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0654B1 -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 Google Patents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654B1
KR100680654B1 KR1020060074226A KR20060074226A KR100680654B1 KR 100680654 B1 KR100680654 B1 KR 100680654B1 KR 1020060074226 A KR1020060074226 A KR 1020060074226A KR 20060074226 A KR20060074226 A KR 20060074226A KR 100680654 B1 KR100680654 B1 KR 10068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ight emitting
cell module
eva film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학
Original Assignee
해성쏠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쏠라(주) filed Critical 해성쏠라(주)
Priority to KR102006007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654B1/ko
Priority to US12/376,530 priority patent/US20100126549A1/en
Priority to PCT/KR2007/000969 priority patent/WO2008018672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H10F19/80Encapsulations or containers for 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having photovoltaic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에 발광소자를 장착하여 태양전지 셀에 의해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조명장치 및 에너지원 없이 건물, 주택, 도로 등에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자체가 점멸 또는 점등하도록 하여 도시 미관을 보다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상기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리본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개의 태양전지 셀; 상기 하부 EVA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시트; 및 상기 백시트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배터리 또는 콘덴서와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고, 낮 동안에 상기 태양전지 셀에 의해 상기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기를 상기 회로기판의 제어동작에 의해 밤 동안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인가시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조명장치와 전력원 없이도 야간이나 심야에 태양전지모듈을 조명용 또는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기에, 도시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 식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를 EVA 필름, 실리콘, 에폭시수지 등으로 밀봉시켜 방수처리함으로써 빗물 등이 스며들어 누전 등에 의해 태양전지모듈 자체가 오작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타이머나 센서 없이도 회로기판의 제어부가 태양전지 셀로부터의 전력 입력 유무에 따라 주간과 야간(또는 심야)을 자동 식별하고, 충전된 전력을 야간 또는 심야에 자동으로 발광소자에 공급하여 발광시킬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 발광소자, 다이오드, EL 라이트

Description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SOLAR MODUL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5는 대형 태양전지모듈의 태양전지 셀 사이 공간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할 수 있음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강화유리 112:관통홀
120, 220, 320:상부 EVA 필름 130, 230, 330:태양전지 셀
140, 240, 340:하부 EVA 필름 150, 250, 350:백시트
160, 260:발광다이오드 360:EL 라이트
170, 270, 370:컨트롤 박스 172, 272, 372:회로기판
174, 274, 373: 충전지 또는 콘덴서
본 발명은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에 발광소자를 장착하여 태양전지 셀에 의해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조명장치 및 에너지원 없이 건물, 주택, 도로 등에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자체가 점멸 또는 점등하도록 하여 도시 미관을 보다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모듈은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무공해, 무소음, 무한 공급 에너지라는 이유로 최근들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규제하는 도쿄의정서가 2005년 2월 16일자로 발효되었고, 에너지원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태양에너지가 중요한 대체 에너지원중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모듈은 전도성 리본을 통하여 직·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발생시키고, 사용자는 이 전력을 이용하여 상용전원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들어, 태양전지모듈은 건물 옥상, 건물 벽면, 산간지역, 섬, 공원, 신호 등, 도로 안내판 등에 설치되어 건물 등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도로 안내판 등의 전력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전지모듈은 낮시간 동안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추가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것인 바, 특히 야간 또는 심야에는 전혀 무용지물이었다. 본 발명자는 야간 또는 심야에도 태양전지모듈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한 결과, 태양전지모듈 자체에 발광소자를 장착하고,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생산된 전력중 일부를 충전한 후, 그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 또는 심야에 태양전지모듈에 장착된 발광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야간 또는 심야에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한편, 안내판 등도 별도 조명장치 및 전력원 없이 자체 발광되어 운전자 등에게 보다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발명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간에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생산한 전력의 일부를 충전지(또는 콘덴서)에 충전하고, 야간이나 심야에 그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모듈 자체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조명장치와 전력원 없이도 야간이나 심야에 태양전지모듈을 조명용 또는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기에, 도시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 할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소자를 EVA 필름, 실리콘, 에폭시수지 등으로 밀봉시켜 방수처리함으로써 빗물 등이 스며들어 누전 등에 의해 태양전지모듈 자체가 오작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타이머나 센서 없이도 회로기판의 제어부가 태양전지 셀로부터의 전력 입력 유무에 따라 주간과 야간(또는 심야)을 자동 식별하고, 충전된 전력을 야간이나 심야 동안 자동으로 발광소자에 공급하여 발광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상기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리본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개의 태양전지 셀; 상기 하부 EVA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시트; 및 상기 백시트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배터리 또는 콘덴서와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되고, 낮 동안에 상기 태양전지 셀에 의해 상기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기를 상기 회로기판의 제어동작에 의해 밤 동안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인가시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전지 셀 중 일부를 발광소자 전용 셀로 특정하고, 그 전용 셀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다음, 그 전기에너지를 발광소자 발광 전용으로 사용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강화유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화유리의 관통홀에 발광다이오드를 삽입시킨 다음 투명실리콘액으로 몰딩시켜 방수처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 박스내에 배터리 또는 콘덴서와 회로기판을 배치시킨 다음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수지로 몰딩시켜 방수처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로기판은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그 스위칭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셀측으로부터 전기에너지의 입력이 있을 경우 그 전기에너지를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시키고, 상기 태양전지 셀측으로부터 전기에너지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방전시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상기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셀; 상기 하부 EVA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시트; 상기 백시트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배터리 또는 콘덴서와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EL 라이트가 구비되고, 낮 동안에 상기 태양전지 셀에 의해 상기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기를 상기 회로기판의 제어동작에 의해 밤 동안에 상기 EL 라이트에 인가시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을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전지 셀 중 일부를 발광소자 전용 셀로 특정하고, 그 전용 셀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다음, 그 전기에너지를 발광소자 발광 전용으로 사용하여 상기 EL 라이트를 발광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모듈(100)은 강화유리(110), 강화유리(110)의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160), 강화유리(110)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EVA 필름(120)과 하부 EVA 필름(140), 상부 EVA 필름(120)과 하부 EVA 필름(140)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성 리본(132)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개의 태양전지 셀(130), 하부 EVA 필름(14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시트(150) 및 이 백시트(150)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배터리 또는 콘덴서(174)와 회로기판(172)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박스(170)로 구성된다.
강화유리(110)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태양전지 셀(13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의 디자인에 따라 원형, 반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된다. 도1에서는 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강화유리를 도시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화유리(110) 하부에는 상부 EVA 필름(120)과 하부 EVA 필름(140)이 적층된다. 여기서, EVA 필름(Ethylene vinyl acetate)은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copolymer)로서, 투명성, 완충성, 탄성, 인장강도가 아주 우수한 비닐 필름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상부 EVA 필름(120)과 하부 EVA 필름(140) 사이에 전도성 리본(132)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개의 태양전지 셀(130)이 배치된다. 하부 EVA 필름(140)의 하측면에는 백시트(150)가 배치된다. 백시트(150)는 방수, 절연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시트(150) 하부 일측면에는 컨트롤 박스(170)가 부착된다. 컨트롤 박스(170)에는 태양전지 셀(130)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시키는 충전지 또는 콘덴서(174)와, 발광다이오드의 점멸 또는 점등 여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72)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트롤 박스(170)내에 충전지 또는 콘덴서(174)와 회로기판(172)을 배치시킨 다음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수지 등으로 몰딩시켜 방수처리함으로써, 회로기판 등이 빗물 등에 노출되어 오작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회로기판(172)은 낮 동안에 태양전지 셀(130)에 의해 생산되어 콘덴서(174) 등에 충전된 전기를 밤 동안에 발광다이오드(160)에 인가시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도2를 참조하면, 강화유리(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홀(112)에 발광다이오드(130)를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130)의 관통홀(112)에 발광다이오드(130)를 삽입한 다음 투명실리콘액(114)으로 몰딩시켜 방수처리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30)의 단자(162)를 상부 EVA 필름(120), 하부 EVA 필름(140) 및 백시트(150)를 관통시켜 백시트(150) 하측면에 노출되게 된다. 그 노출된 단자(162)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도전체(164)에 의해 회로기판(172)에 연결된다. 회로기판(172)은 콘덴서(172)로부터 전력을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전력을 도전체(164)를 경유하여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30)에 공급하여 발광시키게 된다. 또한, 회로기판(172)은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그 스위칭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셀(130)로부터 전기에너지의 입력이 있을 경우 그 전기에너지를 콘덴서(174) 등에 충전시키고, 상기 태양전지 셀(130)로부터 전기에너지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콘덴서(174) 등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방전시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킨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172)은 태양전지 셀(130)로부터의 전력 입력 유무에 따라 낮과 밤을 자동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타이머 또는 센서 없이도 특히 밤에 발광다이오드를 자동으로 발광시킨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200)은 강화유리(210) 자 체에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고 강화유리(210)의 하부 일측면에 발광다이오드(260)를 구비시킨 것이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260)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상부 EVA 필름(220), 하부 EVA 필름(240), 백시트(250)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그 관통홀에 발광다이오드(260)를 강화유리(210)과 접하게 배치시킨 다음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 수지 등으로 몰딩처리하여 고정시킨 것이다. 발광다이오드(260)의 장착 구조 이외에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300)은 강화유리(310)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EVA 필름(320)과 하부 EVA 필름(340) 사이에 태양전지 셀(330)을 배치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EL 라이트를 함께 배치시킨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낮 동안에 태양전지 셀(330)에 의해 콘덴서(374) 등에 충전된 전기를 밤 동안에 EL 라이트에 인가시켜 발광시킬 수 있다.
도5는 대형 태양전지모듈의 태양전지 셀 사이 공간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할 수 있음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대형 태양전지모듈의 경우, 배열되는 태양전지 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기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공간에 발광다이오드를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조로 장착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의 공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에 구비된 발광소자 전용 셀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있어서, 태양전지모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태양전지 셀(130) 중 일부를 발광소자 전용 셀로 특정하고, 그 전용 셀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다음 그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발광소자 발광 전용으로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130)를 발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상, 태양전지 셀은 크기에 따라 4인치, 5인치, 6인치 등으로 나누어지며, 그 크기에 따라 평균 전력 발생량도 상이하다. 예컨대, 4인치 태양전지의 평균전력은 1.44W(Vmp:0.48V, Imp:3.0A)이고, 5인치의 경우 2.3W(Vmp:0.48V, Imp:4.8A)고, 6인치의 경우 3.4W(Vmp:0.48V, Imp:7.0A)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크기의 태양전지 셀의 연결개수 및 연결방식(직렬 또는 병렬)에 따라 다양한 요구 전력을 생산한다. 이와 같이, 건물의 벽면, 옥상, 도로, 산간지역 등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태양전지 셀을 연결하여 요구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광소자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EL 라이트의 소비전력은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0.04 W/h이고, EL 라이트의 경우 0.1 W/h 정도일 뿐인 바, 태양전지모듈에 장착된 다수의 태양전지 셀 중 특정 셀로부터 생산되는 전력만으로도 충분히 밤동안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은 특히 다수의 태양전지 셀로 이루어진 중대형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태양전지 셀을 발광소자 전용 셀로 특정하고, 그 발광소자 전용 셀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콘덴서 등에 충전한 후, 야간 또는 심야 동안에 그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발광소자의 발광을 위하여 전용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태양전지 셀 단지 0.5개 또는 1개만을 특정하여 발광소자 전용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태양전지모듈의 구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주간에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생산한 전력의 일부를 충전지(또는 콘덴서)에 충전하고, 야간이나 심야에 그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모듈 자체에 구비된 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둘째, 별도의 조명장치와 전력원 없이도 야간이나 심야에 태양전지모듈을 조명용 또는 장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기에, 도시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세째, 발광소자를 EVA 필름, 실리콘, 에폭시수지 등으로 밀봉시켜 방수처리함으로써 빗물 등이 스며들어 누전 등에 의해 태양전지모듈 자체가 오작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네째, 별도의 타이머나 센서 없이도 회로기판의 제어부가 태양전지 셀로부터의 전력 입력 유무에 따라 주간과 야간(또는 심야)을 자동 식별하고, 충전된 전력을 야간이나 심야 동안에 자동으로 발광소자에 공급하여 발광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강화유리;
    상기 강화유리 하부에 적층되는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상기 상부 EVA 필름과 하부 EVA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리본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열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개의 태양전지 셀;
    상기 하부 EVA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시트;
    상기 백시트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배터리 또는 콘덴서와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박스;
    상기 강화유리의 하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낮 동안에 상기 태양전지 셀에 의해 상기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제어동작에 의해 밤 동안에 인가되어 발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그 스위칭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셀측으로부터 전기에너지의 입력이 있을 경우 그 전기에너지를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시키고, 상기 태양전지 셀측으로부터 전기에너지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배터리 또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방전시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 중 일부를 발광소자 전용 셀로 특정하고, 그 전용 셀로부터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다음, 그 전기에너지를 발광소자 발광 전용으로 사용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의 관통홀에 발광다이오드를 삽입시킨 다음 투명실리콘액으로 몰딩시켜 방수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내에 배터리 또는 콘덴서와 회로기판을 배치시킨 다음 실리콘액 또는 에폭시수지로 몰딩시켜 방수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074226A 2006-08-07 2006-08-07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680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226A KR100680654B1 (ko) 2006-08-07 2006-08-07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US12/376,530 US20100126549A1 (en) 2006-08-07 2007-02-26 Solar cell module with a luminous element
PCT/KR2007/000969 WO2008018672A1 (en) 2006-08-07 2007-02-26 Solar cell module with a luminous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226A KR100680654B1 (ko) 2006-08-07 2006-08-07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758U Division KR200419453Y1 (ko) 2006-03-23 2006-03-23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654B1 true KR100680654B1 (ko) 2007-02-08

Family

ID=3810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2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0654B1 (ko) 2006-08-07 2006-08-07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26549A1 (ko)
KR (1) KR100680654B1 (ko)
WO (1) WO2008018672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471B1 (ko) * 2007-10-17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조깅도로 및 자전거 전용도로에 유용한 태양전지를 이용한조명장치
KR100862343B1 (ko) 2007-05-29 2008-10-13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명용 led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10114196A1 (ko) 2009-04-03 2010-10-07 (주) 엘지하우시스 디자인층을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KR101021301B1 (ko) 2010-11-28 2011-03-11 손정삼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야간발광 판넬장치
WO2011084545A3 (en) * 2009-12-16 2011-10-27 Nagendra Cherukupalli Systems, circuits, and methods for reconfiguring solar cells of an adaptive solar power system
KR101083988B1 (ko) * 2010-01-27 2011-11-16 변정훈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70069358A (ko) * 2015-12-10 2017-06-21 주식회사 포스코 조명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10066178A (ko) *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이의 제어 시스템
KR20230068902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에쓰와트 미디어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7202B1 (en) * 2009-05-07 2014-12-09 Scott David Brusaw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olar energy using networked trafficable solar panels
TW201037849A (en) * 2010-04-16 2010-10-16 Fung Gin Da Energy Science &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capable of chasing the sun for focusing light
US20120186627A1 (en) * 2011-01-20 2012-07-26 Colossus EPC, Inc. Electronic power source
US9647162B2 (en) 2011-01-20 2017-05-09 Colossus EPC Inc. Electronic power cell memory back-up battery
US20120187763A1 (en) 2011-01-25 2012-07-26 Isoline Component Company, Llc Electronic power supply
US9010959B2 (en) 2011-08-08 2015-04-21 Borealis Technical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rtificial light
TWI563673B (en) * 2011-10-14 2016-12-21 Au Optronics Corp Photovoltaic package
CN103840519A (zh) * 2014-02-24 2014-06-04 武汉环材科技有限公司 耐用可挂式柔性太阳能充电器
SE539132C2 (en) * 2015-08-25 2017-04-11 Solibro Res Ab Solar panel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arrangement, and system for a solar panel with such an arrangement 16
CN105810661A (zh) 2016-03-16 2016-07-27 三星半导体(中国)研究开发有限公司 集成电源模块的封装件
CN107663825B (zh) * 2016-09-21 2019-07-26 淮安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太阳能公路
KR102217019B1 (ko) * 2018-06-14 2021-02-19 (주)솔라플렉스 디스플레이 일체형 솔라셀 패널
CA3108538A1 (en) 2018-08-06 2020-02-13 Solar Hardscapes Llc Landscape pavers for ground installation of photovoltaic panels, landscape paver installations, and installation methods
WO2021043587A1 (en) 2019-09-05 2021-03-11 Signify Holding B.V. Arrangement including light source and solar cells
US11075308B1 (en) * 2020-06-19 2021-07-27 Pharos Materials, Inc. Vanadium-containing electrodes and interconnects to transparent conductors
US20240038914A1 (en) * 2022-07-31 2024-02-01 Aptera Motors Corp. Light emitting curved laminated panel and combined light emitting solar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219735041U (zh) * 2023-04-26 2023-09-22 中山巴柏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式太阳能路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741A (ko) * 2000-09-26 2002-04-01 김세광 연삭휠 및 그의 팁 제조방법
KR100322709B1 (ko) * 1995-10-16 2002-06-20 윤종용 자체전압인가형태양전지및그태양전지를채용한모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048Y2 (ko) * 1980-07-16 1988-03-17
US4374406A (en) * 1981-07-10 1983-02-15 James Hepp Lightweight attachment for solar cell array next to a fluorescent tube
JP3792867B2 (ja) * 1997-11-06 200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アレイ及び太陽光発電装置の施工方法
US6518493B1 (en) * 1999-11-12 2003-02-11 Citizen Watch Co., Ltd. Display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solar cell
JP2004534404A (ja) * 2001-07-04 2004-11-1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72281A (ja) * 2003-08-25 2005-03-17 Kyocera Corp 太陽光発電装置
JP4547569B2 (ja) * 2004-08-31 2010-09-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表面実装型l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709B1 (ko) * 1995-10-16 2002-06-20 윤종용 자체전압인가형태양전지및그태양전지를채용한모듈
KR20020024741A (ko) * 2000-09-26 2002-04-01 김세광 연삭휠 및 그의 팁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227090000
2002247410000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43B1 (ko) 2007-05-29 2008-10-13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명용 led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7674111B2 (en) 2007-05-29 2010-03-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module for lighting
TWI399144B (zh) * 2007-05-29 2013-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用以發亮之發光二極體模組
KR100850471B1 (ko) * 2007-10-17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조깅도로 및 자전거 전용도로에 유용한 태양전지를 이용한조명장치
WO2010114196A1 (ko) 2009-04-03 2010-10-07 (주) 엘지하우시스 디자인층을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US8872083B2 (en) 2009-12-16 2014-10-28 Saful Consulting Systems, circuit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solar cell string of an adaptive solar power system
WO2011084545A3 (en) * 2009-12-16 2011-10-27 Nagendra Cherukupalli Systems, circuits, and methods for reconfiguring solar cells of an adaptive solar power system
US11901860B2 (en) 2009-12-16 2024-02-13 Saful Consulting, Inc. Systems, circuits and methods for an interconnect fabric with programmable circuit routes for configuring solar cell strings
KR101083988B1 (ko) * 2010-01-27 2011-11-16 변정훈 태양광발전 및 영상출력 복합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1021301B1 (ko) 2010-11-28 2011-03-11 손정삼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야간발광 판넬장치
WO2012070722A1 (ko) * 2010-11-28 2012-05-31 Oh Se-Young 태양에너지 전기공급을 위한 야간발광 판넬장치
KR20170069358A (ko) * 2015-12-10 2017-06-21 주식회사 포스코 조명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879023B1 (ko) * 2015-12-10 2018-07-17 주식회사 포스코 조명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10066178A (ko) * 2019-11-28 2021-06-07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이의 제어 시스템
KR102383309B1 (ko) 2019-11-28 2022-04-06 한국광기술원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이의 제어 시스템
KR20230068902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에쓰와트 미디어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KR102770504B1 (ko) * 2021-11-11 2025-02-21 주식회사 에쓰와트 미디어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6549A1 (en) 2010-05-27
WO2008018672A1 (en)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654B1 (ko)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AP1378A (en) Solar lamp for open-air use.
US20140247584A1 (en) Light-emitting device
US9157591B2 (en) Solar-powered light fixture and system
KR100922772B1 (ko) 솔라 조명 타일
US20090242015A1 (en) Photovoltaic Roofing Elements, Laminates, Systems and Kits
KR101038499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간판
US7997754B2 (en) Solar component and devices containing the same
KR200419453Y1 (ko) 발광소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KR101225980B1 (ko) 발광장치
KR101995634B1 (ko) 태양광 전지모듈 기판 및 램프의 조명기기가 다층구조로 구비된 독립형 led정원등
KR101042402B1 (ko) 냉각기구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KR101135974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KR101206963B1 (ko) 태양광 전지모듈 중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경관 조명기구
KR101698773B1 (ko) 솔라브릭
WO2013143589A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solar cell and led
CN215210283U (zh) 一种光伏地砖
KR20100082995A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등대
KR200405396Y1 (ko) 일체형 태양광 엘이디 조명등
CN208923165U (zh) 一种可发光的bipv组件
JP2012102466A (ja) 太陽光発電・緑化パネル
CN212057092U (zh) 一种太阳能杀菌球泡灯
KR20130114320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led 조명등
CN216625639U (zh) 一种光伏照明地砖
TWI403045B (zh) 太陽能電池接線裝置及具有接線裝置的太陽光電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60807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3I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