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039B1 - Two way rope brak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Two way rope brake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2039B1 KR100682039B1 KR1020050088569A KR20050088569A KR100682039B1 KR 100682039 B1 KR100682039 B1 KR 100682039B1 KR 1020050088569 A KR1020050088569 A KR 1020050088569A KR 20050088569 A KR20050088569 A KR 20050088569A KR 100682039 B1 KR100682039 B1 KR 100682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pair
- spring
- rope
- bra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그 상면에 하부 라이닝이 결합되는 하부 라이닝 홀더; 상기 내측에 스프링을 개제하고 유압에 의해 스프링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스프링지지대; 상기 스프링지지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이 결합된 한쌍의 쐐기형상의 슬라이더; 및 상기 하부 라이닝 홀더 양측으로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쐐기형 슬라이더를 메인 로프에 대하여 각각 양측에서 대응하는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한쌍의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양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쌍의 슬라이더가 한쌍의 사이드커버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하부 라이닝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혀, 메인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ay rope brake for an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fixed on the elevator structure; A lower lining holder coupled to the bracket and having a lower lining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spring support for interposing a spring and pressurizing or releasing the spring by hydraulic pressure; A pair of wedge-shaped slider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pring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which has an upper lining coupled to press the main rope of the elevator; And a pair of side covers coupled vertically to both sides of the lower lining holder, respectively, for sliding the pair of wedge-shaped sliders in a corresponding inclined direction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ain rope. As the pressure is moved by both directions, the pair of sliders move along the guide grooves of the pair of side covers to gradually narrow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nings, thereby braking the elevator as the main rope is gripped. do.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 브레이크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pe brak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로프 브레이크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rope brak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유압식 로프 브레이크의 단면도.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ydraulic rope brake patent applicant filed.
도 4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스프링식 로프 브레이크의 조립 사시도.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spring-type rope brake patent applicant fil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의 조립 사시도,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two-way rope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의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wo-way rope brak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가 작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작동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rope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in Drawings *
101: 실린더 102: 실린더 축101: cylinder 102: cylinder axis
103, 105: 가이드 축 107: 너트103 and 105: guide shaft 107: nut
108, 109: 브래킷 110a, 110b: 힌지축108, 109:
111, 113: 스프링지지대 115: 스프링111, 113: spring support 115: spring
121, 123: 슬라이더 131, 133: 사이드커버121, 123: Sliders 131, 133: Side cover
136: 가이드 홈 141, 143: 상부 라이닝136:
145: 하부 라이닝 147: 하부 라이닝 홀더145: lower lining 147: lower lining holder
151, 153: 상부 라이닝 고정판 155: 하부 라이닝 고정판151, 153: upper lining fixing plate 155: lower lining fixing plate
161, 163: 볼트 165: 개구부161, 163: bolt 165: opening
170: 체결구멍170: fastening hol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쐐기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를 양방향 작동시켜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압력 부가요소를 단가가 저렴한 스프링을 사용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brak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safety by holding a wedge-shaped sliding member in both directions to grip a rope, and to use a spring inexpensive pressure additional element to produce a production cost. It relates to a two-way rope brake for the elevator can be reduced.
통상 엘리베이터, 크레인 등의 장치는 케이블 또는 로프에 의해 작동된다. 특히 엘리베이터의 경우 구동 도르래에 의해 이동하는 로프에 의해 지지되고 그와 반대의 로프에는 평형추에 의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평형추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도르래에 대한 마찰력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Usually, devices such as elevators and cranes are operated by cables or ropes. In the case of elevators in particular, they are supported by a rope moving by a drive pulley and balanced by counterweights on the opposite rope. In general, counterweights function to reduce the forc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o form friction against the pulley.
엘리베이터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여 속도의 변화율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안전과 사고 방지를 위해 엘리베이터를 필요시 제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동장치의 중요성은 점점 부각되어 승강기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제동장치를 강제로 의무화 시키는 실정이다.If the rate of change of speed is increased beyond the predetermined range, the elevator should be braked as necessary for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brake system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and mandatory braking system is mandated by the law on elevator safety.
그러나 제동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불안정하다거나, 또는 라이닝 등의 불균일한 마모 등의 이유로 말미암아 엘리베이터 정비로 인한 비용증가, 나아가 이용자에게는 잦은 정비로 인해 불편함을 끼치는 것 이외에 엘리베이터 내의 사람들에게 급정거로 인해 부상의 염려가 항상 존재하여 왔다.However, due to unstable braking components or uneven wear such as linings, the cost of elevator maintenance increases, as well as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 maintenance for users. Injuries have always existed.
따라서 라이닝에 균일한 제동력을 가하여 그 수명을 높인 제동장치가 개시되었는데, 1993년 7월 20일자로 등록된 미국 특허번호 제 5,228,540 호(발명의 명칭 : 스프링으로 슈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제동장치(Elevator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가 그것이다(도 1 참조).Therefore, a braking device has been disclosed that increases the service life by applying a uniform braking force to the lining. US Patent No. 5,228,540, registered July 20, 1993 (Invention: Elevator car braking device for operating the shoe with a spring) ca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상기 미국 특허번호 제 5,228,540 호의 기술내용을 보면, 평상시에는 유압이 호스(1a)를 통해 실린더(1)에 유입되어 스프링(2, 3)을 압축시키고 슈(4)에 결합되어 있는 링크(5, 6)가 스프링(2, 3)과 상호작용하여 캠 종동부(7)를 캠 면(8a, 8b)의 하단부로 이동시켜 결국 문이 열린 경우에는 스프링(2, 3)이 솔레노이드(9)에 의해 해제되고, 결국 상기와 반대의 과정을 거쳐 슈(4)가 로프(R)에 밀착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게 된다. 이 경우, 엄밀하게 말해서 로프에 밀착되는 것은 슈(4)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닝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US Patent No. 5,228,540, hydraulic pressure is normally introduced into the cylinder 1 through the hose 1a to compress the
또 상기 종래기술은 라이닝이 마모되었을 때 캠면(8a, 8b) 위쪽으로 캠 종동부(7)가 이동하여 슈(4)를 로프(R)에 좀 더 가깝게 이동시켜서 비상시에는 라이닝으로 로프(R)에 밀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when the lining is worn, the cam follower 7 moves above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라이닝에 균일한 힘(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캠 종동부(7)와 캠 면(8a, 8b)을 사용하고, 그 동력원으로는 스프링(2, 3)을 사용 하는 관계로,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데 매우 복잡하여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라이닝에 균일한 힘이 실질적으로 작용되지 않는다는 점과 스프링의 잦은 교체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정비가 늘어나는 단점을 가진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cam follower 7 and the cam faces 8a and 8b are used to apply a uniform force (pressure) to the lining, and the
또한 도 2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221450 호)의 제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Fig. 2 discloses another braking device of the prior art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1450).
도 2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하면, 유압발생부의 작동에 의해 유압실린더(10)가 작동하면서 그 선단의 플런저(10a)가 밀접된 상태에 있는 가동판(11)을 밀게 되고, 가동판(11)은 그 양단이 연결부재(12)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지지판(13)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고정판(14)과 가동판(11) 사이에 있는 탄발 스프링(15)의 탄발력에 대항하면서 고정판(14) 측으로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된 가동판(11)과 고정판(14)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로프(R)는 라이닝(11a, 14a)에 의해 각각 단단히 끼워져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prior art shown in FIG. 2, the
그러나 도 2의 종래기술의 경우도 플런저(10a)에 의해 가동판(11)을 이동하는 로프에 직각방향으로 압력을 작용하므로 엘리베이터가 급정지되고, 라이닝(11a, 11a)의 잦은 교체로 인한 정비증가와 무엇보다도 급정거로 인하여 사람에게 부상을 초래하는 단점이 항상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of FIG. 2, the elevator is suddenly stopped because pressure is applied to the rope moving the
또한, 도 3은 본 출원인이 , 2003년 11월 24일자 특허출원(10-2003-0083499)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기 위한 로프 브레이크로서, 쐐기형상의 슬라이더(20)와, 슬라이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하고 있는 동시에 슬라이더(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하우징 (21)과, 슬라이더(20)를 메인 로프(R)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하기 위한 실린더(22)와, 하우징(21)을 엘리베이터 구조물 상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슬라이더(20)가 실린더(22)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21)의 내부에서 메인 로프(R)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는 한 쌍의 라이닝(미도시)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져, 메인 로프(R)가 한 쌍의 라이닝에 의해 파지되어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Figure 3 is a patent application (10-2003-0083499) filed by the applicant of November 24, 2003, a rope brake for braking the elevator by selectively gripping the elevator main rope, a wedge-shaped slider ( 20, a
선 출원된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따르면, 성능과 안전성은 우수하지만, 고가의 유압장치인 실린더(22)가 사용되어 제조원가가 비싸짐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ope rope for the elevator filed previously, the performance and safety is excellen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ice competitiveness is low as the expensive manufacturing cost of the
한편, 도 4는 본 출원인이 2004년 10월 1일자 특허출원(10-2004-0078131)한 것으로, 도 3의 모델의 유압 힘을 스프링(S)의 힘으로 대체한 로프브레이크이며, 로프(R)에 점진적인 압력을 라이닝(31,33) 전체에 균등하게 가함으로써 라이닝(31,33)의 수명을 연장하며, 제동거리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단방향 쐐기타입으로 엘리베이터 하강 시 제동력이 약해지는 단점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Meanwhile, FIG. 4 is a patent application filed by the applicant of October 1, 2004 (10-2004-0078131), which is a rope brake replacing the hydraulic force of the model of FIG. 3 with the force of the spring S, and a rope (R). By applying gradual pressure equally to the entire lining (31,33), it is a technology to extend the life of the lining (31,33), reduce the braking distanc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raking force is weak when the elevator descends to the unidirectional wedge type.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쐐기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를 양방향 작동시켜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압력 부가요소를 단가가 저렴한 스프링을 사용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erating the wedge-shaped sliding member in both directions to improve the safety by gripping the rope, and the pressure additional element spring price is cheaper To provide a two-way rope brake for elevators that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구조물 상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며 그 상면에 하부 라이닝이 결합되는 하부 라이닝 홀더; 상기 내측에 스프링을 개제하고 유압에 의해 스프링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스프링지지대; 상기 스프링지지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를 가압하기 위한 상부 라이닝이 결합된 한쌍의 쐐기형상의 슬라이더; 및 상기 하부 라이닝 홀더 양측으로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쐐기형 슬라이더를 메인 로프에 대하여 각각 양측에서 대응하는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한쌍의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지지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양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쌍의 슬라이더가 한쌍의 사이드커버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하부 라이닝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혀, 메인 로프를 파지함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rope brake for braking the elevator by selectively gripping the main rope of the elevator, comprising: a bracket fixed on the elevator structure; A lower lining holder coupled to the bracket and having a lower lining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spring support for interposing a spring and pressurizing or releasing the spring by hydraulic pressure; A pair of wedge-shaped slider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pring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which has an upper lining coupled to press the main rope of the elevator; And a pair of side covers coupled vertically to both sides of the lower lining holder, respectively, for sliding the pair of wedge-shaped sliders in a corresponding inclined direction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ain rope. As the pressure is moved by both directions, the pair of sliders move along the guide grooves of the pair of side covers to gradually narrow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nings, thereby braking the elevator as the main rope is gripped. It provides a two-way rope brake for a two-way elevator.
더욱이 상기 스프링지지대와 한쌍의 슬라이더에 대한 스프링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지지대와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against the spring support and the pair of sliders is released, the spring support and the slider may further include a cylinder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상/하부라이닝은 각각 대향면에 판형상의 고정부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상/하부라이닝은 상기 한쌍의 슬라이더 및 하부 라이닝 고정부 에 각각 볼트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linings may also be provided with plate-like fixing portions on opposite surface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upper and lower linings are preferably bolted to the pair of sliders and the lower lining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실린더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ylinder is preferably operated hydraulically.
아울러, 상기 브래킷은 각각 원호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라이닝 고정부의 하단에는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이 원호형상으로 2-3개 형성 배열되어 있어, 브래킷이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에 대하여 하부라이닝 결합 볼트를 중심으로 45°∼90°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racket is formed with an arc-shaped opening, each of the lower lining fixing portion is arranged in the form of 2-3 through-holes for the coupling with the bracket in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n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bracket is fixed The housing is capable of angle adjustment within the range of 45 ° to 90 ° about the lower lining coupling bolt with respect to the brack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장착되어지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pe brake device is mounted on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로프 브레이크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작동 개념도로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가 작용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elevator rope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rope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with a rope brak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o explain the principle that the elevator rope brak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브래킷(108, 109)은 엘리베이터에 연결된 메인 로프(R)가 제동되기 용이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판(도시생략)에 대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체결수단은 볼트가 바람직하나 리벳 혹은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bidirectional rope brak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 즉 브래킷(108, 109)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구조물인 고정판(도시생략)에 체결 고정되고, 이 브래킷(108, 109) 위에는 하부 라이닝(145)이 고정되는 하부 라이닝 고정부(155)가 결합되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fixing plate, that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not shown) which is an elevator structure through the
상기 브래킷(108. 109)은 각각 원호형상의 개구부(165)가 형성되고, 하부라이닝 고정부(147)의 하단에는 브래킷(108, 109)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170)이 원호형상으로 2∼3개 형성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브래킷(108, 109)이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본 발명의 로프 브레이크는 상기 브래킷(108, 109)에 대하여 하부라이닝 결합 볼트(163)를 중심으로 45°∼90°의 범위 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The
이에 따라 상기 브래킷(108, 109)과 하부 라이닝 홀더(147)와 결합되어지는 부분에는 제동에 의한 힘의 방향에 동축선 상에서 작용된다.Accordingly, the portions engaged with the
또한, 하부 라이닝 홀더(147)와 브래킷(108, 109)은 볼트(161, 163)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161, 163)가 2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통상 2∼3개의 볼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실린더(101)는 스프링지지대(111, 113)에 체결되며,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스프링지지대(111, 113)의 중심에 복귀용 실린더(101)를 장착하였다.The
상기 스프링지지대(111, 113)와 실린더(101)는 평상 시 스프링(115)의 압축력을 견뎌야 하므로 그 형상을 응력해석을 통해 설계하고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커버(131, 133)의 가이드 홈(도시생략)은 슬라이더(121, 123) 제동 시나 복귀 시 힘을 받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보강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pring supports 111 and 113 and the
아울러, 상기 스프링지지대(111, 113)는 스프링(115)을 고정하고 힘을 전달하기 함과 동시에 한쌍의 힌지축(110a, 110b)과 연결되어 슬라이더(121, 123)의 이동을 안내한다.In addition, the spring support (111, 113) is fixed to the
상기 스프링(115)은 엘리베이터의 허용인원수에 따라 11인용∼24인용 까지 각 인승별 요구되는 하중으로 스프링의 압축력에 대한 종류를 다양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은 하중에서는 높은 압축력을 갖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급제동을 방지하고, 높은 하중에서는 낮은 압축력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공주거리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The
또한, 슬라이더(121, 123)는 각도를 이루어 제동에 요구되는 힘을 전달하므로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과 결합 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더욱이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은 일정시기 마다 교체를 요구하므로 교체의 용이성을 위해 슬라이더(121, 123)와 상부 라이닝고정판(151, 153)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적용은 하부 라이닝(145)에도 같은 경우로 적용된다.Furthermore, the
복귀 시 작동되는 실린더(101)는 실린더축(102)이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관통하여 너트(14)로 체결된다. 유압이 주입되면 실린더축(102)과 체결된 너트(107)가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당겨서 복귀하므로 너트(107)와 실린더축(102)의 보강이 필요하다. 또한 복귀시 가이드 축(103, 105)을 통해 복귀하므로 불균형 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양방향 로프 브레이크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제동 및 제동 해제 시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braking and braking tim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bidirectional rope brak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 엘리베이터 제동 시1. When braking the elevator
먼저, 엘리베이터가 소정 범위의 속도를 벗어난 경우, 즉 속도가 어느 한계치를 넘거나 속도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제어 하에 유압실린더(101)에 유압이 빠지면서 스프링(115)이 스프링지지대(111, 113)에 탄성력을 받아 한쌍의 스프링 가이드 축(103, 105)을 따라서 움직인다.First, when the elevator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of speed, that is, when the speed exceeds a certain threshold or the speed change amount is large,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to the
이에 따라 한쌍의 상부 라이닝(141, 143)을 결합하고 있는 한쌍의 슬라이더(121, 123)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 압력은 각도를 가진 압력과 수직방향의 압력으로 분산되는데 전자는 슬라이더를 소정의 각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동원으로 사용되고 후자는 슬라이더의 수직운동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더욱이, 슬라이더(121, 123)가 일정한 각도, 예컨대 35°의 기울기를 가지므로 그 힘을 선형으로 분석하면 슬라이더가 매우 세밀하게 점진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결국 엘리베이터가 큰 충격없이 안전하게 제동되게 된다.Accordingly, pressure is applied to the pair of
이에 따라, 스프링지지대(111, 113)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121 ,123)는 사이드커버(131, 133)의 가이드 홈을 따라 하부 라이닝 고정부(147)를 향해 이동한다.Accordingly, the
이어서 상부 라이닝(141, 143)은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 사이에 배치된 메인 로프(R)에 점진적인 형태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메인 로프(R)에 갑작스런 압력의 전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부 라이닝(141, 143) 및 하부 라이닝(145)의 잦은 마모를 줄이면서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제동시킨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상기와 같은 점진적인 정지를 통해 제동됨에 따라 탑승자의 부상을 막게 된다.The
이와 같이 점진적으로 정지되는 엘리베이터는 그 제동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아니며, 그 이유는 동차의 브레이크 작동시 한 번의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보다 ABS(air brake system)와 같이 브레이크를 순간적으로 여러 번 밟았을 때 제동거리를 줄일 수 있고 운전자에게 보다 안전한 이치와 같다.This gradually stopping elevator does not have a long braking time because the brakes are momentarily applied several times like ABS (air brake system) than when one brake is applied during the brak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braking distance can be reduced and it is more safe for the driver.
이 경우,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한 유압실린더(101)의 해제는 속도 뿐 아니고 엘리베이터의 개문발차시나 기타 비상 상황시에도 제동을 위해 유압실린더(101)를 해제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the release of the
2. 엘리베이터 제동 해제 시2. When lifting elevator brake
스프링(115)에 의해 슬라이더(121, 123)에 압력이 가해져 상부 라이닝(141, 143)과 하부 라이닝(145) 간의 밀착으로 인해 메인 로프(R)가 제동되고 결국 메인 로프(R)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가 제동되며, 그 후, 비상상황이 해제되면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그 신호를 유압장치(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서 유체가 실린더(101)로 유입되면 실린더축(102)이 스프링지지대(111, 113)를 당겨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메인 로프(R)에 가해졌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엘리베이터의 제동이 해제된다.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그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준하는 모든 제동장치에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동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후술되는 청구항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levator by way of example, it can be extended to all brake devices corresponding thereto. The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는 쐐기형태의 슬라이딩 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비상시에 로프에 점진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고, 라이닝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제동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급정거로 인한 인체의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edge-shaped slid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in both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apply a gradual pressure to the rope in an emergency and to improve the braking force by applying a uniform force to the lining as a whole.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injury of the human body due to the sudden stop of the elevator.
또한, 로프 브레이크를 기존의 단방향 쐐기구조에서 양방향 쐐기구조로 바꿈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상승, 하강 어느 방향에서도 제동력이 나올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설치와 수리, 부품 교환시 편리성을 최대화 하고, 안전성과 기술성, 편리성이 향상되는 한편 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rope brake from the existing one-way wedge structure to the two-way wedge structure, the braking force can be released in any direction of elevator up and down, maximizing convenience in installation, repair, and parts replacement, safety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creased productivity can be achieved while increasing convenienc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8569A KR100682039B1 (en) | 2005-09-23 | 2005-09-23 | Two way rope brake for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8569A KR100682039B1 (en) | 2005-09-23 | 2005-09-23 | Two way rope brake for elevato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7412U Division KR200403531Y1 (en) | 2005-09-23 | 2005-09-23 | Two Direction of Rope brake for Elev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2039B1 true KR100682039B1 (en) | 2007-02-12 |
Family
ID=3810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8569A KR100682039B1 (en) | 2005-09-23 | 2005-09-23 | Two way rope brake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203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74275A (en) * | 2013-04-26 | 2013-09-04 |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 Device preventing lift car from moving by accident |
CN103420246A (en) * | 2013-08-23 | 2013-12-04 | 宁波赛富特电梯部件有限公司 | Rope clamp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96020A (en) | 1989-12-14 | 1992-03-17 | Kone Elevator Gmbh | Elevator safety apparatus |
WO1997031852A1 (en) | 1996-03-01 | 1997-09-04 | Cobianchi Liftteile Ag | Safety catch and brake block, in particular for lift cars |
JP2002370880A (en) | 2001-06-14 | 2002-12-24 | Hitachi Ltd | Elevator safety gear |
KR200343822Y1 (en) | 2003-11-24 | 2004-03-05 | 박임준 | Rope brake for elevator |
-
2005
- 2005-09-23 KR KR1020050088569A patent/KR10068203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96020A (en) | 1989-12-14 | 1992-03-17 | Kone Elevator Gmbh | Elevator safety apparatus |
WO1997031852A1 (en) | 1996-03-01 | 1997-09-04 | Cobianchi Liftteile Ag | Safety catch and brake block, in particular for lift cars |
JP2002370880A (en) | 2001-06-14 | 2002-12-24 | Hitachi Ltd | Elevator safety gear |
KR200343822Y1 (en) | 2003-11-24 | 2004-03-05 | 박임준 | Rope brake for eleva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74275A (en) * | 2013-04-26 | 2013-09-04 |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 Device preventing lift car from moving by accident |
CN103420246A (en) * | 2013-08-23 | 2013-12-04 | 宁波赛富特电梯部件有限公司 | Rope clam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32200B2 (en) | Elevator brake with shoe actuated by spring | |
US8256579B2 (en) | Elevator car brake | |
KR200221450Y1 (en) | Brake system for rope of a elevator | |
KR20070049534A (en) | Catch system for a gradual bidirectional safety device | |
AU4264900A (en) |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vertical displacements and vertical vibrations of the load carrying means of vertical conveyors | |
KR20090111284A (en) | Elevator car brake with a shoe operated by a spring coupled to the gear drive assembly | |
US6021872A (en) |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 |
US10167171B2 (en) | Elevator with brake device in the manner of a clamp brake | |
US8739937B2 (en) | Elevator damping element | |
CN1789102B (en) | Elevator overspeed protecting device | |
US11498803B2 (en) | Elevator car parking brake | |
EP1783087B1 (en) | Double-effect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cars | |
KR100682039B1 (en) | Two way rope brake for elevator | |
KR200403531Y1 (en) | Two Direction of Rope brake for Elevator | |
KR100615623B1 (en) | Rope Braking System for Elevator | |
KR100682036B1 (en) | Rope brake for elevator | |
KR200370692Y1 (en) | Rope brake for elevator | |
JP2001002342A (en) |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 |
KR100726789B1 (en) | Bidirectional Braking System for Elevator | |
CN213415929U (en) | Bidirectional progressive elevator safety tongs | |
KR100891923B1 (en) | Pneumatic rope brake | |
KR200343822Y1 (en) | Rope brake for elevator | |
CN109911738B (en) | Large tonnage instantaneous safety tongs | |
KR100469942B1 (en) |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 |
KR100763830B1 (en) | Rope Braking System for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