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3132B1 -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32B1
KR100693132B1 KR1020060056642A KR20060056642A KR100693132B1 KR 100693132 B1 KR100693132 B1 KR 100693132B1 KR 1020060056642 A KR1020060056642 A KR 1020060056642A KR 20060056642 A KR20060056642 A KR 20060056642A KR 100693132 B1 KR100693132 B1 KR 100693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junction box
power
pin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홍
Original Assignee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정션박스에서 상부 어퍼 케이스상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에서 상부 어퍼 케이스상에 다수의 릴레이들이 삽입된 정션박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해당 릴레이의 전원핀 및 스위치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핀이 구비된 하부 검사판; 상기 하부 검사판의 접촉핀을 통해 해당 릴레이의 전원핀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동작전원인가장치; 상기 하부 검사판의 접촉핀을 통해 해당 턴온상태 릴레이의 스위치핀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소정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는 테스트전원인가장치; 및 상기 어퍼 케이스상의 릴레이의 스위치핀과 연결되는 로워 케이스상의 대응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검사판의 접촉핀에서 상기 테스트전원의 도통 여부를 감지하는 통전감지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션박스, 릴레이

Description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RELAY OPERATION CHECKING DEVICE OF JUNCTION BOX}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션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션박스 어퍼 케이스의 릴레이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션박스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 배치 상태를나타내는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릴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릴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릴레이의 동작 검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션박스 11 : 어퍼 케이스
12 : 로워 케이스 13 : 회로기판
13a : 절연판 13b : 메탈버스 레이어
14 : 입출력 커넥터 15 : 접속 단자
16 : 미니퓨즈 삽입용 리셉터클 17 : 릴레이 삽입용 리셉터클
18 : 미니퓨즈 19 : 릴레이
19a, 19b : 릴레이 전원핀 19c, 19d : 릴레이 스위치핀
20 : 미디퓨즈 30 : S/B 퓨즈
120 : 고정장치 130 : 하부 검사판
131 : 접촉핀 140 : 구동장치
150a : 동작전원인가장치 150b : 테스트전원인가장치
160 : 통전감지장치 170 : 메모리장치
180 : 모니터링장치 190 : 경고장치
본 발명은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퓨즈의 동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션박스에 삽입되는 다수의 릴레이(Relay)에 대한 동작 여부를 동작 전원과 테스트 전원이 인가되는 접촉핀을 통해 검사하여 해당 릴레이의 연결 및 동작 여부는 물론 해당 릴레이가 삽입되는 버스바의 통전 상태까지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서, 정션박스의 대량생산에 따른 작업공정의 효율과 제품 신뢰도를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며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기관측 전기장치와 차체측 전기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기관측 전기장치는 점화코일, 배전기 고압 케이블, 점화 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 및 발전기,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충전장치로 되어 있고, 차체측 전기장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조명용, 표지용, 신호용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경고 표시장치 및 냉/난방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박스(Junction Box)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션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10)는 미니퓨즈(18), 릴레이(19), 미디퓨즈(20), S/B 퓨즈(30) 등과 같은 각종 소자가 꽂아지는 어퍼 케이스(11)가 구비되고, 입출력 커넥터(14)가 꽂아지는 로워 케이스(12)가 외부 케이스로 구비되게 되며, 해당 어퍼 케이스(11)와 로워 케이스(12)의 사이에는 여러층의 회로기판(13)이 적층되어 삽입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에서 해당 회로기판(13)은 하나의 절연판(13a)에 하나의 메탈버스 레이어(13b)가 면결합하게 됨으로써 해당 절연판(13a)의 사이사이에 입력된 전류를 분배하게 되며, 해당 케이스내에는 다수의 회로기판(13)이 여러층으로 적층되어 삽입 되게 된다.
이러한 메탈버스 레이어(13b)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벤딩되어 돌출되는 접속 단자(15)들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된 접속 단자(15)들이 최상부에 적층되는 회로기판(13)을 관통하여 해당 어퍼 케이스(11)에 돌출되면서 각종 미니퓨즈(18), 릴레이(19), 미디퓨즈(20), S/B 퓨즈(30)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하측으로 돌출된 접속 단자(15)들은 로워 케이스(12)를 관통하여 입출력 커넥터(14)에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정션박스(10)는 자동차의 엔진룸이나 자동차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장품에 과대한 전류가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녹아버리므로 이것을 차단하는 퓨즈(18, 20, 30)나,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19)가 설치된다. 또한, 이 정션박스에 설치되는 퓨즈 및 릴레이는 전장품의 허용전류에 맞춘 것이 설치되고, 이 퓨즈 및 릴레이는 회로 중에 직렬로 설치된다.
이때, 실제 제작 공정에서 이러한 릴레이(19)들은 자동화된 체결 공정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당 정션박스(10)의 어퍼 케이스(11)에 체결되게 되는데, 많은 수의 릴레이(19)들이 한꺼번에 체결되기 때문에 각 릴레이(19)가 제대로 어퍼 케이스(11) 상의 접속 단자(15)에 삽입되어 동작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확인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 공정에서 이러한 릴레이들이 정확히 접속 단자에 삽입되어 동 작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일일이 작업자의 눈으로 삽입 상태를 확인하는 것 외엔 별다른 대책이 없었기 때문에 정션박스의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에 있어 많은 작업시간의 딜레이와 비효율이 발생될 수 밖에 없었으며, 더군다나 이러한 다수의 릴레이들에 대한 작업자의 시각적 삽입 상태 확인 작업은 실제 그 정확도를 신뢰할 수 없어 완제품에 대한 신뢰도 역시 상당히 떨어지고 불량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션박스에 삽입되는 다수의 릴레이(Relay)에 대한 동작 여부를 동작 전원과 테스트 전원이 인가되는 접촉핀을 통해 검사하여 해당 릴레이의 연결 및 동작 여부는 물론 해당 릴레이가 삽입되는 버스바의 통전 상태까지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서, 정션박스의 대량생산에 따른 작업공정의 효율과 제품 신뢰도를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며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는, 차량용 정션박스에서 상부 어퍼 케이스상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에서 상부 어퍼 케이스상에 다수의 릴레이들이 삽입된 정션박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해당 릴레이의 전원핀 및 스위치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접촉하게 되는 적어 도 하나 이상의 접촉핀이 구비된 하부 검사판; 상기 하부 검사판의 접촉핀을 통해 해당 릴레이의 전원핀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동작전원인가장치; 상기 하부 검사판의 접촉핀을 통해 해당 턴온상태 릴레이의 스위치핀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소정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는 테스트전원인가장치; 및 상기 어퍼 케이스상의 릴레이의 스위치핀과 연결되는 로워 케이스상의 대응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검사판의 접촉핀에서 상기 테스트전원의 도통 여부를 감지하는 통전감지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검사판을 승하강 이동시켜 판에 구비된 접촉핀이 상기 하부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구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검사판의 이동 타겟이 되는 상기 정션박스가 정해진 검사위치에 위치되도록 고정 및 위치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해당 정션 박스(10)의 어퍼 케이스(11)에는 다수의 릴레이(19)들이 배치되게 된다.
해당 배치되는 릴레이(19)들은 4핀 릴레이나 5핀 릴레이이다. 이러한 릴레이(19)들의 역할은 하나의 회로(전압을 가한 회로)의 전류변동을 이용하여 다른 회 로(스위치)의 통전상태를 원격조정하거나 자동제어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이러한 어퍼 케이스(11) 상에 삽입된 릴레이(19)은 해당 정션박스(10)내에 적층된 회로기판(13)의 메탈버스 레이어(13b)와 연결되어 하부 로워 케이스(12)에 돌출된 접속 단자(15)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어퍼 케이스(11) 상의 릴레이(19)들과 메탈버스 레이어(13b)를 통하여 접속 관계를 이루는 로워 케이스(12)의 접속 단자(15) 배열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해당 로워 케이스(12)에 돌출되어 노출된 해당 접속 단자(15)들에는 차후 입출력 커넥터(14)가 연결된다.
이때, 해당 릴레이(19)들이 어퍼 케이스(11) 상에 돌출된 접속 단자(15)에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해당 삽입 상태에서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작업인, 본 발명의 릴레이 동작 검사 장치를 이제 설명한다.
실제 해당 어퍼 케이스(11) 상의 릴레이(19)들을 모두 일일이 잘 삽입되었는지 그리고 제대로 동작하는지 작업자의 눈과 손으로 확인하는 작업은 실제 대단히 효율이 떨어지는 방식이며, 많은 작업 시간이 소모됨은 물론 그 정확도 또한 상당히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우선 4핀 릴레이를 일예로 하여 기본적인 릴레이 구성을 살펴보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해당 릴레이(19)의 릴레이 전원핀(19a, 19b)에는 해당 릴레이(19)를 턴온시키기 위한 전원이 인입되게 되며, 이러한 릴레이 전원핀(19a, 19b)으로의 전원 인가에 따라 내부 코일의 기전력에 의해 해당 릴레이 스위치핀(19c, 19d)은 도통되 어 연결되는 회로를 동작시키게 된다. 반대로, 해당 릴레이(19)의 릴레이 전원핀(19a, 19b)에 아무런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이러한 릴레이 전원핀(19a, 19b)은 서로 끊어져 연결되는 회로를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릴레이 구성은 5핀 릴레이의 경우도 거의 동일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회로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게 되는 기본적인 원리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릴레이(19)가 이미 어퍼 케이스(11) 상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릴레이(19)가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그리고 제대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인 것이다.
이를 극복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는 해당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120), 하부 검사판(130), 구동장치(140), 동작전원인가장치(150a), 테스트전원인가장치(150b), 통전감지장치(160), 메모리장치(170), 모니터링장치(180) 및 경고장치(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120)는 팬벨트 등을 통하여 이송되어 오거나 직접 안착되는 해당 정션박스(1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고정장치(120)는 해당 정션박스(10)의 릴레이(19)들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어퍼 케이스(11)가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정해진 검사 위치에 해당 정션박스(10)가 위치되도록 한다. 나아가, 이러한 고정장치(120)는 해당 정션박스(10)가 정해진 검사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해당 정션박스(10)의 위치를 미세이동시켜 보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검사판(130)은 상기 고정장치(120)에 의해 정해진 검사 위치에 위치된 해당 정션박스(10)의 로워 케이스(12)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접촉핀(131)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에서 해당 정션박스(10)의 로워 케이스(12)측으로 이동하여 각 접촉핀(131)들이 해당 정션박스(10)의 로워 케이스(12)에 돌출된 접속 단자(15)에 접촉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해당 정션박스(10)의 상부 어퍼 케이스(11)에 삽입된 다수의 릴레이(19)들에 대한 각각의 연결접점들은 정션박스(10)내 메탈버스 레이어(13b)를 통해 결국 하부 로워 케이스(12)에 돌출된 각각의 접속 단자(15)들과 1 대 1 대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어퍼 케이스(11) 상의 릴레이(19)들이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그리고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해당 릴레이(19)들과 대응되는 연결접점인 하부의 로워 케이스(12)에 돌출된 접속 단자(15)에 소정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여 그 통전 여부로 해당 릴레이(19)들의 제대로 된 삽입 여부와 동작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를 보다 쉽게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릴레이(19)가 어퍼 케이스(11)상에 삽입되지만 그 릴레이(19)의 릴레이 전원핀(19a, 19b) 및 릴레이 스위치핀(19c, 19d)은 정션박스(10)내 메탈버스 레이어(13b)를 통해 하부 로워 케이스(12)의 돌출된 4개의 접속 단자(15)들과 연결되게 되기 때문에, 해당 4개의 접속 단자(15)들에 각각 접촉핀(131)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릴레이 전원핀(19a, 19b)측으로는 동작전원을 인가시켜 해당 릴레이를 턴온시키고 릴레이 스위치핀(19c, 19d)측으로는 소정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여 그 통전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해당 릴레이(19)가 제대로 삽입되었는지와 또한 릴레이로서의 동작(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릴레이(19)내 릴레이 전원핀(19a, 19b) 및 릴레이 스위치핀(19c, 19d)와 각각 연결접점을 이루는 하부 로워 케이스(12)의 4개의 접속 단자(15)는 반드시 같이 인접해 있지 않으며, 서로 로워 케이스(12)내에서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하부 검사판(130)의 승하강 동작은 구동장치(140)에서의 구동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구동장치(140)는 해당 하부 검사판(130)을 이동시켜 그 검사핀(131)들이 정확히 해당 로워 케이스(12)에 돌출된 접속 단자(15)에 접촉하도록 미세 조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작전원인가장치(150a)는 해당 하부 검사판(130)의 각각의 접촉핀(131)들 중 상부 릴레이(19)의 릴레이 전원핀(19a, 19b)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12)의 대응 접속단자(15)들에 접촉핀(131)을 통하여 소정 릴레이 동작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릴레이(19)가 턴온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게 상기 테스트전원인가장치(150b)는 해당 하부 검사판(130)의 각각의 접촉핀(131)들 중 상부 릴레이(19)의 릴레이 스위치핀(19c, 19d)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12)의 대응 접속단자(15)들에 접촉핀(131)을 통하여 소정 릴레이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릴레이(19)가 턴온된 상태에서 해당 릴레이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준비한다.
이와 같이 해당 동작전원인가장치(150a)가 해당 릴레이(19)를 턴온시키고 또한 해당 테스트전원인가장치(150b)가 해당 릴레이(19)의 스위치온 상태에 따른 전원경로에 테스트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통전감지장치(160)는 각 릴레이(19)의 릴레이 스위치핀(19c, 19d)에 대한 로워 케이스(12) 상의 대응접점인 2개의 접속 단자(15)들 간의 전원 통전 여부를 통하여 각 릴레이(19)의 정확한 삽입 여부를 파악하고 릴레이로서의 동작을 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게 되며, 더불어 해당 릴레이와 연결된 메탈버스 레이어(13b)의 올바른 연결 상태까지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하부 검사판(130)의 접촉핀(131)은 다수의 릴레이를 한번에 검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마련되며, 동작 전원과 테스트 전원 역시 동시에 각각의 릴레이(19)들에 인가되게 되어 순간적으로 하나의 정션박스(10)에 대한 릴레이 동작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를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검사판(130)의 접촉핀(131)들은 해당 정션박스(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접속 단자(15)들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해당 상부의 릴레이(19)들의 핀들과 하부의 접속 단자(15)들은 상기 메탈버스 레이어(13b)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상부 릴레이(19)의 릴레이 전원핀(19a, 19b)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12)의 대응 접속단자(15)들에 접촉핀(131)을 통하여 소정 릴레이 동작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릴레이(19)를 턴온시키고 또한 상부 릴레이(19)의 릴레이 스위치핀(19c, 19d)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12) 의 대응 접속단자(15)들에 접촉핀(131)을 통하여 소정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릴레이(19)의 동작가능 여부(통전 여부)를 상기 통전감지장치(160)가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데, 정상적인 릴레이 삽입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동작전원인가장치(150a)에서의 동작 전원은 상기 하부 검사판(130)의 접촉핀(131)을 통해 출력되어 하부 양측의 접속 단자(15)를 통해 해당 릴레이(19)의 릴레이 전원핀(19a, 19b)으로 들어가서 해당 릴레이(19)를 턴온시키는 한편, 해당 테스트전원인가장치(150b)에서의 전원은 상기 하부 검사판(130)의 접촉핀(131)을 통해 출력되어 하부 접속 단자(15)를 통해 해당 릴레이(19)의 릴레이 스위치핀으로 들어가고 이는 다시 메탈버스 레이어(13b)의 정해진 통전경로를 따라 해당 정션박스(10) 하부의 다른 접속 단자(15)에서 나와 해당 하부 검사판(130)의 다른 접촉핀(131)을 통해 나오게 된다.
이때, 해당 하부 검사판(130)의 접촉핀(131)은 그 승강 높이가 해당 접촉핀(131)의 끝단이 접속 단자(15)의 하부 끝단에 접촉될 정도까지만 승강되도록 상기 구동장치(140)가 그 승강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19)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하부 검사판(130)의 접촉핀(131)과 접촉핀(131)간의 테스트 전원의 흐름이 단절되어 이어지지 않게 된다.
해당 통전감지장치(160)는 이러한 테스트 전원의 흐름을 감지하여 해당 릴레이(19)의 정상적인 삽입 및 동작 여부와 전체적인 메탈버스 레이어(13b)의 통전 상 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되며, 공정에서 원하는 정션박스(10) 상부의 릴레이(19)들과 정션박스(10) 하부의 접속 단자(15)간 연결이 바르게 이루어졌는지 여부까지도 한꺼번에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모리장치(170)에는 정션박스(10)의 상부에 올바르게 릴레이(19)들이 삽입된 상태에 대한 각 릴레이(19)에 대한 통전 여부를 확인(제대로된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수의 릴레이들에 대한 전원핀들 및 스위치핀들과 그에 대응되는 정션박스(10) 하부의 대응 접속 단자(15)들에 대한 위치값이 저장되어 있어서, 해당 하부 검사판의 승강 구동의 정확한 위치(접촉핀의 정확한 접촉 위치)과 통전감지장치(160)의 통전상태 확인 작업에 사용되게 된다.
즉, 해당 메모리장치(170)에는 각 릴레이(19)의 4개의 핀(19a, 19b, 19c, 19d)에 각각 대응되는 하부 접속 단자들의 위치값(하나의 릴레이에 대한 4개의 하부 접속단자 위치값)이 저장되기 때문에, 통전감지장치(160)가 이를 통해 각각의 바람직하게 대응되는 통전위치를 확인하고 정확한 통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180)는 해당 통전감지장치(160)로부터 전달되는 통전상태 확인 작업의 결과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되어, 해당 공정의 작업자가 즉시 불량 릴레이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통전감지장치(160)에서 확인된 릴레이의 올바른 삽입 여부는 상기 모니터링장치(180)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동시에 상기 경고장치(190)를 통해 청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인지되어, 해당 작업자가 즉시 올바르지 않은 릴레이의 삽입 상 태(불량 체결 정션박스)를 시각과 청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고장치(70)는 일반적인 음향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며, 점멸하는 경광등으로 이루어져 보다 확실한 시각적인 불량 경고 효과를 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나타난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는, 정션박스에 삽입되는 다수의 릴레이(Relay)에 대한 동작 여부를 동작 전원과 테스트 전원이 인가되는 접촉핀을 통해 검사하여 해당 릴레이의 연결 및 동작 여부는 물론 해당 릴레이가 삽입되는 버스바의 통전 상태까지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서, 정션박스의 대량생산에 따른 작업공정의 효율과 제품 신뢰도를 높이고 불량률을 줄이며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용 정션박스에서 상부 어퍼 케이스상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에서 상부 어퍼 케이스상에 다수의 릴레이들이 삽입된 정션박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해당 릴레이의 전원핀 및 스위치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부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하부에서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핀이 구비된 하부 검사판;
    상기 하부 검사판을 승하강 이동시켜 판에 구비된 접촉핀이 해당 정션박스의 하부로 접근하여 상기 하부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구동장치;
    상기 정션박스의 상부 어퍼 케이스상에 삽입된 각 릴레이들에 대하여 해당 릴레이들의 전원핀 및 스위치핀과 대응되는 정션박스 하부의 대응 접속 단자들에 대한 위치값이 저장되는 메모리장치;
    상기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전원핀 연결 하부 접속 단자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검사판의 접촉핀을 통해 해당 릴레이의 전원핀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동작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릴레이를 턴온시키는 동작전원인가장치;
    상기 메모리장치에 저장된 스위치핀 연결 하부 접속 단자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검사판의 접촉핀을 통해 해당 턴온상태 릴레이의 스위치핀과 연결된 로워 케이스의 접속 단자들에 소정 테스트 전원을 인가하는 테스트전원인가장치; 및
    상기 어퍼 케이스상의 릴레이의 스위치핀과 연결되는 로워 케이스상의 대응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검사판의 접촉핀에서 상기 테스트전원의 도통 여부를 감지하는 통전감지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검사판의 이동 타겟이 되는 상기 정션박스가 정해진 검사위치에 위치되도록 고정 및 위치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KR1020060056642A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642A KR100693132B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642A KR100693132B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938U Division KR200425263Y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132B1 true KR100693132B1 (ko) 2007-03-14

Family

ID=3810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6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3132B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32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235A (ko) * 1999-06-25 1999-10-05 서석호 자동자휴즈(릴레이)단선진단및위치표시장치의카트리지형정션박스
KR20000063917A (ko) * 2000-08-10 2000-11-06 홍순범 정션박스
KR20010071222A (ko) * 1999-03-12 2001-07-28 구보 마쯔오 정보 표시 시스템
JP2001245421A (ja) 2000-02-28 2001-09-07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路体および該回路体を収容した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20040016163A (ko) * 2002-08-16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커넥터 고정 구조
KR20040019020A (ko) * 2001-06-27 2004-03-04 버그 고교 유겐가이샤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KR20040019019A (ko) * 2001-06-21 2004-03-04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중합체 및 미분 무기 고체로 구성된 입자의 수성 분산액의제조 방법
KR20040019089A (ko) * 2001-07-31 2004-03-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
KR20040019087A (ko) * 2001-07-30 2004-03-04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신규 비닐 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항당뇨제 등으로서그들의 사용
KR20050033104A (ko) * 2003-10-04 2005-04-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KR20060079680A (ko) * 2005-01-03 2006-07-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넥터 자동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222A (ko) * 1999-03-12 2001-07-28 구보 마쯔오 정보 표시 시스템
KR19990073235A (ko) * 1999-06-25 1999-10-05 서석호 자동자휴즈(릴레이)단선진단및위치표시장치의카트리지형정션박스
JP2001245421A (ja) 2000-02-28 2001-09-07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路体および該回路体を収容した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20000063917A (ko) * 2000-08-10 2000-11-06 홍순범 정션박스
KR20040019019A (ko) * 2001-06-21 2004-03-04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중합체 및 미분 무기 고체로 구성된 입자의 수성 분산액의제조 방법
KR20040019020A (ko) * 2001-06-27 2004-03-04 버그 고교 유겐가이샤 정전인쇄장치 및 정전인쇄방법
KR20040019087A (ko) * 2001-07-30 2004-03-04 노보 노르디스크 에이/에스 신규 비닐 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항당뇨제 등으로서그들의 사용
KR20040019089A (ko) * 2001-07-31 2004-03-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
KR20040016163A (ko) * 2002-08-16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커넥터 고정 구조
KR20050033104A (ko) * 2003-10-04 2005-04-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KR20060079680A (ko) * 2005-01-03 2006-07-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넥터 자동 체결장치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712220000
2004161630000
2004190190000
2004190200000
2004190870000 *
200419089000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210B1 (ko) 밀폐형 릴레이 검사 시스템
JP5465853B2 (ja) 保護継電器の保護協調試験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試験装置
KR100791943B1 (ko)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퓨즈의 동작 검사 장치
CN101256709B (zh) 用于警报装置的供电插座
KR200425263Y1 (ko)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KR100693132B1 (ko)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릴레이의 동작 검사 장치
KR200427350Y1 (ko) 정션박스내에 삽입된 퓨즈의 동작 검사 장치
KR100748582B1 (ko) 정션박스내 하측핀의 상태 검사 장치
KR200427418Y1 (ko) 정션박스내 하측핀의 상태 검사 장치
KR100791947B1 (ko) 정션박스내 릴레이 삽입용 리셉터클의 체결 검사 장치
KR20100060808A (ko) 정션박스 하측 접속단자 검사장치
KR200427417Y1 (ko) 정션박스내 미디퓨즈 체결 검사 장치
KR200427348Y1 (ko) 정션박스내 릴레이 삽입용 리셉터클의 체결 검사 장치
KR100791941B1 (ko) 정션박스내 미디퓨즈 체결 검사 장치
CN107331588B (zh) Bcm电器盒
US11605516B2 (en) Testable sealed relay and self-diagnosing relay
US201702076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batteries
KR101826076B1 (ko) 스마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구조 검사 시스템
CN207116360U (zh) Bcm电器盒
TWI764888B (zh) 用來測量電子開關的狀態的裝置、電子開關,以及用來測量電子開關的狀態的方法
KR102683219B1 (ko) 테스트용 더미 릴레이
RU189034U1 (ru) Блок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штепсельного рел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штепсельного рел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автоматики
KR200493201Y1 (ko) 릴레이 시험장치
KR200427349Y1 (ko) 정션박스의 퓨즈 배치 검사 장치
KR20120047581A (ko) 탭 단자 형태의 테스트 핀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용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