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571B1 - Jellyfish crusher - Google Patents
Jellyfish cru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3571B1 KR100683571B1 KR1020060102489A KR20060102489A KR100683571B1 KR 100683571 B1 KR100683571 B1 KR 100683571B1 KR 1020060102489 A KR1020060102489 A KR 1020060102489A KR 20060102489 A KR20060102489 A KR 20060102489A KR 100683571 B1 KR100683571 B1 KR 100683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ellyfish
- pump
- turbine pump
- pump body
- s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치망 등과 같이 최종 어획물을 일정한 좁은 구역에 몰아넣은 후 어획물을 선박의 갑판상으로 퍼올리는 어업에 있어 어획물과 혼획된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리 및 분쇄 배출시키도록 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펌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어구의 일정 구역에 밀집되어 있는 해파리를 해수와 함께 흡입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흡입호퍼에 형성된 절단수단과 터빈펌프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에 의하여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류와 함께 혼획된 해파리를 어구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 및 해파리에 의한 어류의 선도저하와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고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해파리의 분리 배출시 해파리가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분쇄되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구제기능 또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fish pulverizing discharger for separating and pulverizing the jellyfish mixed with the catch out of the fishery in the fishing for driving the final catch in a certain narrow area, such as a political network, and spreading the catch on the deck of the ship. More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suctioning and discharging jellyfish concentrated in a certain area of the fishing gear together with the sea water by 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turbine pump, the jellyfish is taken out of the fishing gear by cutting means formed on the suction hopper and grinding means formed on the turbine pump side. By pulverizing and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separate the jellyfish caught with the fish from the fishing equipment,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xpense of separating the jellyfish, lea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ish caused by the jellyfish and worker injury. By minimizing and improving the balance of pay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fish crushing ejector that can contribute to the income increase of the fisherman and to achieve the jellyfish rescue function by cutting and crushing the jellyfish to a certain size when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jellyfish.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3)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터빈펌프(25)가 펌프바디(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펌프바디(10)의 내부공간은 중앙측 격벽(24)에 의하여 터빈펌프(25)의 선단에 형성된 흡입부(26)를 포함하는 전방격실(101)과 터빈펌프(25)의 후단에 형성된 토출공(27)을 포함하는 후방격실(102)로 구획되며, 상기 펌프바디(10)의 전방측 유입관부(11)에는 해파리의 유입호스(13)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펌프바디(10)의 후방측 배출관부(19)에는 분쇄된 해파리의 배출호스(22)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입호스(13)의 선단에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절단날(18)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해파리의 흡입호퍼(14)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펌프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방격실(101)로 노출되는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 전방측에는 임펠러축(8)과 연결 설치되는 회전분쇄축(28)이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분쇄축(28)을 따라서는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측으로 유입되는 해파리의 2차 분쇄를 위한 다수 개의 분쇄핀(29)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urbine pump 25 oper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3 is inserted into the pump body 10, and the inner space of the pump body 10 is a central partition wall ( 24 to the rear compartment 102 including the front compartment 101 including the suction part 26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turbine pump 25 and the discharge hole 27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urbine pump 25. It is partitioned, the inlet hose 13 of the jellyfish is connected to the front inlet pipe portion 11 of the pump body 10, the discharge of the pulverized jellyfish in the rear discharge pipe portion 19 of the pump body 10 The hose 22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suction hopper 14 of the jellyfish, which is formed to radially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having a funnel shape,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inlet hose 13. The turbine pump 25 is inserted into the pump body 10 and exposed to the front compartment 101. At 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part 26, the rotary grinding shaft 28 connected to the impeller shaft 8 is formed to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uction portion of the turbine pump 25 is located along the rotary grinding shaft 28. A plurality of crushing pins 29 for the second crushing of the jellyfish flowing into the (26)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ellyfish pulverized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의 흡입호퍼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ction hopper of the jellyfish pulverizing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의 펌프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the pump body of the jellyfish pulverizing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schematic use state of the jellyfish pulverized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분쇄배출기 2 : 바닥프레임 3 : 구동모터1: grinding ejector 2: floor frame 3: driving motor
4 : 구동풀리 5 : 벨트 6 : 종동풀리4 driven
7 : 축하우징 7a : 지지브라켓 8 : 임펠러축7:
9 : 펌프커버 10 : 펌프바디 10a : 지지다리9: pump cover 10:
11 : 유입관부 12,20 : 연결플랜지 13 : 유입호스11:
14 : 흡입호퍼 15 : 호퍼연결관 16 : 보강손잡이14: suction hopper 15: hopper connector 16: reinforcing handle
17 : 보강테두리 17a : 고리 18 : 절단날17:
19 : 배출관부 21 : 배출파이프 22 : 배출호스19: discharge pipe portion 21: discharge pipe 22: discharge hose
23 : 배출캡 23a : 손잡이 24 : 격벽23:
24a : 팩킹 25 : 터빈펌프 26 : 흡입부24a: packing 25: turbine pump 26: suction part
27 : 토출공 28 : 회전분쇄축 29 : 분쇄핀27: discharge hole 28: rotary grinding shaft 29: grinding pin
30 : 선박 31 : 그물망 101 : 전방격실30: ship 31: net 101: front compartment
102 : 후방격실102: rear compartment
본 발명은 정치망 등과 같이 최종 어획물을 일정한 좁은 구역에 몰아넣은 후 어획물을 선박의 갑판상으로 퍼올리는 어업에 있어 어획물과 혼획된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리 및 분쇄 배출시키도록 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펌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어구의 일정 구역에 밀집되어 있는 해파리를 해수와 함께 흡입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흡입호퍼에 형성된 절단수단과 터빈펌프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에 의하여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llyfish pulverizing discharger for separating and pulverizing the jellyfish mixed with the catch out of the fishery in the fishing for driving the final catch in a certain narrow area, such as a political network, and spreading the catch on the deck of the ship. More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suctioning and discharging jellyfish concentrated in a certain area of the fishing gear together with the sea water by 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turbine pump, the jellyfish is taken out of the fishing gear by cutting means formed on the suction hopper and grinding means formed on the turbine pump side. It is about making it possible to grind and discharge.
일반적으로 정치망(定置網: Set net) 등을 이용한 조업방식은 수심이 약 50m 이하가 되는 인근 해역에 일정한 기간동안 정치망어구를 쳐 놓은 다음, 고기떼가 길그물을 거쳐 통그물의 내부로 유도되도록 하여 물고기를 대량으로 어획하는 방식으로서, 물고기의 어획을 위한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선박을 이용하여 정치망의 원통을 양망시킴과 동시에, 최종 어획된 물고기를 일정한 좁은 구역으로 몰아넣은 상태에서 어획물을 어구로부터 선박의 갑판상으로 퍼올리게 된다.In general, a fishing net using a set net or the like is used to set up a fishing ne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nearby sea where the depth is about 50m or less, and then bring the fish to the inside of the net through the net. A method of catching a large amount of fish, in which a fish catches a cylinder of a political network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catching fish, and at the same time, catches the fish from the fishing equipment while driving the fish caught into a certain narrow area. Spread on deck.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해 파리가 연안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여 물고기와 함께 혼획됨으로써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바, 해파리로 인한 어업 피해의 유형은 함정어구인 정치망 뿐만 아니라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트롤, 저인망, 안강망, 권현망, 낭장망, 주목망과 같은 조업방식 및 걸어구인 자망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어업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flies have appeared in coastal waters in large quantities in summer, causing them to be encroached with fish, causing enormous damage to fishery. It is found in various forms in almost all fisheries, including fishing nets, trolls using nets, fishing nets, eye nets, Kwon Hyun nets, nang nets, and net nets.
특히, 함정어구인 정치망 등의 경우에는 선박을 이용하여 정치망어구를 수면으로 양망시키되, 정치망어구의 일부가 바닷속에 잠기게 하여 어획물이 밀집상태를 이루도록 한 다음 어구로부터 어획물을 선박의 갑판으로 퍼 올리는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해파리의 촉수에 의한 어획물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어획물의 선도(鮮度)를 최대한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어획물로부터 해파리를 신속하게 분리시켜 어구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political fishing net such as a trap fishing gear, the political fishing gear is used to lift the surface of the political fishing gear into the water, and a part of the political fishing gear is submerged in the sea so that the catches are concentrated. In order to minimize damage to the catch by jellyfish tentacles and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catch, it is very important to quickly isolate the jellyfish from the catch and discharge it out of the fishery.
그러나, 정치망어구의 내부에서 어획물과 함께 밀집되는 해파리를 어획물과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게 될 뿐만 아니라, 해파리와 어획물의 분리를 거의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함으로서, 어획물과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어업환경을 더욱 열악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해파리 분리작업의 지연에 따른 어획물의 선도저하 및 작업자의 피부가 해파리의 독에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인체에 손상을 입히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문제점을 야기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각종 요인들로 인하여 출몰되는 해파리의 량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조업자체를 포기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the task of separating the jellyfish, which are concentrated together with the catch from the catch, becomes very difficult, and the separation of the jellyfish and the fish has to be relied on by hand, which is a considerable time and cost. There was a problem that made the fishing environment worse, and the secondary problems such as lowering the freshness of the catch due to the delay of jellyfish separation work and damaging the human body as the worker's skin is exposed to the jellyfish's poison. In addition to these causes, if there are too many jellyfish haunted by these various factors, there have been frequent cases of giving up contracto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는 터빈펌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어구의 일정 구역에 밀집되어 있는 해파리를 해수와 함께 흡입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흡입호퍼에 형성된 절단수단과 터빈펌프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에 의하여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류와 함께 혼획된 해파리를 어구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 및 해파리에 의한 어류의 선도저하와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고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해파리의 분리 배출시 해파리가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분쇄되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구제기능 또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jellyfish pulverization dis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uction power of the turbine pump process of inhaling and discharging jellyfish concentrated in a certain area of the fishing gear with seawater By cutting means formed on the suction hopper and the grinding means formed on the turbine pump side in the pulverized jellyfish out of the gear,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separate the jellyfish caught with the fish from the fishing gear, thereby The time and expense of segregation work and the deterioration of fish leading to jellyfish and worker's injury are minimized, and the management balance according to the fishery can be greatly contributed to increase the income of fishers. By cutting and grinding to size And a second function also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o achiev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터빈펌프가 펌프바디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펌프바디의 내부공간은 중앙측 격벽에 의하여 터빈펌프의 선단에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하는 전방격실과 터빈펌프의 후단에 형성된 토출공을 포함하는 후방격실로 구획되며, 상기 펌프바디의 전방측 유입관부에는 해파리의 유입호스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펌프바디의 후방측 배출관부에는 분쇄된 해파리의 배출호스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입호스의 선단에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절단날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해파리의 흡입호퍼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펌프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방격실로 노출되는 터빈펌프의 흡입부 전방측에는 임펠러 축과 연결 설치되는 회전분쇄축이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분쇄축을 따라서는 터빈펌프의 흡입부측으로 유입되는 해파리의 2차 분쇄를 위한 다수 개의 분쇄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turbine pump which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ump body, the inner space of the pump body by the center side partition wall at the tip of the turbine pump It is partitioned into a front compartment including a formed suction part and a rear compartment including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turbine pump, the inlet hose of the jellyfish is connected to the front inlet pipe of the pump body, the discharge of the rear side of the pump body The discharge hose of the pulverized jellyfish is connected to the pipe portion, and the suction hopper of the jellyfish formed with a cutting blade radially protru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having a funnel shape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inlet hose. An impeller shaft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part of the turbine pump inserted into the body and exposed to the front compartment. Is the rotating grinding shaft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axis the rotary grin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ing a plurality of cutting blade protrudes to a second milling of the jellyfish that flows to the suction side part of the turbine pump.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의 흡입호퍼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의 펌프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ellyfish pulverized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uction hopper of the jellyfish pulverized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pump body structure of the jellyfish pulverized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me cross-sectional side view,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use state of the jellyfish pulverized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1)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터빈펌프가 내장되는 사각 형상의 펌프바디(10)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바디(10)는 하부측에 형성된 지지다리(10a)가 바닥프레임(2)상에 고정되어 펌프바디(10)가 바닥프레임(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펌프바디(10)의 후방측에는 터빈펌프의 작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상기 구동수단은 바닥프레임(2)상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3)와,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풀리(4)와 벨트(5)로서 연결되는 종동풀리(6)가 후단부에 고정 설치된 임펠러축(8)이 되고, 상기 임펠러축(8)이 펌프바디(10)의 내부로 연장되어 터빈펌프의 임펠러(Impeller)와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펌프바디(10)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임펠러축(8)에는 각종 감속수단 및/또는 베어링수단 등이 내장된 축 하우징(7)이 설치되고, 상기 축하우징(7)은 하부측 지지브라켓(7a)과 함께 바닥프레임(2)상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The driving means is a rear end of a
상기 구동모터(3)는 전기모터가 될 수도 있고, 베인모터나 기어모터 또는 플런저모터와 같은 유압모터가 될 수도 있으나, 선박의 갑판상에 설치되어 해수와의 접촉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성이 높은 전기모터보다는 유압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모터(3)로서 유압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압모터의 작동을 위한 공지의 유압장치나 유압회로가 본 발명의 분쇄배출기(1)와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The
그리고, 도면상에서는 구동모터(3)의 구동풀리(4)가 임펠러축(8)의 종동풀리(6)와 벨트(5)로서 연결되어 구동모터(3)의 동력이 임펠러축(8)에 전달되도록 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벨트(5) 및 풀리(4)(6)에 의한 동력전달방식 이외에도 체인 및 스프라켓식 또는 기어치합식과 같은 형태의 동력전달구조를 적용시킬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구동모터(3)의 출력축(회전축)을 임펠러축(8)과 직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And, in the drawing, the
또한, 상기 펌프바디(10)의 전방 상측에 형성된 유입관부(11)에는 연결플랜지(12)에 의하여 해파리의 유입호스(13)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펌프바디(10)의 상부 중앙측에 형성된 배출관부(19)에는 연결플랜지(20)에 의하여 배출파이프(21)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파이프(21)의 선단에 분쇄된 해파리의 배출호스(22)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배출호스(22)의 선단부에는 배출호스(22)의 용이한 사용을 위하여 손잡이(23a)를 구비하는 배출캡(2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유입호스(13)의 선단부에는 해파리의 흡입호퍼(14)가 연결 설치되는 데, 상기 흡입호퍼(14)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몸체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파이프 골조 형상의 보강테두리(17)가 일체로 형성되고, 흡입호퍼(14)를 유입호스(13)와 연결시키기 위한 호퍼연결관(15)이 흡입호퍼(14)의 후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흡입호퍼(14)를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정치망어구를 양망하여 어획물이 일정한 좁은 공간으로 밀집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해파리의 대부분은 수면으로 부상(浮上)하게 되고 어류의 대부분은 정치망어구의 바닥측으로 내려가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수면으로 부상하는 해파리를 해수와 함께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흡입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forming the
또한, 상기 호퍼연결관(15)은 유입호스(13)와 흡입호퍼(14)를 직결시킬 경우 흡입호퍼(14)가 연결되는 유입호스(13)의 선단부측이 흡입호퍼(14)의 사용과정에서 갈라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경질(硬質)의 호퍼연결관(15)을 흡입호퍼(14)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유입호스(13)의 연결작업 및 흡입호퍼(14)의 사용을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수행토록 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호퍼(14)를 유입호스(13)에 직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흡입호퍼(14)의 사용시 흡입호퍼(14)의 용이한 파지(把持)와 흡입호퍼(14)의 강도보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호퍼연결관(15)과 흡입호퍼(14)의 몸체 또는 보강테두리(17) 부분에 걸쳐 파이프 형상의 보강손잡이(16)가 가로지게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호퍼(14)의 입구측 보강테두리(17) 부분을 따라서는 흡입호퍼(14)를 밧줄이나 끈과 같은 수단으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고리(17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호퍼연결관(15)의 입구측과 근접한 흡입호퍼(14)의 몸체 내주면을 따라서는 해파리의 절단을 위한 절단날(18)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데, 상기 절단날(18)에 의하여 흡입호퍼(14)로부터 호퍼연결관(15)을 거쳐 유입호스(13)로 유입되는 해파리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도록 함으로서, 호퍼연결관(15) 및 유입호스(13)의 막힘 현상없이 해파리를 펌프바디(10)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hopper 14 close to the inlet side of the
따라서, 깔때기 형상의 흡입호퍼(14) 내주면을 따라 해파리의 절단이 가능한 절단날(18)이 형성된다는 조건하에서 호퍼연결관(15)이나 보강손잡이(16) 또는 보강테두리(17)와 같은 나머지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그 형상이나 구조 또는 설치유무를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날(18)의 설치갯수나 설치위치 및 그 형태 또한 사용자가 임의대로 변경시킬 수 있는 사항임을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ly, the remaining configuration such as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바디(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3)의 동력을 전달받아 임펠러(Impeller)가 회전 작동하는 터빈펌프(25)가 삽입 설치되는 데, 상기 터빈펌프(25)는 펌프바디(10)의 후방측을 통하여 펌프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터빈펌프(25)의 후단부에 형성된 펌프커버(9)가 팩킹이나 실링 등을 개재시킨 상태로 펌프바디(10)의 후방벽체상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respectively, as components corresponding to other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eller is received inside the
또한, 상기 펌프바디(10)의 내부공간은 중앙측 격벽(24)에 의하여 터빈펌프(25)의 선단에 형성된 흡입부(26)를 포함하는 전방격실(101)과 터빈펌프(25)의 후단에 형성된 토출공(27)을 포함하는 후방격실(102)로 구획됨으로서, 연결플랜지(12)에 의하여 상기 유입호스(13)와 연결되는 유입관부(11)가 펌프바디(10)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어 전방격실(101)과 연통되고, 연결플랜지(20) 및 배출파이프(21)에 의하여 상기 배출호스(22)와 연결되는 배출관부(19)가 펌프바디(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어 후방격실(102)과 연통된다.In addition, the inner space of the
그리고, 상기 펌프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방격실(101)로 노출되는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길이가 짧은 파이프 형상을 가짐) 전방측에는 임펠러축(8)과 연결 설치되어 임펠러축(8)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분쇄축(28)이 흡입부(26)의 중앙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분쇄축(28)을 따라서는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측으로 유입되는 해파리의 2차 분쇄를 위한 다수 개의 분쇄핀(29)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let portion 26 (having a short pipe shape) of the
따라서, 구동모터(3)에 의한 임펠러축(8)의 회전으로 터빈펌프(25)의 내부에 설치된 미도시된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면,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측으로부터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흡입호퍼(14)로부터 유입호스(13)를 거쳐 1차 절단된 해파리가 해수와 함께 펌프바디(10)의 전방격실(1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전방격실(101)로 유입된 해파리 및 해수가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임펠러축(8)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분쇄축(28)의 분쇄핀(29)에 의하여 해파리의 2차 분쇄가 이루어진 다음, 터빈펌프(25)의 토출공(27)을 통하여 후방격실(102)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impeller shown in the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터빈펌프(25)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고, 회전분쇄축(28)에 형성된 분쇄핀(29) 또한 핀(Pin) 형상 이외에 스크류나 톱니 형상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면상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가 펌프바디(10)의 중앙 격벽(24)을 관통하는 부위에 팩킹(24a)을 개재시킨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 외주면이 격벽(24)과 끼움식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또한, 본 발명의 분쇄배출기(1)는 장치의 내부로 해수가 유동하는 것이므로 해수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위, 예를 들어 호퍼연결관(15)을 포함하는 흡입호퍼(14)와 펌프바디(10), 터빈펌프(25), 배출파이프(21) 등과 같은 부품은 부식에 강한 금속이나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입호스(13)와 배출호스(22) 또한 보강용 금속선이나 금속망 등이 삽입되어 있는 보강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ushing discharg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seawate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의 작용관계를 도 4를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jellyfish pulverizing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정치망 등과 같은 함정어구가 설치되어 있는 연안해역으로 선박을 이동시킨 다음,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양망기를 사용하여 정치망어구를 양망시키되, 정치망어구의 일부는 선박측으로 양망되도록 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바닷속에 잠기게 함으로서, 바닷속에 잠긴 정치망어구의 일정한 좁은 공간으로 어획물이 밀집상 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First, the ship is moved to the coastal area where the trap fishing gear such as political net is installed, and then the net fishing gear is used to lift the political fishing gear by using the double mesh equipment installed on the ship. By being immersed in the water, the catches are concentrated in a narrow space of political fishing gear submerged in the sea.
상기와 같이 정치망어구를 양망하여 어획물이 일정한 좁은 공간으로 밀집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해파리의 대부분은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고 어류의 대부분은 정치망어구의 바닥측으로 내려가게 되는 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박(30)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배출기(1)를 이용하여 정치망어구의 그물망(31)에 갇혀 수면으로 부상하는 해파리를 정치망어구의 밖으로 분리 및 분쇄 배출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jellyfish rise to the surface and most of the fish descends to the bottom of the political fishing net in the process of causing the fishing net to be concentrated in a certain narrow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jellyfish trapped in the
즉, 본 발명의 분쇄배출기(1)에 설치된 구동모터(3)를 작동시킴으로서 구동모터(3)로부터 발생한 동력이 구동풀리(4)와 벨트(5) 및 종동풀리(6)를 거쳐 임펠러축(8)으로 전달되도록 하면, 터빈펌프(25)의 내부에 삽입된 미도시된 임펠러가 회전하여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측으로부터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입호스(13)의 선단에 설치된 흡입호퍼(14)를 그물망(31)의 내부에서 부상한 해파리층과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게 된다.That is, by operating the drive motor (3) installed in the crushing discharg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3) via the drive pulley (4), belt (5) and driven pulley (6) the impeller shaft ( 8), the impeller (not shown) inserted into the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측으로부터 발생한 흡입력에 의하여 그물망(31)의 내부에 갇힌 상태로 부상한 해파리가 해수와 함께 흡입호퍼(14)로 유입됨과 동시에, 흡입호퍼(14)의 내부에 형성된 절단날(18)에 의하여 해파리가 일정한 크기로 1차 절단된 다음, 호퍼연결관(15)과 유입호스(13)를 거쳐 펌프바디(10)의 전방격실(101) 내부로 유입된다.In such a state, the jellyfish floating in the trapped state inside the net 31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전방격실(101)로 유입된 해파리 및 해수가 터빈펌프(25)의 흡입부(26)측으로 재유입되는 과정에서 임펠러축(8)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분쇄 축(28)의 분쇄핀(29)에 의하여 1차 절단된 해파리가 더욱 작은 크기로 2차 분쇄된 다음, 터빈펌프(25)의 토출공(27)을 통하여 펌프바디(10)의 후방격실(102)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터빈펌프(25)의 임펠러를 거치는 과정에서도 해파리의 추가적인 분쇄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jellyfish and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상기와 같이 펌프바디(10)의 후방격실(102)로 배출된 해파리 및 해수는 배출관부(19)와 배출파이프(21) 및 배출호스(22)를 거쳐 정치망어구의 그물망(31) 외부에 해당하는 해수면으로 최종 배출되는 바,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그물망(31)에 갇힌 상태로 부상한 거의 모든 해파리를 연속적이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어구밖으로 분리 및 분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Jellyfish and seawater discharged to the
상기와 같이 어류와 함께 혼획된 해파리를 연속적이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음에 따라, 해파리와 함께 혼획된 어류가 해파리의 촉수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어류의 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시 작업자의 인체가 해파리의 독에 노출되어 상해를 입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the jellyfish caught with the fish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continuously, quickly and easily, the fish caught with the jellyfish can be kept fresh by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the jellyfish's tentacles. In addition, the worker's human body is exposed to the jellyfish's poison when the fish and the jellyfish are separated.
이와 더불어, 해파리와 어획물의 분리를 터빈펌프(25)에 의한 자동화된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파리의 분리 배출시 해파리가 절단날(18)과 분쇄핀(29)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분쇄되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구제기능 또한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the jellyfish and the catch can be performed by an automated operation by the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1)를 정치망 등과 같은 함정어구를 이용하는 조업방식에 적용토록 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정치망과 같은 조업방식 이외에도 권현망이나 선망 등을 이용한 조업방식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1)의 적용이 가능하게 됨을 밝혀두는 바이다.Lastly, the above description was made to apply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파리 분쇄배출기는, 터빈펌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어구의 일정 구역에 밀집되어 있는 해파리를 해수와 함께 흡입 및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흡입호퍼에 형성된 절단수단과 터빈펌프측에 형성된 분쇄수단에 의하여 해파리를 어구밖으로 분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류와 함께 혼획된 해파리를 어구로부터 연속적이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jellyfish pulverizing e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cutting means and the turbine pump side formed in the suction hopper in the process of inhaling and discharging the jellyfish concentr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shing gear with the seawater by 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turbine pump By pulverizing and discharging the jellyfish out of the gear by the crushing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parated continuously and quickly and easily from the fish jellyfish caught with the fish.
상기와 같이 어류와 함께 혼획된 해파리를 연속적이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음에 따라, 해파리와 함께 혼획된 어류가 해파리의 촉수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어류의 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뿐만 아니라, 어류와 해파리의 분리작업시 작업자의 인체가 해파리의 독에 노출되어 상해를 입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jellyfish caught with the fish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continuously, quickly and easily,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fish caught with the jellyfish by the tentacles of the jellyfish, thereby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the fish.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workers from being exposed to the poison of the jellyfish injuries when separating the fish and jellyfish.
이와 더불어, 해파리와 어획물의 분리를 터빈펌프에 의한 자동화된 작업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 또한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업에 따른 경영수지의 개선으로 어업 인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파리의 분리 배출시 해파리가 절단날과 분쇄핀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분쇄되도록 함으로서 해파리의 구제기능 또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eparation of jellyfish and catches by an automated operation by a turbine pump, thereby minimizing the time and expense required for the separation of jellyfish, thereby reducing the management balance of the fishery.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income of the fisherman to improve greatly, the jellyfish is cut and crushed to a certain size by the cutting blade and the crushing pin when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jellyfish is also effective to achieve the rescue function of the jellyfish. .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2489A KR100683571B1 (en) | 2006-10-20 | 2006-10-20 | Jellyfish cru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2489A KR100683571B1 (en) | 2006-10-20 | 2006-10-20 | Jellyfish cru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3571B1 true KR100683571B1 (en) | 2007-02-16 |
Family
ID=3810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2489A Active KR100683571B1 (en) | 2006-10-20 | 2006-10-20 | Jellyfish cru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3571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9591B1 (en) * | 2007-07-24 | 2007-11-30 | 대한민국 | Jellyfish separation and cutting network |
KR101145521B1 (en) | 2009-12-15 | 2012-05-15 | 한국과학기술원 | Apparatus for Removing Jellyfish |
KR200463061Y1 (en) | 2010-04-15 | 2012-10-16 | 김정학 | Automatic Pallet Collection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200472999Y1 (en) | 2013-05-24 | 2014-06-03 | 이원섭 | underwater crushing device for removing jellyfish |
KR200475870Y1 (en) | 2013-06-03 | 2015-01-08 | 주식회사 레오텍해양개발 | Jellyfish grinder |
US20200015464A1 (en) * | 2017-03-24 | 2020-01-16 | Karmøy Winch As | A pumping system and method |
KR102807751B1 (en) * | 2024-11-13 | 2025-05-16 | 에코클린 사회적협동조합 | Grease Trap Purification Apparatus |
KR102838051B1 (en) * | 2022-07-06 | 2025-07-24 | 장연둘 | Device for suction and grind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3576A (en) * | 2005-05-16 | 2005-06-08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Jellyfish separation system |
-
2006
- 2006-10-20 KR KR1020060102489A patent/KR1006835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3576A (en) * | 2005-05-16 | 2005-06-08 |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Jellyfish separation system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9591B1 (en) * | 2007-07-24 | 2007-11-30 | 대한민국 | Jellyfish separation and cutting network |
KR101145521B1 (en) | 2009-12-15 | 2012-05-15 | 한국과학기술원 | Apparatus for Removing Jellyfish |
KR200463061Y1 (en) | 2010-04-15 | 2012-10-16 | 김정학 | Automatic Pallet Collection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200472999Y1 (en) | 2013-05-24 | 2014-06-03 | 이원섭 | underwater crushing device for removing jellyfish |
KR200475870Y1 (en) | 2013-06-03 | 2015-01-08 | 주식회사 레오텍해양개발 | Jellyfish grinder |
US20200015464A1 (en) * | 2017-03-24 | 2020-01-16 | Karmøy Winch As | A pumping system and method |
KR102838051B1 (en) * | 2022-07-06 | 2025-07-24 | 장연둘 | Device for suction and grinding |
KR102807751B1 (en) * | 2024-11-13 | 2025-05-16 | 에코클린 사회적협동조합 | Grease Trap Purification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3571B1 (en) | Jellyfish crusher | |
JP4573312B1 (en) | Jellyfish crusher | |
KR102264763B1 (en) | Food processing device | |
KR101474066B1 (en) | Apparatus for gathering and cutting a jelly fish | |
KR101524814B1 (en) | Oystershells washing grinder | |
CN111771850A (en) | Collecting and destroying device for ampullaria gigas eggs | |
JP2002000125A (en) | Jellyfish excluder from fish net | |
KR20140130656A (en) | Apparatus for gathering and cutting a jelly fish | |
CN107079886A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ping planktonic organism automatically under water | |
KR100878680B1 (en) | Jellyfish Exclusion Fishing Net | |
ITBA990027A1 (en) | SARDINER CHOPPER FOR AMATEUR FISHING. | |
KR20200101580A (en) | apparatus of treatment coating thread for oysterfarming | |
KR102626299B1 (en) | Grinder-type submersible pump with improved cutting ability of foreign substances | |
KR100518361B1 (en) | Jellyfish separation system | |
JP2016125277A (en) | Dredging system | |
CN105875531B (en) | Fishing device | |
CN201526460U (en) | Shear type sewage pump | |
CN109811816A (en) | A kind of sludge pump for river course clear up | |
KR200475870Y1 (en) | Jellyfish grinder | |
CN210248290U (en) | Agaricus bisporus cleaning device | |
CN208599522U (en) | One breeding eel feed mixed stirring device | |
KR200324700Y1 (en) | A fish preserve | |
CN213419508U (en) | Improved submersible pump base | |
JP6078200B1 (en) | Raw seaweed foreign material separator | |
CN221798554U (en) | Dredg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09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9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