en) 2013-06-06 2015-09-1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USD723938S1 (en) * 2013-08-23 2015-03-1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pack
CN104842647B (zh) * 2014-02-13 2017-05-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6372369B2 (ja) 2014-03-31 2018-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6393541B2 (ja) * 2014-07-17 2018-09-19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収納容器、接続器具および接続方法
JP6604108B2 (ja) * 2015-09-16 2019-11-13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粘性材料供給装置および粘性材料供給方法
EP3569411A1 (en) 2018-05-18 2019-11-2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out pouch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0356121B (zh) * 2019-08-27 2024-06-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墨水容器和喷墨打印机
US11654686B2 (en) * 2020-07-15 2023-05-2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Liquid container, liquid supply device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291A (ja) * 1998-12-24 2000-09-05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用インク袋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9475A (en) * 1985-04-10 1988-01-12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used therein
JPH01141751A (ja) 1987-11-30 1989-06-02 Canon Inc インクカートリッジ
DE4104786A1 (de) 1990-03-16 1991-09-19 Mannesmann Ag Tintenvorratsbehaelter fuer tintendruckeinrichtungen
US5374469A (en) 1991-09-19 1994-12-20 Nitto Denko Corporation Flexible printed substrate
JPH05138895A (ja) * 1991-11-20 1993-06-08 Canon Inc 液体収納容器および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カートリツジ
DE69315870T2 (de) * 1992-03-13 1998-05-20 Canon Kk Tintenbehälter
JP3213079B2 (ja) 1992-05-26 2001-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熱接着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着方法
JPH10235890A (ja) * 1996-06-25 1998-09-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6151039A (en) * 1997-06-04 2000-11-21 Hewlett-Packard Company Ink level estimation using drop count and ink level sense
JPH11147547A (ja) 1997-09-12 1999-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口栓付不定形容器
US6655837B2 (en) * 1998-05-29 2003-12-02 Toyo Seikan Kaisha, Ltd. Pouch having a branched chamber
JP3019842B1 (ja) 1998-09-30 2000-03-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6505924B2 (en) * 1998-09-30 2003-01-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EP1013449B1 (en) 1998-12-24 2007-02-14 Seiko Epson Corporation Ink bag for ink jet type recording apparatus and package suitable for packing such ink bag
JP2000296626A (ja) 1999-04-15 2000-10-24 Seiko Epson Corp インク収納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1205819A (ja) 2000-01-31 2001-07-3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1232812A (ja) 2000-02-24 2001-08-28 Konica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1301769A (ja) * 2000-04-25 2001-10-31 Konica Corp 液剤袋
US6883905B2 (en) * 2001-02-09 2005-04-26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control and ink replenishing method executed in the same, ink supply system incorporated in the same, and method of managing ink amount supplied by the system
JP4013517B2 (ja) 2001-10-09 2007-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のインク収容袋と、該インク収容袋を収容する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032219B2 (ja) 2001-10-09 2008-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のインク収容装置
US6786584B2 (en) * 2001-10-09 2004-09-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housing device reliably preventing ink leakage
JP4296377B2 (ja) 2002-02-06 2009-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用インクパック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並びにインクパックの製造方法
US6609789B1 (en) * 2002-03-11 2003-08-26 Banctec, Inc. Ink cartridge
JP2003290829A (ja) 2002-04-05 2003-10-14 Nippon Steel Corp ローラ矯正方法
JP2003290826A (ja) 2002-04-05 2003-10-14 Jfe Steel Kk 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1375161B1 (en) 2002-06-28 2008-09-17 Océ-Technologies B.V. Ink tank
US6705714B1 (en) 2002-08-21 2004-03-16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having ink supply bag filled to less than capacity and folded in cartridge housing
USD528011S1 (en) * 2003-07-18 2006-09-12 Fuji Seal International, Inc. Flexible pou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291A (ja) * 1998-12-24 2000-09-05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用インク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4344B (zh) 2011-05-18
MY157263A (en) 2016-05-31
CN100341707C (zh) 2007-10-10
CN1579783A (zh) 2005-02-16
CN101024344A (zh) 2007-08-29
CA2476705A1 (en) 2005-02-08
US20050057625A1 (en) 2005-03-17
EP1510346B1 (en) 2009-10-28
DE602004023797D1 (de) 2009-12-10
EP1510346A2 (en) 2005-03-02
EP1510346A3 (en) 2007-09-26
SG109016A1 (en) 2005-02-28
TW200524748A (en) 2005-08-01
KR20050019018A (ko) 2005-02-28
CN1931587A (zh) 2007-03-21
ATE446843T1 (de) 2009-11-15
CA2476705C (en) 2012-11-13
CN101920599A (zh) 2010-12-22
TWI332906B (en) 2010-11-11
CN1931587B (zh) 2011-12-07
SG145731A1 (en) 2008-09-29
CN101920599B (zh) 2012-11-07
US7677712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657B1 (ko) 액체 수용체와, 액체 수용 팩과, 액체 수용 팩 제조 방법
JP4052257B2 (ja) 液体収容体の製造方法、液体収容体
CA2745944C (en) Liquid container
CN103600586B (zh) 液体供应系统及液体喷射装置
JP2008037015A (ja) 液体収容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6561535B2 (ja) カートリッジ
JP2006240131A (ja) インク収容パック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20080211891A1 (en) Liquid storage unit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CN101623957B (zh) 液体容器
JPH099497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0902B2 (ja) 液体収容袋、液体カートリッジ、液体噴射装置
JP4530021B2 (ja) 液体収容体
JP4780150B2 (ja) 液体収容体
US6742880B2 (en) Dual chamber cartridge
US7354135B2 (en) Waste liquid collecting method, liquid injecting apparatus and cartridge set
JP4141873B2 (ja) 液体収容体形成用部材及び液体収容体の製造方法
JP2005059874A (ja) 液体収容体
HK1110275A (en) Liquid container
HK1073090A (en) Liquid container
JP2009061791A (ja) 液体収容袋及び液体収容体
KR100234501B1 (ko) 잉크 탱크 패키지 용기
JP200217279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6394659A (zh) 液体容器和相对于液体容器重新填充液体的重新填充方法以及墨的重新填充方法
JP2005186479A (ja) 液体収容袋及び液体容器
JP200311813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のインク収容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8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