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7426B1 -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426B1
KR100687426B1 KR1020050125637A KR20050125637A KR100687426B1 KR 100687426 B1 KR100687426 B1 KR 100687426B1 KR 1020050125637 A KR1020050125637 A KR 1020050125637A KR 20050125637 A KR20050125637 A KR 20050125637A KR 100687426 B1 KR100687426 B1 KR 10068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copper wiring
barrier metal
film
wir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은, 다마신공정에 의해 형성된 트랜치 내에 장벽금속층 및 구리배선막이 증착된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평탄화방법은,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를 사용하여 구리배선막과 장벽금속층 사이의 선택비를 이용한 엔드포인트검출방법으로 장벽금속층이 노출되도록 구리배선막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의 플레이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전류를 이용한 엔드포인트검출방법으로 트랜치를 갖는 절연막 표면이 노출되도록 절연막 위에서 노출된 장벽금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리배선막, 다마신, 화학적기계적평탄화(CMP), 엔드포인트검출(EPD)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Method for planalizing Cu connection layer in semiconductor device}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소자의 고성능화 및 고집적화 추세에 따라 소자구조가 보다 다층화되고, 이에 따라 표면의 단차가 점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표면의 단차가 심해지면서 노광시 표면에서의 초점심도를 일정하게 하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등 미세한 선폭의 패턴들을 집적화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므로, 평탄화기술의 적용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소자가 형성된 기판을 평탄화하는 기술로는 도포 글라스법, 즉 스핀온글라스(SOG; Spin On Glass) 도포기술, 평탄성이 우수한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는 리플로우기술, 또는 레지스트 에치백기술과 같은 순수 화학적인 방법들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칩 크기 정도의 평탄화효과를 나타낼 뿐, 예컨대 0.35㎛ 이하의 배선폭을 요구하는 소자에 적용할 때 다층배선의 층간절연막을 서브 미크론(sub ㎛) 이하의 평탄도를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최근 글로벌(global)한 평탄화가 가능한 기술로서 기계적연마와 화학적연마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화학적기계적평탄화(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기술의 적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화학적기계적평탄화(CMP) 기술은 슬러리와 패드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웨이퍼 표면을 가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슬러리와 패드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화학적기계적평탄화(CMP) 기술은 금속막에 대한 패터닝시에도 유용한데, 일반적으로 텅스텐(W) 플러그 형성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구리(Cu)막패턴 형성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구리막패턴 형성시에는 다마신공정과 함께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 절연막을 먼저 증착하고, 절연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트랜치를 형성한다. 다음에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을 이용하여 구리막을 증착한다. 그리고 화학적기계적평탄화(CMP)를 수행하여 과도하게 증착되어 있는 구리막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다마신공정과 함께 수행되는 구리막에 대한 화학적기계적평탄화(CMP)는, 통상적으로 구리 슬러리와 산화제를 사용하여 2단계 내지 3단계로 평탄화를 진행한다. 먼저 1단계로서 구리막을 제거하고, 2단계로서 장벽금속층인 Ta/TaN막과 층간절연막인 실리콘산화막(SiO2)을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1단계인 구리막에 대한 제거는 구리막과 탄탈륨막 사이의 높은 선택비를 이용하여 엔드포인트검출(EPD; End Point Detect)을 사용하지만, 2단계인 Ta/TaN막에 대한 제거는 Ta/TaN막 과 실리콘산화막 사이의 낮은 선택비로 인하여 엔드포인트검출(EPD)을 적용할 수 없으며, 적절한 시간을 설정하여 평탄화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종료시점을 알 수 없어서 과도하게 평탄화가 진행되게 되면, 트랜치 내에 매립되는 구리막의 상부가 과도하게 제거되는 리세스/디싱(recess/dishing) 현상이 발생하여 소자의 수율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리막에 이은 장벽층에 대한 평탄화시 정확한 종료시점을 검출하여 구리막의 상부가 과도하게 제거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은, 다마신공정에 의해 트랜치 내에 배치되는 장벽금속층 및 구리배선막이 증착된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에 있어서,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구리배선막과 장벽금속층 사이의 선택비를 이용한 엔드포인트검출방법으로 상기 장벽금속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구리배선막을 평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의 플레이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전류를 이용한 엔드포인트검출방법으로 상기 트랜치를 갖는 절연막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막 위에서 노출된 장벽금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리배선막에 대한 평탄화는 구리 슬러리 및 산화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벽금속층은 Ta/TaN막이고 상기 절연막은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의 플레이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전류를 이용한 엔드포인트검출방법은, 상기 모터전류를 측정한 후 상기 플레이튼의 회전속도에 따른 상기 장벽금속층의 제거속도를 결정하여 평탄화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00) 위의 제1 절연막(110)에는 제1 배선막패턴(120)이 배치된다. 제1 절연막(110) 및 제1 배선막패턴(120) 위에는 제2 절연막(130)이 배치된다. 제2 절연막(130)은 제1 배선막패턴(120)의 일부표면을 노출시키는 비아홀(131) 및 트랜치(132)를 갖는다. 이 비아홀(131) 및 트랜치(132)는 통상의 다마신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비아홀(131) 및 트랜치(132)를 갖는 결과물 전면에는 장벽금속층(140)이, 예컨대 Ta/TaN막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장벽금속층(140) 위에는 구리배선막(1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과물에 대해 화학적기계적평탄화공정은 2단계 내지 3단계로 수 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부적으로 3단계로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기로 한다.
먼저 1단계로서 구리배선막(150)에 대한 평탄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구조를 갖는 반도체기판(100)을 캐리어(220)에 흡착시키고, 플레이튼(210) 표면에 반도체기판(100)의 구리배선막(도 1의 150)이 거의 접촉되도록 캐리어(220)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튼(210) 표면에 구리 슬러리(slurry) 및 산화제를 공급하는 한편, 플레이튼(210)을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시키고, 캐리어(220)도 화살표(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시켜서 평탄화를 수행한다. 구리배선막(150)과 장벽금속층(140) 사이에는 충분한 선택비가 존재하므로, 이 선택비에 의해 장벽금속층(140)의 표면이 노출될 때를 엔드포인트로 검출하여 평탄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면, 2단계로서 장벽금속층(140)에 대한 평탄화를 수행한다. 평탄화를 수행하는 방법은 구리배선막(150)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장벽금속층(140)과 제2 절연막(130) 사이의 선택비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엔드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하여 플레이튼(도 4의 210)을 회전시키는 모터(도 4의 211)의 회전속도(v)를 이용하여 엔드포인트를 검출한다. 통상적으로 연마속도는 플레이튼(210)의 회전속도와 연관이 있으며, 결국 플레이튼(210)을 회전시키는 모터(211)의 회전속도(v)와 연관이 있다. 즉 플레이튼(210)을 회전시키는 모터(211)의 회전속도(v)와 연마속도와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터(211)의 회전속도(v)에 대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정확한 연마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제거하여야 하는 장벽금속층(140)의 두께와, 연마속도 및 모터(211)의 회전속도(v) 에 대한 관계를 이용하여 장벽금속층(140)에 대한 평탄화시 정확한 엔드포인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모터전류를 측정한 후 플레이튼의 회전속도에 따른 장벽금속층의 제거속도를 결정하여 평탄화시간을 결정하여 엔드포인트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엔드포인트검출을 이용하여 장벽금속층(140)에 대한 평탄화를 수행하게 되면, 제2 절연막(130)의 표면이 노출되게 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계로서 제2 절연막(130)의 표면에 대한 평탄화를 수행한다. 이때 제2 절연막(130)에 대한 평탄화는, 제2 절연막(130) 표면에 구리배선막(150)이나 장벽금속층(140)의 잔류물질이 남지 않을 정도로 미세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에 따르면, 장벽금속층인 Ta/TaN막에 대한 평탄화수행시 엔드포인트를 플레이튼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이용하여 검출함으로써, 하부의 산화막에 대한 선택비가 낮더라도 정확한 엔드포인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장벽금속층에 대한 평탄화시 구리배선막이 과도하게 제거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Claims (4)

  1. 다마신공정에 의해 형성된 트랜치 내에 장벽금속층 및 구리배선막이 증착된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에 있어서,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구리배선막과 장벽금속층 사이의 선택비를 이용한 엔드포인트검출방법으로 상기 장벽금속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구리배선막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의 플레이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플레이튼의 회전속도에 따른 상기 장벽금속층의 제거속도를 산출하여 평탄화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학적기계적평탄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평탄화시간 동안 상기 장벽금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구리배선막에 대한 평탄화는 구리 슬러리 및 산화제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장벽금속층은 Ta/TaN막이고 상기 절연막은 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4. 삭제
KR1020050125637A 2005-12-19 2005-12-19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KR10068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37A KR100687426B1 (ko) 2005-12-19 2005-12-19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37A KR100687426B1 (ko) 2005-12-19 2005-12-19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426B1 true KR100687426B1 (ko) 2007-02-26

Family

ID=3810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637A KR100687426B1 (ko) 2005-12-19 2005-12-19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4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27A (ko) * 2001-07-16 2001-08-22 전형탁 확산방지막내에 동종 금속의 중간 금속박막을 적용한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104545A (ko) * 2002-03-25 2004-12-10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전해가공장치 및 전해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427A (ko) * 2001-07-16 2001-08-22 전형탁 확산방지막내에 동종 금속의 중간 금속박막을 적용한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104545A (ko) * 2002-03-25 2004-12-10 가부시키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전해가공장치 및 전해가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79427
102004010454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0694B1 (en) Reducing CMP scratch, dishing and erosion by post CMP etch back method for low-k materials
JP2659918B2 (ja) 同平坦面の金属層および二酸化シリコン層の形成方法
US6426288B1 (en) Method for removing an upper layer of material from a semiconductor wafer
US6232231B1 (en) Planarized semiconductor interconnect topography and method for polishing a metal layer to form interconnect
JP200900466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834375A (en)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planarization monitor
KR100630293B1 (ko) 반도체 웨이퍼 상의 다마신 구조를 위한 2 단계화학-기계적 평탄화
US6251789B1 (en) Selective slurries for the formation of conductive structures
Khan et al. Damascene process and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US6764954B2 (en) Application of alignment marks to wafer
JP3164213B2 (ja) 埋め込み金属配線の形成方法
KR100687426B1 (ko) 반도체소자의 구리배선막 평탄화방법
JPH0916776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630778B2 (ja) アライメントマークの形成方法
US6514858B1 (en) Test structure for providing depth of polish feedback
US6221560B1 (en) Method to enhance global planarization of silicon oxide surface for IC device fabrication
JPH08339982A (ja) 半導体製造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899597B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using fixed abrasive pads
KR100560307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7172970B2 (en) Polish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planarization
KR19980048378A (ko) 반도체소자의 평탄화방법
JP355615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57340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641992B1 (ko) 구리 배선 형성 방법
KR100642921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