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3292B1 -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292B1
KR100693292B1 KR1020050093878A KR20050093878A KR100693292B1 KR 100693292 B1 KR100693292 B1 KR 100693292B1 KR 1020050093878 A KR1020050093878 A KR 1020050093878A KR 20050093878 A KR20050093878 A KR 20050093878A KR 100693292 B1 KR100693292 B1 KR 10069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id
lotion
composition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김기수
김영희
김진국
김경태
고강일
고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5009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2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 C07C233/3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3/3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은 피부 보호 작용, 수분 보유능력 등 천연의 세라마이드와 비교하여 거의 유사하거나 또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세라마이드, 피부 보호 작용, 수분 보유능력, 화장료, 피부 외용제

Description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Novel pseudoceramides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피부장벽 회복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천연의 세라마이드의 피부 보호작용, 수분 보유능력 등과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신규의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대한 장벽의 역할을 하는데(Elias PM, Epidermal lipids, barrier function, and desquamation., J Invest Dermatol, 80, pp.44-49, 1983),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는 각질층에서의 피부 장벽기능 및 수분유지 기능이 감소되어 있고(Leung DYM et al.,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4 th ed, pp.1543-1564, 1993 ; Larsen FS, Hanifin JM. Secular change in the occurrence of atopic dermatitis. Acta Derm Venereol, 176, pp.7-12, 1992), 이러한 기능의 장애는 최근 세라마이드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Imokawa G et al., Decreased level of ceramides in stratum corneum of atopic dermatitis : An etiologic factor on atopic dry skin, J Invest Dermatol ., 96, pp.523-526, 1991).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에 지방산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스핑고지질의 일종이다. 세라마이드는 피부의 각질층의 세포간 지질의 40-50%를 차지하는데, 각질층은 피부의 최외각층에 위치하며 외계와 직접 접촉하고 있어 피부를 통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피부가 정상적인 생물학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외부로부터 항원이나 미생물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Feingold KR.,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 its biochemical basis and regulation., Cosmet Toilet, 112, pp.49-59, 1997). 그리고 세라마이드는 이 각질층에서 수분증발을 억제하는 지질 방벽 역할과 각질층의 정연한 구조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표피의 피부장벽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함에 있어 세라마이드의 중요성은 그 조성함량이 가장 많다는 것으로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 생합성을 저해하였을 때 장벽기능이 회복되지 않는 실험결과로도 그 필요성이 입증된 바 있다(Holleran WM et al., Sphingolipids are required for mammalian epidermal barrier function. Inhibition of sphingolipid synthesis delays barrier recovery after acute perturbation., J Clin Invest, 88, pp.1338-1345, 1991). 손상된 지질층은 지질합성에 영향을 주며, 국부적인 피부질환이나 마른버짐과 같은 병리학적 피부변화에도 부분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손상된 피부를 세라마이드 로 처리할 경우, 지질막의 재형성을 유도하고 지질합성의 저해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마이드의 생체내 유용한 특성 때문에 외부에서 세라마이드를 보충할 목적으로, 천연 동식물 및 미생물계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세라마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동식물 및 미생물들이 밝혀지게 되었다. 그 방법으로는 식물(WO92/21321), 동물(H. Lambers et al., 2 nd ASCS, pp.106~125, 1995) 또는 효모(WO94/10131)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동식물 및 미생물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는 극히 미량으로, 이의 추출 생산단가가 너무 비싸며, 여러 가지 용매 및 화장품, 세정용 제품에 사용하는 원료 등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천연 세라마이드와 동일한 구조의 세라마이드나 유사구조를 갖는 유사 세라마이드의 합성이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졌다. 알려진 대표적인 유사 세라마이드의 제조 방법 특허로는 일본의 화왕주식회사의 EP0227994, EP0282816이나 독일의 유니레버회사의 EP0097059등이 있으며, 국내에는 태평양주식회사의 특허출원1999-0011436, 특허출원1999-0050826 및 애경산업의 특허출원1996-053207등이 알려져 있다.
유사 세라마이드를 합성함에 있어서 우선 천연세라마이드의 구조를 관찰하고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세라마이드를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세라마이드의 기본구조는 2개의 장쇄알킬기로 이루어진 소수성 부분과 아미드기 및 복수의 히드록시기를 지닌 친수성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세라마이드의 기본구조 및 그 특성을 가지는 신규 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유사 세라마이드를 이용하여 피부장벽 회복 능력 및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호 작용, 수분 보유능력 등 천연의 세라마이드와 비교하여 거의 유사하거나 또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 및 일반식 (Ⅱ)의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또는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포함하는 피부 보호 작용 및 수분 보유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Ⅰ]
Figure 112005056529039-pat00001
[일반식 Ⅱ]
Figure 112005056529039-pat00002
상기 일반식 (Ⅰ) 및 (Ⅱ)에서 R1 , R2 , R3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탄소수 6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6 내지 20의 선형 또는 가지형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유사 세라마이드는 2개의 알킬기, 1개의 히드록시기, 1개의 아미드결합으로 구성되어 천연 세라마이드의 기본구조를 충족시키는 화학구조의 화합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어지고, 일반식 (Ⅱ)으로 표시되는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로 표시되어진다.
Figure 112005056529039-pat00003
Figure 112005056529039-pat00004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반식 (Ⅰ)으로 표현되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산화마그네슘과 이것의 50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배 부피의 물을 교반하여 섞고, 여기에 1,4-다이옥산 70 내지 90㎖과 AEEA(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2 내지 2.5g을 가하는 제 1단계 ; 상기 제 1단계의 반응액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다이옥산 10 내지 30㎖에 녹인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9 내지 13g을 0.7 내지 1.3시간 적가하는 제 2단계 ; 제 2단계의 반응액을 1 내지 5시간 더 실온에서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100 내지 300㎖를 가한 뒤 가열하여 용매가용부를 얻고 불용고체부를 여과하여 제거하는 제 3단계 ; 여액과 용매가용부를 합한 뒤 물 층은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을 농축하여 파우더를 얻어 아세톤에서 재결정하는 제 4단계의 공정을 통하여 백색 가루형태로 본 발명의 일반식 (Ⅰ)로 표현되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식 (Ⅱ)으로 표현되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산화마그네슘과 이것의 20 내지 40배 부피의 물을 교반하여 섞고, 여기에 1,4-다이옥산 60 내지 90㎖와 스레오닌(threonine) 8 내지 12.0g을 가하는 제 1단계 ; 상기 제 1단계의 반응액을 실온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다이옥산 10 내지 30㎖에 녹인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23.1g을 0.5 내지 1.5 시간 적가하는 제 2단계 ; 상기 제 2단계의 반응액을 1 내지 5시간 더 실온에서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100 내지 300㎖을 가한 뒤 가열하여 용매가용부를 얻고 불용고체부는 여과하여 제거하는 제 3단계 ; 여액과 용매가용부를 합한 뒤 물 층은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을 농축하여 파우더를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여 백색가루형태의 중간체 I을 얻는 제 4단계 ; 스테아릴알콜과 이것의 30 내지 50배 부피의 톨루엔을 교반하여 섞고, 중간체 I을 4 내지 7g을 가하는 제 5단계 ; 상기 제 5단계의 반응액을 실온에서 격렬히 교반하면서, 파라톨루엔설퍼릭에시드 3 내지 5g을 가하고 딘스탁 트랩(dean-stark trap)을 이용하여 공비 증류(azeotropic distillation)를 하는 제 6단계 ; 상기 제 6단계의 반응액을 3내지 7시간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유기층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중화하는 제 7단계 ; 상기 제 7단계의 유기층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농축한 후 얻어진 파우더를 초산에틸에서 재결정하는 제 8단계의 공정을 통하여 백색 가루형태로 본 발명의 일반식 (Ⅱ)로 표현되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 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 작용 및 수분 보유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통상의 화장품 제조용 기제물질과 혼합하여 보습용 또는 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타 기능성 성분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5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용 화장품, 세안제, 바디용 화장품, 아토피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 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 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 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 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 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 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보호 작용 및 수분 보유 능력을 나타내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살갗의 거칠어짐 등으로 인한 피부염, 땀띠, 진무름, 동상, 기저귀로 인한 피부병,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비달 태선, 화폐상 습진, 주부 습진, 일광 피부염, 충자증, 피부 소진증, 양진, 약진, 중독진, 건선, 유건선, 손바닥 농포증, 편평 태선, 광택 태선, 모공성 홍생 비당증, 지베르트 장미색 비당증, 홍반증, 홍피증, 원판상 홍반성 낭창, 전신성 홍반상 낭창, 천포창, 유천포창, 두링 포진상 피부염, 원형 탈모증, 심상성 백반, 사르코이드시스, 피부아밀로라이드시스, 켈로이드, 비후성 반혼, 창상, 욕창, 피부 궤양, 탈모, 양모 및 육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 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 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1)의 제조 : 팔미토익산 (2- 하이드록시 -에틸)-(2- 팔미토일아미노 -에틸)-아미드
둥근플라스크에 산화마그네슘 1.6g과 물 100g을 넣고 교반하여 섞고, 여기에 1,4-다이옥산 80㎖와 AEEA(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2.08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위 반응액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다이옥산 20㎖에 녹인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11g을 1시간 적가하였다. 4시간 더 실온에서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200㎖를 가한 후 가열하여 용매가용부를 얻고 불용고체부는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액과 용매가용부을 합한 뒤 물 층은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을 농축하여 파우더를 얻어 아세톤에서 재결정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백색 가루형태의 팔미토익산(2-하이드록시-에틸)-(2-팔미토일아미노-에틸)-아미드(화합물(Ⅰ))(8.4g, 수득율: 64%)를 수득하였다.
1)녹는점 : 85~89℃
2)1H-NMR (400 MHz, CDCl3) δ: 0.879 (6H, t), 1.251 (48H, s), 1.594 (4H, s), 1.815 (1H, s), 2.132 (2H, q), 2.366 (2H, q), 3.462~3.556 (6H, m), 3.766 (1H, d).
실시예 2. 화합물(2)의 제조
2-1. 중간체 (Ⅰ) 의 제조 : 3- 하이드록시 -2- 팔미토일아미노 - 부티릭산
둥근플라스크에 산화마그네슘 3.36g과 물 100g을 넣고 교반하여 섞고, 여기에 1,4-다이옥산 80㎖과 스레오닌(threonine) 10.0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위 반응액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다이옥산 20㎖에 녹인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23.1g을 1시간 적가하였다. 4시간 더 실온에서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기상의 고체는 클로로포름 200㎖을 가한 뒤 가열하여 용매가용부를 얻고 불용고체부는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액과 용매가용부를 합한 후 물 층은 분리하여 버리고 유기층을 농축하여 파우더를 얻어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백색가루형태의 중간체 (I)인 3-하이드록시-2-팔미토일아미노-부티릭산(21g, 수득율: 70%)를 수득하였다.
1)녹는점 : 135~138℃
2)1H-NMR (400 MHz, CDCl3) δ: 0.902 (3H, t), 1.138 (3H, s), 1.241 (2H, s), 1.291 (22H, s), 1.332 (2H, q), 1.640 (2H, t), 2.289 (2H, t), 4.177-4.206 (1H, m), 4.263-4.276 (1H, m).
2-2. 화합물(2)의 제조 : 3- 하이드록시 -2- 팔미토일아미노 - 부티릭산 스테아릴 에스터
둥근플라스크에 스테아릴알콜 4.37g과 톨루엔 200g을 넣고 교반하여 섞고, 여기에 중간체 (Ⅰ) 5.5g을 가하였다. 실온에서 위 반응액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파라톨루엔설퍼릭에시드 3.97g을 가하고 딘스탁 트랩(dean-stark trap)을 이용하여 공비 증류(azeotropic distillation)를 실시하였다. 5시간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유기층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유기층을 정제수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한 후 얻어진 파우더를 초산에틸에서 재결정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백색 가루형태의 3-하이드록시-2-팔미토일아미노-부티릭산 스테아릴 에스터(화합물 (2))(5.6g, 수득율: 60%)를 수득하였다.
1)녹는점 : 102~104℃
2)1H-NMR (400 MHz, CDCl3) δ: 0.92 (6H, t), 1.312 (50H, s), 1.382 (4H, s), 1.623 (2H, s), 1.641 (2H, s), 2.291 (2H, t), 4.907 (2H, t), 4.382 (1H, s), 4.609 (1H, d).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조성 1, 조성 2 및 비교 조성 1)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조성 1 조성 2 비교 조성 1
1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1)) 0.5 - -
2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2)) - 0.5 -
3 스테아린산 0.5 0.5 0.5
4 세틸알코올 0.8 0.8 0.8
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2.0
6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0.5
7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2 0.2 0.2
8 스쿠알란 8.0 8.0 8.0
9 왁스 0.6 0.6 0.6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11 글리세린 2.0 2.0 2.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1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0 100.0 100
실험예 1. 피부장벽 회복 시험 (동물시험)
상기 실시예 3의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한 조성 1, 조성 2 및 비교조성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간 피부손상으로 인한 피부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우선, 출생 후 8~10주가 경과한 젊은 무모생쥐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무모생쥐 등피부의 장벽기능을 손상시켰다. 다음 베이포미터(Vapometer, delfin사)로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였다.
조성 1 및 조성 2를 도포한 처리군이 비교조성 1을 도포한 군에 비하여 더 빠르게 장벽손상을 회복시켜 정상 피부로 되돌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피부보습력 시험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의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한 조성 1, 조성 2 및 비교조성 1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로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 Khazaka사 )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에 따른 피부의 정전부하용량을 측정함으로써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성 1 및 조성 2의 경우가 비교조성 1의 경우에 비해 보습력이 훨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항목 보습력(%)
조성 1 조성 2 비교조성 1
1차 도포 30분 후 77 79 53
도포 120분 후 68 67 51
2차 도포 30분 후 75 74 56
도포 120분 후 70 65 52
실험예 3.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1) 및 (2)의 안전성 시험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1) 및 (2)의 안전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1차 피부 자극성 시험, 1차 안점막 자극성 시험 및 피부 감작성 시험을 실시하여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1) 및 (2)의 평균치를 하기 표 3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시험 기간: 2005년 2월 14일 ~ 2004년 5월 20일, 시험 실시 기관: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1차 피부 자극성 시험
시 간 홍 반 부 종
30-60분 0 0
24시간 0 0
48시간 0 0
72시간 0 0
*실험동물종: 뉴질랜드산 Albino Rabbit, 투여개시시 주령 및 체중범위: 10주, 2.5㎏±20g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1) 및 (2)는 피부 홍반이나 부종 등의 자극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기 표 4에 1차 안점막 자극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 견 1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각막혼탁 0 0 0 0
홍채 이상 0 0 0 0
각막 발적 부종 0 0 0 0
*실험동물종: 뉴질랜드산 Albino Rabbit, 투여개시시 주령 및 체중범위: 10주, 2.5㎏±20g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1) 및 (2)는 각막 혼탁, 홍채 이상 또는 각막 발적 부종 등의 안점막 자극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기 표 5에 1차 피부 감작성 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 간 감작율(%) 등 급 감작성 정도
24시간 6 아주 약함
48시간 3 아주 약함
*실험동물종: Hartly 계 수컷 Guinea-Pig, *투여개시시 주령 및 체중범위: 10주, 300 ~ 500g
상기 결과에 있어서, 감작율은 상기 시험에 대하여 양성 반응을 나타낸 동물의 수 및 이들의 피부 반응을 점수화한 것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으로 환산한 것이며, 감작율이 0~8% 일 때, 등급 Ⅰ로 하고, 감작성 정도를 아주 약함으로 정하는 것임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1) 및 (2)는 피부 감작성에 있어서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람 피부 첩포 시험(patch test)에서도 시료제거 후 30분에서 24시간까지의 반응에 있어서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시료제거 후 7일째에도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안전성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1) 및 (2)는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유연 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1)) 0.5 -
2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2)) - 0.5
3 부틸렌 글리콜 4.0 4.0
4 글리세린 8.0 8.0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6 0.06
6 디소디움 에틸렌디아민테르라아세틱에시드 0.01 0.01
7 에탄올 7.0 7.0
8 트리에탄올아민 0.2 0.2
9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8 0.8
1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 0.4
11 페닐트리메티콘 3.5 3.5
12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0.2
13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14 정제수 잔량 잔량
100.0 100.0
제제예 2. 영양화장수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1)) 0.5 -
2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2)) - 0.5
3 스테아린산 1.0 1.0
4 세틸알코올 1.0 1.0
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6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7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8 유동파라핀 4.0 4.0
9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10 스쿠알란 3.0 3.0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12 부틸렌글리콜 5.0 5.0
13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4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0.2
1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16 정제수 잔량 잔량
100.0 100.0
제제예 3. 영양크림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1)) 0.5 -
2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2)) - 0.5
3 스테아린산 2.0 2.0
4 세틸알코올 2.0 2.0
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6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7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8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1.0
9 왁스 1.0 1.0
10 유동파라핀 4.0 4.0
11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12 스쿠알란 4.0 4.0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14 부틸렌글리콜 5.0 5.0
15 글리세린 3.0 3.0
16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7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0.2
1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19 정제수 잔량 잔량
100.0 100.0
제제예 4. 에센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1)) 0.5 -
2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2)) - 0.5
3 시토 스테롤 1.70 1.70
4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100.0 100.0
제제예 5. 친수성 연고제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1)) 0.5 -
2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2)) - 0.5
3 백색 바세린 250 250
4 스테아릴 알콜 220 220
5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0.25
6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7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15
8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0.1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은 천연의 세라마이드와 비교하여 거의 유사하거나 또는 우수한 피부 보호 작용, 수분 보유 효과가 뛰어난 바, 피부 보호 및 수분 보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피부 보호 작용 및 수분 보유 효과를 갖는 하기 일반식 (I)의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06095944348-pat00008
    (Ⅰ)
    상기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6 내지 20의 선형 또는 가지형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5 % 중량 백분율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피부 보호 작용 및 수분 보유 효과를 갖는 제 2항의 일반식 (I)로 표기되는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땀띠, 진무름, 동상, 기저귀로 인한 피부병,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비달 태선, 화폐상 습진, 주부 습진, 일광 피부염, 충자증, 피부 소진증, 양진, 약진, 중독진, 건선, 유건선, 손바닥 농포증, 편평 태선, 광택 태선, 모공성 홍생 비당증, 지베르트 장미색 비당증, 홍반증, 홍피증, 원판상 홍반성 낭창, 전신성 홍반상 낭창, 천포창, 유천포창, 두링 포진상 피부염, 원형 탈모증, 심상성 백반, 사르코이드시스, 피부아밀로라이드시스, 켈로이드, 비후성 반혼, 창상, 욕창, 피부 궤양, 탈모, 양모 또는 육모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인 약학조성물.
KR1020050093878A 2005-10-06 2005-10-06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878A KR100693292B1 (ko) 2005-10-06 2005-10-06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878A KR100693292B1 (ko) 2005-10-06 2005-10-06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292B1 true KR100693292B1 (ko) 2007-03-13

Family

ID=3810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8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292B1 (ko) 2005-10-06 2005-10-06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2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818B1 (ko) 2008-07-11 2011-03-04 (주)아모레퍼시픽 유사지질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273969A4 (en) * 2008-05-09 2014-01-01 Fujifilm Corp TOP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084676A1 (ko) * 2012-11-30 2014-06-05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105290A1 (ko) * 2014-01-13 2015-07-16 (주)네오팜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6059169A1 (en) * 2014-10-17 2016-04-21 Dsm Ip Assets B.V.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10-hydroxystearic ac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0782A (en) 1989-09-19 1993-03-02 Nabisco, Inc. Acylated amino acid ester derivatives as low calorie fat mimetics
JPH09255550A (ja) * 1996-03-22 1997-09-30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保湿剤
KR20030043709A (ko) * 2001-11-26 2003-06-02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0782A (en) 1989-09-19 1993-03-02 Nabisco, Inc. Acylated amino acid ester derivatives as low calorie fat mimetics
JPH09255550A (ja) * 1996-03-22 1997-09-30 Club Kosumechitsukusu:Kk 皮膚保湿剤
KR20030043709A (ko) * 2001-11-26 2003-06-02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N-장쇄 아실 중성 아미노산의 제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3969A4 (en) * 2008-05-09 2014-01-01 Fujifilm Corp TOP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18818B1 (ko) 2008-07-11 2011-03-04 (주)아모레퍼시픽 유사지질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4084676A1 (ko) * 2012-11-30 2014-06-05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0474A (ko) *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8802B1 (ko) 2012-11-30 2020-03-16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105290A1 (ko) * 2014-01-13 2015-07-16 (주)네오팜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545527B1 (ko) 2014-01-13 2015-08-19 (주)네오팜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US9783489B2 (en) 2014-01-13 2017-10-10 Neopharm Co., Ltd. Pseudo ceramide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16059169A1 (en) * 2014-10-17 2016-04-21 Dsm Ip Assets B.V.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10-hydroxystearic ac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JP6243089B1 (ja) 新規な疑似セラミド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組成物
KR20080026924A (ko)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703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124442B1 (ko)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3292B1 (ko)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15005642A1 (ko)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7128A (ko) 반지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0706285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KR2005004542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3527A (ko) 디하이드로시나핀산의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개선 또는 피부 상처 치료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87140B1 (ko) 열에 의한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101973111B1 (ko) 신규한 레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30128737A (ko)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80011046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옥시레스베라트롤 유도체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50108554A (ko)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919434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