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629B1 - 강관 거더 - Google Patents
강관 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2629B1 KR100682629B1 KR1020050056555A KR20050056555A KR100682629B1 KR 100682629 B1 KR100682629 B1 KR 100682629B1 KR 1020050056555 A KR1020050056555 A KR 1020050056555A KR 20050056555 A KR20050056555 A KR 20050056555A KR 100682629 B1 KR100682629 B1 KR 100682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steel pipes
- steel
- pipe structure
- pip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나열되어 각 단면의 중심을 연결한 중심 연결선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강관들과,상기 강관들 내부 및 상기 강관들 사이의 간극에 선택적으로 충진되어 상기 강관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와,상기 강관들을 서로 연결시켜 강관 구조체를 형성하는 연결수단과,상기 강관 구조체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강관 구조체에 작용하는 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관 구조체를 캠버링시키는 긴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수단은, 근접한 한 쌍의 강관들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강관들을 원주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개별 연결수단과, 그 내면이 상기 강관들의 외면과 접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강관들의 양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강관들과의 사이에 보강재가 충진되는 조립 트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개별 연결수단은 각 강관들의 일부 구간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각 강관들의 반경방향으로 조립단이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립용 소켓과, 근접한 한 쌍의 강관에 각각 조립된 조립용 소켓의 조립단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을 덮어주도록 외측에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과, 상기 조립용 소켓들의 조립단 및 보강판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강관들은, 상기 강관들의 끝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연결링과, 상기 강관들의 연결링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강관들의 연결링을 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강관 장대화 연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긴장수단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에 축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긴장재와,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 중 양단 근처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의 양끝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강관 구조체의 바닥면 중 중간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이 관통하여 지지되는 중간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긴장수단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에 축방향을 따라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긴장재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 중 양끝단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의 양끝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강관 구조체의 양측면 중 중간 부분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긴장재들이 하측에 접촉하도록 걸림되는 복수개의 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새들은 상기 강관 구조체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더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거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6555A KR100682629B1 (ko) | 2005-06-28 | 2005-06-28 | 강관 거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6555A KR100682629B1 (ko) | 2005-06-28 | 2005-06-28 | 강관 거더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8737U Division KR200395898Y1 (ko) | 2005-06-28 | 2005-06-28 | 강관 거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889A KR20070000889A (ko) | 2007-01-03 |
KR100682629B1 true KR100682629B1 (ko) | 2007-02-15 |
Family
ID=3786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6555A Expired - Lifetime KR100682629B1 (ko) | 2005-06-28 | 2005-06-28 | 강관 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26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0372A (ko) | 2017-08-21 | 2019-03-04 | 가창윤 | 전단연결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강관거더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6472A (ja) * | 1992-11-09 | 1994-05-27 | Taisei Corp |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 |
KR100540374B1 (ko) | 2003-05-01 | 2006-01-10 | 이형훈 | 직선 및 곡선교용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제작방법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2005
- 2005-06-28 KR KR1020050056555A patent/KR100682629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6472A (ja) * | 1992-11-09 | 1994-05-27 | Taisei Corp |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 |
KR100540374B1 (ko) | 2003-05-01 | 2006-01-10 | 이형훈 | 직선 및 곡선교용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제작방법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0372A (ko) | 2017-08-21 | 2019-03-04 | 가창윤 | 전단연결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강관거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889A (ko) | 2007-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07730B2 (en) | PSSC complex girder | |
KR102159429B1 (ko) |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592196B1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및 이의설치방법 | |
KR100555249B1 (ko) | 강성보강과 단면강성을 증대시킨 등단면의 압연강재 i형강재빔과 변단면의 강판제작 i형 강재빔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 |
KR102066355B1 (ko) | 측면 좌굴을 최소화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 |
KR101069095B1 (ko) | 프리플렉션 및 강판보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 강관 | |
KR20040091350A (ko) | 피에스에스 거더 | |
KR200342287Y1 (ko) |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강합성빔의 설치구조 | |
KR101692046B1 (ko) | 모멘트 감소와 처짐 방지구조를 구비한 강관 거더 및 강관 파일 | |
KR101120163B1 (ko) | 가설교량 시공방법 | |
KR100840190B1 (ko) |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 |
KR102271672B1 (ko) | 한계상태설계법에 적합한 구조성능을 갖는 체결형 거더 | |
KR100682629B1 (ko) | 강관 거더 | |
KR100931318B1 (ko) |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83173B1 (ko) | 복부 파형강판 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구조 | |
KR200395898Y1 (ko) | 강관 거더 | |
KR100506573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67152B1 (ko) | 장경간 교량용 거더 | |
KR102137126B1 (ko) | 알루미늄 트러스 거더 | |
KR200360711Y1 (ko) | 가설 교량 주거더의 단면계수 및 단면 2차 모멘트를증대시키는 에이취 형강과 티 형강을 조합한 시공법에따른 가설 교량의 구조 | |
KR200291793Y1 (ko) |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 |
KR19990068800A (ko) | 조립식장력강재보 | |
KR200300029Y1 (ko) | 강선 정착구를 구비한 다경간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빔 | |
KR101786781B1 (ko) | 콘크리트 가로보를 보강형 강재에 연결한 강아치교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33780Y1 (ko) | 다수개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량을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중지점 지지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