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80203B1 -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203B1
KR100680203B1 KR1020040085420A KR20040085420A KR100680203B1 KR 100680203 B1 KR100680203 B1 KR 100680203B1 KR 1020040085420 A KR1020040085420 A KR 1020040085420A KR 20040085420 A KR20040085420 A KR 20040085420A KR 100680203 B1 KR100680203 B1 KR 100680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abinet
movement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537A (ko
Inventor
유태방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203B1/ko
Priority to US11/247,223 priority patent/US20060090521A1/en
Priority to EP05022709A priority patent/EP1652991A3/en
Priority to CN2005101161302A priority patent/CN1766204B/zh
Priority to JP2005309641A priority patent/JP2006116324A/ja
Publication of KR2006003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2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의 전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도어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고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닫히도록 하는 도어개폐기구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이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도어 개방시에 세탁물 거치대로 활용하는 동시에 협소한 장소에 세탁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또한 도어를 캐비닛 내측으로 밀어 넣어 세탁물도 편리하게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링크 기구, 전후 이동, 캐비닛, 도어, 거치대, 용기, 도어 창, 모터, 드럼

Description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Drum washer having door which downwardly opens and moves back and forth}
도 1은 종래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드럼 세탁기의 도어 개방 상태가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측방향 개략도로서, 도어 개폐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도 3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측방향 개략도로서, 도어의 전후 이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에서 도어 닫힘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에서 도어가 열리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에서 도어 열림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에서 도어의 전후 이동 상 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측방향 개략도,
도 11은 도 10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11 : 개구부
12 : 캐비닛 본체 13 : 베이스
14 : 탑 커버 15 : 프론트 커버
15s : 슬릿 19 : 크린 도어
19s : 슬릿 20 : 힌지축
30 : 도어 31 : 도어 프레임
32 : 측면부 35 : 도어 창
36 : 창테 37 : 용기형 창
39, 39U, 39D : 손잡이 40 : 개폐링크기구
41 : 제 1 링크 부재 42 : 연결 축
43 : 링크 브래킷 44 : 힌지 축
45 : 제 2 링크 부재 46 : 연결 축
47 : 링크 브래킷 48 : 힌지 축
50 :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55 : 스토퍼
60 : 전후이동기구 61 : 이동 베이스
63 : 롤러 65 : 가이드 레일
67 : 이동제한수단 71 : 도어자동열림버튼
72 : 도어자동닫힘버튼 73 : 도어자동이동버튼
74 : 모터제어기구 75 : 개폐용 전동 모터
77 : 이동용 전동 모터 78 : 피니언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도어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가 아래쪽으로 열린 상태에서 도어를 세탁물의 거치대로 활용하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캐비닛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드럼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전면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 터브와 드럼 내부로 통하는 개구부(3)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5)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5)는 한쪽 측면이 상기 캐비닛(1)의 개구부(3) 쪽에 힌지기구(7)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쪽에 위치된 손잡이를 당겨서 열고, 밀어서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5)는 원형상의 도어테(5a)에 도어 창(5b)이 구비된다. 이 도어 창(5b)은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캐비닛(1) 내에 설치되는 개스킷(9)에 접촉하도록 세탁기 안쪽으로 볼록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드럼 세탁기의 도어는 측면 방향으로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가 벽면(W)에 밀착되게 설치된 경우에 도어(5)가 완전히 열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도어(5)가 완전히 열리지 않게 되면, 볼록한 도어 창(5b)이 세탁기의 개구부(3) 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거나 뺄 때 간섭이 발생하여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 세탁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밖으로 꺼내게 되는데, 이때 세탁물이 서로 엉켜 있기 때문에 세탁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세탁물이 바닥에 떨어지게 되면, 다시 세탁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이 완료되면,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꺼낸 다음, 세탁물을 별도의 용기에 담아둔 상태에서 또 다른 세탁물을 꺼내는 행위를 계속하게 되는데, 이때 별도로 세탁물을 담아두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는 과정에서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도어 개방시에 세탁물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개방된 도어를 세탁기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 세탁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또한 세탁물도 편리하게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는, 전면에 세탁물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의 상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도어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대략 수평하게 이동하여 도어의 전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닫히도록 하는 도어개폐기구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이동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3은 도어 개폐 상태가 도시된 측방향 개략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방 향의 단면도, 도 5는 도어의 전후 이동 상태가 도시된 측방향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개폐 및 전후 이동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 6은 도어 닫힘 상태, 도 7은 도어가 열리고 있는 상태, 도 8은 도어 열림 상태, 도 9는 도어의 전후 이동 상태가 각각 도시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외곽을 형성하고 전면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된 캐비닛(1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세탁을 위한 장치들이 설치되는데, 주요 구성 부분으로는, 도 3을 참고하면, 스프링(21) 및 댐퍼(22) 등으로 캐비닛(10) 내에 지지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3)와, 상기 터브(23)의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25)과, 상기 드럼(25)을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 모터(27)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부(11)는 상기 드럼(25)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23)와 드럼(25)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캐비닛(10)과 터브(23)의 개구부 사이에는 세탁 과정에서 캐비닛(10) 내부로 세탁수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개스킷(29)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10)은 대략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성은 양측면과 뒷면을 이루는 캐비닛 본체(12)와,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13)와, 상부면을 이루는 탑 커버(14)와, 전면을 이루면서 상기 개구부(11)가 형성된 프론트 커버(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5)의 상부에는 세탁기를 조작할 수 있는 각종 조작 스위치 및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구비된 콘트롤 패널(17)이 위치된다. 상기 콘트롤 패널(17)은 세탁기의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인 탑 커버(14) 쪽 등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프론트 커버(15)의 하부에는 상기 캐비닛 본체(12) 또는 베이스(13)에 후술할 도어(30)가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들어갈 때 개방되는 크린 도어(19)가 구비된다. 이 크린 도어(19)에 대해서는 아래에 후술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15)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도어(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커버(15)는 상기 도어(30)가 닫혔을 때의 외측면이 상기 콘트롤 패널(17)과 크린 도어(19)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콘트롤 패널(17)과 크린 도어(19)보다 상대적으로 캐비닛(10)의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상기 캐비닛 본체(12), 콘트롤 패널(17)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5)의 중앙부에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를 이루는 링 형상의 개구틀(16)이 형성되고, 이 개구틀(16)에 상기 개스킷(29)이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프론트 커버(15)의 형상과 동일하게 대략 사각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30)는 사각 판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15)의 전면 형상과 일치하는 도어 프레임(31)과, 상기 도어 프레임(31)의 중앙부에 설치 되고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부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개스킷(29)에 밀착되는 용기형상의 도어 창(35)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31)은 그 양측부분이 도어의 측면을 형성토록 'L'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측면부(32)를 형성한다. 상기 양쪽 측면부(32)에는 후술할 도어개폐기구인 링크개폐기구(40)가 연결된다.
상기 도어 창(35)은 상기 개스킷(29)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용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어 창(35)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프레임(31)에 장착되는 링 형상의 창테(36)와, 세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테(36)에 결합되는 용기형 창(3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테(36)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형 창(37)은 세탁기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유리와 같은 투명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30)에는 도어를 개폐할 때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39)가 설치되는데, 이 손잡이(39U)(39D)는 상하로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30)는 개방될 때 세탁물 인출시에 세탁물을 일시 보관할 수 있도록 도어(30)의 전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는 캐비닛(1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고,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닫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30)의 개폐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30)와 이동 베이스(61) 사이에는 도어(30)의 양쪽 위치에 도어개폐기구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개폐기구(40)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 베이스(61)는 상기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0)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후이동기구(6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상기 링크개폐기구(40)는 상기 도어(3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의 링크 부재(41)(45)가 사절 링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링크개폐기구(40)는 상기 도어(30)의 측면부(32)에서 상기 캐비닛(10) 내의 이동 베이스(61)에 각각 연결된 제 1 링크 부재(41)와 제 2 링크 부재(4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링크 부재(41)는 상기 도어(30)의 측면부(32) 가운데 쪽과 이동 베이스(60)의 앞쪽 부분에 연결되고, 제 2 링크 부재(45)는 상기 제1 링크 부재(41)의 연결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도어(30)의 측면부(32) 상부 쪽과 이동 베이스(60)의 뒤쪽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도어(30)의 측면부(32)에는 상기 제 1 링크 부재(41)와 제 2 링크 부재(45)의 상단부가 연결되도록 도어(30) 연결축(42)(46)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60)에는 상기 제 1 링크 부재(41)와 제 2 링크 부재(45)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링크 브래킷(43)(47)이 각각 설치된다. 물론, 상기 링크 브래킷(43)(47)에는 상기 두 링크 부재(41)(4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힌지 축(44)(48)이 구비된다.
상기 전후이동기구(60)는 상기 캐비닛(10)의 베이스(13)에 전후 이동 가능하 게 설치되어 상기 두 링크 부재(41)(45)가 연결되는 이동 베이스(61)와, 상기 베이스(13)와 이동 베이스(6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61)가 전후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동안내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안내수단은 상기 이동 베이스(61)의 양측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13)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65)과, 상기 이동 베이스(6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65)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6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기구(60)에는 상기 도어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이동제한수단(67)은 상기 도어(30)가 개폐될 때 상기 이동 베이스(61)가 상기 캐비닛(10)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동제한수단(67)은 상기 가이드 레일(65)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30) 또는 이동 베이스(61)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롤러(63)가 타고 넘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를 이루는 크린 도어(19)는 상기 도어(30)가 캐비닛(10)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개방되게 구성되는데, 그 양측 하단부가 캐비닛(10) 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0)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물론, 상기 힌지축(20)에는 상기 도어(30)가 캐비닛(10) 밖으로 이동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크린 도어(19)는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캐비닛(10)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도어(30)의 상단부가 미는 힘에 의해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었다가, 도어(30)가 캐비닛(10)에서 밖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캐비닛(10)의 전면 하부를 닫게 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론트 커버(15)와 크린 도어(19)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부재(41)(45)들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토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슬릿(slit)(15s)(19s)들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슬릿(15s)(19s)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링크 부재(41)(45)들의 이동은 자유롭게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50)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50)는 연성의 브러쉬나 양쪽으로 갈라진 고무 부재(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린 도어(19)에는 상기 슬릿(19s)의 하단부에 상기 도어(30)가 대량 수평 방향으로 열린 상태에서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5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토퍼(55)는 도어(30)의 링크 부재(41)(45) 연결부, 캐비닛(10) 측의 링크 브래킷(43)(47), 또는 링크 부재(41)(45) 자체에 다양하게 구성하여 도어(30) 및 상기 링크 부재(41)(45)들이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같이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 하측 손잡이(39D)를 잡고 도어(30)를 아래쪽으로 당기게 되면, 도어(30)는 도 7의 과정을 거치면서 상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하단부가 세탁기의 앞쪽으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8과 같이 개방된다.
즉, 상기 이동 베이스(61)에 두 쌍의 링크 부재(41)(45)로 연결된 도어(30)가 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도 7에서와 같이 세탁기의 앞쪽으로 경사지게 이동한 다음, 도 8에서와 같이 도어(30)가 거의 수평이 될 때까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된다. 이때, 상기 링크 부재(41)(45)들은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된 슬릿(15s)(19s)을 따라 스토퍼(55)에 걸릴 때까지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베이스(61)의 롤러(63)는 도 3에서와 같이 이동제한수단(67)에 걸려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도어(30)가 전후 이동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 도어(30)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개방된 도어(30)를 캐비닛(10)의 안쪽을 밀어 넣을 수 있는 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30)를 캐비닛(10) 쪽으로 밀게 되면, 도어와 두 쌍의 링크 부재(41)(45)로 연결된 이동 베이스(61)가 가이드 레일(65)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도어(30)는 크린 도어(19)를 밀어 캐비닛(10) 안쪽으로 회전시키면서 캐비닛(10) 내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는 도 9와 같은 상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캐비닛(10)의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가 드럼(25)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동시에, 드럼(25) 내에서 세탁물 인출할 수 있게 되고, 이때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드럼(25) 내에서 꺼낸 세탁물을 용기 구조의 도어 창(35)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30)를 캐비닛(10) 내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도어(30)를 닫기 위해서 도어를 앞쪽으로 당기게 되면, 도어(30)는 다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 밖으로 이동되고, 이때 크린 도어(19)는 탄성 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이후, 도어(30)의 상측 손잡이(39U)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게 되면 도어(30)는 상기 링크 부재(41)(45)들과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프론트 커버(15)에 밀착되면서 닫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가 도시된 측방향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개폐기구와, 자동으로 캐비닛(10) 쪽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자동이동기구가 구비된다.
상기 자동개폐기구는 캐비닛(10)의 전면을 구성하는 콘트롤 패널(17)에 구비된 도어자동열림버튼(71)과 도어자동닫힘버튼(72)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전동 모터(75)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두 개의 버튼(71)(72) 작동에 따라 개폐용 전동 모터(75)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제어기 구(74)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용 전동모터(75)는 상기 이동 베이스(61)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링크 부재(4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 1 링크 부재(41)를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도어(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개폐용 전동 모터(75)는 제 2 링크 부재(45)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동이동기구는 상기 콘트롤 패널(17)에 구비된 도어자동이동버튼(73)과, 상기 도어자동이동버튼(73)의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한 모터제어기구(74)와, 상기 모터제어기구(74)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베이스(61)를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용 전동 모터(77)와, 상기 이동용 전동모터(77)의 구동력을 이동베이스(61)에 전달하는 피니언(78)과 랙(6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용 전동 모터(77)는 상기한 베이스(13)와 이동 베이스(61) 사이의 설치 간격이 좁을 경우에 상기 베이스(13)의 하부에 결합된 보조베이스(13A)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드럼 세탁기는 도어자동열림버튼(71)과 도어자동닫힘버튼(72)을 조작하여 도어(30)를 자동으로 개폐할 때에 상기 개폐용 전동 모터(75)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 부재(41)가 회전 작동되면서 제 2 링크 부재(45)와 함께 도어(3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도어(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도어자동이동버튼을(73) 조작하게 되면, 상기 이동용 전동 모터(77)가 구동되면서 상기 이동 베이스(61)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도어(30)를 캐 비닛(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캐비닛(10)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는, 도어가 캐비닛에 도어개폐기구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캐비닛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시에 세탁물 거치대로 활용하는 동시에 협소한 장소에 세탁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또한 도어를 캐비닛 내측으로 밀어 넣어 세탁물도 편리하게 넣거나 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동시에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의 작동 개폐 작동 및 이동 작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12)

  1. 전면에 세탁물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의 상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도어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대략 수평하게 이동하여 도어의 전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닫히도록 하는 도어개폐기구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이동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부분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용기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기구는 상기 도어의 양측에 각각 두 개의 링크 부재가 연결된 링크개폐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기구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개폐기구가 연결되는 이동 베이스와,
    상기 캐비닛과 이동 베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베이스가 전후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동안내수단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기구는 상기 도어의 양측에 각각 두 개의 링크 부재가 연결된 링크개폐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에는 상기 링크개폐기구가 연결되도록 링크 브래킷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기구에는 상기 도어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 상기 이동 베이스가 상기 캐비닛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 하측에는 상기 도어가 캐비닛의 내측으로 들어갈 때 개방되는 크린 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9. 제 1 항과 제 2 항과 제 4 항과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기구는 상기 도어의 양측에 각각 두 개의 링크 부재가 연결된 링크개폐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기구에는 상기 링크개폐기구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도어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자동개폐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기구는 상기 링크개폐기구를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전후이동기구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도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이동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동기구는 상기 전후이동기구를 랙과 피니언 동력 전달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전동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0040085420A 2004-10-25 2004-10-25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80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420A KR100680203B1 (ko) 2004-10-25 2004-10-25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US11/247,223 US20060090521A1 (en) 2004-10-25 2005-10-12 Drum washing machine having vertically openable and linearly movable door
EP05022709A EP1652991A3 (en) 2004-10-25 2005-10-18 Drum washing machine having vertically openable and linearly movable door
CN2005101161302A CN1766204B (zh) 2004-10-25 2005-10-25 具有可竖直打开并可线性运动的门的滚筒式洗衣机
JP2005309641A JP2006116324A (ja) 2004-10-25 2005-10-25 下側開放型前後動ドアを備えたドラム洗濯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420A KR100680203B1 (ko) 2004-10-25 2004-10-25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537A KR20060036537A (ko) 2006-05-02
KR100680203B1 true KR100680203B1 (ko) 2007-02-08

Family

ID=3589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4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0203B1 (ko) 2004-10-25 2004-10-25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90521A1 (ko)
EP (1) EP1652991A3 (ko)
JP (1) JP2006116324A (ko)
KR (1) KR100680203B1 (ko)
CN (1) CN17662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54B1 (ko) 2019-12-19 2021-01-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361B1 (ko) 2005-12-0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WO2009083403A1 (en) * 2007-12-31 2009-07-09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GB2464107A (en) * 2008-10-02 2010-04-07 Andrew Reason Ltd Laundry appliance loading/unloading arrangement
KR101672200B1 (ko) * 2013-09-1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EP3128066B1 (en) * 2015-08-04 2018-05-09 Wuxi Little Swan Co., Ltd. Washing machine
JP6617277B2 (ja) * 2015-09-07 2019-12-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6012439B (zh) * 2016-06-01 2018-02-27 叶雨玲 带盖板收纳结构的滚筒洗衣机
CN106400415B (zh) * 2016-11-09 2018-1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门体安装结构及洗衣机
CN106521862B (zh) * 2016-11-30 2018-08-2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
CN106868807A (zh) * 2017-03-01 2017-06-2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CN114687162B (zh) * 2020-12-31 2023-11-0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门组件及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CN114687163B (zh) * 2020-12-31 2023-11-0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门铰链及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CN112813640B (zh) * 2021-01-11 2024-06-18 江苏海狮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龙
JP7590892B2 (ja) 2021-02-26 2024-11-2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CN115404676A (zh) * 2021-05-26 2022-11-29 广州奕至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迷你洗衣机的开门结构、迷你洗衣机
US12084803B2 (en) 2021-06-15 2024-09-1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with sliding doo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597A (en) * 1993-11-30 1996-11-05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mplified front loading laundry washing machine
EP1333118A1 (en) * 2002-02-05 2003-08-06 CANDY S.p.A. Front-loading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y a washing machine or ov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9601A (en) * 1949-12-15 1953-05-26 Miller Herman Swingable door for tumbler type clothes washing machines
US3116903A (en) * 1960-04-28 1964-01-07 T L Smith Co Door actuating mechanism for laundry dryer
JP2000132956A (ja) * 1998-10-23 2000-05-12 Pioneer Electronic Corp 車載用機器
DE19962817A1 (de) * 1999-12-23 2001-06-28 Mannesmann Vdo Ag Elektronisches Gerät
CN2466194Y (zh) * 2000-09-19 2001-12-19 杭州松下家用电器有限公司 双桶洗衣机洗涤盖的开盖机构
EP1365056A1 (en) * 2002-05-22 2003-11-26 CANDY S.p.A. Front loading clothes washing machine
WO2007044445A2 (en) * 2005-10-05 2007-04-19 Guardian Networks, Llc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field devices with a street lamp elevated mesh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597A (en) * 1993-11-30 1996-11-05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Simplified front loading laundry washing machine
EP1333118A1 (en) * 2002-02-05 2003-08-06 CANDY S.p.A. Front-loading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y a washing machine or ov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54B1 (ko) 2019-12-19 2021-01-2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6204B (zh) 2010-09-29
KR20060036537A (ko) 2006-05-02
JP2006116324A (ja) 2006-05-11
CN1766204A (zh) 2006-05-03
EP1652991A3 (en) 2009-01-28
EP1652991A2 (en) 2006-05-03
US20060090521A1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445B1 (ko) 상측 개방형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0680203B1 (ko)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0600762B1 (ko) 상하 자동 개폐식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KR100673446B1 (ko) 접이식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252168B1 (ko) 세탁기
KR101311448B1 (ko) 세탁기
KR20080030139A (ko) 세탁기
US9725841B2 (en) Washing machine
KR20080027677A (ko) 세탁기
KR100743706B1 (ko) 상하 개폐식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0600764B1 (ko) 하측 개방형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KR20100117972A (ko) 빌트인 구조의 회전식 세탁기
KR100347915B1 (ko) 도어 연동식 제어 패널이 구비된 세탁기
KR10067344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70088914A (ko) 세제박스의 개폐구조
KR10067344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40024248A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KR10071984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70063994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
KR20030037783A (ko) 세탁기의 리드 개폐장치
KR20070025773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처짐 방지구조
KR101053573B1 (ko) 세탁기의 리드 지지구조
KR20060085966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장착구조
KR20060098836A (ko) 도어 후크 어셈블리의 설치구조
KR20050114775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