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2938B1 -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938B1
KR100682938B1 KR1020050013530A KR20050013530A KR100682938B1 KR 100682938 B1 KR100682938 B1 KR 100682938B1 KR 1020050013530 A KR1020050013530 A KR 1020050013530A KR 20050013530 A KR20050013530 A KR 20050013530A KR 100682938 B1 KR100682938 B1 KR 10068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nisotropic
light diffusion
layer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550A (ko
Inventor
유재호
최환영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938B1/ko
Priority to US11/357,133 priority patent/US20060187377A1/en
Publication of KR2006009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9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5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or deco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7/00Other apparatus or process specially adapted for the chocolate or confectionery industry
    • A23G7/0043Othe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chocolate or confectionery industry
    • A23G7/0093Cooling or dry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모재의 기판층, 및 입사하여 투과하는 광을 이방성 산란시키게 상기 기판층의 어느 일면 상에 배열된 타원형 렌즈들을 포함하는 이방성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를 제시한다.
도광판, 광확산 시트, 이방성 광확산, 타원형 렌즈 배열, 면광원 장치

Description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Optical sheet having anisotropic light diffusing characteristic and surface illuminant device therewith}
도 1은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 도입되는 광확산 시트(light diffusing sheet)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 도입된 광확산 시트의 등방성 광확산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에 채용되는 이방성 광확산 시트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광확산 시트에 도입된 타원형 렌즈 배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원형 렌즈에 의한 이방성 산란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graph)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렌즈 배열의 도입에 의한 효과를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이방성 광확산(light-diffusion)시켜 출사시키는 광학 시트(optical sheet)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평면 표시 장치는 면광원 장치(plane or flat light source unit)를 표시 패널(display panel) 후면에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의 광의 휘도(luminance) 분포를 개선하기 위해, 면광원부와 표시 패널 사이에는 확산 시트(diffusing sheet),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또는 휘도 개선을 위한 시트 등과 같은 광학 시트들이 도입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 도입되는 광확산 시트(light diffusing sheet) 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 도입된 광확산 시트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면광원 장치는 평면광을 유도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10)을 구비하고 있고, 도광판(10)은 측면에 설치된 광원(11), 예컨대, LED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여 평면광을 출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도광판(10)은 그 내부에서 광이 전반사되어 도광되게 된다.
이를 위해, 도광판(10)의 하면에는 평면광을 위한 광의 굴절 및 산란을 위한 수단, 예컨대, 격자를 포함하는 제1홀로그램(hologram)의 층 또는 광의 반사를 위한 반사 시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0)의 상면에는 평면광이 도광판(10)으로부터 출사되도록 유도하는 다른 격자를 포함하는 제2홀로그램의 층이 또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광판(10)의 앞면에는 도광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prism sheet)들이 더 도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층들 또는/ 및 시트들은 도광판(10)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 적층되어 홀로그램 도광판 시스템이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홀로그램 도광판 시스템에서 도광판(10)의 앞면에는 도광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광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광 확산판의 시트(20)가 부착 도입되게 된다. 그런데, 홀로그램 도광판(10)으로부터 출사되어 광확산 시트(20)로 입사되는 광은 실질적으로 비등방성 휘도 분포를 가지는 비등방성 광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a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0)의 측면에 도입된 광원(11)의 광축 진행 방향인 X 방향과 X 방향에 수직 방향인 Y 방향 및 도광판(10)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인 Z 방향을 고려할 때, 도광판(10)으로부터의 출사광은 도광판(10)의 회절 또는/ 및 집광 구조에 의해서 각분포가 비등방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즉, 도 2a에 제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에서의 광 휘도 분포와 Y방향에서의 광 휘도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광판(10)의 상면에는 도입된 제2홀로그램층의 격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line) 형태의 홈들이 반복되는 형태일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도광판(10)으로부터 출산된 광은 도 2a에 제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확장된 비등방성 광세기 각 분포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도광판(10)의 앞면에 도입되는 종래의 광확산 시트(20)는 등방성 각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어, X 방향과 Y 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산란 특성을 가지게 된다. 종래의 광확산 시트(20)는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투명 모재인 기판(21) 앞면에 비드(bead: 24) 형태의 광확산층(23)이 형성되고, 후면에 접착 또는/ 및 탈착 특성 개선을 위한 엠보싱(embossing) 구조의 앤티블록킹층(anti-blocking layer: 27)을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광확산층(23)은 층 내에 함유된 비드(24)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시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데, 이때, 광확산층(23)은 랜덤 표면(random surface)으로 출사광 Z축에 대해 X 방향과 Y 방향에서의 확산각 분포가 동일한 산란 특성을 가지는 등방성 확산 각분포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광확산 시트(20)로부터 출사되는 최종 광은 도광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비등방성 확산 특성을 따른 비등방성 확산 광세기로 출사되게 된다. 즉, 도 2b에 제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 시트(20)로부터 출산된 광에서, X 방향에서의 광 휘도 각분포 곡선(31)은 Y 방향에서의 광 휘도 각분포(35)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출사광은 비등방성 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이게 된다. 따라서, 광확산 시트(20)의 앞면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에 입사되는 광 또한 비등방성 광 분포를 가지게 되므로,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의 저하 또는/ 및 각도에 따른 휘도 및 시인성의 저하가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에서의 품질 개선을 위해서 도광판(10)에서 출사된 비등방성 광 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광확산 시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져 면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 각분포를 조절하여 출사할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투명한 모재의 기판층, 및 입사하여 투과하는 광을 이방성 산란시키게 상기 기판층의 어느 일면 상에 배열된 타원형 렌즈들을 포함하는 이방성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이방성 광확산층은 상기 타원형 렌즈의 장축 길이 및 단축 길이에 의존하여 상기 장축 길이 방향으로의 광확산 각분포 및 상기 단축 길이 방향으로의 광확산 각분포가 다르게 상기 투과하는 광을 이방성 산란시키는 것일 수 있 다.
상기 이방성 광확산층의 상기 타원형 렌즈들은 렌즈의 장축 또는 단축 방향이 상호 간에 나란하게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방성 광확산층의 상기 타원형 렌즈는 상기 기판층의 표면에 새겨져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기판층의 다른 일면 상에 상기 투과하는 광을 등방성 산란시키는 등방성 광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투명한 모재의 기판층, 및 상기 기판층의 어느 일면 상에 새겨져 입사하여 투과하는 광을 이방성 산란시키게 배열된 타원형 렌즈들을 포함하는 이방성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기판층의 다른 일면 상에 박층으로 적층되어 상기 투과하는 광을 등방성 산란시키는 등방성 광확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유도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 상에 도입되되 투명한 모재의 기판층, 및 입사하여 투과하는 광을 이방성 산란시키게 상기 기판층의 어느 일면 상에 배열된 타원형 렌즈들을 포함하는 이방성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 면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 각분포를 조절하여 출사할 수 있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원형 렌즈 배열의 층(layer of elliptical lens array)을 어느 한 면 상에 가져, 입사되는 입사광의 휘도의 각분포를 비등방성으로 변화시켜 출사광의 휘도의 각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의 광확산 시트를 제시한다. 타원형 렌즈 배열의 층은 투명한 폴리머 모재(polymer matrix), 예컨대, PMMA에 스탬프(stamp) 방식이나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원형 렌즈 또는 타원형 렌즈의 배열은 입사되는 광을 분산(scattering) 또는 굴절시켜 확산시키되, 서로 다른 길이로 설정되는 타원형 렌즈의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에 의해 각도(θ)에 따라 서로 다른 광 분포로 분산 또는 굴절시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방성 광확산 시트는 타원형 렌즈 또는/ 및 타원형 렌즈 배열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서 출사광의 이방성 특성, 예컨대, 출사광의 확산 각분포 또는/ 및 휘도의 각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으로부터 출산된 비등방성 광 분포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확산 시트의 이방성 확산 특성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광확산 시트 상에 조립되는 표시 패널의 휘도 향상 또는/ 및 각도에 따른 시인성 또는/ 및 표시 품질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방성 광확산 시트는 스탬프(stamp) 방식이나 롤러(roller)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간단한 가공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광확산 시트는 시트 형상이므로 도광판 상에 상대적으로 간단히 부착됨으로써, 면광원 장치에 조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에 채용되는 이방성 광확산 시트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광확산 시트에 도입된 타원형 렌즈 배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광확산 시트(200)는 투명한 모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판(210)의 어느 일면 상에 이방성 광확산층(250)을 구비하고, 이방성 광확산층(250)은 투명한 모재에 형성된 타원형 렌즈(251) 배열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타원형 렌즈(251)의 배열의 렌즈 밀도는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할 수 있다. 또는, 타원형 렌즈(251)의 배열의 렌즈 밀도는 필요에 따라 영역 별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광확산 시트(200)는 폴리머 재질의 시트 또는/ 및 필름(film)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를 이용한 시트 가공 시에 롤러에 타원형 렌즈 배열의 형상을 구비하게 한 후, 투명한 폴리머 필름, 예컨대, PMMA 필름을 이러한 롤러로 면 가공함으로써, 기판(210) 상에 타원형 렌즈(251) 배열을 가지는 이방성 광확산층(250)이 형성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광확산 시트(200)는 그 가공에 있어 기존의 폴리 머 시트의 면 가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방성 광확산층(250)이 형성된 기판(210) 면의 반대되는 면, 예컨대, 앞면에는 입사되는 입사광을 등방성 확산시키는 등방성 광확산층(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등방성 광확산층(230)은 비드(231)를 포함하는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비드 형태의 등방성 광확산층(230)은 알려진 바와 같이 시트를 롤러 등을 이용하여 면 가공할 때, 비드(231)가 기판(210)의 표면에 함침되도록 롤러의 앞단에서 비드(231)를 뿌려줌으로써 기판(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방성 광확산 시트(200)에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타원형 렌즈(251)들이 장축(LY)들이 나란하게 배열된(또는 단축(LX)들이 나란하게 배열된) 층의 이방성 광확산층(250)이 형성된다. 타원형 렌즈(251)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각도에 따라 광확산 분포가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타원형 렌즈(251)의 특성에 의해 단축(LX) 방향에서의 광확산 각분포는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장축(LY) 방향에서의 광확산 각분포는 비해 넓은 폭은 분포 곡선으로 나타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타원형 렌즈에 의한 산란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graph)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원형 렌즈 배열의 이방성 광확산층(도 3의 250)에 입사된 입사광은 타원형 렌즈(251) 배열에 의해 산란되어 확산되게 된다. 이때, 타원형 렌즈(251)의 기하학적 특성, 예컨대, 렌즈의 높이(H)에 대해 렌즈의 장축(LY) 길이 와 단축(LX) 길이가 다름에 따라, 출사광에 대한 단축(LX) 방향에서의 광확산 각분포 곡선(410)은 장축(LY) 방향에서의 광확산 각분포 곡선(430)에 비해 넓은 폭의 분포 곡선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출사광의 각도에 따른 광분포 정도의 조절은, 즉, 이방성 광확산 정도의 조절은 결국 타원형 렌즈(251)의 높이(H)에 대한 렌즈의 장축(LY) 길이와 단축(LX)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먼저 렌즈의 높이(H)를 설정한 후, 적절하게 렌즈의 장축(LY) 길이와 단축(LX)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높이, 장축(LY) 길이와 단축(LX) 길이에의 고려에는 휘도에 대한 회귀분석이 이용될 수 있다.
렌즈의 높이에 대해 각도에 따른 휘도 분포를 FWHM(Full Width Half-Maxima)을 고려하여 휘도 및 확산각 레이 트레이싱(ray-tracing) 실사(simulation)하면, 렌즈의 높이가 높을수록 휘도는 낮게 얻어지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휘도 특성이 높은 경우인 10㎛의 렌즈의 높이(H)를 임의로 선택한 후, 장축(LY) 길이(또는, 단축(LX))에 대한 높이(H)의 비(R), 즉, H/LY(또는 LX)에 따라 출사광의 확산 분포 및 휘도의 변화 정도를 실사하여 회귀 분석함으로써,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적절한 렌즈의 장축(LY) 길이와 단축(LX)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의 높이 H를 10㎛로 설정할 때, 장축(LY) 길이는 대략 30㎛ 내지 50㎛로 설정될 수 있고, 단축(LX) 길이는 대략 6㎛ 내지 8㎛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타원형 렌즈(251)의 배열은 이방성 광확산 특성, 예컨대, X축 방향에서의 광확산 정도(또는 광산란 정도)와 Y축 방향에서의 광확산 정도(또는 광산란 정도)를 달리 구현하게 되므로, 이러한 이방성 광확산층(250)의 도입에 의해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은 광확산 시트(200)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각도에 따른 광분포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광확산층의 도입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방성 광확산 시트(200)의 도입에 의해 광확산 시트(200)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광의 각도에 따른 광세기 분포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홀로그램 도광판(10)에서 출사된 출사광은 도광판(10)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이방성 광세기 또는 휘도의 각분포를 가지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컨대, 도광판(10)의 앞면에 도입된 홀로그램의 격자가 광 진행 축방향인 X축 방향에 수직한 Y축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즉, 격자의 홈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반복될 경우, 출사광은 도 2a에 제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의 광분포 폭이 X 방향으로의 광 분포 폭보다 넓게 된 비등방성의 광 각분포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광판(10)의 앞면 상에 도입되는 이방성 광확산 시트(도 3의 200)에 입사되는 광은,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의 광확산 각분포 곡 선(510)은 Y축 방향으로의 광확산 각분포 곡선(530)에 비해 좁은 폭 넓이를 가지는 비등방성 확산 각분포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입사광은 광확산 시트(200)의 이방성 광확산층(250)의 타원형 렌즈(251)의 배열에 의해 이방성 산란 또는/ 및 굴절되어 이방성 광확산되어 광확산 시트(200)의 앞면으로 출사되게 된다.
이때, 타원형 렌즈(251)의 배열이 렌즈(251)의 장축(LY)의 방향이 도광판(10)에서의 광 진행 축 방향이 X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될 경우, 입사광은 타원형 렌즈(251)의 배열에 의한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이방성 광확산 특성에 의해 이방성 산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출사광(511, 513)은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등방성 광확산 각분포를 가지게, 즉, X 방향으로의 광 각분포와 Y 방향으로의 광 각분포가 동일하게 이방성 광확산되어 출사될 수 있다. 즉, X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각도로 광확산(또는 산란)되고 Y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각도로 광확산(산란)되어, 입사광의 비등방성을 보상하게 되어 출사광은 등방성 광확산 각분포를 가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방성 광확산 시트(200) 앞면 상에 도입되는 표시 패널 또는 액정 표시 패널에서의 휘도의 향상 또는/ 및 각도에 따른 시인성 및 표시 품질의 개선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 물질의 사용없이 기판 하면에 도입된 타원형 렌즈 형상에 의해서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광확산 시트를 제시할 수 있다. 이방성 광확산 특성에 의해서 전후 또는 좌우의 정면 출사광 분포의 개선 및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의 표시 품질 및 시인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추가적인 광학 시트, 예컨대, 프리즘 시트의 도입을 생략할 수 있으며, 프리즘 시트의 도입없이도 평면 표시 장치의 휘도가 향상되므로 조립성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Claims (9)

  1. 투명한 모재의 기판층; 및
    입사하여 투과하는 광을 이방성 산란시키게 하는, 상기 기판층의 어느 일면 표면으로 새겨져 배열된 타원형 렌즈들을 포함하는 이방성 광확산층; 및
    상기 기판층의 다른 일면 상에 상기 투과하는 광을 등방성 산란시키는 등방성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광확산층은 상기 타원형 렌즈의 장축 길이 및 단축 길이에 의존하여 상기 장축 길이 방향으로의 광확산 각분포 및 상기 단축 길이 방향으로의 광확산 각분포가 다르게 상기 투과하는 광을 이방성 산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광확산층의 상기 타원형 렌즈들은 렌즈의 장축 또는 단축 방향이 상호 간에 나란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광확산층은 비드(b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렌즈는 높이 대 장축의 비율이 1/3 이하이고, 높이 대 단축의 비율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는 10 ㎛이고, 상기 장축은 30 ~ 50 ㎛이며, 상기 단축은 6 ~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KR1020050013530A 2005-02-18 2005-02-18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면광원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8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530A KR100682938B1 (ko) 2005-02-18 2005-02-18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면광원 장치
US11/357,133 US20060187377A1 (en) 2005-02-18 2006-02-21 Optical sheet having anisotropic light diffusing characteristic and surface illuminant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530A KR100682938B1 (ko) 2005-02-18 2005-02-18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면광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50A KR20060092550A (ko) 2006-08-23
KR100682938B1 true KR100682938B1 (ko) 2007-02-15

Family

ID=3691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5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2938B1 (ko) 2005-02-18 2005-02-18 이방성 광확산 특성을 가지는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87377A1 (ko)
KR (1) KR100682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5078B2 (en) * 2005-02-02 2010-11-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Reflecting scree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flection-type projection system
JP4962884B2 (ja) * 2006-06-06 2012-06-27 三国電子有限会社 面光源装置ならびにプリズムシートと液晶表示装置
JP5023666B2 (ja) * 2006-11-13 2012-09-12 住友化学株式会社 透過型画像表示装置
KR101353475B1 (ko) * 2007-05-30 201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09084176A1 (ja) * 2007-12-28 2009-07-09 Sharp Kabushiki Kaish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100231823A1 (en) * 2008-12-26 2010-09-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0169847A (ja) * 2009-01-22 2010-08-05 Sony Corp 空間像表示装置
JP5851810B2 (ja) * 2011-11-25 2016-02-0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基準光源
JP6251741B2 (ja) 2012-08-13 2017-12-20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Covestro Deutschland Ag 液晶ディスプレイ用照明装置
JP6336266B2 (ja) * 2013-11-29 2018-06-06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US9880328B2 (en) * 2013-12-12 2018-01-30 Corning Incorporated Transparent diffusers for lightguides and luminaires
JP6319355B2 (ja) * 2016-02-23 2018-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8049944A1 (en) * 2016-09-17 2018-03-22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Under-screen optical sensor module for on-screen fingerprint sensing
KR20210121973A (ko) 2020-03-31 2021-10-0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도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807A (ko) * 1999-02-04 2000-09-25 케이이치 오사무라 광확산판 및 광확산판을 사용한 백 라이트 유니트장치
JP2004319171A (ja) * 2003-04-14 2004-11-11 Keiwa Inc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491Y2 (ja) * 1991-10-09 1997-06-25 惠和商工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材
EP0462361B1 (en) * 1990-06-19 1996-06-1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6266476B1 (en) * 1998-08-25 2001-07-24 Physical Optics Corporation Optical element having an integral surface diffuser
US6381068B1 (en) * 1999-03-19 2002-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ystem
JP2002540557A (ja) * 1999-03-24 2002-11-26 エルジー ケミカル エルティーディー.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US6900941B2 (en) * 2002-05-16 2005-05-31 Eastman Kodak Company Light diffuser with colored variable diffusion
US6848795B2 (en) * 2002-10-24 2005-02-01 Eastman Kodak Company Increased contrast overhead projection fil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807A (ko) * 1999-02-04 2000-09-25 케이이치 오사무라 광확산판 및 광확산판을 사용한 백 라이트 유니트장치
JP2004319171A (ja) * 2003-04-14 2004-11-11 Keiwa Inc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57807
1631917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50A (ko) 2006-08-23
US20060187377A1 (en)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7377A1 (en) Optical sheet having anisotropic light diffusing characteristic and surface illuminant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457510B2 (en) Light guide membe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 guide member
US7697813B2 (en) Light guide membe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 guide mem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guide members and backlight units
WO2011013733A1 (ja) 導光板、導光板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086075A (ja) 面発光装置、背面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119469B2 (ja) 光学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I428639B (zh) 擴散板、背光單元及其液晶顯示器
JP5736957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820609B2 (ja)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3003258A (ja) プリズム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881332B1 (ko) 도광판
JP2002214411A (ja) 光学シート及び照明装置及び光学部材
KR100793091B1 (ko) 휘도 향상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JP4741866B2 (ja) 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端末装置
KR100793538B1 (ko) 도광판
KR20010046581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WO2020066312A1 (ja) 異方性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導光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用面状照明装置
JP2000003609A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2197910A (ja) 面照明装置
JP4540061B2 (ja) 照明装置、面光源装置及び照明ユニット
KR101173131B1 (ko) 통합형 광학시트를 구비한 백라이트유닛
JP2007080800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導光板
JP3215902U (ja) 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KR20100009827A (ko) 다각형 프리즘 확산패턴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유닛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KR100785575B1 (ko) 점광원으로부터의 빛의 균일한 산란을 위한 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227

Appeal identifier: 2006101009930

Request date: 20061110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2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70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21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