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505B1 - Bonding device with rim support plate - Google Patents
Bonding device with rim support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0505B1 KR100690505B1 KR1020050028979A KR20050028979A KR100690505B1 KR 100690505 B1 KR100690505 B1 KR 100690505B1 KR 1020050028979 A KR1020050028979 A KR 1020050028979A KR 20050028979 A KR20050028979 A KR 20050028979A KR 100690505 B1 KR100690505 B1 KR 1006905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pull case
- support plate
- pool
- pas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Landscapes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테두리 지지판을 포함하는 접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장치는 접착용 풀과, 접착용 풀을 내부에 수납하고 접착용 풀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풀 케이스와, 풀 케이스 내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적어도 상단부가 접착용 풀 위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고정대와 접착용 풀의 상단부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대 상단부와 연결된 테두리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장치는 물질의 내부뿐만 아니라 테두리까지 균일하게 풀칠이 가능하도록 하며, 자원 절약의 효과가 있다.An adhesive apparatus is provided that includes an edge support plate. Th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paste, a pull case having an upper end opened to store the adhesive paste therein and exposing a portion of the adhesive pool, and elas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ull case, at least the upper end being It includes a support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over the adhesive pool and the edge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er to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adhesive pool. The adhesiv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paste evenly to the edge as well as the inside of the material,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resource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he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접착 장치를 보여주는 전개도이고;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bonding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도 1의 접착 장치의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ding apparatus of FIG. 1;
도 4는 도 1의 접착 장치의 테두리 지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dge support plate of the bonding apparatus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method of th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장치를 이용한 풀칠 결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그리고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sult of pasting using the bo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은 종래 접착 장치를 이용한 풀칠 결과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sult of pasting using a conventional bonding apparatu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2...손잡이부 14...이탈방지구12 ...
16...나사봉 20...풀 케이스16
30...플랜지부 40...접착용 풀30
50...스프링 60...고정지지판50
66...테두리 지지판 70...뚜껑66.
본 발명은 접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질의 테두리 등에 풀칠이 가능한 접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hesion device that can be pasted onto an edge of a material.
접착 장치란 접착제를 이용하여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물질을 맞붙이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풀, 딱풀, 본드, 우드락 본드, 또는 아교 등이 접착제의 일종이 될 수 있다. 풀 및 딱풀은 예컨대 종이류를 붙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본드는 금속, 플라스틱, 나무, 가죽, 비닐 등과 같이 공업용 재료를 붙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An adhesive device is used for bonding the same kind or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with an adhesive. For example, glue, glue, bond, wood rock bond, or glue may be a type of adhesive. Pastes and wefts can be used to glue paper, for example, and bonds can be used to glue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metals, plastics, wood, leather, vinyl and the like.
문구용이나 사무용에 쓰는 풀은 투명한 액체로 된 물풀 또는 케이스에 반고체 상태로 들어있는 고체풀일 수 있다. 풀은 종래 녹말, 해초, 또는 고무를 이용하여 형성하였으나, 최근에는 부패하지 않고 접착력이 강한 폴리아세트산 비닐이나 폴리비닐알코올 등 합성 수지계통의 접착력을 이용한 것이 많다. 딱풀은 흔히 고체풀의 일종으로 이해된다. 고체풀은 처음 독일에서 개발되어 현재는 풀 시장에서 매우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해가 갈수록 그 사용량이 늘고 있다.Stationery or office glue may be a pool of transparent liquid water or a solid pool semi-solid in a case. The grass is conventionally formed using starch, seaweed, or rubber. However, in recent years, the grass has often used the adhesive strength of a synthetic resin system such as polyvinyl acetate or polyvinyl alcohol, which does not rot and has strong adhesive strength. Crackle is often understood as a kind of solid grass. Solid pools were first developed in Germany and now have a very high market share in the pool market, and their use is increasing year by year.
이병호에 의한 특허출원공개번호 1995-0032584호 또는 장현식 등에 의한 특허출원공개번호 2004-0079811호 등에는 종래 고체풀 또는 딱풀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고체풀 또는 딱풀은 학교에서 종이 등의 유인물을 공책에 부착하거나 또는 회사에서 영수증 등을 서류에 첨부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풀을 이용하여 유인물 또는 영수증에 풀칠을 할 때는 가장자리에 풀칠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5-0032584 by Lee Byung-ho or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079811 by Jang Hyun-sik et al. Discloses a conventional solid grass or a weeping grass. Such conventional solid grass or glue may be useful when attaching a handout such as paper to a notebook at school or attaching a receipt to a document at a company. However, when pasting handouts or receipts using a conventional pas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aste the edges.
도 7을 참조하여 종래 풀을 이용하여 유인물 또는 영수증과 같은 종이(150)에 풀칠(140)을 행할 때 문제점이 설명된다. 종이(150)를 서류 또는 노트에 붙이기 위해서는 종이(150)의 테두리에 풀칠이 빈틈없이 되어 있어야지 마찰 등에 의해서 다시 떨어질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종래 풀칠(140)을 할 때는 종이 밑에 받침대(155)를 두고 종이(150)의 테두리에 풀칠(140)을 행하였다. 받침대(155)는 책상 등의 바닥면이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a problem is described when pasting 140 to a
이에 따라, 풀칠(140)이 종이(150)의 테두리에만 되지 않고, 밑에 받침대(155)에까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결과 풀칠(140)이 된 종이(150)를 받침대(155)에서 분리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필요 이상의 공간에 풀을 칠하게 되어 자원과 시간이 낭비된다.Accordingly, a problem arises that th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뿐만 아니라 테두리에도 균일하게 풀칠을 할 수 있는 접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n adhesive device capable of uniformly pasting not only the inside but also the edg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접착용 풀; 상기 접착용 풀을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접착용 풀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방된 풀 케이스; 상기 풀 케이스 내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적어도 상단 부가 상기 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상기 접착용 풀 위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고정대; 및 상기 접착용 풀의 상단부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 상단부와 연결된 테두리 지지판을 포함하는 접착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adhesive pool; A pull case having an upper end opened to store the adhesive pool therein and to expose a portion of the adhesive pool; A fixing rod elas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ull cas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on at least an upper portion of the glue pool housed in the pull case; And an edge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er so as to be rotatable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glue pool.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와 상기 테두리 지지판은 경첩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대는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풀 케이스 내부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and the rim support plate may be connected through a hinge. Furthermore, the holder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ull case through a spring.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풀 케이스는 상기 고정대와 상기 접착용 풀을 분리하도록 상기 풀 케이스 내부를 양측으로 분리하는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 case may include 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pull case to both sides so as to separate the holder and the adhesive pool.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들에서, 상기 접착 장치는 내부에 나사선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풀 케이스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접착용 풀을 안치하고 상기 풀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기는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풀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spec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er including a flange portion formed with a threaded hole therein, and a screw ro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ull case and screwed to the flange portion. have. The flange portion may settle the glue pool and move up and down inside the pull case. The height adjuster may move the flange part up and down inside the pull case by rotating the screw ro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 하여 그 크기가 과장되어 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착 장치(100)를 보여주는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접착 장치(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접착 장치(100)는 접착용 풀(40), 풀 케이스(20), 플랜지부(30), 높이 조절기(10), 고정지지판(60) 및 뚜껑(70)을 포함한다.1 to 3, the
접착용 풀(40)은 물건들을 맞붙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가 접착력을 가지거나 또는 공기 중에서 화학 반응을 하면서 접착력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체풀, 고체풀(또는 딱풀), 반짝이풀, 본드풀 및 탑칼라풀 등이 그 이름에 상관없이 접착용 풀(40)의 일종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액체풀은 접착성이 우수하고 수용성이고 무독성이어서 종이, 사진, 작품 등의 접착에 사용된다. 고체풀은 사용이 간편하고, 풀칠 후 건조 시간이 빠르면서도 종이가 울지 않고, 또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종이, 사진 및 직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반짝이풀은 카드 작품, 의류 등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iquid glue is used for bonding paper, photographs, works and the like because it is excellent in adhesion, water-soluble and non-toxic. Solid grass is easy to use, fast drying time after pasting, paper does not cry, and also excellent adhesive strength can be used for paper, photos and fabrics. Glitter can be used to decorate card works, clothing, etc.
도면에서는 고체풀을 접착용 풀(40)의 바람직한 예로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접착용 풀(4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풀 케이스(20)의 모양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Although the solid pool is shown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풀 케이스(20)는 몸체(21) 내의 상단부를 개방하는 제 1 홀(hole, 25), 제 2 홀(27) 및 하단부를 개방하는 제 3 홀(29)을 포함한다. 제 1 홀은(25)은 접착용 풀(4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고, 제 2 홀(27)은 고정지지판(60)을 끼워서 몸체(21)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제 3 홀(29)은 높이 조절기(10)를 내부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제 1 홀(25)과 제 2 홀(27)은 분리막(23)에 의해서 몸체(21) 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몸체(21)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홀들(25, 27)은 분리막(23)에 의해 분할된 원통 내부 공간이 된다. 제 3 홀(29)과 제 1 홀(25)은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The
한편, 몸체(21) 상부면 부근은 뚜껑(7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아래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70)이 삽입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걸림턱(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near the upper surface of the
높이 조절기(10)는 나사봉(16)과 그 아래의 이탈 방지구(14)와 그 아래의 손잡이부(12)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기(10)는 풀 케이스(2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나사봉(16)은 제 3 홀(29)을 거쳐 제 1 홀(25) 내로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나사봉(16)은 나사선이 형성된 긴 봉으로서 그 일부가 접착용 풀(40) 내로 삽입되어 있다.The
이탈 방지구(14)는 제 3 홀(29)에 삽입되고, 그 상단부의 오목한 턱 부분이 제 1 홀(25)과 제 3 홀(29) 사이에 걸쳐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기(10)가 풀 케이스(20)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탈 방지구(14)와 풀 케이스(20)의 결합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손잡이부(12)는 풀 케이스(20) 하단부와 맞닿아 있다. 하지만, 손잡이부(12)는 고정되지 않고 풀 케이스(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손잡이부(12)는 사람이 잡기 편하도록 외면에 규칙적인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또한, 나사봉(16)은 접착용 풀(40)을 안착하고 있는 플랜지부(30)와 결합한다. 플랜지부(30) 내부에는 나사봉(16)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선(35)이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30) 외면은 풀 케이스(20)의 제 1 홀(25) 내면과 비슷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30)는 제 1 홀(25) 내부에서 접착용 풀(40)을 안착하고 상하로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다. 다만, 플랜지부(30)는 풀 케이스(20)의 제 1 홀(25) 내부에서 위아래로는 움직이나 회전은 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손잡이부(12)를 사람이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봉(16)이 회전하면서 이와 끼움 결합된 플랜지부(30)가 접착용 풀(40)을 위로 밀어 올린다. 반대로, 손잡이부(1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랜지부(30)가 하강하면서 접착용 풀(40)이 아래로 이동한다. 즉, 손잡이부(12)를 회전시킴에 따라, 접착용 풀(40)이 풀 케이스(20) 위로 올라가게 하거나, 또는 풀 케이스(20) 내부로 하강하게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rotates the
고정지지판(60)은 종이 등의 테두리를 접착용 풀(40) 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고정지지판(6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 지지판(60)은 고정대(62)와 테두리 지지판(66)을 포함한다.The fixed
고정대(62)는 풀 케이스(20)의 제 2 홀(27) 내부에 끼워져 좌우가 고정되고, 하부에는 예컨대 스프링(spring, 50) 등을 이용하여 몸체(21)와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대(62)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대(62)는 적어도 상단부가 접착용 풀(40) 위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The fixing
테두리 지지판(66)은 접착용 풀(4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접착용 풀(40)과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테두리 지지판(66)은 제 1 홀(25)의 상부면과 비슷한 반원 모양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테두리 지지판(66)은 원형일 수도 있다.The
테두리 지지판(66)은 고정대(62) 상단부와 연결되는 데, 회전이 가능하도록 경첩(64)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 지지판(66)은 접착용 풀(40)을 덮을 때는 a 위치에 있고, 접착용 풀(40)을 개방시킬 때는 b 위치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즉, 테두리 지지판(66)은 좌우(a, b)로 개폐 동작이 가능하고, 또한 고정대(62)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도 움직일 수 있다. 테두리 지지판(66)의 상하 이동은 접착용 풀(40)과 테두리 지지판(6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갖는 물질을 테두리 지지판(66)과 접착용 풀(40) 사이에 끼울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대(62)는 스프링 등을 통해서 풀 케이스(2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테두리 지지판(66)과 접착용 풀(40) 사이가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장치(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사각형의 종이(150)에 풀칠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먼저, 접 착 장치(100)의 뚜껑(70)을 열어서 풀 케이스(2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테두리 지지판(66)이 상부에 노출될 것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이어서, 필요에 따라 테두리 지지판(66)을 포함하는 고정지지판(60)을 적당한 높이에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뚜껑(70)이 열리면, 스프링(50)이 탄성 복원되면서 테두리 지지판(66)이 일정한 높이로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Subsequently, if necessary, the fixed
이어서, 높이조절기(10)를 이용하여 접착용 풀(40)을 풀 케이스(20) 외부의 적당한 높이까지 올린다. 이때, 접착용 풀(40)과 테두리 지지판(66)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이어서, 접착용 풀(40)과 테두리 지지판(66) 사이에 종이(150)를 끼워 넣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테두리 지지판(66)을 위에서 손으로 눌러 종이(15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테두리 지지판(66)을 회전시켜서 개방하고 종이(150)를 접착용 풀(40) 위로 올리고 테두리 지지판(66)을 다시 닫을 수 도 있다.Subsequently, the
이어서, 접착 장치(100)를 고정시킨 채로 종이(150)를 앞뒤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종이(150) 테두리에 접착용 풀(40)이 묻도록 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종이(150)를 고정시킨 채로 접착 장치(100)를 앞뒤 또는 좌우로 움직여 풀칠을 진행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the
위의 단계들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풀칠(160)이 균일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때 테두리 풀칠(160)의 폭은 종이(150)와 접착용 풀(40)의 접촉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 테두리 풀칠(도 7의 140) 에 비해서 풀칠 양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처럼 받침대(155)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eps,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장치(100)를 테두리에 풀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종이(150) 내부에 풀칠도 종래와 같이 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컨대, 테두리 지지판(66)을 회전시켜 접착용 풀(40)을 개방시킴으로써, 접착 장치(100)는 종래 풀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but was described by pasting the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hat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combination. .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장치(100)는 물질의 테두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지지판(60)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질, 예컨대 종이 등의 테두리를 균일하게 풀칠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받침대를 두지 않고 풀칠이 가능함에 따라 받침대에 풀칠되는 풀의 양만큼 풀칠 양을 줄일 수 있어 풀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ste can be pasted without placing the pedestal as in the related art, the amount of paste can be reduced by the amount of the paste pasted to the pedestal,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pool consumption.
또한, 종래 받침대는 풀칠 후 버렸으나,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가 필요하지 않아 물자를 절약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pedestal was discarded after pasting,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edestal, thereby sav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장치(100)는 고정지지판(60)을 개방시킴으로써 물질의 테두리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종래와 같이 풀칠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8979A KR100690505B1 (en) | 2005-04-07 | 2005-04-07 | Bonding device with rim support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8979A KR100690505B1 (en) | 2005-04-07 | 2005-04-07 | Bonding device with rim support pl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6947A KR20060106947A (en) | 2006-10-12 |
KR100690505B1 true KR100690505B1 (en) | 2007-03-09 |
Family
ID=3762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8979A KR100690505B1 (en) | 2005-04-07 | 2005-04-07 | Bonding device with rim support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050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606B1 (en) | 2010-09-13 | 2012-10-15 | 오지민 | Hard-paste case |
KR20160089698A (en) | 2015-01-20 | 2016-07-28 | 김종원 | Glue stick holder |
KR20160089685A (en) | 2015-01-20 | 2016-07-28 | 김종원 | Glue stick cap |
KR20180076097A (en) * | 2016-12-27 | 2018-07-05 |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 Adhesive stick glu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833756A2 (en) | 2012-04-03 | 2015-02-11 | Disruptive Adhesives Limited | Adhesive applicator |
GB2500898A (en) * | 2012-04-03 | 2013-10-09 | Disruptive Adhesives Ltd | Adhesive applicator head |
KR200468382Y1 (en) * | 2013-06-19 | 2013-08-20 | 김신욱 | Glue stick with pincette and slide bar |
KR101478166B1 (en) * | 2013-10-10 | 2014-12-31 | 김종원 | Glue cap capable of adhesive pasting guide |
KR101945398B1 (en) * | 2018-08-29 | 2019-04-17 | 최은석 | Solid glue |
KR102386441B1 (en) * | 2020-08-21 | 2022-04-14 | 박시훈 | a glue for easily finishing touch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0919Y1 (en) * | 2003-06-27 | 2003-10-22 | 정영주 | Solid glue cpable for fixing moving direction |
KR20040087424A (en) * | 2003-04-07 | 2004-10-14 | 정선영 | Pasting apparatus |
-
2005
- 2005-04-07 KR KR1020050028979A patent/KR10069050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7424A (en) * | 2003-04-07 | 2004-10-14 | 정선영 | Pasting apparatus |
KR200330919Y1 (en) * | 2003-06-27 | 2003-10-22 | 정영주 | Solid glue cpable for fixing moving directio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606B1 (en) | 2010-09-13 | 2012-10-15 | 오지민 | Hard-paste case |
KR20160089698A (en) | 2015-01-20 | 2016-07-28 | 김종원 | Glue stick holder |
KR20160089685A (en) | 2015-01-20 | 2016-07-28 | 김종원 | Glue stick cap |
KR101681686B1 (en) | 2015-01-20 | 2016-12-01 | 김종원 | Glue stick cap |
KR20180076097A (en) * | 2016-12-27 | 2018-07-05 |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 Adhesive stick glue |
KR101899547B1 (en) * | 2016-12-27 | 2018-09-17 |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 Adhesive stick glu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6947A (en) | 2006-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0505B1 (en) | Bonding device with rim support plate | |
CN101274686B (en) | Household thin paper holding container | |
CA2240263C (en) | Labelling device and label | |
US6435444B1 (en) | Reel for a suspended sunshade | |
US5281293A (en) | Device for lifting and processing latent fingerprints or other evidence | |
CN101863181A (en) | Multifunction drawing board | |
BE1004087A6 (en) | Bulletin board. | |
CN206982782U (en) | Electronic edition files the cutter device of chapter | |
JP4579622B2 (en) | Sheet storage case | |
KR200369192Y1 (en) | Hard-paste case | |
CN2318865Y (en) | Lipstick box with automatic lid | |
CN205989611U (en) | A kind of drawing board quickly mounting paper | |
JPH1111073A (en) | Patch sticking unit | |
CN215814558U (en) | Literary general knowledge quick-checking disc | |
CN218617886U (en) | Sample introduction kit for chemiluminescence apparatus | |
CN211335268U (en) | Conveniently-checked file folder for engineering cost | |
JP5724306B2 (en) | Liquid applicator | |
CN214989231U (en) | Novel two-sided antithetical couplet sticky tape of tissue paper | |
CN214566867U (en) | Packing carton convenient to dismouting | |
CN210059301U (en) | Disposable paper cup flattening device | |
EP0663304B1 (en) | Carton box for paper or note pad block | |
CN209079495U (en) | A kind of label paper convenient for archive | |
KR101347867B1 (en) | Clamping apparatus for paster case | |
CN201729449U (en) | Sticky buckle bag device | |
JP2004338359A (en) | Gluing stap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