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465B1 - Electrical outlets that can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 Google Patents
Electrical outlets that can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2465B1 KR100682465B1 KR1020060054775A KR20060054775A KR100682465B1 KR 100682465 B1 KR100682465 B1 KR 100682465B1 KR 1020060054775 A KR1020060054775 A KR 1020060054775A KR 20060054775 A KR20060054775 A KR 20060054775A KR 100682465 B1 KR100682465 B1 KR 1006824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al outlet
- wall
- rail
- outlet
- 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96 ir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부재와 레일 부재의 의해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전기 콘센트는 레일 부재와 결합하는 특이한 것이지만 덮개 부재가 덮여지면 외관은 거주자에게 익숙한 일반 전기 콘센트와 동일한 모양이 되고, 구성 부재 모두가 수동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큰 고장 없이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the wall by the roller member and the rail member, the electrica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que one that combines with the rail member, but the cover member is covered, the appearance is a general electrical outlet familiar to the occupants It is the same shape as, and all of the constituent members are to be used manually so that the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the wall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the wall is formed without major failure.
본 발명은 전기 콘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 콘센트 부재가 실내 가구 배치에 따라 좌우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벽체(1500) 내의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는 벽체 내부 공간부(1100)에서 레일 부재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부(1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상기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상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에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감아 주거나 풀어 주는 롤러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의 한쪽 마구리 부위 가까이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7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가 좌우 이동을 마쳐서 위치 변경이 종료된 후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를 덮어 주는 복수 개의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ectrical outlet member, the electrical outlet member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door furniture, the rail in the wall inner space portion 1100 is formed as an empty space portion in the wall 1500 The electrical outlet 100 is formed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member to change the position, the electrical outlet is formed of the rail member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electrical outlet 100, the electrical outlet is formed in a pair of two The moving rail unit 500 is formed of a roller member for winding or releasing electric wires for supplying power connected to the electrical outlet unit 100, and an electric wire formed near one of the corners of the inner space 1100 of the wall. A plurality of covers covering the wall inner space 1100 after the rewinding part 700 and the electric outlet part 100 have finished moving left and right after the position change i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outlet box capable of changing a position in a wall including a cover part 1200 formed of a dog memb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덮개부(1200)가 덮여지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changed in position within th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2는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의 구성요소인 전기 콘센트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3은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의 구성요소인 전선 감김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4는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덮개부(1200)가 덮여져 있으며, 구성요소인 전기 콘센트부(100)만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changed in position within th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전기 콘센트부 101 : 전기 콘센트부 몸체부 100: electrical outlet 101: electrical outlet body
110 : 레일 결합부 112 : 레일 결합 철물 110: rail coupling portion 112: rail coupling hardware
115 : 레일 결합부 관통구 500 :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 115: rail coupling portion through hole 500: electrical outlet moving rail portion
510 : 상부 레일부 520 : 하부 레일부 510: upper rail portion 520: lower rail portion
550 : 전기 콘센트 고정구부 700 : 전선 감김부 550: electric outlet fixing part 700: electric wire winding part
710 : 회전 롤러부 720 : 회전롤러 축부 710: rotary roller portion 720: rotary roller shaft portion
740 : 육각렌치 삽입부 790 : 가이드 롤러부 740: hexagon wrench insertion portion 790: guide roller portion
900 : 렌치 보관부 910 : 육각 렌치 900: wrench storage 910: hexagon wrench
920 : 렌치 고정대 1100 : 벽체 내부 공간부 920: wrench holder 1100: space inside the wall
1120 : 내부 공간부 벽면부 1200 : 덮개부 1120: wall 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1200: cover portion
1500 : 벽체 1600 : 전선 1500: wall 1600: electric wire
1700 : 전원부 1700: power supply
본 발명은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the wall.
본 발명은 전기 콘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 콘센트 부재가 실내 가구 배치에 따라 좌우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벽체(1500) 내의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는 벽체 내부 공간부(1100)에서 레일 부재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부(1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상기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상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에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감아 주거나 풀어 주는 롤러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의 한쪽 마구리 부위 가까이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7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가 좌우 이동을 마쳐서 위치 변경이 종료된 후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를 덮어 주는 복수 개의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1200)를 포함하며,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ectrical outlet member, the electrical outlet member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door furniture, the rail in the wall
본 발명은 롤러 부재와 레일 부재의 의해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전기 콘센트는 레일 부재와 결합하는 특이한 것이지만 덮개 부재가 덮여지면 외관은 거주자에게 익숙한 일반 전기 콘센트와 동일한 모양이 되고, 구성 부재 모두가 수동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큰 고장 없이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the wall by the roller member and the rail member, the electrica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que one that combines with the rail member, but the cover member is covered, the appearance is a general electrical outlet familiar to the occupants It is the same shape as, and all of the constituent members are to be used manually so that the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the wall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the wall is formed without major failure.
건물의 각 실에는 여러개의 전기 콘센트 함이 설치되지만, 가구가 배치되면서 전기 콘센트 함의 앞을 막아 버리면 전기 콘센트 함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Each room in the building has several electrical outlets, but if the furniture is placed and the front of the electrical outlet box is blocked, the electrical outlet box cannot be used.
만약 롤러 부재와 레일 부재의 의해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이 있다면 바람직하겠다.It would be desirable if there were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ould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by the roller and rail members.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콘센트는 레일 부재와 결합하는 특이한 것이지만, 덮개 부재가 덮여지면 외관은 거주자에게 익숙한 일반 전기 콘센트와 동일한 모양이 된다면 거주자에게 낯설지 않은 것이 되므로 바람직하겠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que combination with the rail member, but if the cover member is covered, it would be preferable because the appearance is not unfamiliar to the resident if the same shape as the general electrical outlet familiar to the resident.
또한 구성 부재 모두가 수동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큰 고장 없이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It would also be desirable if all of the components were used manually so that they could be used continuously while the walls were formed without major breakdowns.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 부재와 레일 부재의 의해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outlet box which can be changed in position in a wall by a roller member and a rail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전기 콘센트는 레일 부재와 결합하는 특이한 것이지만, 덮개 부재가 덮여지면 외관은 거주자에게 익숙한 일반 전기 콘센트와 동일한 모양이 되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usual combination of the rail member, but when the cover member is covered, the exterior is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the wall is the same shape as the general electrical outlet familiar to the occupant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재 모두가 수동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큰 고장 없이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providing an electrical outlet box which can be repositioned in a wall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all of the constituent members are used manually so that the wall is formed without major failure.
본 발명은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the wall.
본 발명은 전기 콘센트부(100),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 전선 감김부(700), 덮개부(12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본 발명은 전기 콘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 콘센트 부재가 실내 가구 배치에 따라 좌우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벽체(1500) 내의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는 벽체 내부 공간부(1100)에서 레일 부재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부(1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상기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상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에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감아 주거나 풀어 주는 롤러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의 한쪽 마구리 부위 가까이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7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가 좌우 이동을 마쳐서 위치 변경이 종료된 후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를 덮어 주는 복수 개의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ectrical outlet member, the electrical outlet member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door furniture, the rail in the wall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도는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덮개부(1200)가 덮여지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changed in position within th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도 1에서는 벽체(150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In FIG. 1, the
제 2도는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의 구성요소인 전기 콘센트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제 3도는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의 구성요소인 전선 감김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제 4도는 본 발명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덮개부(1200)가 덮여져 있으며, 구성요소인 전기 콘센트부(100)만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outlet box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within th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은 전기 콘센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 콘센트 부재가 실내 가구 배치에 따라 좌우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벽체(1500) 내의 빈 공간 부위로 형성되는 벽체 내부 공간부(1100)에서 레일 부재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부(1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상기 레일 부재로 형성되며, 상하 두 개가 한 조로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에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감아 주거나 풀어 주는 롤러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의 한쪽 마구리 부위 가까이에 형성되는 전선 감김부(700),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가 좌우 이동을 마쳐서 위치 변경이 종료된 후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를 덮어 주는 복수 개의 덮개 부재로 형성되는 덮개부(12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ectrical outlet member, the electrical outlet member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position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door furniture, the rail in the wall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는 그 크기가 일정하므로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면적 부위를 덮어주는 상기 덮개부(1200)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 개의 부재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는 일반 전기 콘센트와는 달리 상기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와 결합 되는 특이한 것이지만 상기 덮개부(1200)가 덮여지면 외관은 거주자에게 익숙한 일반 전기 콘센트와 동일한 모양이 된다.Unlike the general electric outlet,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콘센트는 레일 부재와 결합하는 특이한 것이지만, 덮개 부재가 덮여지면 외관은 거주자에게 익숙한 일반 전기 콘센트와 동일한 모양이 되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Thus, the electrica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ique to combine with the rail member, but when the cover member is covered to achieve the object of providing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is the same shape as the general electrical outlet familiar to the occupants do.
상기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는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의 내부 벽면인 내부 공간부 벽면부(112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선 감김부(700)가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상부 레일부(510),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의 내부 벽면인 내부 공간부 벽면부(1120)에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하부 레일부(520), 상기 상부 레일부(510)와 상기 하부 레일부(520)에 일정 간격으로 뚫린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 고정구부(5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ical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는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는 전기 콘센트부 몸체부(101)의 밑면으로부터 좌우로 돌출하여 상기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레일 결합부(110), 상기 레일 결합부(110)에 뚫린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에 일정 간격으로 뚫린 복수 개의 관통구와 결합철물인 레일 결합 철물(112)을 이용하여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결합부 관통구(11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레일 결합 철물(112)은 나사 또는 스크류 또는 소형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전선 감김부(700)는 전원공급처인 전원부(1700)와 연결된 전선(1600)을 감아 주거나 풀어주는 롤러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의 축으로 형성되는 회전롤러 축부(720)에는 육각렌치를 꼽아서 상기 롤러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육각렌치 삽입부(740)이 형성되는 회전 롤러부(710), 상기 회전 롤러부(710)와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 롤러부(710)로부터 풀어지거나 감겨 지는 상기 전선(1600)을 가이드 해주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롤러부(79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 상기 전선 감김부(700)에 의해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해 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따라서 롤러 부재와 레일 부재의 의해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Therefore, the object of providing the electrical outlet box which can change a position in a wall by a roller member and a rail member is achieved.
상기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은 상기 전선 감김부(700)의 상기 회전 롤러부(710)의 상기 육각렌치 삽입부(740)에 꼽아서 상기 회전 롤러부(7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 렌치(910)와 상기 육각 렌치(910)를 고정 시킬 수 있는 렌치 고정대(92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내부 공간부(1100)에 형성되는 렌치 보관부(9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ical outlet box which can be changed in the wall is connected to the hexagonal
상기 전기 콘센트부(100), 전기 콘센트 이동 레일부(500), 전선 감김부(700), 덮개부(1200)는 모두 수동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큰 고장 없이 상기 벽체(1500)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따라서 구성 부재 모두가 수동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큰 고장 없이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Therefore, all of the constituent members are used manually, thereby achieving the object of providing an electrical outlet box that can be repositioned in a wall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the wall is formed without major failure.
본 발명으로 롤러 부재와 레일 부재의 의해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outlet box capable of changing its position in a wall by a roller member and a rail member.
또한 본 발명으로, 본 발명의 전기 콘센트는 레일 부재와 결합하는 특이한 것이지만, 덮개 부재가 덮여지면 외관은 거주자에게 익숙한 일반 전기 콘센트와 동 일한 모양이 되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usual combination with the rail member, but when the cover member is covered, the exterio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outlet box capable of repositioning in a wall that is shaped like the general electrical outlet familiar to the occupants. Was done.
또한 본 발명으로 구성 부재 모두가 수동으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큰 고장 없이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을 제공하게 되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outlet box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in the wall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all the members are used manually so that the wall is formed without a major failur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4775A KR100682465B1 (en) | 2006-06-19 | 2006-06-19 | Electrical outlets that can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4775A KR100682465B1 (en) | 2006-06-19 | 2006-06-19 | Electrical outlets that can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2465B1 true KR100682465B1 (en) | 2007-02-16 |
Family
ID=3810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4775A Active KR100682465B1 (en) | 2006-06-19 | 2006-06-19 | Electrical outlets that can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2465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2450B1 (en) | 2010-03-23 | 2010-07-27 |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 Distributing board |
KR100985175B1 (en) | 2010-03-23 | 2010-10-05 |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 Insulation structure |
KR101392280B1 (en) | 2013-02-01 | 2014-05-07 | 주식회사 맥스포 | Removable outlet |
KR101544936B1 (en) * | 2014-06-10 | 2015-08-17 | 욱일정공(주) | Rotary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ing System |
KR102301183B1 (en) * | 2020-07-28 | 2021-09-10 | 이윤성 | Louver System Having Louver Having Power Supply Connecting Uni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7067A (en) * | 1994-07-22 | 1996-02-06 | Sekisui Chem Co Ltd | Fitt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ic connecting gadget |
KR200205433Y1 (en) * | 2000-05-27 | 2000-12-01 | 신일철 | A band type of movable wall socket |
KR20010058108A (en) * | 1999-12-24 | 2001-07-05 | 김영일 |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
KR20030045431A (en) * | 2001-12-04 | 2003-06-11 | 신문기 | Slide Mobile Type Concent |
-
2006
- 2006-06-19 KR KR1020060054775A patent/KR1006824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7067A (en) * | 1994-07-22 | 1996-02-06 | Sekisui Chem Co Ltd | Fitt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ic connecting gadget |
KR20010058108A (en) * | 1999-12-24 | 2001-07-05 | 김영일 |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
KR200205433Y1 (en) * | 2000-05-27 | 2000-12-01 | 신일철 | A band type of movable wall socket |
KR20030045431A (en) * | 2001-12-04 | 2003-06-11 | 신문기 | Slide Mobile Type Concen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2450B1 (en) | 2010-03-23 | 2010-07-27 |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 Distributing board |
KR100985175B1 (en) | 2010-03-23 | 2010-10-05 |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 Insulation structure |
KR101392280B1 (en) | 2013-02-01 | 2014-05-07 | 주식회사 맥스포 | Removable outlet |
KR101544936B1 (en) * | 2014-06-10 | 2015-08-17 | 욱일정공(주) | Rotary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ing System |
KR102301183B1 (en) * | 2020-07-28 | 2021-09-10 | 이윤성 | Louver System Having Louver Having Power Supply Connecting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2465B1 (en) | Electrical outlets that can be repositioned within the wall. | |
CN206332406U (en) | A kind of light steel keel partition wire casing Wiring structure | |
US9951520B2 (en) | Column for supporting a covering and screen construction comprising such a column | |
JP2007525935A (en) | Wall-embedded mounting base support device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 |
KR101039828B1 (en) | Ceiling electric distribution box for apartment house | |
JP5140535B2 (en) | Joinery | |
KR100771423B1 (en) | Integrated wire protection duct for multi-unit houses purchased on the wall | |
CN109098644A (en) | A kind of New-type electric curtain | |
KR100991225B1 (en) | A structure of a variable wall in a building | |
JP2010101138A (en) | Power supply structure of water section equipment unit | |
KR100968074B1 (en) | A structure of a distribution box in an apartment house | |
KR102055089B1 (en) | Prefabricated interior wall | |
CN203618260U (en) | Automatic line single machine electrical cabinet | |
LU101925B1 (en) | Blackout or shading device box, in particular window attachment roller shutter box, for a blackout or shading device | |
JP2018138754A (en) | shutter | |
KR102165899B1 (en) | An electrical wiring duct in an apartment building | |
JP2010222827A (en) | Exterior wall structure | |
KR101472293B1 (en) | Building floor structure with a floor duct function | |
KR102160460B1 (en) | Blind apparatus capable of indirect lighting | |
CN210898169U (en) | Dry type block terminal equipment takes precautions against earthquakes | |
KR200469571Y1 (en) | ceiling access hole | |
JP2025063508A (en) | Electric shutter | |
JP3179132U (en) | Wiring storage device for assembly house | |
KR930000479Y1 (en) | Removing panel unit for floor | |
JP2024139031A (en) | shut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