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2629B1 - 강관 거더 - Google Patents

강관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629B1
KR100682629B1 KR1020050056555A KR20050056555A KR100682629B1 KR 100682629 B1 KR100682629 B1 KR 100682629B1 KR 1020050056555 A KR1020050056555 A KR 1020050056555A KR 20050056555 A KR20050056555 A KR 20050056555A KR 100682629 B1 KR100682629 B1 KR 10068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eel pipes
steel
pipe structure
pip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889A (ko
Inventor
박재만
Original Assignee
박재만
파로스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만, 파로스건설(주) filed Critical 박재만
Priority to KR102005005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6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6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서 외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강관이 서로 연결 구성된 강관 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강관들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외부 하중에 의한 처짐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강관 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나열되어 각 단면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 연결선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강관들과, 상기 강관들 내부 및 상기 강관들 사이의 간극에 선택적으로 충진되어 상기 강관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와, 상기 강관들을 서로 연결시켜 강관 구조체를 형성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강관 구조체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강관 구조체에 작용하는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를 캠버링시키는 긴장수단으로 구성된다.
교량, 거더, 강관, 구조체, 보강재, 콘크리트, 연결 소켓, 트러스, 긴장재, 캠버링

Description

강관 거더 {STEEL GIRDER}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피에스에스 거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양끝단이 도시된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서 강관의 축방향 연결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서 강관의 원주방향 연결구조가 도시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서 배면 긴장수단이 도시된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서 측면 긴강수단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강관 20 : 보충재
32 : 조립용 소켓 32a : 조립단
34 : 보강판 36 : 조립 트러스
38 : 교좌장치 42 : 지지판
44 : 긴장재 46 : 중간 지지대
B : 볼트 R : 연결링
본 발명은 교량에서 외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강관이 서로 연결 구성된 강관 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강관들의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외부 하중에 의한 처짐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강관 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더는 교량에서 상부에서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차량하중 등의 적재하중을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량의 요소로써, 기존의 거더는 'H' 또는 'I' 등과 같은 빔 형태의 많은 강재를 서로 용접 조립된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가 타설된 콘크리트 거더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강재 거더는 빔 등이 용접 연결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저렴한 반면, 압축 하중 작용시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에 손상되기 쉬우므로 스티프너와 같은 보강재가 요구될 뿐 아니라 제작 및 시공이 복잡하고, 나아가 강성이 작아 처짐 및 진동 등이 크게 나타나며, 유리 관리시 지속적으로 강재 표면에 도장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콘크리트 거더 역시 재료인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움으 로 교량 전체에 작용하는 무게가 커져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 등이 쉽게 일어나고, 현장에서 모든 공정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시공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교량에서 대개 단면 부족에 의하여 거더의 처짐 변형이 발생되고, 이는 통과 차량의 대형화, 통행량의 급증과 같은 외적 요인 및 교량 거더 자체의 노후화 등으로 인한 거더의 강성 저하로 더욱 심화된다. 결국, 교량의 처짐 변형은, 거더를 비롯한 교량 구조물에 균열 및 부분 손상을 야기시키는 한편, 교량의 장경간화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처짐을 상쇄 또는 보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긴장재를 사용하여 거더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도록 압축응력을 가하는 피에스에스(PSS, PreStressed Steel) 거더와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피에스에스 거더("피에스에스씨(PSSC, PreStressed Steel Concrete) 합성거더"라 칭한다)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선행 발명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57058호(발명의 명칭: 에이치 빔을 이용한 교량 보강장치), 공개특허 제2002-71611호(발명의 명칭: 피에스에스 빔), 공개특허 제2002-71612호(발명의 명칭: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및 등록실용신안 제291793호(고안의 명칭: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들이 있다.
도1a 및 도1b는 상기 공개특허 제2002-57058호에 개시된 피에스에스 거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1a는 단일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피에스에스 거더를, 도1b는 상하로 두 개의 형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피에스에스 거더를 보여 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1a 및 1b의 구조는 거더(100)와 거더(100)를 긴장시켜 처짐을 보정하기 위한 긴장재(200)와 긴장재(200)를 필요에 따라 긴장시킬 수 있도록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수단(300)을 포함한다.
정착수단(300)은 거더(100)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지지판(301)과, 지지판(301)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302)과, 정착구(310)를 포함한다.
거더(10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굴 방지용 보강판(303, 304)이 설치된다.
도1b는 연결수단(400)에 의하여 수직으로 두 개의 형강(100)이 조립된 형강구조체 형태의 거더(100)를 보여주고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111, 112는 형강의 플랜지와 웨브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긴장재의 양단부를 당겨 긴장재를 긴장시킴으로써, 거더를 캠버링 시켜 내하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피에스에스 거더에서는 요구되는 상향 모멘트를 얻기 위하여 가하여야 하는 긴장력이 커, 긴장재가 추가되는 등 긴장 작업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증대됨과 아울러, 거더의 국부 파손 등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관 및 이에 충진된 보강재를 서로 조립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견딜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여 내력 및 변형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강관 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추가적으로 내하력 및 처짐 변형을 보정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강관 거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나열되어 각 단면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 연결선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강관들과, 상기 강관들 내부 및 상기 강관들 사이의 간극에 선택적으로 충진되어 상기 강관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와, 상기 강관들을 서로 연결시켜 강관 구조체를 형성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강관 구조체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강관 구조체에 작용하는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를 캠버링시키는 긴장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양끝단이 도시된 정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서 강관의 축방향 및 원주방향 연결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강 관(10)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상기 강관들(10) 내부 및 그 사이에 보강재(20)가 선택적으로 충진되어 상기 강관들의 강도를 보강하되, 상기 강관들(30)은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강관 구조체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강관들(10)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단면에서 볼 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되, 하측에서 강관들(10)이 상측에서 강관들(10)보다 직경이 더 큰 것이 배열될 뿐 아니라 상측 강관들(10) 사이의 간격이 하측 강관들(10)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배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강관들(10)로 이루어진 강관 구조체는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각 강관들이 배열되는데, 각 강관들(10)의 단면 중심을 연결한 중심 연결선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상측 강관(10)이 두 개의 하측 강관(10)의 상측에 더 좁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강관들(10)은 제작 및 운반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제한된 길이로만 제작될 수 있는데, 교량의 설계에 따라 상기 강관들(10)의 길이가 긴 것이 요구되더라도 손쉽게 강관들(10)을 연결하여 길이가 긴 강관들(10)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관들(10)의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링(R)을 압입 설치하고, 상기 강관들의 연결링(R)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강관들의 연결링(R)을 축방향으로 볼트(B) 또는 코킹 체결하여 서로 연결 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강관들(10)의 끝단에는 상기 연결링(R)과 같은 플랜지(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강관들의 플랜지가 서로 볼트(B) 또는 코킹 체결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보강재(20)는 상기 강관들(10)의 내부에만 충진될 수도 있지만,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단 측의 상기 강관들(10) 사이에 충진될 수 있되, 상기 강관들(10) 및 하기에 설명되는 조립 트러스(36)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20)가 상기 강관들(10)에 충전됨에 따라 상기 강관들(10)의 강성이 작아 처짐 및 진동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상기 보강재(20)로 고강도 콘크리트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콘크리트 이외에도 경량 모르타르나 우레탄 등을 상기 강관들(10)에 충진 또는 도장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강재(20)는 상기 강관들(10) 내부에 충전되는 것과 상기 강관들(10) 사이에 충전되는 것이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대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강관들(10) 내부에 상기 보강재(20)가 충전되도록 이루어진 강관 구조체는 콘크리트와 같은 보강재(20)가 상기 강관들(10)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상기 강관들(10)의 내력을 상승시키고, 나아가 상기 강관들(10)의 국부적인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강관들(10) 내부에 상기 보강재(20)가 충전되지 않고, 별도의 전선, 케이블, 배관 등을 배치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연결수단은 각 강관들(10)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하되, 보다 효과적으로 각 강관들(10)을 연결하기 위하여 근접한 한 쌍의 강관들(10)을 서로 연결하는 개별 연결수단(32,34) 및 모든 강관들(10)을 한꺼번에 연결하는 조립 트러스(3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별 연결수단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강관들(10)의 일부 구간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그 양끝단에 각 강관들(10)의 반경방향으로 조립단(32a)이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립용 소켓(32)인데, 각 조립용 소켓(32)은 소정의 탄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각 강관들(10)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각 강관들(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서로 근접한 강관(10)에 각각 조립된 조립용 소켓의 조립단(32a)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32a)을 서로 볼트(B) 조립한다.
또한, 상기 개별 연결수단에는 각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32a)을 덮어주도록 각 조립용 소켓의 조립단(32a) 외측에서 서로 밀착되는 한 쌍의 보강판(34)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강판들(34)은 각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32a)이 일부에만 겹쳐지더라도 각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32a)이 겹쳐지는 부분 뿐 아니라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도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음, 각 조립용 소켓들(32a)의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보강판들(34)이 한꺼번에 볼트(B) 조립되는데, 상기 볼트(B)는 역시 상하/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어 조립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립 트러스(36)는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끝단에서 모든 강관들(10)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한 쌍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강관들(10)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축방향으로 접선을 가지도록 조립되되, 상기 조립 트러스(36)와 그 내측의 각 강관들(10) 사이에는 상기 보강재(20)가 충전되어 보다 상기 강관 구조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립 트러스들(36)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끝단 측에 설치됨에 따라 그 바닥면에 각각 교좌장치(38)가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교좌장치들(38)은 교량에서 상측 구조물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하측 지지 구조물로 전달할 뿐 아니라 구조물의 변형을 흡수하거나, 구조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강관들(10) 내부에 상기 보충재(20)가 충전된 다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나열된 강관들(10)이 복수개의 조립용 소켓(32) 및 보강판(34)에 의해 서로 근접한 강관들(10)끼리 연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조립 트러스(36)에 의해 상기 강관들(10)의 양끝단이 한꺼번에 연결되되, 상기 강관들(10)의 양끝단과 상기 조립 트러스들(36) 사이에는 별도로 상기 보강재(20)가 충전되어 제작되고, 각 조립 트러스(36)의 바닥면에는 상기 교좌장치(38)가 고정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서 배면 긴장수단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서 측면 긴강수단이 도시된 구성도이 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긴장수단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긴장수단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강관 구조체에 작용하는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를 캠버링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관 구조체를 상측방향으로 캠버링시킬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에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배면 긴장수단과, 상기 강관 구조체를 양측면방향으로 캠버링시킬 수 있도록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에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측면 긴장수단으로 나눠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배면 긴장수단을 도 5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끝단 바닥면에 각각 설치된 지지판(42)과, 상기 지지판들(42)에 양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강관 구조체의 축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긴장재(44)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관 구조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긴장재들(44)이 역시 길게 배설되더라도 상기 긴장재들(44)이 보다 효과적으로 축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44)이 관통하여 지지되는 중간 지지대(46)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들(42)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끝단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44)이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긴장재들(44)의 양끝단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들(42)이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끝단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교좌장치(38)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교좌장치(38)보다 더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긴장재들(44)은 상기 지지판들(42)의 고정홀에 걸림될 수 있는 정착구(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고강도 탄성재인 강연선(Steel strand)이 쉬쓰관(Sheath)에 끼워진 통상의 형태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긴장재들(44)의 일측 정착구는 일측 지지판(42)의 고정홀에 고정 설치되는 반면, 상기 긴장재들(44)의 반대측 정착구는 반대측 지지판(44)의 고정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와 같은 긴장재(44)의 긴장을 위하여 통상의 유압잭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긴장재(44)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판들(42)이 설치되거나, 상기 정착구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이는 상기 정착구가 상기 지지판들(42)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면, 상기 긴장재들(44)가 상기 정착구에 대해 꺽임되어 상기 긴장재들(44)의 내구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측면 긴장수단을 도 6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끝단 측면에 각각 설치된 지지판(52)과, 상기 지지판들(52)에 양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강관 구조체의 축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 치된 복수개의 긴장재(54)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관 구조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긴장재(54) 역시 길게 배설되더라도 상기 긴장재(54)가 보다 효과적으로 축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의 측면 중간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54)이 걸림되는 복수개의 새들(56,56')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판들(52)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 중 양끝단 상부에 설치되어 역시 상기 긴장재들(54)의 양끝단이 걸림될 수 있도록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들(54)은 상기 지지판들(52)의 고정홀에 끼움될 수 있도록 그 양끝단에 정착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들(54)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판들(52)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정착구들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상기 새들(56,56')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 중 중간부분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54)이 하측에서 접촉하여 걸림될 수 있도록 설치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새들(56,56')의 설치위치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더 하측에 고정되도록 서로 경사진 직선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새들(56,56')의 설치위치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 하부에 고정되도록 수평한 직선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배면 긴장수단 및 측면 긴장수단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더에서 각각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 및 양측면에 설치된 다음, 상기 긴장재들(44,54)이 긴장됨에 따라 상기 강관 구조체에 상향 모멘트를 제공하여 상기 강관 구조체를 캠버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으로 소정의 캠버량(솟음량)을 갖는 휘어진 형태의 거더를 얻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교량의 처짐에 의해 교량의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하기 위하여 미리 인위적으로 압축응력의 프리 스트레스를 주며, 그 결과로 교량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거더 위에 슬래브나 별도의 하중이 추가될 때마다 상기 긴장재들(44,54)을 별도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긴장시킬 수 있어 교량을 시공하는 단계 및 보수하는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거더는 강관 및 이에 충진된 보강재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조립용 소켓 또는 조립 트러스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강관 구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강관과 보충재가 서로 강도를 보강하여 내력 및 변형 능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 및 이에 충진된 보강재로 이루어진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 또는 양측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긴장재가 설치되어 강관 구조체를 캠버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추가적으로 내하력 및 처짐 변형을 보정할 수 있어 안전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나열되어 각 단면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 연결선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강관들과,
    상기 강관들 내부 및 상기 강관들 사이의 간극에 선택적으로 충진되어 상기 강관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와,
    상기 강관들을 서로 연결시켜 강관 구조체를 형성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강관 구조체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강관 구조체에 작용하는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를 캠버링시키는 긴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근접한 한 쌍의 강관들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강관들을 원주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개별 연결수단과, 그 내면이 상기 강관들의 외면과 접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강관들의 양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강관들과의 사이에 보강재가 충진되는 조립 트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연결수단은 각 강관들의 일부 구간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각 강관들의 반경방향으로 조립단이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립용 소켓과, 근접한 한 쌍의 강관에 각각 조립된 조립용 소켓의 조립단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을 덮어주도록 외측에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과, 상기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 및 보강판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들은, 상기 강관들의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연결링과, 상기 강관들의 연결링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강관들의 연결링을 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강관 장대화 연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수단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에 축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긴장재와,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 중 양단 근처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의 양끝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 중 중간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이 관통하여 지지되는 중간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수단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에 축방향을 따라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긴장재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 중 양끝단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의 양끝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 중 중간 부분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이 하측에 접촉하도록 걸림되는 복수개의 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더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KR1020050056555A 2005-06-28 2005-06-28 강관 거더 Expired - Lifetime KR10068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555A KR100682629B1 (ko) 2005-06-28 2005-06-28 강관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555A KR100682629B1 (ko) 2005-06-28 2005-06-28 강관 거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737U Division KR200395898Y1 (ko) 2005-06-28 2005-06-28 강관 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89A KR20070000889A (ko) 2007-01-03
KR100682629B1 true KR100682629B1 (ko) 2007-02-15

Family

ID=3786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555A Expired - Lifetime KR100682629B1 (ko) 2005-06-28 2005-06-28 강관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372A (ko) 2017-08-21 2019-03-04 가창윤 전단연결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강관거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472A (ja) * 1992-11-09 1994-05-27 Taisei Corp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
KR100540374B1 (ko) 2003-05-01 2006-01-10 이형훈 직선 및 곡선교용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제작방법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472A (ja) * 1992-11-09 1994-05-27 Taisei Corp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
KR100540374B1 (ko) 2003-05-01 2006-01-10 이형훈 직선 및 곡선교용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제작방법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372A (ko) 2017-08-21 2019-03-04 가창윤 전단연결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강관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89A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730B2 (en) PSSC complex girder
KR102159429B1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592196B1 (ko)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KR100555249B1 (ko) 강성보강과 단면강성을 증대시킨 등단면의 압연강재 i형강재빔과 변단면의 강판제작 i형 강재빔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2066355B1 (ko) 측면 좌굴을 최소화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1069095B1 (ko) 프리플렉션 및 강판보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강관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KR200342287Y1 (ko)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강합성빔의 설치구조
KR101692046B1 (ko) 모멘트 감소와 처짐 방지구조를 구비한 강관 거더 및 강관 파일
KR101120163B1 (ko) 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KR102271672B1 (ko)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KR100682629B1 (ko) 강관 거더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83173B1 (ko) 복부 파형강판 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구조
KR200395898Y1 (ko) 강관 거더
KR100506573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KR101167152B1 (ko) 장경간 교량용 거더
KR102137126B1 (ko)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KR200360711Y1 (ko) 가설 교량 주거더의 단면계수 및 단면 2차 모멘트를증대시키는 에이취 형강과 티 형강을 조합한 시공법에따른 가설 교량의 구조
KR200291793Y1 (ko)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KR19990068800A (ko) 조립식장력강재보
KR200300029Y1 (ko) 강선 정착구를 구비한 다경간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빔
KR101786781B1 (ko) 콘크리트 가로보를 보강형 강재에 연결한 강아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33780Y1 (ko)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