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580B1 - Collector and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llector and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2580B1 KR100682580B1 KR1020050015861A KR20050015861A KR100682580B1 KR 100682580 B1 KR100682580 B1 KR 100682580B1 KR 1020050015861 A KR1020050015861 A KR 1020050015861A KR 20050015861 A KR20050015861 A KR 20050015861A KR 100682580 B1 KR100682580 B1 KR 1006825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ollector
- collecting
- working fluid
- insul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28 anti-freez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4—Heat exchange systems
Landscapes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인 집열기와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전달매체인 작동유체를 흐르게 하여 외부 열을 받아들이는 집열부와, 내부에는 보온기체가 채워지며, 상기 집열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집열부의 열손실을 저감시키는 보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열기와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으로 태양열을 집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and low-cost collector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collecting portion for receiving an external heat by flowing a working fluid that is a heat transfer medium, and a heat insulating portion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gas, and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eat collecting portion to reduce heat loss of the heat collecting portion. It provides a heat collector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solar heat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집열기, 보온부, 집열부, 비닐계 수지, 축열기 Heat collector, heat insulation part, heat collection part, vinyl resin, heat storag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집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t collect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eat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도 5에 따른 집열기의 집열부에 작동유체가 가득 채워졌을 때의 단면도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working fluid is filled in the collecting portion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Figure 5
도 6b는 도 5에 따른 집열기의 집열부에 작동유체가 일부 배출되었을 때의 단면도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working fluid is partially discharged to the heat collecting portion of the heat collector according to Figure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hea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Ⅰ-Ⅰ선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9.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2: 집열시스템 300: 집열기 2: collection system 300: collector
305: 격벽 310: 집열부305: partition 310: collector
311: 집열막 320: 열흡수부311: heat collecting film 320: heat absorption portion
321: 보온막 330: 열손실방지부321: thermal insulation film 330: heat loss prevention unit
331: 격막 333: 연통부331: diaphragm 333: communication unit
350: 보온기체출입부 500: 펌프350: heat insulating body entrance 500: pump
520: 보조 열흡수부 600: 축열기520: auxiliary heat absorption unit 600: heat storage
610: 축열관 620: 고정부610: heat storage tube 620: fixed portion
630: 덮개부630: cover
본 발명은 집열기 및 집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collector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collec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의 열원에는 제한이 없지만, 태양열을 열원으로하는 태양열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이 일반적이다.The heat source of the collector and the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is not limited, but a solar heat collector using solar heat as a heat source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are common.
일반적으로 집열기의 집열대상은 태양열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general, the heat collecting target of the collector is solar hea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집열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eat collecting system is as follows.
종래의 집열시스템(1)은 급수배관(11)을 통해 유입하는 작동유체를 고온의 상태로 변환시키는 집열기(10)와, 고온의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축열기(60)와, 작동유체가 상기 집열기에서 상기 축열기로 유동하도록 하는 펌프(5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The conventional
종래의 집열기, 예를들어 평판형 집열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llector, for example, a flat plate collector, is as follows.
일반적으로 집열기(10)는 태양의 직사광 또는 산란광을 열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태양열을 이용한 집열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평판형 집열기는 태양열을 흡수하는 흡수판(14)과, 작동유체를 흐르게 하고 상기 흡수판의 열을 받아들이는 동관(12)과, 상기 동관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재(도시 생략)와, 상기 흡수판과 동관의 상부를 감싸는 덮개판(13)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흡수판(14)은 블랙크롬도금판을 사용하고, 덮개판(13)은 빛의 단파장은 투과시키고 장파장은 투과시키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종래의 집열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heat collecting system as follows.
열전달매체인 작동유체가 급수배관(11)을 따라 집열기로 유입되고, 집열기를 통해 얻은 고온의 작동유체는 축열기(60)에 저장된다. 보다 상세하게 집열기에서는, 우선 작동유체가 급수배관(11)을 따라 집열판 하단의 급수구를 통하여 집열판 내부의 동관(12)으로 급수되고, 이때 태양의 직사광 또는 산란광이 덮개판(13)를 통과하여 열흡수판(14)에 닿으면서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동관(12) 내의 작동유체를 가열시킨다. 그리고, 가열된 작동유체는 집열판 왼쪽상부의 출수배관(15)를 통하여 빠져나간다. 이후에 열매체는 펌프(50)에 의하여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열기(6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축열기(60)에 저장된 열에너지는 필요에 따라 난방이나 온수의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The working fluid, which is a heat transfer medium, flows into the collector along the
한편, 작동유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밀도가 낮아지는 점을 이용하여 동관(12) 내에서 자연대류가 일어나도록 하고, 집열기의 양측을 열교환기(도시생략)에 연결하여 하나의 밀폐형 회로를 형성하는 집열시스템이 있다. 이 경우에는 펌프를 사용하지 않는다.Meanwhile, natural convection occurs in the copper tube 12 by using a density that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of the working fluid increases, and both sides of the collector are connected to a heat exchanger (not shown) to form a closed circuit. There is a collection system. In this case, no pump is used.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llector and the collector system us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의 집열시스템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conventional heat collecting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expensive.
둘째, 집열기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 주로 건물의 옥상 등 제한된 면적에 설치되어 집광량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since the shape of the collector is fixed, it is mainly installed in a limited area such as a roof of a building, which ha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light collection is limited.
셋째, 집열기를 특정 장소에 설치한 후에,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Third, after installing the collector in a specific plac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not free to move to another pl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인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ec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열량을 높일 수 있는 집열기 및 집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llector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heat collec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설치가 자유로운 집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ector that is free to move and insta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달매체인 작동유체를 흐르게 하여 외부 열을 받아들이는 집열부와, 내부에는 보온기체가 채워지며, 상기 집열부 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집열부의 열손실을 저감시키는 보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열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the external heat by flowing the working fluid which is a heat transfer medium, the inside is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gas,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eat collecting unit heat Provided is a heat collector comprising a heat retaining portion to reduce the loss.
상기 집열부를 이루는 집열막과 상기 보온부를 이루는 보온막 중 최소한 한 개는 태양빛을 투과시키고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열막과 상기 보온막 중 최소한 한 개는 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열기는 이중관 형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heat collecting film constituting the heat collecting portion and the heat insulating film constituting the heat insulating portion preferably transmits sunlight and is flexible. And, at least one of the heat collecting film and the heat insulating film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vinyl resin. In addition, the collector is more preferably in the form of a double tube.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2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보온부에는 상기 보온부를 복수 개의 보온실로 구분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격막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격막에는 보온기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하는 연통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aphragm that divides the heat insulation portion into a plurality of heat insulation chambers. In addition, the diaphragm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for moving the insulating gas.
또한, 상기 보온부에는 보온기체를 주입하거나 추출할 수 있는 보온기체출입부가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부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rming part further includes a warming gas access part capable of injecting or extracting the warming ga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hermal insulation part is cylindrical.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3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보온부는 태양빛을 흡수하는 열흡수부와, 상기 열흡수부에 의하여 흡수된 열의 손실을 방지하는 열손실방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온부에는 열흡수부와 열손실방지부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on portion includes a heat absorption portion that absorbs sunlight and a heat loss prevention portion that prevents loss of heat absorbed by the heat absorption por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heat absorbing part and the heat loss preventing part is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part.
이와 함께, 상기 열흡수부와 열손실방지부에는 각각 보온기체를 주입하거나 추출할 수 있는 보온기체출입부가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손실방지부의 상부와 하부는 평평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흡수부의 상부는 둥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absorbing part and the heat loss preventing part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body access part capable of injecting or extracting the heat insulating gas,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 loss preventing unit are fla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of a heat absorption part is round shape.
한편, 상기 집열기는 상기 열손실방지부를 구획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격막과, 상기 격막에는 각각 보온기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하는 연통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열막의 상부는 검은색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llector is preferably at least one or more diaphragms that partition the heat loss prevention portion, and the diaphragm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ortion for allowing the insulating gas to mov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collecting film is preferably black.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4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격막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열손실방지부는 복수 개의 수평방향 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막에는 연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eat loss preventing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layers.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part in the said diaphragm.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5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보온부에는 상기 열흡수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집열부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보조 열흡수부가 더욱 포함된다.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nsula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heat absorption portion located outside the heat absorption portion to prevent heat loss of the heat collection portion.
한편, 상기 집열기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은 상기 집열기와 상기 집열기에서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열시스템은 상기 작동유체를 흐르게하는 펌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heat collector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 storage for storing the heat energy of the heat collector and the work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heat collector. And, the heat collecting system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ump for flowing the working fluid.
본 발명에 따른 축열기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때, 상기 축열기는 수중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열기는 물의 비중보다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 축열관과, 상기 축열관을 바닥에서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열기는 상기 축열관의 둘레에 자연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덮개부가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hea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heat storage device is preferably installed in water. In addition, the heat accumulator includes a heat storage tube made of a material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nd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heat storage tube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The heat accumulator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ver part to form a natural heat insulating layer around the heat storage tub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collector and the collector system using the same and to reduce the cost.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열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2,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집열시스템(2)은 급수배관을 통해 유입하는 작동유체를 고온의 상태로 변환시키는 집열기(100)와, 고온의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축열기(600)와, 작동유체가 상기 집열기에서 상기 축열기로 유동하도록 하는 펌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집열기(100)는 작동유체가 흐르는 집열부(110)와 집열부의 외부를 둘러싸면서 보온기체로 채워지는 보온부(120)로 형성된다. 작동유체는 태양열을 통해 흡수한 열에너지를 축열기(6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동유체는 겨울철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동액을 사용하거나 부동액과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또한, 상기 축열기(600)는 작동유체가 가지는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집열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t collecting system as follows.
열전달 매체인 작동유체가 집열기(100)에 유입되고, 상기 작동유체는 집열기 내에서 태양열을 흡수하여 고온의 상태로 변화한다. 집열과정을 거친 고온의 작동유체는 집열기(100)에서 배출되고, 배출된 작동유체는 펌프(500)에 의하여 축열기 (600)로 유입된다. 상기 축열기(600)에 저장된 열에너지는 필요에 따라 난방이나 온수의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A working fluid, which is a heat transfer medium, flows into the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3, when describing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100)는 작동유체가 흐르면서 외부의 태양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집열부(110)와, 보온기체가 채워지고 상기 집열부를 감싸는 보온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보온부(120)는 집열부(110) 내부에 위치하는 작동유체의 열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보온부(120)에 채워지는 보온기체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보온기체로는 경제적이고 쉽게 얻을 수 있는 공기가 바람직하다.The
상기 집열부는 외부의 열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하며, 집열막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온부는 상기 집열막과 함께 보온기체를 채울 수 있도록하는 보온막으로 구성된다.The heat collecting portion functions to receive external heat and is formed by a heat collecting film. The heat insulating part includes a heat insulating film to fill the heat insulating gas together with the heat collecting film.
상기 집열막(111)과 보온막(121) 중 최소한 한 개는 단파장은 투과시키고 장파장은 차단되도록 하는 성질을 가지면서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열막(111)과 상기 보온막(121) 중 최소한 한 개는 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At least one of the
비닐계 수지는 가격이 저렴하고 소정 형상으로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재질로 이루어진 집열기(100)는 나대지 또는 농한기의 논밭 등 넓은 면적에 설치함으로써 태양광의 특성인 낮은 입사밀도를 극복하여 대량의 온수를 얻을 수 있다.Since vinyl-based resin is inexpensive and easy to process in a predetermined shape, the
상기 작동유체가 흐르는 집열부(110)와 상기 집열부를 감싸는 보온부(120)의 형상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집열기의 형태는 집열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집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중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이중관 형태의 집열기의 경우, 상기 보온막(121)과 집열막(111)이 이루는 단면 형상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도면 형상은 원형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각형이나 원형의 형태가 가능하다.In the case of a double tube collecto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보온부(220)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막(223)이 상기 보온부(220)의 내측에 설치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상기 격막(223)이 없는 경우, 상기 집열부 내의 작동유체는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지구 중심방향으로 휘어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보온부(220)가 축방향으로 비대칭적인 형상이 되어 결과적으로 보온부(220)의 보온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격막(223)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기 보온부(220)가 집열부(210)에 흐르는 유체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지탱하고, 상기 보온부의 보온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absence of the
또한, 이동과 보관의 편의를 위해 보온부(220)의 일측에 각각 보온기체를 주입하거나 추출할 수 있는 보온기체출입부(250)가 구비된다. 집열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보온기체출입부를 통해 보온기체를 주입하여 보온부(220)를 채울 수 있고, 집열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온기체출입부를 통해 보온기체를 추출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movement and storage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그리고, 상기 보온기체출입부의 수를 최소화하고 각각의 보온실에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격막(223)은 각각 보온기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하는 연통부(22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부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격막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number of entry and exit portions of the insulating body and maintain the same pressure in each of the insulating chambers, the
상기 보온막(221)의 단면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부(220)의 횡단면의 테두리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온부(220)의 횡단면의 내측도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 a third embodiment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보온부는 주로 태양빛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열흡수부(320)와, 주로 상기 열흡수부에 의하여 흡수된 열의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열손실방지부(330)로 구성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heat retaining portion is mainly composed of a
상기 집열부(3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열흡수부(320)는 태양빛이 조사되는 방향에 놓여지고, 태양빛을 통과시켜 태양열에너지를 집열부(310)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The
반면에, 집열부(3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열손실방지부(330)는 집열부(310)를 지탱하고 집열부(31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열흡수부(320)와 열손실방지부(330)는 보온기체로 채워지며, 집열부의 열손실을 줄여주는 보온 역할을 하는 점에서 공통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상기 열흡수부(320)와 열손실방지부(330)는 제조과정을 고려할 때 격벽(305)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의 재질도 상기 집열막과 동일한 재질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The
한편, 상기 열흡수부(320)와 열손실방지부(330)의 일측에는 각각 보온기체를 주입하거나 추출할 수 있는 보온기체출입부(350)가 형성되어 있다. 집열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보온기체출입부를 통해 보온기체를 주입하여 열흡수부(320)와 열손실방지부(330)를 채울 수 있고, 집열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온기체출입부를 통해 보온기체를 추출하여 집열기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집열기의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상기 열손실방지부(330)의 형태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열손실방지부(330)의 하부는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손실방지부(330)의 하부를 평평하게 함으로써 상기 집열기(300)는 평탄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The heat
그리고, 상기 집열부(310)의 작동유체가 넓고 고르게 분포되며 태양열을 받아들이는 작동유체의 복사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열손실방지부(330)의 상부도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of the heat
한편, 상기 집열기(3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열손실방지 부(330)의 하부를 상기 열손실방지부(330)의 상부보다 더욱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상기 열흡수부(320)의 형태도 제한이 없지만, 열흡수부(320)의 상부는 둥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손실을 방지해야 함과 동시에 태양열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고, 눈이 쌓이거나 비가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hape of the
그리고, 상기 열손실방지부(330)에는 최소한 한 개이상의 격막(33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막(331)은 열손실방지부(330)가 평평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보온기체를 골고루 분포시킨다. 따라서, 상기 열손실방지부(330)는 집열부(310) 내부의 작동유체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
만약, 격막(331)이 없이 보온기체가 채워지면 열손실방지부(330)도 열흡수부(320)와 같이 모두 둥근 형상으로 부풀기 때문에 작동유체의 무게가 중심 부분에 집중되어 집중하중이 발생된다. 또한, 평탄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기 위해서도 격막(331)이 있는 것이 유리하다.If the insulating gas is filled without the
한편, 상기 격막(331)에는 각각 보온기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하는 연통부(3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막(331)에 연통부(333)를 형성함으로써, 격막(331)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추출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없어지고, 공기의 주입 또는 추출시 격막(331)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열손실방지실이 모두 동일한 압력으로 채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통부(333)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격막(331)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상기 집열기(30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의 형상으로 사출성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물론 개별적으로 보온부와 집열부를 제작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Th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 집열기의 집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진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6a and 6b, the state in which the working fluid is filled in the heat collecting portion of the collector as follows.
집열부(310)의 형상은 작동유체를 가득채워졌을 때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유지하지만, 작동유체가 일부 배출되었을 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유지한다. 사용자는 집열을 하지 않을 때 집열부(310)의 작동유체를 외부로 추출함으로써, 외기온도에 의하여 작동유체가 결빙되더라도 그 결빙량을 줄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그리고, 집열기의 이러한 형상은 작동유체의 결빙량이 적고, 결빙된 작동유체가 넓게 퍼져있어서 집열을 개시하는 초기에 결빙된 작동유체를 쉽게 녹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is shape of the collector has a merit that the amount of freezing of the working fluid is small, and the frozen working fluid is widely spread so that the frozen working fluid can be easily melted at the beginning of collecting heat.
한편, 사용자는 열흡수부(320)와 열손실방지부(330)의 압력을 조절하여 집열부(310)의 내부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작동유체의 어는점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작동유체가 물인 경우에는 물의 어는점을 0℃ 이하로 낮출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change the freezing point of the working fluid by maintain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그리고, 상기 집열부(310)를 형성하는 집열막(311)의 재질을 비닐계 수지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비닐계 수지의 색깔은 일반적으로 투명하다. 하지만, 태양빛이 외측의 보온막(321)을 통과하여 집열부(310)에 복사되는 양을 최대로 하기 위해 서는 상기 집열막(311)의 상부는 검은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의 평판형 집열기에 있어서 복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흡수판을 검은색으로 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When the material of the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7, a fourth embodiment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수평방향 격막(431)이 더욱 구비되어, 상기 열손실방지부(330)는 복수 개의 수평방향 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방향 격막(431)에도 상기 보온기체출입부의 수를 최소화하고 각각의 보온실에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연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손실방지부(330)의 층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7은 열손실방지부(330)가 두개의 층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격막(431)을 구성하는 재료의 재질은 비닐계 수지인 것이 적합하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a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8,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보온부에는 상기 열흡수부(32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집열부(310)의 열손실을 저감시키는 보조 열흡수부(520)가 더욱 포함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heat insulating par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보조 열흡수부(520)가 형성됨으로써 작동유체의 열손실 방지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보조 열흡수부(52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8은 보조 열흡수부(520)가 한 개인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한 것이다.At least one auxiliary
보조 열흡수부(520)는 열흡수부(320)를 구성하는 보온막과 최외측의 보온막(521)으로 구성되고, 상기 최외측의 보온막(521)은 단파장은 투과시키고 장파장은 차단되도록 하는 성질을 가지면서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The auxiliary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열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9, one embodiment of a heat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축열기(600)는 축열관(610)과 상기 축열관을 고정하는 고정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축열기(600)는 수중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높은 비열로 인해 겨울철에는 수중이 외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고, 수중은 미활용 공간이라 값싸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축열기를 수중에 설치하는 것은 지상이나 지중에 비해 축열관을 강관이나 콘크리트 등 강한 구조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장점도 가지고 있다.The
상기 축열관(610)은 작동유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에도 수중에서 부상될 수 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열관(610)은 열손실의 감소를 위해 보온효과가 높아야 한다.The
상기 고정부(620)는 일측은 바닥에 고정시키고, 타측은 수중에서 부상되는 축열관(610)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줄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620)는 상기 축열관(610)이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The fixing
한편, 상기 축열기(600)에는 작동유체가 수중에서 축열관(610) 외부 물에 의 한 대류작용으로 열손실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부(630)가 구비된다. 상기 축열관(610) 내의 작동유체의 열이 축열관(610)의 외부로 전달됨으로 인해 외부 물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고, 온도가 높아진 물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자연 대류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상기 덮개부(630)는 대류억제공간(650)을 형성함으로써 물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상대적으로 낮추어 준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덮개부(6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관(610)의 상부에 부착되어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앵글(angle)의 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상기 덮개부(630)를 축열관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덮개부(630)의 앵글 각도를 물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낮추어 주도록 적절히 변화시켜 축열관(6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평판형의 덮개부의 형태도 가능하다.Th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heat collector and the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인 집열기 및 이를 이용한 집열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First, a simple and low-cost collector and a heat collecting system using the same can be obtained.
둘째, 나대지 또는 농한기의 논밭 등 넓은 면적에 설치함으로써 태양광의 특성인 낮은 입사밀도를 극복하여 대량의 온수를 얻을 수 있다.Second, by installing in a large area such as paddy field or paddy field in the farming season, a large amount of hot water can be obtained by overcoming low incident dens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sunlight.
셋째, 집열기내에 보온기체를 주입 또는 추출할 수 있어 집열기의 이동설치가 자유롭다.Third, since the insulating gas can be injected or extracted in the collector, the movable installation of the collector is free.
Claims (2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5861A KR100682580B1 (en) | 2005-02-25 | 2005-02-25 | Collector and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5861A KR100682580B1 (en) | 2005-02-25 | 2005-02-25 | Collector and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5019A KR20060095019A (en) | 2006-08-30 |
KR100682580B1 true KR100682580B1 (en) | 2007-02-15 |
Family
ID=3760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861A KR100682580B1 (en) | 2005-02-25 | 2005-02-25 | Collector and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258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375B1 (en) * | 2009-10-22 | 2010-03-15 | 이용 | Apparatus for amplifing solar energy using recycling greenhouse gas |
KR101162988B1 (en) | 2012-05-03 | 2012-07-09 | 안익로 | A solar heat collector and a solar heat collec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9966A (en) * | 2018-12-26 | 2020-07-06 | 김윤정 | A solar heat coll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94159A (en) | 1979-12-27 | 1981-07-30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Flat vacuum solar heat collector |
JPS5721758A (en) | 1980-07-16 | 1982-02-04 | Achilles Corp | Regenerator radiator and heat storage and radiation of excess heat in greenhouse |
JPS5741544A (en) | 1980-08-22 | 1982-03-08 | Eiji Eguchi | Heat collector of heat collecting apparatus |
JPS59167648A (en) | 1983-03-11 | 1984-09-21 |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 Solar energy collector |
-
2005
- 2005-02-25 KR KR1020050015861A patent/KR1006825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94159A (en) | 1979-12-27 | 1981-07-30 |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 Flat vacuum solar heat collector |
JPS5721758A (en) | 1980-07-16 | 1982-02-04 | Achilles Corp | Regenerator radiator and heat storage and radiation of excess heat in greenhouse |
JPS5741544A (en) | 1980-08-22 | 1982-03-08 | Eiji Eguchi | Heat collector of heat collecting apparatus |
JPS59167648A (en) | 1983-03-11 | 1984-09-21 |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 Solar energy collecto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375B1 (en) * | 2009-10-22 | 2010-03-15 | 이용 | Apparatus for amplifing solar energy using recycling greenhouse gas |
WO2011049386A3 (en) * | 2009-10-22 | 2011-11-03 | Lee Yong | Apparatus for amplifying solar energy using recycling greenhouse gas |
CN102575878A (en) * | 2009-10-22 | 2012-07-11 | 李镕 | Apparatus for amplifying solar energy using recycling greenhouse gas |
KR101162988B1 (en) | 2012-05-03 | 2012-07-09 | 안익로 | A solar heat collector and a solar heat collec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WO2013165116A1 (en) * | 2012-05-03 | 2013-11-07 | Ahn Ik-Ro | Solar collector and heat collecting system compri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5019A (en) | 2006-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27103A (en) | Heat collect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and systems adapted for use with solar energy | |
US20100059044A1 (en) | Pressurized open loop freeze protected integral storage collector solar water-heating system | |
US8851066B1 (en) |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 |
KR100926537B1 (en) | Collector | |
KR100682580B1 (en) | Collector and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
CN111226660A (en) | Heat storage and release supplementary light system for solar greenhouse | |
US4338917A (en) | Low temperature solar furnace and method | |
JP7073340B2 (en) | Roof panel equipment that functions as a heat collector | |
US20100108054A1 (en) | Optically efficient and thermally protected solar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4013062A (en) | Solar heat absorber | |
KR100675785B1 (en) | Solar collector and heating device using same | |
CN103528123A (en) | Solar heat storage heating device | |
KR200389779Y1 (en) | The Heating Plant using Solar Hot Water | |
JP2013116096A (en) | Agricultural pipe house installation type solar heat heating system | |
JP3742823B2 (en) | Double-tube solar collector tube and solar collector using the same | |
EP2058604A1 (en) | Improved solar collector | |
US4353353A (en) | Low temperature solar furnace and method | |
RU2268444C1 (en) | Hot water supply sun power plant | |
KR101051760B1 (en) | Heating plant using solar hot water | |
KR100567450B1 (en) | Heating system | |
KR200395955Y1 (en) | The solar collector and heating system using a solar collector | |
AU604158B2 (en) | Solar energy collection and storage apparatus | |
KR810000931Y1 (en) | Solar heat storage | |
KR100323497B1 (en) | Solar heat exchanger with input burner | |
RU2402194C1 (en) | Device for monitoring of protected ground temperature condi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