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506B1 - Stai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tai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3506B1 KR100683506B1 KR1020040057254A KR20040057254A KR100683506B1 KR 100683506 B1 KR100683506 B1 KR 100683506B1 KR 1020040057254 A KR1020040057254 A KR 1020040057254A KR 20040057254 A KR20040057254 A KR 20040057254A KR 100683506 B1 KR100683506 B1 KR 100683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assembled
- landing
- anchor
- st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09—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1—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 E04F2011/0212—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mainly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현장에서 조립시공이 가능한 계단 조립체가 개시된다. 그러한 계단조립체는 하부층에 설치되는 하부 랜딩앙카와, 상부층에 설치되는 상부 랜딩앙카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랜딩앙카에 각각 조립됨으로써 상부층과 하부층을 서로 연결하는 내측 및 외측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의 내부에 조립되어 계단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계단 조립체 및 시공방법은 현장에서 계단 부품을 직접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음으로 시공이 간편하다.Disclosed is a staircase assembly that can be assembled on site. Such a staircase assembly includes a lower landing anchor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an upper landing anchor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an inner and outer frame connecting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to each other by being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landing anchors, respectively, and the inner and outer sides.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eps assembled inside the frame to form a staircase. The stai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is easy to construction because it can be assembled by direct assembly of the stairs parts in the field.
계단, 조립, 현장, 프레임, 호이스트, 체인블럭, 앙카Stairs, Assembly, On-Site, Frame, Hoist, Chain Block, Anchor
Description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i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는 도1 에 도시된 계단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aircase assembly shown in FIG.
도3(a) 는 도2 에 도시된 하부 혹은 상부 랜딩앙카의 평면도이고, 도3(b) 는 정면도이고, 도3(c) 는 측면도이다.Fig. 3 (a) is a plan view of the lower or upper landing anchor shown in Fig. 2, Fig. 3 (b) is a front view, and Fig. 3 (c) is a side view.
도4(a) 는 도2 에 도시된 볼트(Bolt)로 앙카 바(Anchor Bar)역할을 하는 하부 혹은 상부 랜딩앙카의 평면도이고, 도4(b) 는 정면도이고, 도4(c) 는 측면도이고, 도4(d) 는 측면도이다.FIG. 4 (a) is a plan view of a lower or upper landing anchor acting as an anchor bar with the bolt shown in FIG. 2, FIG. 4 (b) is a front view, and FIG. 4 (c) is a side view. 4 (d) is a side view.
도5(a) 는 도2 에 도시된 철근을 삽입하여 앙카 바(Anchor Bar)역할을 하는 하부 혹은 상부 랜딩앙카의 평면도이고, 도5(b) 는 정면도이고, 도5(c) 는 측면도이고, 도5(d) 는 측면도이다.Figure 5 (a) is a plan view of the lower or upper landing anchor acting as an anchor bar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shown in Figure 2, Figure 5 (b) is a front view, Figure 5 (c) is a side view 5 (d) is a side view.
도6 은 도2 에 도시된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2.
도7(a) 는 내측 또는 외측 프레임의 정면도이고, 도7(b) 는 단면도이다.Fig. 7 (a) is a front view of the inner or outer frame, and Fig. 7 (b) is a sectional view.
도8 은 랜딩앙카에 내측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8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frame is coupled to a landing anchor.
도9(a) 는 도8 에 도시된 제1 철물부재의 평면도이고, 도9(b) 는 정면도이 고, 도9(c) 는 측면도이다. Fig. 9A is a plan view of the first hardware member shown in Fig. 8, Fig. 9B is a front view, and Fig. 9C is a side view.
도10(a) 는 도8 에 도시된 제2 철물부재의 평면도이고, 도10(b) 는 정면도이고, 도10(c) 는 측면도이다. Fig. 10 (a)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hardware member shown in Fig. 8, Fig. 10 (b) is a front view, and Fig. 10 (c) is a side view.
도11(a) 는 도8 에 도시된 제3 철물부재의 평면도이고, 도11(b) 는 정면도이고, 도11(c) 는 측면도이다.Fig. 11A is a plan view of the third hardware member shown in Fig. 8, Fig. 11B is a front view, and Fig. 11C is a side view.
도12(a) 는 도8 에 도시된 제4 철물부재의 평면도이고, 도12(b) 는 정면도이고, 도12(c) 는 측면도이다.Fig. 12A is a plan view of the fourth hardware member shown in Fig. 8, Fig. 12B is a front view, and Fig. 12C is a side view.
도13 은 도2 에 도시된 계단 조립체의 계단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stairs of the stairs assembly shown in FIG.
도14 는 도13 에 도시된 계단의 일실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stairs shown in FIG.
도15(a) 는 도14 에 도시된 계단의 정면도이고, 도15(b) 는 도 14에 도시 된 계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15 (a) is a front view of the stairs shown in FIG. 14, and FIG. 15 (b)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airs shown in FIG.
도16(a) 는 도14 에 도시된 계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6(b) 는 계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6(c) 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16 (a)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airs shown in Fig. 14, Fig. 16 (b)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airs, and Fig. 16 (c) is another embodiment.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도17(a) 는 도13 에 도시된 내측 프레임에 다수의 계단스텝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7(b) 는 도17(a) 에 도시된 계단스텝이 볼트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17 (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tepping steps are assembled in the inner frame shown in Fig. 13, and Fig. 17 (b) shows that the stepping step shown in Fig. 17 (a) is fastened by bolts.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state.
도18(a) 는 도13 에 도시된 외측 프레임에 계단스텝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8(b) 는 도18(a) 에 도시된 계단스텝이 볼트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18 (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p step is assembled to the outer frame shown in Fig. 13, and Fig. 18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p step shown in Fig. 18 (a) is fastened by bolts. It is sectional drawing.
도1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에 난간이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1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at a handrail is installed in a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 은 도19 의 정면도이다.20 is a front view of FIG.
도21 은 도20 의 "B"의 부분 확대도이다.FIG. 2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B” of FIG. 20.
도22 는 랜딩앙카에 서포트가 조립된 것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Fig. 2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is assembled to the landing anchor.
도2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를 시공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of a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4 는 도23 에 도시된 계단 조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taircase assembly shown in FIG. 23. FIG.
도25 는 도24 에 도시된 인양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FIG. 2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on an enlarged scale the lifting means shown in FIG. 24; FIG.
도26 은 도25 의 측면도이다.Figure 26 is a side view of Figure 25;
도27 은 도24 에 도시된 서포트의 확대 사시도이다.FIG. 2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shown in FIG.
본 발명은 계단 조립체 및 이 계단 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별도의 인양장비가 없이도 계단 부품을 직접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계단 조립체 및 계단 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case assembl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taircas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p assembl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aircase assembly that can be assembled by direct construction of a stairway part without a separate lifting equipment in the field. will be.
일반적으로 계단은 층층이 올라가고 내려가도록 만들어 놓은 건축 구조물이며, 그 형태로는 곧은 계단, 골절계단, 중공(中空)계단, 원형계단, 나선계단 등이 있다.Generally, stairs are building structures that are made to go up and down, and the forms include straight stairs, fracture stairs, hollow stairs, circular stairs, and spiral stairs.
이러한 계단은 철골 및 P.C로 공장에서 조립하여 완성 형태로 제조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별도의 장비로 인양하여 계단을 설치하게 된다. These staircases are assembled in the factory with steel frame and P.C and manufactured in a completed form, then transported to the site and lifted as separate equipment to install the stairs.
그러나, 이러한 계단 시공방법은 장비가 없는 현장에서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 신축 시 계단은 층고에 따른 경사가 수반되어 시공이 어렵고, 품질향상이 어려웠다.However, such a stair construction method has a difficult installation in the field without equipment. In addition, when building a new building, the stairs were inclined according to the floor height, making construction difficult and improving quality.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P.C 및 철골계단이 등장하였으나 P.C 및 철골계단은 중량물 구조체로써 품질은 양호하나 설치에 따른 인양장비가 필수불가결한 요소였다. 그러므로 인양장비가 없는 현장에서는 적용을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As a solution to this, P.C and steel staircases appeared, but P.C and steel staircases are heavy structures and have good quality, but lifting equipment is indispensab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applied at the site without the lifting equipment.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계단의 시공작업은 거푸집 조립,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해체 등의 5개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시공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airs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it goes through five processes such as formwork assembly, reinforcement, concrete placement, concrete curing, and formwork dismantl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비의 설치유무와 상관없이 계단 조립체를 인양장비가 없어도 숙련공이 아닌 일반 기능공 수준으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계단 조립체 및 이 계단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t the level of general skilled workers, not skilled workers without lifting equipment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of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ir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air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장비가 있는 현장에서는 현장 하부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설치를 할 수 있지만, 별도의 인양장비가 없는 현장에서도 인력에 의하여 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계단 조립체 를 완성함으로써 전 건축현장에서 부담 없이 시공할 수 있는 계단 조립체 및 이 계단 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y using the lifting equipment by sequentially assembling the parts in the lower part of the site in the lifting equipment, the parts are assembled sequentially by the personnel even in the site without a separate lifting equipm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ir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air assembly, which can be freely constructed in all construction sites by completing the stair assembl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계단 시공시 수행되는 여러 단계의 공정을 한 공정으로 줄임으로써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계단 조립체 및 이 계단 조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ir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air assembly, which can shorten the process by reducing the process of several steps performed when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airs into one process.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하부층에 하부 랜딩앙카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 랜딩앙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물부재를 각각 조립하는 단계와; 내측 및 외측 프레임의 내부에 일부 계단스텝을 우선적으로 조립하고, 상단부에 상부 랜딩앙카 및 철물부재를 고정함으로써 계단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층과 하부층보다 더 낮은 층에 각각 지지되는 인양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계단 조립체를 인양하는 단계와; 인양된 상기 계단 조립체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랜딩앙카의 철물부재에 연결하고, 상단부에 고정된 상부 랜딩앙카는 그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계단 조립체를 지지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계단 조립체에 나머지 다수의 스텝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단 조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stalling a lower landing anchor on the lower layer, and assembling at least one hardware member to the lower landing anchor; Assembling the staircase assembly by first assembling some of the stepping steps in the inner and outer frame and fixing the upper landing anchor and the hardware member to the upper end; Installing lifting means supported on the lower layer and the lower layer than the lower layer, respectively, and lifting the staircase assembly using the lifting means; Supporting the stair assembly by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lifted assembly to the hardware member of the lower landing anchor and supporting the upper landing anchor fixed to the upper end by at least one support; And it provides a step assembly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remaining plurality of steps in the step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층에 설치되는 하부 랜딩앙카와; 상부층에 설치되는 상부 랜딩앙카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랜딩앙카에 각각 조립됨으로써 상부층과 하부층을 서로 연결하는 내측 및 외측 프레임 과;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의 내부에 조립되어 계단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텝을 포함하는 계단 조립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landing anchor installed in the lower layer; An upper landing anchor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Inner and outer frame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layers to each other by being assembled to the upper and lower landing anchors, respectively; And it provides a step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steps to be assembled inside the inner and outer frame to form a ste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staircas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계단 조립체(1)는 하부층(F1)에 설치되는 하부 랜딩앙카(Lower landing anchor;4)와, 상부층(F2)에 설치되는 상부 랜딩앙카(Upper landing anchor;6)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랜딩앙카(4,6)에 조립방식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는 내측 및 외측 프레임(frame;5,7)과,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의 내부에 구비되어 계단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텝(Step;9)을 포함한다.1 and 2,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계단 조립체(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랜딩앙카(4)는 하부층(F1), 바람직하게는 3층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설치되어 계단 조립체(1)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In the staircase assembly (1,3) having such a structure, the lower landing anchor (4)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poured in the lower layer (F1), preferably three layer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taircase assembly (1) .
상기 하부 랜딩앙카(4)는 도2, 도3(a),(b),(c), 그리고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Housing;11)과, 상기 하우징(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스터드(Stud;17)와, 상기 하우징(11)에 부착되어 서포트핀(83;도22)이 삽입되는 삽입관(13)으로 이루어진다.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1)은 수평부(14) 및 수직부(12)로 이루어짐으로써 "ㄱ" 자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2)의 후면에는 상기 스터드(17)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하부 랜딩앙카(4)가 콘크 리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터드(17)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more detail, the
상기에서는 스터드(17)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4a 내지 도4(d)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절한 앙카부재(Anchor member;17a,44a)를 적용하거나 도5(a) 내지 도5(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배근철근(17b)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상기 수직부(12)에 형성하여 현장 배근철근(17b)을 삽입하여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is limited to the
상기 수직부(12)에는 다수의 관통홀(15)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15)에는 철물부재(30)가 조립된다. 그리고, 철물부재(30)에 의하여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의 하단부(19)가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즉, 상기 철물부재(30)는 도8, 도9(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랜딩앙카(4)의 전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재(31)와, 이 수평부재(31)에 일체로 구비되어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수직부재(32)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31)에는 장공(38)이 형성되며, 수직부재(32)에도 결합홀(39)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따라서, 상기 철물부재(30)의 수평부재(31)에 볼트(M12;44)를 삽입하여 하부 랜딩앙카(4)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15)에 제1 와셔(35)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철물부재(30)를 하부 랜딩앙카(4)에 조립할 수 있다. Therefore, by inserting a bolt (M12; 44) in the
다시, 도3(a),(b),(c)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랜딩앙카(4)의 수평부(14) 상면에는 삽입관(13)이 부착되어 상향으로 돌출된다. 이 삽입관(13)에는 후술하는 바 와 같이 서포트핀(83;도22)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13)은 바람직하게는 4개가 설치된다.Again, referring to FIGS. 3A, 3B, and 3C, an
따라서, 상기 하부 랜딩앙카(4)에는 4개의 서포트가 각각 설치 가능하다.Therefore, four supports may be installed in the
한편, 상기 하부 랜딩앙카(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 프레임(5)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써 계단 조립체(1,3)의 내측 및 외측을 구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내측 프레임(7)은 도7(a), 도(b), 그리고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19)에는 상기 하부 랜딩앙카(4)에 연결되는 하단 플레이트(Lower plate;23)가 구비되며, 타단(21)에는 상기 상부 랜딩앙카(6)에 연결되는 상단 플레이트(Upper plate;27)가 구비된다.The
상기 하단 플레이트(23)에는 하부 관통홀(25)이 형성되며, 이 하부 관통홀(25)은 철물부재(30)의 수직부재(32)에 형성된 상기 결합홀(39)에 대응된다. A lower through
따라서, 볼트(46;M20)를 콘크리트 스토퍼(Concrete Stopper)가 부착된 제4 와셔(36)와, 하부 관통홀(25) 및 결합홀(39)을 관통하여 제2 와셔(33)에 삽입함으로써 내측 프레임(7)을 하부 랜딩앙커(4)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lt 46 (M20) is inserted into the
또한, 상기 하부 랜딩앙카(4)의 상단(21)에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27)에도 상부 관통홀(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부 관통홀(29)에도 하부 관통홀(25)과 동일하게 볼트체결방식에 의하여 내측 프레임(7)을 상부 랜딩앙커(6)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through
상기 외측 프레임(5)의 경우도 내측 프레임(7)과 그 형상이 동일하고 체결방 법이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In the case of the
따라서, 이와 같이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은 그 하부 플레이트(23)가 하부 랜딩앙커(4)에 볼트에 의하여 조립되고, 상부 플레이트(27)가 상부 랜딩앙커(6)에 볼트에 의하여 조립됨으로써 하층(F1)과 상층(F2)을 연결할 수 있다.Thus, the inner and
한편, 상기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에는 다수의 계단 스텝(9,60)들이 조립되며, 도13 내지 도15(a),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다수의 계단스텝(9,60)들은 수평 플레이트(52) 및 수직 플레이트(50)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계단스텝(9,60)들은 서로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Meanwhile, a plurality of
즉, 상기 수평 플레이트(52)는 보행자가 밟을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며 그 양측단에는 측판(54)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 측판(54)에는 스텝 관통홀(56)이 형성되며, 이 스텝 관통홀(56)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에 형성된 체결홀(18)에 대응된다.That is, the
따라서, 볼트(64,65;도17b,도18b)를 이용하여 상기 스텝 관통홀(53,56)을 관통하여 체결홀(18)에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계단 스텝(9,60)들은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에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tepped
그리고, 도17(a),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스텝(9)과 내측 프레임(7)을 고정하는 볼트는 M12mm 둥근머리 렌치볼트 또는 근각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한다.And, as shown in Fig. 17 (a), (b), the bolt for fixing the
또한, 도14(a),(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5)은 M12mm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the
이때, 외측 프레임(5)의 체결은 볼트(64)를 거꾸로 하여 볼트(64)의 나사산 이 콘크리트 옹벽(C1)에 묻히게 함으로써 앙카 바(Anchor Bar)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of the
결국, 이러한 이유로 외측 프레임(5)의 단면을 가설에 필요한 최소 단면으로 할 수 있다.Consequently, for this reason, the cross section of the
다시, 도13 내지 도15(a),(b)를 참조하면, 상기 계단스텝(60)의 수직 플레이트(50)는 그 상단에 일정 각도(θ2)로 절곡된 걸림 플레이트(57)가 형성된다. Again, referring to FIGS. 13 to 15 (a) and (b), the
이 걸림 플레이트(57;도15a)는 수직 플레이트(50)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도 내지 90도 경사를 유지한다. 따라서, 90도 부분은 몰탈 미장 시공시 공기가 차지 않도록 피난통로 역할을 하고, 고정판과 간섭을 방지 할 수 있다.This locking plate 57 (FIG. 15A) preferably maintains an inclination of 30 degrees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그리고, 선택적 방법으로 걸림 플레이트(57;15b)의 단부를 따 내어 피난통로 역할도 하고, 고정판과 간섭을 방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method, the end of the locking
또한, 다수의 계단스텝(9) 중 수직 플레이트(50)가 일정 각도(θ1) 후퇴함으로써 발판의 면적이 후퇴 한 만큼 넓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수직 플레이트는 수직선상으로부터 일정 거리 경사로 후퇴함으로써 수평투영 면적보다 후퇴 된 만큼 발판의 면적이 넓어져 공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Since the vertical plate is re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 line, the area of the scaffold becomes wider as it is retracted from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thereby making full use of the spac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다수의 계단 스텝(9)들을 조립하는 경우, 먼저 중간부위에 배치되는 3,4,5번 스텝(59;도24)을 조립한 후 다른 계단 스텝(9)들을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된다.In the case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3,4,5 번 스텝(9)을 먼저 조립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단 조립체(1,3)를 바닥에서 조립하여 인양하여 설치하는 공법을 적용하고 있음으로, 계단 조립체(1,3) 인양 시 인양수단(90;도24)의 와이어(89:도24)에 의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3,4,5 번 스텝(9)을 먼저 조립한다.Assembling
이와 같이 3,4,5 번 스텝(9)들을 조립한 후, 다수개의 계단 스텝(9)들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된다.After assembling
즉, 계단 스텝(9)을 조립하는 방법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조립된 계단 스텝(9)에 조립할 계단 스텝(60)을 근접시키고 첫 번째 볼트(55)를 가조립한다.That is, in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stepping
이 상태에서 조립할 계단스텝(60)을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플레이트(61)의 절곡된 단부(62)를 조립된 계단스텝(9)의 걸림 플레이트(57)에 걸리도록 위치시킨다.In this state, the
그리고, 두 번째 볼트(64)를 조립함으로써 계단스텝(60)을 다른 계단스텝(9)에 조립할 수 있다.Then, by assembling the
이러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계단스텝(9,60)을 가조립 한 후 철골계단이 완성된 후 최종적으로 볼트를 조인다. In this way, the step steps 9,60 are temporarily assembled and then the steel stairs are completed and finally the bolts are tightened.
그리고, 다수개의 계단 스텝(9,60)을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에 조립한 후 몰탈 미장을 일정 두께(약 40mm)로 시공하게 되는데, 그 역할은 충격음의 완충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계단스텝(9,60)의 이음부 부분을 30도로 하는 이유는 양생된 몰탈 미장이 키(Key) 역할을 하여 몰탈 미장의 탈락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In addition, after assembling a plurality of
한편, 상기한 계단스텝(9)은 도16(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Meanwhile, the
즉, 도1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스텝(9a)의 걸림 플레이트(96)를 수직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절곡할 수도 있고, 도1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스텝(9b)의 수평 플레이트 단부(97)를 절곡할 수도 있고, 도16(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스텝(9c)의 수평 플레이트 단부(99)를 하향으로 수직으로 절곡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6 (a), the engaging
또한 걸림플레이트(57;도14), (96;도16a), (97;도16b)의 역할은 논슬립 부분을 절곡함으로서 구조적으로 휨 응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걸림플레이트(57;도14)는 몰탈 충진 후 Key 역할을 하여 탈락을 방지하며, 조립 시 걸림턱 역할을 수행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role of the locking plate 57 (FIG. 14), 96 (FIG. 16A), and 97 (FIG. 16B) serves to reinforce the bending stress structurally by bending the non-slip portion, and the locking plate 57 (FIG. 14). Has a function to prevent dropping by acting as a key after mortar filling, and to facilitate assembly by acting as a locking step during assembly.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계단스텝(9)들은 시공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epp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계단 조립체(1)를 조립한 후, 이 계단 조립체(1)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난간 조립체(70)를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assembling the
도19 내지 도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 조립체(70)는 내측 프레임(7)에 고정되는 포스트(Post;72)와, 상기 포스트(72)에 고정되는 프레임(Frame;74)과, 상기 프레임(74)에 배열되어 보행자 등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살(76)로 이루어진다.19 to 21,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난간 조립체(70)는, 도21에 되시 된 바와 같이 먼저 포 스트(72)의 하단부(73)를 내측 프레임(7)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 포스트(72)에 프레임(74)을 볼트접합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하여 시공하게 된다.The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는 난간 조립체(7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계단 조립체(1)를 상향으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수단(90)이 도24 내지 도27 에 도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means 90 for lifting upward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수단(90)은 원통형상의 본체(92)와, 상기 본체(92)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체(93)와, 상기 회전체(93)에 연결되어 서포트(84)가 각각 삽입되는 삼각대(88)와, 본체(93)에 연결되어 계단 조립체(1)를 인양하는 인양기구(96)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fting means 90 has a cylindrical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인양수단(90)은 3개의 삼각대(88)에 3개의 서포트(86,87)가 각각 삽입된다.In the lifting means 90 having such a structure, three
그리고, 3개의 삼각대(88)를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3개의 서포트(86,87)가 적절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인양기구(96)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인양기구(96)는 바람직하게는 호이스트, 체인블럭, 윈치등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호이스트, 체인블럭, 윈치 등을 사용하여 인양고리를 하부로 내려 인양하고자 하는 목적물, 바람직하게는 계단 조립체(1,3)를 인양하게 된다. 그리고, 각 랜딩앙카에 삽입된 4개의 서포트를 턴 버클(Turn buckle;82,85)에 의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Thus, a hoist, a chain block, a winch, or the like is used to lift the lifting ring downward to lift the object to be lifted, preferably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i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도23, 도2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계단조립체 시공방법은 대부분 기 시공된 3층 콘크리트이상의 층수에서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Figure 23, Figure 24, the staircase assembly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number of floors above the three-layer concrete most of the construction.
이러한 계단 조립체(1,3)의 시공방법은 하부층(F1)에 하부 랜딩앙카(4)를 설치하는 단계와, 바닥면에서 계단 조립체(1,3)를 조립하는 단계와, 각 층에 인양수단(90)을 설치하고, 상기 인양수단(90)을 이용하여 상기 계단 조립체(1,3)를 인양하는 단계와, 인양된 상기 계단 조립체(1,3)의 하부와 상부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계단 조립체(1,3)에 나머지 다수의 스텝(9,60)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ircase assembly (1,3) is to install the lower landing anchor (4) in the lower layer (F1), the step of assembling the staircase assembly (1,3) at the bottom surface, lifting means in each layer Installing (90) and lifting the stair assembly (1,3) using the lifting means (90), fixing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lifted stair assembly (1,3), Installing the remaining plurality of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진행되는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먼저 하부 랜딩앙카(6)를 설치하는 단계가 진행된다.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ircase assembly in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step of installing the lower landing anchor (6) is carried out.
이 단계에서는 하부층, 즉 3층(F1)에 설치된 콘크리트 거푸집에 하부 랜딩앙카(4)를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부 랜딩앙카(4)를 3층(F1) 콘크리트 거푸집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이 하부 랜딩앙카(4)의 전면에 철물부재(30)를 미리 조립해 놓는다. In this step, the
아울러, 3층 이상층(F1,F2)부터는 콘크리트 거푸집보다 선행하여 상부 랜딩앙카(6)를 설치한다.In addition, the upper landing anchor (6) is installed in advance of the concrete formwork from the three-layer abnormal layer (F1, F2).
상기 하부 랜딩앙카(4)에 철물부재(3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6 및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물부재(30)의 수평부재(31)를 하부 랜딩앙카(4)의 수직 부(12)에 접촉시킴으로써 수평부재(31)의 장공(38)이 하부 랜딩앙카(4)의 결합홀(15)에 대응되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그리고, 볼트(44)를 상기 장공(38) 및 결합홀(39)을 관통하여 제1 와셔(35)에 체결시킴으로써 철물부재(30)를 하부 랜딩앙카(4)에 일체로 조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철물부재(30)는 하부 랜딩앙카(4)에 바람직하게는 4개를 조립한다.
2개는 하부층에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2개는 상부층에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프레임(47,48)을 고정하게 된다.Two are for fixing the inner and outer frame (5, 7)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the other two to fix the inner and outer frame (47, 48)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이와 같이, 3층(F1)에 대한 현장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 된 후, 바닥면에서 계단 조립체(1)를 조립하는 단계가 진행된다.In this way, after the on-site concrete pouring on the third floor (F1) is completed, the step of assembling the stair assembly (1) in the bottom surface is in progress.
이 단계에서는 바닥면에서 상부 랜딩앙카(6)와,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을 조립하게 된다.In this step, the
즉, 철물부재(30)를 하부 랜딩앙카(4)와 조립하였던 과정과 동일하게 상부 랜딩앙카(6)에 조립한다.That is, the
그리고, 내측 프레임(7)의 상단부(21)에 형성된 상부 관통홀(29)을 철물부재(30)의 수직부재(32)에 형성된 결합홀(39)에 대응시키고, 볼트(M20)를 이용하여 체결한다.Then, the upper through
이때,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의 상단부에 사용하는 와셔는 모두 제2와셔(33)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washers to be used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inner and
그리고, 도13 내지 도15(a),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계단스 텝(9,60)중 일부 스텝, 즉 3, 4, 5번 스텝(59)을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에 가조립한다.Then, as shown in FIGS. 13 to 15 (a) and (b), first, some of the
이와 같이, 3,4,5번 스텝(59)를 가조립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 조립체(1,3) 인양 시 인양수단(90)의 와이어(89)에 의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3,4,5 번 스텝(59)을 먼저 조립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for temporarily assembling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서 계단 조립체(1)를 조립한 후, 인양수단(90)을 설치하고, 상기 인양수단(90)을 이용하여 상기 계단 조립체(1)를 인양하는 단계가 진행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assembling the
상기 단계에서는 계단 조립체(1)를 3층(F1)과 그 상층(F2)의 사이에 설치하기 위하여 인양수단(90)을 이용하여 인양한다.In this step, the
인양수단(90)을 이용하여 인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삼발이(88)에 3개의 삼각대용 서포트(86, 87)의 상단을 각각 삽입한다.Referring to the lifting process using the lifting means 90, first, the upper ends of the three tripod supports 86 and 87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그리고, 3개의 삼각대용 서포트(86, 87) 중 2개(87)의 하단은 3층 하부층(F0)에서 내려가는 첫 번째 위치하는 스텝(S)에 올려놓고, 나머지 삼각대의 하나(86)는 3층(F1)의 상면에 위치시킨다.Then, the lower ends of two (87) of the three tripod support (86, 87) is placed on the first step step (S) descending from the lower third floor (F0), one of the other tripod 86 (3) I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yer F1.
결과적으로, 인양수단(90)은 3개의 서포트(86,87)에 의하여 삼각형상을 이루어서 안정적인 형태를 갖는다.As a result, the lifting means 90 is triangular by three
그리고, 인양기구(96)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정위치에 위치시키고, 삼각대(88)에 장착된 볼트(94)를 돌려 안전하게 고정시킨다. Then, the
이 상태에서, 인양기구(96)인 체인블록, 호이스트(Hoist), 윈치(Winch)등의 와이어(89)를 하강시켜 바닥면에 조립된 계단 조립체(1)의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에 M12mm Bolt로 고정한다.In this state, the inner and
그리고, 인양기구(96)를 작동시키면, 와이어(89)가 상승함으로써 계단 조립체(1)도 상승하게 된다.Then, when the
계단 조립체(1)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인양된 상기 계단 조립체(1)의 하부와 상부를 고정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이 단계에서는 내측 및 외측 프레임(5,7)의 하단부(19)를 3층(F1)에 선시공된 하부 랜딩앙카(4)의 철물부재(30)에 연결한다. In this step, the lower ends 19 of the inner and
즉, 내측 프레임(7)의 하단부(19)에 형성된 하부 관통홀(25)을 철물부재(30)의 수직부재(32)에 형성된 결합홀(39)에 대응시키고, 볼트(M20)를 이용하여 체결한다.That is, the lower through
이때, 내측 프레임(7)의 하단부에 사용하는 와셔는 콘크리트 스토퍼(Concrete Stopper)가 부착된 제4 와셔(36)와 제2와셔(33)를 사용하고, 외측 프레임(5)의 하단부에 사용하는 와셔는 모두 제2와셔(33)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washer used in 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이, 계단 조립체(1)의 하단부를 하부 랜딩앙카(4)에 연결한 후, 계단 조립체(1)의 상단부에 조립된 상부 랜딩앙카(6)를 일정 높이에 고정시킨다.As such, after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상부 랜딩앙카(6)를 일정 높이, 즉 3층의 상부층(F2)의 높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랜딩앙카(6)의 삽입관(13)에 삽입 된 4개의 서포트핀(83)에 4개의 서포트(81)를 각각 삽입한다.Four supports on the four support pins 83 inserted into the
그리고, 이 4개의 서포트(81)의 하단부는 3층의 하부층(F0)에는 기존공법 인 철근콘크리트조로 시공했기 때문에 못을 박아 고정시키고, 이후 층(F1)부터는 기 설치 된 4개의 서포트 핀(83)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고정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s of the four
이와 같이, 4개의 서포트(81)에 의하여 일정 위치에 배치된 상부 랜딩앙카(6)는 서포트(81)에 의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고 턴 버클(82)을 이용하여 뒤틀림을 예방하고 서로 고정시킴으로서 상부 랜딩앙카(6)를 정위치에 고정 시킨다.As such,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계단 조립체(1)가 3층(F1)과 3층의 상부(F2) 사이에 조립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계속하여, 상층부의 계단 조립체(3)를 설치하기 위하여 삼각대용 서포트(87) 2개를 3층(F1)에서 3층 하부층((F0)으로 내려가는 첫 단의 상면에 올려 놓고, 다른 삼각대용 서포트 1개(86)는 3층의 상부층(F2) 높이에 새로 설치된 상부 랜딩앙카(6)로 이동하여 콘크리트 타설 하는 층보다 반층분을 더 설치 할 수 있도록 이동해 놓는다.Subsequently, two tripod supports 87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age descending from the third floor F1 to the third floor lower layer (F0) in order to install the
이와 같이 서포트(86,87) 들을 이동시킨 후, 계단 조립체(1)의 나머지 다수의 계단스텝(9,6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단계가 진행된다.After moving the
즉, 내측 프레임(7)은 M12mm 둥근머리 렌치볼트 또는 근각볼트를 이용하여 가조립 하고, 외측 프레임(5)은 M12mm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가조립한다.That is, the
이때, 외측 프레임(5)의 체결은 볼트(64)를 거꾸로 하여 볼트(64)의 나사산이 콘크리트 옹벽(C1)에 묻히게 함으로써 앙카바(Anchor Bar)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of the
즉, 도13 및 도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스텝(9)을 조립하는 방법은 이미 조립된 계단 스텝(9)에 조립할 계단 스텝(9)을 근접시키고 첫 번째 볼트(55)를 가조립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이 상태에서 조립할 계단스텝(60)을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플레이트(61)의 절곡된 단부(62)를 조립된 계단스텝(9)의 걸림 플레이트(57)에 걸리도록 위치시킨다.In this state, the
그리고, 두 번째 볼트(64)를 조립함으로써 계단스텝(60)을 다른 계단스텝(9)에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다.Then, by assembling the
이러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계단스텝(9,60)을 가조립 한 후 철골계단이 완성된 후 최종적으로 볼트를 조인다. In this way, the step steps 9,60 are temporarily assembled and then the steel stairs are completed and finally the bolts are tightened.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계단 조립체(1)를 반층분의 높이에 시공할 수 있다.Through such a process, the
계단 조립체(1)를 반층분의 높이에 시공한 후, 계속하여 보다 상부층에도 계단 조립체(3)를 설치하게 된다.After the
즉, 하부에 시공된 계단 조립체(1)와 동일하게, 바닥면에서 계단 조립체(3) 및 랜딩앙카(100)를 조립하고, 인양수단(90)의 위치를 상승시킴으로써 삼각대용 서포트(87) 2개를 3층(F1)에서 3층 하부층(F0)으로 내려가는 첫 단의 상면에 올려 놓고, 다른 삼각대용 서포트 1개(86)는 3층(F1)으로부터 상승시켜 3층의 상부층(F2) 높이의 상부 랜딩앙카(6)에 올려놓는다.That is, as in the step assembly (1) installed on the bottom, by mounting the step assembly (3) and
그리고, 인양수단(90)을 작동하여 계단 조립체(3)를 일정 높이로 인양하게 되며, 계단 조립체(3)의 하단부를 3층의 상부층(F2)에 위치한 상부 랜딩앙카(6)에 연결한다.Then, the lifting means 90 is operated to lift the
계단 조립체(3)의 하단부를 고정한 후, 계단 조립체(3)의 상단부에 조립된 랜딩앙카(100)를 일정 위치에 고정 시키기 위하여 4개의 서포트(102)를 3층(F1)에 설치된 하부 랜딩앙카(4)의 삽입관(13)에 삽입 된 4개의 서포트 핀(a)에 각각 삽입한다.Afte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이어 서포트(102)로 높이조절을 한 후 턴버클(85)을 고정하고, 삼각대를 이동 한 후, 계단 조립체(3)의 나머지 다수의 계단 스텝(9,60)을 순차적으로 조립한다.Then, after adjusting the height with the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층부의 계단 조립체(3)가 시공될 수 있다.Therefore, the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높은 층수에도 계단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다.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staircase assembly can be constructed even at higher floo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ir assembl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철골계단은 철근콘크리트 계단에서 수행되는 거푸집 조립,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해체 등의 5개 공정을 철골계단 설치의 한 공정으로 완성할 수 있음으로, 공정이 단축되고, 작업통로를 안전하게 확보 할 수 있다.First, the steel staircase can complete five processes such as formwork assembly, reinforcement, concrete placing, concrete curing, and dismantling of the formwork performed on reinforced concrete stairs. The passage can be secured safely.
둘째, 철골계단이 선행되면 상층부로의 자재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품질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Second, when steel staircase precedes, material transportation and movement to the upper part is easy, and quality and safety can be secured.
셋째, 철골계단을 설치 한 후 내측 프레임에 난간 조립체를 조립해 놓으면 안전난간을 따로 설치했다가 철거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어진다.Third, assembling the handrail assembly on the inner frame after installing the steel staircase eliminates the need to install and remove the safety railing separately.
넷째, 난해한 부분을 철골로 바꿈에 따라 쓰레기가 적게 나오고 현장을 청결하게 유지관리 할 수 있다.Fourth, as the troublesome part is changed to steel frame, less garbage is generated and the site can be kept clean.
다섯째, 철근콘크리트 계단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건물의 자중이 줄어들기 때문에 구조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Fifth, since the weight is lighter than the reinforced concrete stairs, the weight of the building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structure.
여섯째, 철골계단 부속품을 볼트조립만으로 계단을 형성하므로 숙련된 기능공이 필요치 않고, 일반기능공을 투입하여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양장비가 없는 현장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소규모 현장에서도 고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Sixth, the steel staircase accessories form stairs only by bolt assembly, so skilled workers are not required, and excellent quality can be secured by inputting general skill workers, and it can be applied to sites without lifting equipment. Can be.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7254A KR100683506B1 (en) | 2004-07-22 | 2004-07-22 | Stai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7254A KR100683506B1 (en) | 2004-07-22 | 2004-07-22 | Stai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7853A KR20060007853A (en) | 2006-01-26 |
KR100683506B1 true KR100683506B1 (en) | 2007-02-15 |
Family
ID=3711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72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3506B1 (en) | 2004-07-22 | 2004-07-22 | Stai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35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35561B (en) * | 2020-03-06 | 2020-11-27 | 福建华航建设集团有限公司 | Stair install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fabricated building |
CN111456347A (en) * | 2020-06-05 | 2020-07-28 | 钟建敏 | Steel construction hangs stair struc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03260A (en) * | 2001-12-28 | 2004-01-08 | Nippon Light Metal Co Ltd | Stair and truss structures |
KR20040076274A (en) * | 2001-12-28 | 2004-08-31 | 니폰 라이트 메탈 컴퍼니 리미티드 | Stairway |
-
2004
- 2004-07-22 KR KR1020040057254A patent/KR1006835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03260A (en) * | 2001-12-28 | 2004-01-08 | Nippon Light Metal Co Ltd | Stair and truss structures |
KR20040076274A (en) * | 2001-12-28 | 2004-08-31 | 니폰 라이트 메탈 컴퍼니 리미티드 | Stairway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40076274 * |
16003260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7853A (en) | 2006-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3381B1 (en) | Slip foam for underground vertical tunn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vertical tunnel structure | |
US10309092B2 (en) | High-ris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 |
US20060027726A1 (en) |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 |
KR102033453B1 (en) | Method for Construction Threshold of Gate for Elevator Cabin | |
KR102102214B1 (en) | Safety handrail for beam table form | |
JP4516585B2 (en) | Internal staircase for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16204983A (en) | Staircase temporary scaffolding | |
KR100683506B1 (en) | Stair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 |
EP1181423B1 (en) | Inner stairs fo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it | |
KR100452977B1 (en) |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C beam and slab for slim floor system | |
JP4814620B2 (en) | Climbing method of external curing unit | |
KR100539697B1 (en) | Plywood Construction Method Using Wire and Euroform Raker System | |
JP7369090B2 (en) | shaft wall unit | |
KR100676193B1 (en) | Steel stairway structure | |
JP2003056186A5 (en) | ||
JP7511883B2 (en) | External formwork for arch structure and method for relocating same | |
JP3287816B2 (en) | Building interior stairs | |
KR100464594B1 (en) |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refabricated step o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 |
JP2683878B2 (en) | Precast staircase structure | |
JP2000352169A (en) | Inner stair for building, its construction method and assembly jig for erection therefor | |
JP7484056B2 (en) | Precast concrete components and buildings | |
KR200326093Y1 (en) | Railing of concrete sheeting for building | |
JP4520830B2 (en) | Exterior wall panel construction method and exterior wall panel mounting structure | |
KR200373457Y1 (en) | A stairway for variable system | |
CN100535365C (en) | Gear assembl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