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068B1 - Laminat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hot melt adhesive film to fabric - Google Patents
Laminat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hot melt adhesive film to fabr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3068B1 KR100693068B1 KR1020050071742A KR20050071742A KR100693068B1 KR 100693068 B1 KR100693068 B1 KR 100693068B1 KR 1020050071742 A KR1020050071742 A KR 1020050071742A KR 20050071742 A KR20050071742 A KR 20050071742A KR 100693068 B1 KR100693068 B1 KR 100693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temperature
- hot melt
- adhesive film
- melt adhes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된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과 이형지와 함께 이송시켜서 열을 가하여 원단에 핫멜트 접착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은 프레임, 이송 벨트, 발열체, 표면온도 검출부,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은 원단, 핫멜트 접착필름 및 이형 원단이 합치되어 들어가는 입구와 출구를 갖는다. 이송 벨트는 프레임내에 설치되어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중간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합치된 원단, 핫멜트 접착필름 및 이형 원단이 압착되면서 입구로부터 출구로 이송되도록 한다. 발열체는 프레임내에 설치되어 핫멜트 접착필름이 원단에 용착되도록 하므로써 합포 원단을 형성하도록 하는 열을 발생한다. 표면온도 검출부는 프레임의 외측에서 출구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온도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표면온도 검출부로부터 전송된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가 설정된 온도의 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ing system and a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a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by transferring a hot melt adhesive film formed to contain an adhesive component together with a fabric and a release paper to apply heat to the fabric. do. Lamin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a transfer belt, a heating element, a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a control unit. The frame has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abric, the hot melt adhesive film, and the release fabric are combined. The conveying belt is installed in the frame and rotated by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nd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oller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nd the matched fabric, the hot melt adhesive film, and the release fabric are compressed to exit from the inlet. To be transported. The heating element is installed in the frame so that the hot melt adhesive film is welded to the fabric, thereby generating heat to form the fabric.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outlet at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measur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abric fabric conve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Therefore, in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lamin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loth fabric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ion unit is within a set temperature range, and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laminating system for bonding a conventional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ing system for bonding a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ing system for adhering a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보인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the laminating system shown in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원단 2 : 핫멜트 접착필름1: fabric 2: hot melt adhesive film
3 : 이형 원단 5 : 합포 원단3: release fabric 5: composite fabric
10 : 라메네이팅 시스템 20 : 프레임10: laminating system 20: frame
22 : 입구 24 : 출구22: entrance 24: exit
30 : 이송 벨트 32 : 구동 롤러30
34 : 피동 롤러 36 : 중간 롤러34: driven roller 36: intermediate roller
40 : 발열체 50 : 표면온도 검출부40: heating element 50: surface temperature detection unit
52 : 서포팅 컬럼 60 : 제 1 온도센서52: supporting column 60: first temperature sensor
62 : 제 2 온도센서 64 : 제 3 온도센서62: second temperature sensor 64: third temperature sensor
70 : 제어부70: control unit
본 발명은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접착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된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과 이형지와 함께 이송시켜서 열을 가하여 원단에 핫멜트 접착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ing system for bonding a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and a temperature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hot melt adhesive film formed to contain an adhesive component is transferred together with the fabric and the release paper to apply heat to the fabri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ing system and a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a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so that the hot melt adhesive film is attached.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원단의 개발, 다양한 디자인의 형성 등을 위해 원단을 합포하는 기술이 발달되어 왔다. 합포된 원단은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합포된 원단으로 만들어진 의류는 방온이나 방습 등에서 보다 향상된 효율을 나타내며, 겉은 거칠지만 실제 속은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특별한 질감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옷의 미감에 있어서도 표면의 색을 달리할 수 있는 등 합포원단이 갖는 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통상 합포된 원단은 신발 갑피용 원단에서 자동차 시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원단에 비해 고급스럽고 그 가격도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지류, 직물, 가죽 등의 원단의 합포를 위해 다 양한 형태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In order to develop a fabric having a complex function, and to form various designs, a technology of combining fabrics has been developed. Combined fabrics will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In other words, clothing made of a combined fabric may exhibit improved efficiency at room temperature or moisture resistance, and may have a special texture that is rough on the outside but soft on the inside. In addition, even in the aesthetics of clot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of fabrics such as the color of the surface can be varied are very diverse. In general, the combined fabrics are used in a variety of materials from shoe uppers to automobile seats, and are expensive and expensive than general fabrics. Therefore, various types of systems have been proposed for the blending of fabrics such as paper, textiles and leath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98074 "직물의 합포제조방법 및 그 장치"는 2개의 직물원단 중 어느 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접착제를 분사한 후 2개의 직물 원단을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2개의 직물원단을 합포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98074 "Method and fabrication method of fabric of fabric" After spraying an adhesive on the surface of any one of the two fabrics, two fabrics are passed through a pressure roller We propose a system that incorporates fabric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3911호 "복수균일화 기능의 합포용 도포장치"는 합포할 제1공급원단을 보급시키고 소정의 롤러표면에 공급한 접착제를 균등하게 고를 수 있는 상태로 제1공급원단의 일면에 접촉하여 부착시키는 접착제부착장치, 접착제가 부착되어 제1공급원단의 일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제2공급원단을 합포시켜 합포원단을 형성하는 원단합포장치, 및 송출된 합포원단을 소정의 상태로 건조시키는 건조드럼을 구비하여 두 가지 이상의 원단을 합포함으로써 원단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3911 "Applicator for folds with multiple homogenization function" is the first to supply the first supply fabric to be combined and evenly select the adhesive supplied to the predetermined roller surface An adhesive attaching device for contacting and attaching one surface of the supply fabric, a fabric fabrication device for adhering the second supply fabric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ly fabric to form a fabric fabric, and the fabricated fabric fabric It is proposed a system that is provided with a drying drum to dry in a predetermined state by combining two or more fabrics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fabric and increase the aesthetic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95629 "양면 합포 방법 및 양면 합포기"는 상방으로 수직하게 진행하는 인서트를 2개의 접착제 공급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인서트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인서트의 양면에 직물 원단을 각각 공급하여 인서트의 양면에 2개의 직물 원단이 동시에 접착되도록 하므로써 스폰지, 솜 등의 인서트 양면에 2개의 직물을 동시에 합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95629 "Double-sided stacking method and double-sided stacker" is to pass the insert vertically upward between two adhesive feed rollers to apply the adhesive on both sides of the insert, the fabric on both sides of the insert By supplying the fabrics so that two fabrics are bonded to both sides of the insert at the same time, it is proposed a system that can simultaneously combine two fabrics on both sides of the insert, such as sponge, cotton.
한편 다양한 무늬를 갖는 각종 스티커, 인쇄물을 형성시킨 장식 원단, 신발 등의 엠블럼(emblem) 등을 원하는 제품에 접착시킬 수 있도록 원단의 일면에 핫멜 트 접착필름을 부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제품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지 또는 이형 원단(3; 이하 '이형 원단'이라 한다)이 합치되도록 이송시키면서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을 통해 핫멜트 접착필름(2)이 원단(1)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이형 원단(3)을 분리시켜 핫멜트 접착필름(2)이 부착된 원단(5, 이하 '합포 원단'이라 한다)을 얻게 된다. 이때 이형 원단(3)은 핫멜트 접착필름(2)과 부착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도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65823호 "실리콘 코팅 이형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섬유로 직조된 직물 원단과, 그 상부에 폴리우레탄, 실리콘, 핫멜트 접착 필름의 순으로 코팅시킨 이형원단을 제안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oposed a product made by attaching a hot melt adhesive film on one side of the fabric so that various stickers having various patterns, decorative fabrics formed printed matter, emblems such as shoes, etc. can be adhered to the desired product. Such a product, as shown in FIG. 1, transfers the
이와 같이 합포 원단(5)을 제조하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은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 원단(3)이 합치되어 들어가는 입구(112)와 출구(104)를 갖는 프레임(110)내에 구동롤러(122)와 피동롤러(124)에 의해 이송되고, 다수개의 중간롤러(126)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 벨트(120)를 상하로 배치하여 합치된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 원단(3)이 압착되면서 입구(102)로부터 출구(104)로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110)내에서 발열체(130)가 설치되어 핫멜트 접착필름(2)이 열에 의해 원단(1)에 접착되도록 한다. As such, the
그런데 종래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은 합포 원단(5)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즉 합포 원단(5)이 안정적인 품질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단(1)에 핫멜트 접착필름(2)이 균일하게 접착되도록 해야 하는데, 종래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은 작업자의 판단을 통해 공정조건을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는 공정이 진행된 합포 원단(5)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발열체(130)의 온도를 조절하여 공정조건을 설정하도록 하므로, 초기 설정시 원단 및 작업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고, 작업자의 숙련여부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By the way, the
또한 시스템의 오작동, 주위 환경의 영향으로 작업조건이 변하여도 이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없어 잘못된 공정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확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working conditions change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syste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uld not be immediately responded to the problem that was confirmed in a state in which the wrong process is advanced to some extent.
본 발명자는 다양한 실험 결과 이와 같은 문제점이 종래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의 온도 제어부분에 의해 발생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종래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은 발열체(130)의 온도를 일정한 범위(100℃에서 140℃ 정도)로 설정하고 작업을 진행한다. 물론 이와 같은 공정온도는 사용되는 원단(1)과 핫멜트 접착필름(2)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다. 이때 종래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은 프레임(110)내의 온도와 프레임(110)에서 이송 벨트(120)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온도 제어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의 공정조건은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온도설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최대 40℃까지 발생되므로 같은 설정온도라 할지라도 5m/s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라미네이팅 시스템(100)의 출구(104)로 나오는 합포 원단(5)의 온도 편차가 30℃이상 발생된다. 통상 공정온도가 과도한 경우 원단(1)이 변형되거나 손 상되게 되고, 공정온도가 낮을 경우 원단(1)과 핫멜트 접착필름(3)의 접착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The inventors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various tests have shown that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portion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선하여 공정조건의 설정이 쉽고, 합포 원단의 품질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uch a conventional laminat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nd easy to set the process conditions, laminating system for adhering a new type of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which can facilitate the quality control of the fabric fabric and it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temperature control method.
특히 본 발명은 발열체의 오작동과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공정에 필요한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ing system and a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a hot-melt adhesive film of a new type to the fabric to ensure a stabl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process even in the malfunc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laminat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접착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된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과 이형지와 함께 이송시켜서 열을 가하여 원단에 핫멜트 접착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에 있어서, 원단, 핫멜트 접착필름 및 이형 원단이 합치되어 들어가는 입구와 출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어 구동롤러와 피동롤러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중간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합치된 원단, 핫멜트 접착필름 및 이형 원단이 압착되면서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벨트와; 상기 프레임내에 설치되어 상기 핫멜트 접착필름이 상기 원단에 용착되도록 하므로써 합포 원단을 형성하도록 하는 열을 발생하기 위한 발열체와;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출구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상기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표면온도 검출부 및; 상기 표면온도 검출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가 설정된 공정온도의 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a hot melt adhesive film formed with an adhesive component together with the fabric and the release paper to apply a heat to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attach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 laminating system for adhering to a fabric, the laminating system comprising: a frame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abric, the hot melt adhesive film, and the release fabric are joined; Installed in the frame and rotated by a driving roller and a driven roller, and supported by a plurality of intermediate roller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so that the matched fabric, the hot melt adhesive film, and the release fabric are pressed from the inlet. A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to an outlet; A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frame to generate heat to form a cloth fabric by allow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be welded to the fabric; A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configured to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loth fabric, which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outlet from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loth fabric transmitted from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is within a set process temperature, and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에서 상기 표면온도 검출부는 제 1 온도센서, 제 2 온도센서 및 제 3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온도센서, 제 2 온도센서 및 제 3 온도센서는 상기 합포 원단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합포 원단의 중심부분과 양측 부분의 표면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In the laminating system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abric,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sensor, a second temperature sensor, and a third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temperature. The sensor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loth fabric to detec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and both portions of the cloth fabric.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접착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된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과 이형지와 함께 이송시켜서 열을 가하여 원단에 핫멜트 접착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의 외측에서 출구에 근접되도록 표면온도 검출부를 설치하여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에 접속시키므로써, 상기 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상기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가 상기 표면온도 검출부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에 관리하고자 하는 상기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를 입력한 후 상기 표면온도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표면온도가 되도록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hot melt adhesive film formed with the adhesive component together with the fabric and the release paper to apply heat to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attach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In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laminating system for bonding the fabric to the fabric,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is installed so as to be close to the outlet from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thereby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abric is measured by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abric is input from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or after inputt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abric to be managed to the controller The temperature becomes the surface temperature input to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온도 제어방법은 상기 표면온도 검출부에 제 1 온도센서, 제 2 온도센서 및 제 3 온도센서를 설치하되, 상기 제 1 온도센서, 제 2 온도센서 및 제 3 온도센서가 상기 합포 원단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합포 원단의 중심부분과 양측 부분의 표면온도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표면온도가 되도록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laminating system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abric is provided with a first temperature sensor, a second temperature sensor and a third temperature sensor in the surfac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fabric of the fabric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and both portions of the fabric of the fabric is the surface temperature input to the controll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detected.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은 발열체가 설치되어 핫멜트 접착필름이 융착된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공정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은 융착공정이 완료되어 외부로 나오는 합포 원단의 실질적인 표면 온도를 감지할 수있는 표면 온도계를 외부에 설치하여 합포 원단에 직접적으로 가해진 온도를 감지하여 원단 접착에 관한 정확한 온도관리를 통해서 완전한 물성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은 빠른 시간내에 정확한 온도 설정으로 합포불량의 감소와 지속적인 온도 감지로 인한 과다한 열량 보급을 조기에 차단하여 원단 손실을 막아 최적의 합포 작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에 따르면 공정조건의 설정이 쉽고, 합포 원단의 품질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발열체의 오작동과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외부환경 의 변화에도 공정에 필요한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The laminating syste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 a heating element to be installed to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abric of the laminated fabric in which the hot melt adhesive film is fused to control the process temperature. In other words, the lamin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urface thermometer that can detect the actual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mposite fabric coming out after the fusion process is completed to detect the temperature applied directly to the fabric fabric, the exact temperature for fabric adhesion It is to manage the complete property management through management. The laminating system and its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loss by early blocking the excessive heat supply due to the reduction of blistering defects and continuous temperature detection by the accurate temperature setting within a short time Can be prevented to provide an optimal blending oper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laminating syste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t the process conditions, to facilitate the quality control of the fabric, the malfunc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outside of the laminating system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process can be stably maintained despite changes in the environment.
통상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이용한 합포 원단의 제조공정은 선택된 핫멜트 접착필름의 용융온도에 맞춘 온도를 제어부에 설정하고, 내부 온도가 제어부에 설정된 온도에 맞추어 지면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더라도 원단이 투입되게 되면 원단으로 온도가 빼앗기게 된다. 이때 얼마의 온도를 빼앗기게 되었고 얼마를 보충하게 되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배출되고 있는 합포 원단의 표면온도를 계측하여 공정온도를 제어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온도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In general, the fabrication process of the composite fabric using the laminating system sets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selected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controller, and proceed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adjusted to the temperature set in the controller. However, even if the internal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when the fabric is input, the temperature is lost to the fabric. At this tim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exactly how much temperature has been taken and how much will be replenish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process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abric is discharged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temperature.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ing system for adhering a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은 프레임(20), 이송 벨트(30), 발열체(40), 표면온도 검출부(50) 및 제어부(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라미네이팅 시스템(10)에는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 원단(3)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롤러와 권취롤러가 설치되며, 작업이 완료된 합포 원단(5)을 냉각시키기 위한 각종 냉각기구들이 접목될 수 있을 것이다. 2, the
이때 프레임(20)은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을 이루는 골격 및 커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 원단(3)이 합치되어 들어가는 입구(22)와 출구(24)를 갖는다. 이와 같은 프레임(20)은 각종 철골 구조와 함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요소를 위한 고정구조를 가지며, 발열체(4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원단상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각종 보온 및 차폐구조를 갖는다. 프 레임(20)내에는 이송 벨트(30)와 발열체(40)가 설치된다. 이송 벨트(30)는 프레임(20)내에 설치되어 구동롤러(32)와 피동롤러(34)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롤러(32)와 피동롤러(34)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중간롤러(36)에 의해 지지되어 합치된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 원단(3)이 압착되면서 입구(22)로부터 출구(24)로 이송되도록 한다. 발열체(40)는 프레임(20)내에 설치되어 핫멜트 접착필름(2)이 원단(1)에 용착되도록 하므로써 합포 원단(5)을 형성하도록 하는 열을 발생한다. In this case,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은 표면온도 검출부(50)와 제어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면온도 검출부(50)는 프레임(20)의 외측에서 출구(24)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출구(24)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표면온도 검출부(50)는 후술하는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의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구성되므로써 더욱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표면온도 검출부(50)로부터 전송된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가 설정된 온도의 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발열체(40)의 온도를 조절한다. The
이와 같은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의 온도 제어방법은 먼저 프레임(20)의 외측에서 출구(24)에 근접되도록 표면온도 검출부(50)를 설치하여 발열체(4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70)에 접속시켜 출구(24)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가 표면온도 검출부(5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7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공정진행 전에 제어부(70)에는 관리하고자 하는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가 입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정 온도는 원단 및 핫멜트 접착필름의 제조업체에서 제공되는 자료에 근거하여 기본적으로 선택되고,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준비작업을 완료한 후, 표면온도 검출부(50)로부터 입력되는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가 제어부(70)에 입력된 표면온도가 되도록 발열체(40)의 온도를 제어하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In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은 핫멜트 접착필름(2)이 원단(1)에 용착된 합포 원단(5)의 온도를 출구(24) 또는 그 근접영역에서 측정하여 공정온도를 관리하므로써 공정조건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 및 그의 온도제어방법은 종래 프레임(20)내의 온도를 관리하는 방법과 병행하여 적용하므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공정온도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조립부분 또는 연결부분의 크기와 형상이 약간 차이나 보이거나 다른 도면과의 치수차이는 단지 도시상 차이일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for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in FIGS. 2 to 4.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the illustra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laminating syste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the general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re p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 they will be briefly or omitted. The illustrations are centered around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assembled portion or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drawings of the drawings may be slightly different or the dimensional difference from the other drawings are merely urban differences and do not limit or chang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보인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aminating system for adhering a hot melt adhesive film to a fabric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laminating system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은 프레임(20), 이송 벨트(30), 발열체(40), 표면온도 검출부(50) 및 제어부(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20)은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 원단(3)이 합치되어 들어가는 입구(22)와 출구(24)를 갖는다. 이송 벨트(30)는 프레임(20)내에 설치되어 구동롤러(32)와 피동롤러(34)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롤러(32)와 피동롤러(34)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중간롤러(36)에 의해 지지되어 합치된 원단(1), 핫멜트 접착필름(2) 및 이형 원단(3)이 압착되면서 입구(22)로부터 출구(24)로 이송되도록 한다. 발열체(40)는 프레임(20)내에 설치되어 핫멜트 접착필름(2)이 원단(1)에 용착되도록 하므로써 합포 원단(5)을 형성하도록 하는 열을 발생한다. 2 to 4,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은 출구(24) 근처에 합포 원단(5)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포팅 컬럼(52)상에 3개의 온도센서(60, 62, 64)가 구비되는 표면온도 검출부(50)가 설치되도록 하여,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그 값이 제어부(70)로 전송되도록 한다. 서포팅 컬럼(52)은 합포 원단(5)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합포 원단(5)의 상부를 가로질러 프레임(20)에 결합된다. 물론 서포팅 컬럼(52)은 프레임(20)과 별도로 제작되어 지면에 놓이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의 표면온도 검출부(50)는 제 1 온도센서(60), 제 2 온도센서(62) 및 제 3 온도센서(6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온도센서(60), 제 2 온도센서(62) 및 제 3 온도센서(64)는 합포 원단(5)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도 3 및 도 4에서 합포 원단(5)상에 표시된 이점쇄선의 영역과 같이 합포 원단(5)의 중심부분과 양측 부분의 표면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0)로 전송하도록 한다. 온도센서를 3개이상 설치하는 이유는 통상 발열체(40)로 사용되는 열선의 열공급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즉 통상 열선은 좌우측의 열공급이 많게 되므로 중간부분에 열공급이 강한 열선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열공급이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발열체(40)를 제어하여 일정한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온도센서를 3곳이상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은 좌우측과 중간부분에 온도 차이가 많을 경우 발열체(40)의 단선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면온도 검출부(50)는 보다 정밀한 합포작업을 위하여 가열부분을 통과한 합포 원단(5)의 3지점의 온도를 감지함으로 균등한 온도 설정과 무리한 온도 설정을 방지할 수 있다. The
한편 표면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는 도출되는 합포 원단(5)의 온도를 측정할 뿐만이 아니라 라미네이팅 시스템(10) 내부에 열을 공급해주는 발열체(40)의 단선여부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외부온도가 25℃일 경우 이송 벨트(30)에 100℃를 설정할 경우 도출되는 합포 원단(5)의 온도가 110℃라 가정하 면, 이 온도보다 편차가 20℃이상 날 경우 발열체(40)의 단선으로 인한 열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프레임(20)을 완전히 개방하여 20개 이상의 발열체(40)의 단락여부를 개별로 계측하여야 하나, 본 발명은 발열체(40)의 단락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접착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has the advantage that can determine the disconnection of the
이와 같은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의 온도 제어방법은 먼저 서포팅 컬럼(52)에 제 1 온도센서(60), 제 2 온도센서(62) 및 제 3 온도센서(64)가 설치된 표면온도 검출부(50)를 프레임(20)의 외측에서 출구(24)에 근접되도록 설치하여 발열체(4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70)에 접속시켜 출구(24)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가 표면온도 검출부(5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7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공정진행 전에 제어부(70)에는 관리하고자 하는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가 입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준비작업을 완료한 후, 표면온도 검출부(50)의 제 1 온도센서(60), 제 2 온도센서(62) 및 제 3 온도센서(64)로부터 입력되는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가 제어부(70)에 입력된 표면온도가 되도록 발열체(40)의 온도를 제어하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In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시스템(10)은 종래 열이 공급되는 프레임(20)내에 온도센서를 부착하는 것과 달리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공정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핫멜트 접착필름(2)을 사용한 합포 원단(5)의 형성은 실질적으로 외부환경 특히 온도에 가장 민감하게 작용한다. 예컨대 단위체적이 10㎠인 물체에 일정량의 열을 공급할 경우와 단위면적이 100㎠인 물체에 같은 온도와 시간을 주었을 경우, 온도 상승분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후자인 경우 도출되는 물체의 온도를 높이는 방법은 보다 높은 열을 공급하거나 시간을 늘이는 방법이 있지만, 정확한 온도 상승부분과 시간을 예상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합포 원단(5)의 표면온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므로, 계측된 온도를 바탕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1차적으로 작업속도를 늦추어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속도를 상승시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Laminat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ing syste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abric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described for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에 의하면, 융착공정이 완료되어 외부로 나오는 합포 원단의 실질적인 표면 온도를 감지할 수있는 표면 온도계를 외부에 설치하여 합포 원단에 직접적으로 가해진 온도를 감지하므로 원단 접착에 관한 정확한 온도관리를 통해서 완전한 물성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은 빠른 시간내에 정확한 온도 설정으로 합포불량의 감소와 지속적인 온도 감지로 인한 과다한 열량 보급을 조기에 차단하여 원단 손실을 막아 최적의 합포 작업을 제공한 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필름을 원단에 접착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그의 온도 제어방법에 따르면 공정조건의 설정이 쉽고, 합포 원단의 품질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발열체의 오작동과 라미네이팅 시스템의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공정에 필요한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minating syste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surface thermometer on the outside to detect the actual surface temperature of the fabric fabric coming out after the fusion process is completed By sensing the temperature directly applied to the fabric,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omplete properties through accurate temperature control on fabric bonding. In particular, the laminating system and its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the loss of fabric by prematurely blocking excessive heat supply due to reduction of blistering defects and continuous temperature detection with accurate temperature setting within a short time. Blocking to provide optimal lamin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laminating system and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dhering the hot melt adhesive film to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t the process conditions, to facilitate the quality control of the fabric, the malfunc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outside of the laminating system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process can be stably maintained despite changes in the environmen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1742A KR100693068B1 (en) | 2005-08-05 | 2005-08-05 | Laminat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hot melt adhesive film to fabri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1742A KR100693068B1 (en) | 2005-08-05 | 2005-08-05 | Laminat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hot melt adhesive film to fabri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6769A KR20070016769A (en) | 2007-02-08 |
KR100693068B1 true KR100693068B1 (en) | 2007-03-12 |
Family
ID=4162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1742A Active KR100693068B1 (en) | 2005-08-05 | 2005-08-05 | Laminat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hot melt adhesive film to fabri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3068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7984B1 (en) * | 2011-04-07 | 2013-03-27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Film coating device sticker type adhesive pad |
KR101295732B1 (en) * | 2011-11-10 | 2013-08-12 | (주)아셈스 | A laminating machine contolling position of conveyor belt by photo sensor |
KR101295728B1 (en) * | 2011-11-10 | 2013-08-16 | (주)아셈스 | A hot-melt laminating machine |
KR101315176B1 (en) | 2012-01-20 | 2013-10-07 | (주)아셈스 | A profile heating body and hot-melt laminating machine thereof |
KR20160118732A (en) | 2015-04-03 | 2016-10-12 | 박희대 | Method for attaching textile fabric together |
KR20200009389A (en) * | 2018-07-18 | 2020-01-30 | 주식회사 코아테크 | Ban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220126126A (en) | 2021-03-08 | 2022-09-15 | (주)아셈스 | Adhesive material lamin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30078351A (en) | 2021-11-26 | 2023-06-02 | (주)아셈스 | Multi-Layer Blown Film Machine |
KR20230078357A (en) | 2021-11-26 | 2023-06-02 | (주)아셈스 | Multi-Layer Blown Adhesive Fil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794B1 (en) * | 2007-04-18 | 2008-06-05 | 이룸산업(주)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double vinyl bag |
WO2011145853A2 (en) * | 2010-05-18 | 2011-11-24 | 주식회사 아이케이엠 | Ultrasonic bonding method using adhesive film |
KR101315172B1 (en) * | 2012-01-18 | 2013-10-07 | (주)아셈스 | A profile heating body and hot-melt laminating machine thereof |
CN103015659B (en) * | 2012-11-27 | 2015-05-20 | 嘉兴恒凯装饰材料科技有限公司 | Processing method for embroidery wall cloth |
KR200482586Y1 (en) * | 2014-07-16 | 2017-02-09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Hot Melt Adhesion Apparatus Having Temperature Sensing Part |
KR20200033703A (en) | 2018-09-20 | 2020-03-30 | 공재희 | Lycra Sponge Adhesive Material Processing Method |
KR102331124B1 (en) * | 2020-02-21 | 2021-11-24 | 하종문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adhesive non-woven fabric sheet |
CN112623814B (en) * | 2020-12-24 | 2021-08-17 | 深圳市锦城胶粘制品有限公司 | Asynchronous laminating sticky tape concatenation double faced adhesive tape preparation equipment |
KR102726004B1 (en) * | 2024-02-23 | 2024-11-06 | 소민섭 | Wrapp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1005A (en) * | 2001-09-27 | 2003-04-04 | Citizen Watch Co Ltd |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
-
2005
- 2005-08-05 KR KR1020050071742A patent/KR1006930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1005A (en) * | 2001-09-27 | 2003-04-04 | Citizen Watch Co Ltd |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7984B1 (en) * | 2011-04-07 | 2013-03-27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Film coating device sticker type adhesive pad |
KR101295732B1 (en) * | 2011-11-10 | 2013-08-12 | (주)아셈스 | A laminating machine contolling position of conveyor belt by photo sensor |
KR101295728B1 (en) * | 2011-11-10 | 2013-08-16 | (주)아셈스 | A hot-melt laminating machine |
KR101315176B1 (en) | 2012-01-20 | 2013-10-07 | (주)아셈스 | A profile heating body and hot-melt laminating machine thereof |
KR20160118732A (en) | 2015-04-03 | 2016-10-12 | 박희대 | Method for attaching textile fabric together |
KR20200009389A (en) * | 2018-07-18 | 2020-01-30 | 주식회사 코아테크 | Ban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
KR102132715B1 (en) * | 2018-07-18 | 2020-07-13 | 주식회사 코아테크 | Ban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220126126A (en) | 2021-03-08 | 2022-09-15 | (주)아셈스 | Adhesive material lamin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30078351A (en) | 2021-11-26 | 2023-06-02 | (주)아셈스 | Multi-Layer Blown Film Machine |
KR20230078357A (en) | 2021-11-26 | 2023-06-02 | (주)아셈스 | Multi-Layer Blown Adhesive Fil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6769A (en) | 200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3068B1 (en) | Laminat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bonding hot melt adhesive film to fabric | |
US8864928B2 (en) | Vehicle component fabricated with a hot melt adhesive, and a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
CN101410563A (en) | Floor covering having thermally modified patterned textile layer | |
CN106183336B (en) | Hot melt adhesive is coated with make-up machine | |
US10118373B2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uble-layer fabric for down products having pattern joining line formed by high-frequency bonding | |
NO317689B1 (en) | Process and plant for making thermofixed webs from thermoplastic polymer-material particles | |
KR100850334B1 (en) | Splicing device | |
US20130299085A1 (en) |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 |
CN1846027A (en) | Method for coating grey goods for carpeting using a broad slotted nozzle | |
NL2005608C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pet or carpet tile, carpet or carpet tile obtained by performing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support material for use in the method. | |
CZ330094A3 (en) | Connecting press | |
CA1069811A (en) | Process for laminating pressure-sensitive material | |
KR101315176B1 (en) | A profile heating body and hot-melt laminating machine thereof | |
CN104924720B (en) | Preparation method of textile wall covering with hot-melt adhesion property | |
KR102599173B1 (en) |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ating fabric,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ating fabric using the same, and the coating fabric manufactured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 |
Jevšnik et al. | Applying heat for joining textile materials | |
KR101896471B1 (en) | Production system for flexible duct for air conditioning | |
CN104428133A (en) | Temporarily positionable meltable adhesives for shoe and apparel assembly | |
CN105172311A (en) | Adhesive-free coated banner manufacturing technique and device | |
CN108350649A (en) | Manufacture method, the purposes of the textile product, the textile product itself and the device for application this method of textile product | |
KR200181866Y1 (en) | Device for coating and/or adhering textiles in the same working line | |
US20100243130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transport/drive belt | |
KR10233112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adhesive non-woven fabric sheet | |
KR100576648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ed fabrics and their apparatus | |
EP3371365B1 (en) | A method to manufacture a textile product, a use thereof and a device for applying th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